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하느님 나라의 복음은 하느님 나라에 대한 복음을 말합니다 - 루카 16,16 869_tran KH_errors [하늘나라_번역오류]

인쇄

. [218.55.90.*]

2013-12-17 ㅣ No.1491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질문:

"하느님 나라의 복음"은 무엇을 말하는지요?

 

--------------------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1-1. 우선적으로,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루카 복음서 16,16은 주일 혹은 주간 미사 중에 듣게 되는 복음 말씀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습니다.

 

1-2. 그리고 "공동번역성서" "새 번역 성경"의 전체 본문에 있어, 루카 복음서 16,16에서 단 한 번 "하느님 나라 복음" 이라는 번역 표현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음은 "새 번역 성경" 루카 복음서 16,16-17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율법과 하느님의 나라 (마태 5,18 ; 마태 11,12-13) 
16 “율법과 예언자들의 시대는 요한까지다. 그 뒤로는 하느님 나라 복음이 전해지고 있는데, 모두 이 나라에 들어가려고 힘을 쓴다. 
17 율법에서 한 획이 빠지는 것보다 하늘과 땅이 사라지는 것이 더 쉽다.” 
(이상, 발췌 끝).

 

1-3. 그리고 다음은 St. Joseph 판 NAB(New American Bible)의 부록인 Bible Dictionary에 주어진 "kingdom (reign) of God"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70.htm [제7-3-1항]

(발췌 시작)
KINGDOM (REIGN) OF GOD: The Kingdom will be established by the Messiah, over Israel first (Zep 3,14-15), and then over all the nations of the earth (Zec 14,9). "Kingdom" signifies a state of things in which God is recognized as King to whom everything must be submitted: Kingdom of God, and Kingdom of heaven are equivalent. The Kingdom is proclaimed by John the Baptist (Mt 3,2), inagurated by Jesus (Mt 12, 25-28), continued in the church (Mt 10,7; 16,19), and will be definitively accomplished in the glory of Christ's return (Mt 24,26-31). The members of the Kingdom are children of God and even in this life enjoy that eternal life which will be completely expanded in the future world (Jn 3,15-16; Rv 22,2).

 
하느님의 나라(통치): 이 나라는 메시아에 의하여 이스라엘 위에 우선 제정될 것이며(스바니야 3,14-15), 그러고 나서 지상의 모든 나라들 위에 제정될 것입니다(즈카르야 14,9). "나라"는, 그 안에서 하느님이, 그분께 모든 것들이 종속되어야만 하는, 왕으로서 인식되는, 사물(things)들의 어떤 상태를 뜻합니다: 하느님의 나라, 그리고 하늘 나라는 동치(equivalent)입니다. 이 나라는 세례자 요한에 의하여 선포되며(마태오 복음서 3,2), 예수님에 의하여 개시되고(inaugurated)(마태오 복음서 12,25-28), 교회 안에서 지속되고 있으며(마태오 복음서 10,7; 16,19), 그리고 최종적으로 그리스도의 재림의 영광 안에서 완성될 것입니다. 이 나라의 구성원들은 하느님의 자녀들이며 이들은 심지어 이 세상의 삶 안에서, 내세에서 완전하게 전개될, 바로 그 영원한 생명(that eternal life)을 향유합니다(enjoy)(요한 복음서 3,15-16; 요한 묵시록 22,2).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문제점: 그런데, 이 "하느님 나라 복음이 전해지고" 이라는 바로 이 번역 표현이, 번역 표현인 "" 의 의미가 분명하지 않아, 좀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며, 이 글에서는 이 문제도 또한 고찰하고자 합니다. 

 

이는 우리말 조사 "" 의 의미가 대단히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조사 "" 의 설명을 읽어 보십시오. 스물 한 가지의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출처: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발췌 시작) 

