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 미사 파파 마르첼리 - 의 작곡 연도가 1555년일까요??? [전례음악_다성음악]

인쇄

작성중입니다 [39.118.118.*]

2013-02-01 ㅣ No.1330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지금으로부터 십 수년도 더 된, 상당히 오래 전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국내의 지인으로부터 사석에서 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상기想起 시작)
서양 음악사에 있어, 중세 교회 음악의 영향을 벗어나 소위 말하는 "고전주의 음악" 시대가 약 100-200년 정도 일찍 시작되게 된 데에는, 교황 재임 기간이 3주 정도뿐이었던 마르첼리 교황님께서, 팔레스트리나가 작곡한 다성음악인 "미사 파파 마르첼리"를 직접 듣고서, "미사 통상문"을 가사로 사용하는 다성음악 미사곡이 가사 전달에 문제가 없을 수도 있음을 확인한 후에, 약 3주간이라는 대단히 짧은 기간 동안에 인준을 하셨던 단 한 가지 사안이 있었는데, 바로 미사 중에 전례 음악으로서 다성음악의 사용을 허락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그 결과, 단선율인 그레고리오 성가 이외의 음악들이 16세기 중반 이후부터 교회의 안과 밖에서 많이 작곡되고 연주되기 시작하였다.
(이상, 상기想起 끝).

    위와 같은 혹은 위와 유사한 내용이 역사적 사실인 줄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국내의 가톨릭계에 더러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고 있으며, 그런데 문제는, 위의 회상 중에서 파란 색칠을 한 부분이 역사적 사실이 아니기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2.
2-1.
이 글을 작성하게 된 직접적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며칠 전에 "생활성가"에 대한 질문의 글에 대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이,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답변의 글을 드렸습니다. 그러고나서 사흘째 되는 날에, 이 답글을 읽으신 다른 분 B께서 다음과 같은 한줄답변을 주셨습니다:

(발췌 시작)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시고 감사합니다. 답변 포함해서 글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것들을 넘어서는 시도도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예전에는 팔레스트리나 음악도 교회에선 금지하지 않았습니까. 중요한 요체는, 미사 음악은. 미사 받는 주님이 좋아야지 미사 드리는 나만 좋으면 안된다는 것으로 귀결되지 않나 싶네요 ^^
(이상, 발췌 끝).

위의 한줄답변에서 세 가지의 종류가 다른 견해들을 주셨으며, 비록 많이 부족한 죄인이지만 각각에 대하여 답변들을 드려야 할 사안들로 생각되어, 다음과 같은 한줄답변들을 드렸습니다:

-----
(1) [그런 것들을 넘어서는 시도도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필자의 답변) + 찬미 예수님! 위의 글들을 잘 읽어 보시면 알겠지만, 반드시 미사 성제 중에 말씀하신 시도를 하여야 하겠다는 것은 안된다는 것이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의 변함 없는 가르침입니다. 미사 외적으로, 즉 미사의 전후 그리고 연주회/발표회 등을 통하여 마음껏 시도하십시오.

(2) [예전에 팔레스트리나 음악도 교회에서 금지하지 않았습니까?]

<----- (필자의 답변) 애초에 금지할까 하였던 이유가 "전례의 본질/정신"에 적합한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의 우려 때문이었다고 알고 있으며 좀 더 구제적으로 "가사로 사용되는 소위 말하는 통상 기도문"을 단성이 아닌 다성으로 부를 경우에 "가사 전달"이 잘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었는데, 그러나 "위대한 다성음악 작곡가인 팔레스트리나의 노력"의 결과, 교도권에서 문제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여, 교도권이 "다성음악"을 전례 중에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였다고 알고 있습니다. 즉, 어떠한 경우에도, 그러한 허락의 주체가 "가톨릭 보편 교회의 교도권"임을 절대로 잊지 마십시오.

