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믿음(faith)의 두 종류들 외 [divine faith] [human faith] 912_faith [신덕송] 969_토미즘학습

인쇄

. [218.55.90.*]

2014-07-12 ㅣ No.1559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원 주소: http://trinitas.mju.ac.kr/frames/fiatlux2000.jpg

 

 

1. 들어가면서

이번 글에서는, 우선적으로, 믿음(faith)의 두 종류의 차이점과 이들 중의 하나에 근거하는 신앙(faith, 신덕)에 대하여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2.

2-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aith(믿음)"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f/f004.htm

(발췌 시작)
FAITH

 

The acceptance of the word of another, trusting that one knows what the other is saying and is honest in telling the truth. The basic motive of all faith is the authority (or right to be believed) of someone who is speaking. This authority is an adequate knowledge of what he or she is talking about, and integrity in not wanting to deceive. It is called divine faith when the one believed is God, and human faith when the persons believed are human beings. (Etym. Latin fides, belief; habit of faith; object of faith.)

 

믿음(faith)

 

다른 이가 말하고 있는 바를 그리고 이 다른 이가 진리를 말함에 있어 정직하다는 것을 자신이 알고 있음을 신뢰함으로써(trusting), 이 다른 이의 말을 인정함/받아들임(acceptance)을 말합니다. 모든 믿음의 근본 동기는 말하고 있는 어떤 자의 권위(authority) (혹은 믿어주게 되는 권리)입니다. 이러한 권위(authority)는 그자가 혹은 그녀가 말하고 있는 바에 대한 어떤 알맞은(adequate) 지식에, 그리고 속이는 것을 원치 않음에 있어 사욕부재[私慾不在, integrity, 즉 사욕편정(私慾偏情)의 부재(不在)]에 있습니다. 믿음(faith)은, 믿게 되는 분이 하느님일 때, 하느님에 대한 믿음(divine faith)이라고 불리고, 그리고, 믿게 되는 격(格, persons)들이 인간들(human beings)일 때, 인간에 대한 믿음(human faith)이라고 불립니다. [어원. Latin fides, belief; habit of faith; object of faith.]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virtue of faith(신덕)"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f/f010.htm

(발췌 시작)
FAITH, VIRTUE OF

 

The infused theological virtue whereby a person is enabled to “believe that what God has revealed is true – not because its intrinsic truth is seen with the rational light of reason – but because of the authority of God who reveals it, of God who can neither deceive nor be deceived” (First Vatican Council, Denzinger 3008).

 

신덕(the virtue of faith, 신앙)

 

그것에 의하여 한 인력이 "하느님께서 이미 드러내신 바가, - 그 내재적 진리가 이성(reason)의 추론의 빛(rational light)으로써 보게 되기 때문이 아니라 - 그것을 드러내시는 하느님의 권위(authority) 때문에, 속이지도 않으시고 그리고 속임을 당하지도 않으시는 분이신 하느님 때문에, 진리임을 믿는 것"[제1차 바티칸 공의회(First Vatican Council), Denzinger 3008]이 가능하게 되는, [하느님에 의하여] 주입되는(infused) 신학적 덕/대신덕(theological virtue, 향주덕)을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the faithful"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f/f007.htm

(발췌 시작)
FAITHFUL, THE.

 

Believing Christians. They are faithful twice over; first by their assent to God’s revelation, and again by their living up to what they profess.

 

열심 신자들(the faithful)

 

확신하는/믿는(believing) 그리스도인들을 말합니다. 그들은, 첫 번째 하느님의 계시/드러내심에 대한 그들의 동의에 의하여, 그리고 또다시 그들이 고백한 바에 이르기까지 자신들의 삶에 의하여, 이중으로 충실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4.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0월 17일]

2-4-1.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C) 제28항 전문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va2005cccc.htm

(발췌 시작) 

28.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aith?