조사
    ((체언 뒤에 붙어))
  • 「1」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뒤 체언이 나타내는 대상이 앞 체언에 소유되거나 소속됨을 나타내는 격 조사.
    나의 옷/그의 가방/영이의 얼굴/우리의 학교/사람의 자식/한강의 근원/어머니의 성경책.
  • 「2」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작용의 주체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우리의 각오/국민의 단결/너의 부탁/나라의 발전.
  • 「3」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이 나타내는 대상을 만들거나 이룬 형성자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다윈의 진화론/나의 작품/거문고의 가락.
  • 「4」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의 과정이나 목표 따위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승리의 길.
  • 「5」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이 나타내는 행동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질서의 확립/자연의 관찰/인권의 존중/학문의 연구.
  • 「6」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뒤 체언이 나타내는 사실이나 상태가 앞의 체언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는 말.
    서울의 찬가/한국의 지도.
  • 「7」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뒤 체언에 오는 인물의 행동이나 행위가 앞 체언이 나타내는 사건이나 사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격 조사.
    책의 저자/아파트의 주인/올림픽의 창시자.
  • 「8」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뒤 체언이 지니고 있는 정보가 앞 체언의 속성 따위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금의 무게/물의 온도/국토의 면적.
  • 「9」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이 나타내는 속성의 보유자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꽃의 향기/예술의 아름다움.
  • 「10」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뒤 체언이 앞 체언이 나타내는 어떤 동작을 주된 목적이나 기능으로 하는 것임을 나타내는 말.
    축하의 잔치/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다.
  • 「11」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과 뒤 체언이 의미적으로 동격임을 나타내는 말.
    각하의 칭호/조국 통일의 위업.
  • 「12」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관계를 나타내는 뒤의 체언이 앞 체언과 사회적ㆍ친족적 관계에 있음을 나타내는 말.
    나의 친구/선생님의 아들.
  • 「13」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이 나타내는 사물이 일어나거나 위치한 곳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몸의 병/시골의 인심/옷의 때/하늘의 별/제주의 말.
  • 「14」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이 나타내는 사물이 일어나거나 위치한 때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여름의 바다/고대의 문화/정오의 뉴스.
  • 「15」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의 정도나 수량을 한정함을 나타내는 격 조사.
    100℃의 끓는 물/45kg의 몸무게/10년의 세월/한 잔의 술/10여 명의 사람이 몰려오다.
  • 「16」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격 조사.
    국민의 대다수/가진 돈의 얼마를 내놓다.
  • 「17」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이 나타내는 사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격 조사.
    불굴의 투쟁/불후의 명작.
  • 「18」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에 대하여 비유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말.
    철의 여인/무쇠의 주먹.
  • 「19」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의 재료임을 나타내는 말.
    순금의 보석.
  • 「20」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어떤 결과를 낳는 행동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투쟁의 열매/건설의 역사.
  • 「21」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에 연결되는 조사의 의미 특성을 가지고 뒤 체언을 꾸미는 기능을 가짐을 나타내는 격 조사.
    구속에서의 탈출/저자와의 대화.

(이상, 발췌 끝)

 

2.

우선적으로, 새 대중 라틴말 성경 및 여러 영어본 성경들의 루카 복음서 16,16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2-1. (대중 라틴말 성경, 즉 Clementine Vulgate)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luk016.htm

(발췌 시작)

16 Lex et prophetæ usque ad Joannem: ex eo regnum Dei evangelizatur, et omnis in illud vim facit.

(이상, 발췌 끝)
 

2-2.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새 대중 라틴말 성경)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bible/nova_vulgata/documents/
nova-vulgata_nt_evang-lucam_lt.html#16
 

(발췌 시작)
16 Lex et Prophetae usque ad Ioannem; ex tunc regnum Dei evangelizatur, et omnis in illud vim facit.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2: "regnum Dei evangelizatur" 를 우리말로 번역하면 "하느님 나라가 선포되다" 입니다. 이 때에, 다음의 라틴어-영어 사전을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 http://www.archives.nd.edu/cgi-bin/words.exe?evangelizatur

 

2-3. (Douay-Rheims Bible)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80.html

(발췌 시작)
16 *The law and the prophets were until John: from that time the kingdom of God is preached(설교되고), and every one useth violence towards it.

 

Ver. 16. The law and the prophets, &c. Not that the law was made void by the coming of John [the Baptist], but that what the law and the prophets had taught, had been suited to the very imperfect dispositions of the Jews, who as yet were incapable of relishing perfect virtue. At the coming of John, the gospel began to be preached, and this called men to a life of perfect sanctity. (St. Thomas Aquinas) --- Our Saviour came not to destroy, but to fulfil the law and the prophets. (Matthew v. 17.)

(이상, 발췌 끝)

 

2-4. [1611 King James Version (KJV)]
(발췌 시작)
The law and the prophets were until John: since tthat time the kingdom of God is preached(설교되고), and every man presseth into it.
(이상, 발췌 끝)

 

2-5.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1960년경]

출처: http://quod.lib.umich.edu/cgi/r/rsv/rsv-idx?type=DIV1&byte=4782437
(발췌 시작)

[16] "The law and the prophets were until John; since then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of God is preached(설교되고), and every one enters it violently.