예를 들어, 대학교에 입학하는 자들 중에서만 졸업하는 자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 때에 입학한 자의 졸업 여부는 입학자 당사자 스스로에 의하여 결정되는지요, 아니면, 입학자 당사자가 배제된, 즉, 본인이 아닌, 입학한 대학측의 졸업 사정에 의하여 결정되는지요? 지금 말씀드린, 어떤 결정에 있어 "권위"의 주관자/행사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혼란 때문에, 이리 저리 헷갈리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3) [중요한 요체는, 미사 음악은. 미사 받는 주님이 좋아야지 미사 드리는 나만 좋으면 안된다는 것으로 귀결되지 않나 싶네요 ^^]

<----- (필자의 답변) 이 부분에 대한 것도, 이미 위의 글들 중에서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특히, 또한 위의 글 중에서 안내해 드린, "천주교 성음악 지침" 전문을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역시 마찬가지로, "전례 음악"에 관한 한, 말씀하신 바에 대한 심의/결정권은 연주자측 혹은 방청자측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교도권에만 그 권한이 있습니다.
-----

2-2. 위의 제2-1항(1), (2), 그리고 (3)에서, 특히 (2)가 서양 음악사에 있어 상당히 흥미로운 내용에 관한 언급이나, 그러나 위의 제1항에서 말씀드린 바가 역사적으로 사실이 아니기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즉, 위의 제2-1항 (2)의 언급이 저로 하여금 시간을 별도로 할애하여 이 글을 작성하도록 직접적으로 저를 움직인 셈입니다.

2-3.

질문 1:
팔레스트리나의 위대한 작품인 "미사 파파 마르첼리(Missa Papae Marcelli)"가 1555년 봄에 오로지 22일간만 교황으로 재직하셨던 (교황재위기간: 1555년 4월 9일 - 1555년 5월 1일), 이 교황님의 교황 재직 시기에, 바로 이 교황님 앞에서 연주되었을까요?

질문 2: 다성음악(다성 성가, polyphonic chant)은 가톨릭 보편 교회의 교도권에 의하여 전례 음악으로 사용이 금지된 적이 있었는지요? 

3. 바로 위의 질문 1과 질문 2에 대한 답변 시작

위의 제2-3항에서 제시된 질문들에 대한 답변들은 이어지는 글 안에서 자연스럽게 주어질 것입니다.

3-1. 다음은 필자가 소장 중인, 세광출판사에 의하여 1977년에 발행된 번역서,  "서양음악사(A History of Western Music by Donald J. Grout et al) (上)" 제289쪽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께서 당시의 사정을 이해하는 데에 약간은 도움이 될 것같아 발췌해 드립니다.

게시자 주: 아래에 옮겨서 입력하는 과정에서 한자로 표기된 글자들은 필자가 우리말로 표기하거나 혹은 우리말 표기 다음의 괄호 안에 한자 단어를 또한 병기하였습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성)" 등의 일본식 한자 표기는 번체(繁?)인 "聲(성)"으로 필자가 바꾸었습니다:

(발췌 시작)
     트렌트 공의회가 다성음악을 폐지하도록 강력히 주장하고 있을 때, 팔레스트리나가 6성부 미사곡 [발췌자 주: "미사 파파 마르첼리(Missa Papae Marcelli)"를 말함]을 작곡하여 다성음악의 양식이 결코 경건한 정신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며 가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될 이유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다는 전설이 오래동안 전해 오고 있었다. 그래서 팔레스트리나"교회음악의 구세주"가 되었다. 이 전설이 완전히 거짓이라고는 할 수가 없다. 문제가 되고 있는 이 미사곡은 1567년"교황 마르첼루스의 미사곡"이라는 제하로 출판되었기 때문이다. 이 곡은 마르첼루스 2세의 짧은 교황임기(1555년) 동안에, 아니면 그 후에 작곡되어 그 교황을 기념하기 위하여 받쳐졌을지도 모른다. 이 미사곡이 트렌트공의회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그러나 공의회가 최종적으로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서, 1561년에 일연의 "특별기도 prece speciales"를 작곡한 플랑드로 출신인 야코부스 데 케를레 Jacobus de Kerle(ca. 1532-1591)의 음악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가 작곡한 특별기도의 음악은 공의회의 공기 중에 불려졌으며, 뚜렷한 성부작법(聲部作法)과, 자주 사용하는 호모포니적인 어법(語法), 그리고 진정하고 신앙으로 가득찬 일면을 보여줌으로써, 다성음악이 지니는 가치를 공의회에서 확신시켰고, 그 가치를 반대하는 경향이 있던 적잖은 이단자들을 침묵케 하였다.

     공의회이 교령(敎令)이 가지는 실제적인 효과는, 특히 로마에서, 당세기의 중기에 이르기까지 이미 확립된 교회음악의 양식에 대한 경향을 인정하고 승인하는 것이었다. 이 새로운 양식은 선율선(旋律線)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주로 순차진행(順次進行)을 하며, 리듬이 비교적 규칙적이며, 대위법이 단순하게 되어 있으며 호모포니가 자주 사용되고 화성이 순수하게 온음계적이며 가사가 명확한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었다. 그래서 작곡가들은 일반적으로 세속적인 암시같은 것을 피하고 단지 교회음악의 심미적(審美的)인 기능보다는 윤리적인 면을 강조하려고 노력하였다. 아직 페러디 매스 parody mass 가 작곡되고는 있었다 하더라도, 작곡가가 세속적인 소재를 이용할 때에는, 흔히 그것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어진 작품을 "이름없는 미사곡 Missa sine nomine"이라고 부르며 재치있게 그 사실을 위장하였다. 트렌트공의회의 의결과 반종교개혁 운동의 분위기로 인하여 자극을 받아 생겨난, 이러한 이념의 결과는, 지오반니 피에르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가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었던 하나의 악곡형식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다음의 출처에 접속하면 위의 책의, 즉 "A History of Western Music"의 6th Edition 의 영문 요약본(pdf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언급이 있습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2. Council of Trent (1545-1563)

a) Worked to formulate and pass measures aimed at purging the church of abuses & laxities

b) Church music took only a short time of the Council - issuing a very general pronouncement
    
     (1) neither polyphony nor imitation of secular models was
         specifically forbidden
[다성음악 혹은 세속 양식들의 모방 어
        느 것도
구체적으로(specifically) 금지되지 않았다]
    
     (2) banned from church everything "lascivious or impure" - leaving
         implementation of the the doctrine to diocesan bishops
     
     (3) Legend has Palestrina saving polyphony from the Council's 
         condemnation by composing a six voice Mass - reverent in spirit  
         and not obscuring the text

         i) work was Missa Papae Marcelli (1567)

         ii) council was most certainly influenced by the music of  
            Flemish composer Jacobus de Kerle (1532-1591) - "preces
            speciales" (1561) which was sung at one of the meetings
(이상, 발췌 끝).
-----

3-2.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Pope Marcellus II(1501-1555년)에 대한 설명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영어가 익숙치 않은 분들께서는 특히 제일 마지막 부분의 우리말 번역문을 반드시 읽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9641a.htm