게시자 주 2-5: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는, 20세기 중반경에 개신교측 및 가톨릭측이 함께, 1611년 초판의 KJV를 현대 영어 어법에 맞게 개정하였다고 알고 있습니다.

 

(중간결론1) 그런데, 위의 제2-3항에 발췌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주석과 바로 아래의 제2-6항에 발췌된 GNB(Good News Bible) 루카 복음서 16,16 영어 번역문에 의하면,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of God is preached(설교되고)" 에서의 "of" 는 " ...에 대한"  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따라서, "하느님 나라 복음"으로 번역하는 대신에 "하느님 나라대한 좋은 소식" 으로 번역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상, 중간결론1 끝)

 

2-6. GNB(Good News Bible)

(발췌 시작)
16 The Law of Moses and the writings of the prophets were in effect up to the time of John the Baptist; since then the Good News about the Kingdom of God is being told, and everyone forces his way in.
(이상, 발췌 끝).
  

질문 2-6: 그런데 문제는, 왜 "the good news of [... 에 대한 복음(좋은 소식)]"라는 표현이 갑자기 RSV 루카 복음서 16,16에 추가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없습니다.

 

질문 2-6에 대한 답변 시작 위의 제2-1항부터 제2-4항까지의 해당 성경 본문을 잘 들여다 보시고, 또 이어지는 항들에서의 해당 성경 본문들을 잘 들여다 보시기 바랍니다.

 

2-7. [NAB (New American Bible), 1970년 초판 발행]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839/__PWZ.HTM 
(발췌 시작)
16 "The law and the prophets lasted until John; 11 but from then on the kingdom of God is proclaimed(선포되고), and everyone who enters does so with violence.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7: (중간 결론2) 위의 제2-5항에 발췌된 RSV 루카 복음서 16,16과 바로 위의 제2-6항에 발췌된 NAB 루카 복음서 16,16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해 보면, RSV 루카 복음서 16,16에서의 번역 표현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of God "이, 불과 거의 십 년 뒤에, NAB 루카 복음서 16,16에서 RSV 이전의 번역 표현 "the kingdom of God " 으로 바로잡아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of God" 라는 번역 표현에 어떤 문제점이 있기에 바로 잡아졌다는 생각입니다.

 

2-8. 다음은 Knox Bible루카 복음서 16,16 전문입니다. 이 영어본에도 "the good new of" 라는 표현이 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luk016.htm
(발췌 시작)
16 The law and the prophets lasted until John’s time; since that time, it is the kingdom of heaven that has its preachers, and all who will, press their way into it.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질문 2-6에 대한 답변은 아래의 제5항에서 계속됩니다.

 

3.

3-1.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국내의 개신교측 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루카 복음서 16,16 입니다. 과거의 "하느님 나라의 복음" 이라는 번역 표현이, 최근에 들어와서, "하느님 나라가 기쁜 소식으로" 라는 표현으로 교체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www.bskorea.or.kr/bible/korbibReadpage.php?version=GAE&book=luk&chap=16&sec=16&cVersion=SAE^SAENEW^&fontSize=15px&fontWeight=normal#focus 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발췌 시작)

개역한글판(1938년에 초판 발행되었고 1961년에 개정됨)
16    율법과 선지자는 요한의 때까지요 그 후부터는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 전파되어 사람마다 그리로 침입하느니라

개역개정판(1998년 초판 발행)
16    율법과 선지자는 요한의 때까지요 그 후부터는 하나님 나라의 복음이 전파되어 사람마다 그리로 침입하느니라  

 

게시자 주: 개역개정판은, 1938년에 초판 발행되었고 1961년에 개정된 개역한글판의 개정판으로 알고 있습니다.


표준새번역(1993년 초판 발행)
16    율법과 예언자들의 글은 요한의 때까지다. 그 뒤로부터는 하나님의 나라가 기쁜 소식으로 전파되는데, 모두 거기에 힘으로 밀고 들어가려고 애쓴다.

 

새번역(2001년 초판 발행)
16    율법과 예언자는 요한의 때까지다. 그 뒤로부터는 하나님 나라가 기쁜 소식으로 전파되고 있으며, 모두 거기에 억지로 밀고 들어간다.

 

[내용 추가 일자: 2021년 1월 26일]

3-2.

3-2-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처음으로/최초로 1807년 그리고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개신교회 측의 선교사들에 의하며 중국어로 번역된 한문본 "신약 성경"들의 루카 복음서 16,16을 읽을 수 있는데, "복음"이라는 용어가 추가되어, "...복음이 전파되다" 대신에, "...복음이 전포되다"(위판역본), "...복음이 선포되다"(문리화합본) 등의 다른 표현들로 번역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42&chap=16&sec=16 <----- 또한 확인하도록 하라

 


3-2-2. 이와 같이 중국의 개신교회 측의 한문본 "신약 성경", 루카 복음서 16,16에  "복음"이라는 용어가 추가된 이유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프랑스 파리 외방 선교회 소속의 장 바쎄 신부님(1662-1707년)에 의하여 1704년경에 중국어로 번역된 "신약 성경", 루카 16,16에서 "...복음선포되다"를, 처음으로 1813년에 로버터 모리슨을 비롯하여 그리고 그 이후에 개신교회 측의 다른 선교사들이 신약 성경을 중국어로 번역할 때에, 논리적 등가(logical equivalence)가 유지되도록, 베꼈기 때문일 것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645-1707_장_바쎄/루카_16.htm <----- 필히 확인하라

(발췌 시작)

 

게시자 주: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오른쪽에서 네 번째 열(column)을 보라.

(이상, 발췌 끝) 

 

3-2-3. 그리고 바로 위의 제3-2-2항에서 지적한 바가, 또한, 위의 제3-1항에 발췌된 우리나라의 개신교회 측 신약 성경들의 루카 복음서 16,16"복음"이라는 용어가 추가된 이유일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3-2-4. (번역 오류) 그리고 이렇게, 장 바쎼 신부님의 한문본 "신약 성경", 중국의 개신교회 측의 한문본 "신약 성경", 그리고 우리말본 "신약 성경", 루카 복음서 16,16 모두에 "복음"이라는 용어가 추가된 것이 번역 오류임은, 예를 들어, 위의 제2-1항에 발췌된 "대중 라틴말 성경"(Clementine Vulgate), 루가 복음서 16,16 등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 2021년 1월 26일자 내용 추가 끝]

 

4.

지역 언어로의 성경 본문의 번역시에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때에 우리는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의 지침을 들여다 보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를 위하여,

 

4-1.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마지막 부분에 있는, 교황청 경신성사성 문헌 [제목: Liturgiam authenticam, 2001년 5월 7일] 제41항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0.htm <----- 필독 권고

 

4-2. (번역 오류) (중간 결론3) 

바로 위의 제4-1항지침 제41항에 따라,

루카 복음서 16,16에서 현재의 "하느님 나라의 복음이 전해지고" 라는 번역 표현은,

위의 제2-1항제2-2항의 전통적 두 개의 대중 라틴말 본문들과 동일하게,

그리고 위의 제2-3항, 제2-4항, 그리고 제2-6항과도 동일하게,

"하느님 나라가 선포되고" 로  교체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5. (질문 2-6에 대한 답변 계속)

5-0. 들어가면서
위의 제2-6항에서, RSV 루카 복음서 16,16 에서,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라는 번역 표현에서의 "of" 의 의미가 "... 에 대한" 임을 확인하였는데, 이번 항에서는, 이와 동일한/등가의 표현인 "the gospel of the kingdom (이 나라에 대한 복음/좋은 소식)"이 또한 성경 본문에서 어디에 또한 등장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5-1. 다음은 "새 번역 성경"  신약 본문 중에서, "나라 복음" 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절들을 검색한 결과입니다:


출처 1: https://bible.cbck.or.kr/Knbnotes/Bible/Lk/16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검색 엔진 사용 결과)

출처 2: http://maria.catholic.or.kr/bible/read/bible_read.asp?menu=bible&m=2&n=149&p=16 (굿뉴스 서버 제공의 검색 엔진 사용 결과)

 

이들 두 검색 결과는 모두 동일하며, "나라 복음" 이라는 번역 표현이, 마태오 복음서 4,23; 9,35; 24,14 그리고 루카 복음서 16,16 에서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발췌 시작)
※ 총 4절에서 "나라 복음"이(가) 검색되었습니다 
1 신약성경 마태오복음서 4:23 
예수님께서는 온 갈릴래아를 두루 다니시며 회당에서 가르치시고 하늘 나라 복음을 선포하시며, 백성 가운데에서 병자와 허약한 이들을 모두 고쳐 주셨다.