(발췌 시작)
After the death of Julius III (23 March, 1555), the cardinals present in Rome, 3 in number, entered the conclave on 4 April, and four days later Cardinal Marcello Cervini was elected pope, although the emperor had instructed his cardinals to prevent his election. Contrary to custom, Cervini, like Adrian VI, retained his old name of Marcello and was called Marcellus II. On the following day, 10 April, he was consecrated bishop, for, though he had administered the Dioceses of Nicastro, Reggio, and Gubbio, he had not yet received episcopal consecration. He was crowned pope on the same day, but without the customary solemnity, on account of the Lenten season. The new pope had been one of those cardinals who were desirous of an inner reform of the Church. [이 새로운 교황은 교회의 내부 개혁을 바랐던 바로 그러한 추기경들 중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While administrator of Reggio he undertook a thorough visitation of the diocese in 1543, and abolished abuses wherever they were found. Immediately upon his accession he took the work of reform in hand; he died after a reign of only 22 days, of a sickness resulting from overexertion during the pontifical functions of Holy Week and Easter. [자신의 즉위 즉시 그는 진행 중에 있는 개혁의 일에 착수하였으며, 그리고 그는, 성 주일과 부활절에 대한 교황의 직무들 동안에 과로로부터 발생한 병 때문에, 오로지 22일통치 이후에 운명하였습니다]. Palestrina entitled one of his famous polyphonic masses "Missa Papæ Marcelli" in his honour. This mass was not, however, as is often asserted, chanted in the presence of Marcellus II; it was not composed until after the death of this pope. [팔레스트리나는 그에 대한 경의로 자신의 유명한 다성음악 미사곡들 중의 한 개에 "미사 파파 마르첼리"라는 표제를 붙였습니다. 그러나 이 미사곡은, 자주 주장되듯이, 마르첼리 2세 교황의 앞에서 노래불려지지 않았으며, 그리고 이 곡은 바로 이 교황의 임종 이후까지 작곡되지 않았습니다].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질문 1에 대한 답변: 바로 위의 발췌문의 마지막 문장을 읽도록 하십시오.

3-3. 다음은 트리엔트 공의회의 마지막 회기인 제3기가 잘 이루어지고, 잘 진행이 되고, 그리고 이 공의회의 모든 기록들이 잘 마련될 수 있도록 주된 역할을 하였던, 비오 4세 교황이 자신의 외삼촌이었던, 가톨릭 내부의 개혁을 주도하였던, 성 가를로 보로메오(St. Charles Borommeo) 추기경/대주교에 대한 영어 가톨릭 대사전의 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3619a.htm

(발췌 시작)
After the Council of Trent he was much occupied with the production of the catechism embodying the teaching of the council, the revision of the Missal and Breviary. He also was a member of a commission for the reform of church music, and chose Palestrina to compose three masses; one of these is the "Missa Papae Marcelli". ... The manner of preaching, repression of avaricious priests, ecclesiastical ceremonies, and church music are some of the subjects on which Charles wrote many letters.

트리엔트 공의회 후에 그는 이 공의회의 가르침을 말로 구체적으로 표현하는(embodying) 교리서[즉, 트리엔트 교리서 혹은 로마 교리서]의 산출(production), 미사 경본과 성무일도집(the Missal and Breviary)의 개정(revision)에 크게 전념하게 되었읍니다. 그는 또한 교회 음악(church music)의 개혁을 위한 위원회의 구성원이었으며, 그리고 세 개의 미사곡들을 작곡하기 위하여 팔레스트리나(Palestrina)를 선택하였으며, 그리고 이들 중의 한 개가 바로 "미사 파파 마르첼리(Mias Papae Marcelli)"입니다. ... 설교의 방식, 탐욕스런 사제들의 억제(repression), 교회의 축일들, 그리고 교회 음악가를로(Charles)가 많은 서신들을 썼던 주제들 중의 일부(some)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4.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에 대한 설명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11421b.htm

The task of hastening the reforms decreed by the Council of Trent was entrusted by Pius IV to a commission of eight cardinals. A committee of two of these, St. Charles Borromeo and Vitellozzo Vitelli, was appointed to consider certain improvement in the discipline and administration of the papal choir, and to this end they associated to themselves eight of the choir members. Cardinal Vitelli caused the singers to perform certain compositions in his presence, in order to determine what measures could be taken for the preservation of the integrity and distinct declamation of the text in compositions in which the voices were interwoven. St. Charles, as chancellor of his uncle, Pius IV, was the patron of Palestrina, increasing his pension in 1565. He celebrated a solemn Mass in presence of the pontiff on 19 June, 1565, at which Palestrina's great "Missa Papae Marcelli" was sung. These historical data are the only discoverable basis for the legends, so long repeated by historians, concerning the trial before the cardinals and pope of the cause of polyphonic music, and its vindication by Palestrina, in the composition and performance of three masses, the "Missa Papae Marcelli" among them. Haberl's studies of the archives conclusively demolished these fictions, but their continued repetition for nearly two hundred years emphasizes the fact of Palestrina's activity, inspired by St. Philip and encouraged by St. Charles, in the reform of church music, an activity which embraced his entire career and antedated by some years the disciplinary measures of the Church authorities.