2 신약성경 마태오복음서 9:35 
예수님께서는 모든 고을과 마을을 두루 다니시면서, 회당에서 가르치시고 하늘 나라 복음을 선포하시며, 병자와 허약한 이들을 모두 고쳐 주셨다.

3 신약성경 마태오복음서 24:14 
이 하늘 나라 복음이 온 세상에 선포되어 모든 민족들이 그것을 듣게 될 터인데, 그때에야 끝이 올 것이다.”

4 신약성경 루카복음서 16:16 
“율법과 예언자들의 시대는 요한까지다. 그 뒤로는 하느님 나라 복음이 전해지고 있는데, 모두 이 나라에 들어가려고 힘을 쓴다.
(이상, 발췌 끝).

 

5-2. 그리고 다음은, GNB 마태오 복음서 4,23; 9,35; 24,14 그리고 루카 복음서 16,16 인데, 모두 "the Good News about(에 대한) the Kingdom"으로 번역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GNB 마태오 4,23)
Jesus went all over Galilee, teaching in the synagogues, preaching the Good News about the Kingdom, and healing people who had all kinds of disease and sickness. 


(GNB 마태오 9,35) 
Jesus went around visiting all the towns ans willages. He taught in the synagogues, preached the Good News about the Kingdom, and healed people with every kind of disease and kickness.

 

(GNB 마태오 24,14)
And this Good News about the Kingdom will be preached through all the world for a witness to all mankind; and then the end will come.

 

(GNB 루카 복음서 16,16)
The Law of Moses and the writings of the prophets were in effect up to the time of John the Baptist; since then the Good News about the Kingdom of God is being told, and everyone forces his way in. 


(중간 결론4)
따라서, 마태오 복음서 4,23; 9,35; 24,14 그리고 루카 복음서 16,16 에서의 번역 표현인 "의(of)" 의 의미가 "... 에 대한(about)" 임을 우리는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5-3.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마태오 복음서 4,23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입니다. "나라대한 복음"에 대한 주석입니다:

 

(발췌 시작)

"하늘" 은 내용상 덧붙인 말이다. "나라 복음" 은 마태오의 고유한 표현이다(9,35; 24,14). 이 말은 하느님의 나라 또는 통치가 도래하였음을 알리는 선포, 또는 복음 저자가 말하는 예수님의 모든 실천적 지침까지 담은 그 선포의 내용, 곧 마태오 복음서 전체를 가리킨다.
(이상, 발췌 끝).

 

(이 글의 결론)

따라서, 루카 복음서 16,16에서의 "하느님 나라의 복음이 전해지고" 는 "하느님 나라/통치가 도래하였음(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즉, 그리스도의 복음(the Gospel of Christ, LG 5)을 알리는 선포가 전해지고"를 말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글 [제목: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Gospel)은 무엇에 대한 것일까요?]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87.htm <----- 필독 권고

 

게시자 주 5-3: 사람들이 하느님을 찾아 나아가기만 하는 종교가 아니라, 하느님께서 먼저 사람들 한가운데로 다가오시는 계시 종교인 그리스도교의 다음과 같이, 위로부터 아래로, 즉 형이상학으로부터 형이하학으로, 단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파견(sending)의 방향성(directionality) 및 범주(categories)들"에 모두들 반드시 주목하도록 하십시오:

 

(0) 복음 (창세 3,15; 로마 1,1-4; 1,9)


(i)
성자(하느님의 아드님)의 파견(sending)/사명(mission)/역할(role) 및 그리스도의 복음 (마태오 4,12-17; 4,23; 9,35; 마르코 1,15; 루카 4,14-15)


(ii)
사도들의 파견(sending)/사명(mission)/역할(role) (마태오 10,26-33; 11,1; 28,16-20; 마르코 16,14-18; 루카 12,2-9; 24,36-49; 사도행전 1,6-8)


(iii)
평신도들의 파견(sending)/사명(mission)/역할(role) (마태오 24,14)

 

여기서, 위의  제(0)항은 주로 구약 성경에 예언된 바를 말하고, 제(i)항은 신약 성경 네 복음서들에 기록된 바를 말하며, 그리고 제(ii)항은 신약 성경에서 네  개의 복음서들 외의 경전들에 주로 기록된 바들을 말합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6시간 (자료 조사 포함)

 



1,319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