3-4.

출처: http://www.classical-music.com/topic/giovanni-pierluigi-da-palestrina

The myth of Palestrina is based on two misconceptions: that his style was born perfect, hardly varying from the first note to the last that he wrote; and that he was the ‘saviour of church music’. The ‘saviour’ story runs that Palestrina’s friend Marcello Cervini degli Spannochi, who became Pope Marcellus II, had for a long time been interested in reforming some of the church’s more out-of-date practices. One of his targets was the kind of polyphony which rambled on for pages without cadence, and in which the words were inaudible. It is said that he asked Palestrina to write a mass-setting which would show that concise music, which respected the words, could also be a great work of art. It is a nice irony that although the movements of the resulting Missa Papae Marcelli which have the most text, the Gloria and the Credo, were certainly set in a relatively syllabic (one note per syllable) way – and might have helped convince the Cardinals that polyphony could be retained in worship – the other movements were not. It is also typical of the kind of romanticising which Palestrina’s reputation underwent after his death that Hans Pfitzner, in his opera Palestrina (1917), used a motif from the Kyrie for the angels to dictate to the depressed composer – just the kind of music that was not wanted.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Missa_Papae_Marcelli
(발췌 시작)

The mass was composed in honor of Pope Marcellus II, who reigned for three weeks in 1555. Recent scholarship suggests the most likely date of composition is 1562, when it was copied into a manuscript at the Basilica di Santa Maria Maggiore in Rome.[4] 


The third and closing sessions of the Council of Trent were held in 1562–63, at which the use of polyphonic music in the Catholic Church was discussed. Concerns were raised over two problems: first, the use of music that was objectionable, such as secular songs provided with religious lyrics (contrafacta) or masses based on songs with lyrics about drinking or lovemaking; and second, whether imitation in polyphonic music obscured the words of the mass, interfering with the listener's devotion. Some debate occurred over whether polyphony should be banned outright in worship, and some of the auxiliary publications by attendants of the Council caution against both of these problems. However, none of the official proclamations from the Council mentions polyphonic music, excepting one injunction against the use of music that is, in the words of the Council, "lascivious or impure".[6]  


Starting in the late 16th century, a legend began that the second of these points, the threat that polyphony might have been banned by the Council because of the unintelligibility of the words, was the impetus behind Palestrina's composition of this mass. It was believed that the simple, declamatory style of Missa Papae Marcelli convinced Cardinal Carlo Borromeo, on hearing, that polyphony could be intelligible, and that music such as Palestrina's was all too beautiful to ban from the Church.
(이상, 발췌 끝)


작성 중입니다.

이상 학습한 바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질문 2에 대한 답변: 다성음악이 전례 음악으로 사용되는 것에 대하여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에 가톨릭 교회의 교도권에 의하여 금지된 적은 없었으며, 다성음악으로 분류가 되는 음악 장르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마지막 회기 중에, 가톨릭 교회 내부의 여러 제도들에 대한 개혁의 일환으로서, 전례 음악으로서의 적절성에 대한 심의/검토를 처음으로 거쳐, 전례 용도의 다성음악 작곡의 과정에서 전례에 적합하기 위하여 준수되어져야 하는 구체적인 몇 개의 규정들을 교도권이 적시함과 함께, 교도권의 인준을 받았던 것입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332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