153-165
179-180
183-184 

 

Faith is the supernatural virtue which is necessary for salvation. It is a free gift of God and is accessible to all who humbly seek it. The act of faith is a human act, that is, an act of the intellect of a person - prompted by the will moved by God - who freely assents to divine truth. Faith is also certain because it is founded on the Word of God; it works “through charity” (Galatians 5:6); and it continually grows through listening to the Word of God and through prayer. It is, even now, a foretaste of the joys of heaven.
(이상, 발췌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2-4-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ct of faith(믿음/신덕의 행위)"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f/f005.htm

(발췌 시작)
FAITH, ACT OF

 

The assent of the mind to what God has revealed. An act of supernatural faith requires divine grace, either actual or sanctifying or both. It is per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will, which requires its own assistance of grace to render a person ready to believe. And if the act of faith is made in the state of grace, it is meritorious before God. Explicit acts of faith are necessary, notably when the virtue of faith is being tested by temptation or one’s faith is challenged, or one’s belief would be weakened unless strengthened by acts of faith. A simple and widely used act of faith says: “My God, I believe in you and all that your Church teaches, because you have said it, and your word is true. Amen.”

 

믿음/신덕의 행위/신앙(의) 행위(act of faith)

 

하느님께서 이미 드러내신 바에 대한 마음[the mind, 즉, 지성(intellect)]의 동의(assent)를 말합니다. 초자연적 믿음(an supernatural faith, 즉, 신앙, 신덕)의 한 행위는, 조력(助力, actual) 은총 혹은 성화(聖化, sanctifying) 은총 둘 중의 하나 혹은 이들 둘 다인, 신성적 은총(divine grace)필요로 합니다(requires). 이 행위는, 한 인격을 기꺼이 믿도록(believe) 만드는 은총의 그 고유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의지(the will)의 영향 아래에서 수행됩니다(is performed). 그리고 만약에 믿음/신덕의 행위/신앙 행위가 은총의 지위에서 행해지면, 그것은 하느님 앞에서 마땅히 상을 받을 만 합니다(meritorious). 신앙의, 명백한(explicit), 행위들은, 특히 신덕(the virtue of faith)이 유혹에 의하여 시험을 받고 있거나 혹은 우리의 신앙(faith)이 도전을 받거나, 혹은 우리의 확신(belief, 믿음)이, 만약에 믿음/신덕의한 행위들/신앙 행위들에 의하여 굳세게 되지 않는다면, 나약해질 수도 있을 때에, 필요합니다. 한 개의, 단순한(simple) 그리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믿음/신덕의 행위/신앙 행위는 다음과 같이 기도하는 것입니다: [신덕송(信德誦)] "나의 하느님, 저는 당신 쪽으로 믿으며(believe in) 그리하여 당신의 교회가 가르치는 것 모두를 믿는데,(*) 왜냐하면 당신께서 이미 그렇게 말씀하셨고, 그리고 당신의 말씀은 진리이기 때문입니다. 아멘."

 

-----
(*) 번역자 주:
(1) "'믿음/신덕의 행위(act of faith)''하느님 쪽으로 믿는 것(to believe in God)'을 말한다"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65, a4 에 주어진 설명은 다음에 있다:

http://www.newadvent.org/summa/2065.htm#article4

 

(2) "to believe God(하느님을 믿다)" "to believe in God(하느님 쪽으로 믿다)" 의 커다란 차이점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48.htm <----- 필독 권고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0월 6일]

(3) 또한 다음의 글 [그리스 신학의 라틴어 번역자로 널리 알려진, 교회의 라틴 교부인 루피노(Rufinus, 340/350-410년)사도 신경 주해(Comm. in Sym. Apost.)]의 제36항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22.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4: (번역 오류들)

(1) 따라서, 다음의 굿뉴스 서버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 그리고 전례 사전에서처럼, 영어로 "act of faith"로 번역되는 표현을 단순히 신덕송[信德誦(頌)]으로 번역하는 것은, "act of faith"가 오로지 기도[誦, 頌]들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기에, 번역 미숙 혹은 번역 오류이다: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7685

 

지금 이 지적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글들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48.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49.htm [신학 대전]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ch/18_Index.pdf [중국어본 신학 대전 용어색인]

 

참고 자료: https://mirror.enha.kr/wiki/천주성교공과

 

(2) 마찬가지로, 영어로 "act of charity" 로 번역되는 표현을 단순히, 굿뉴스 서버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 그리고 전례 사전 등에서처럼, 단순히 애덕송[愛德誦(頌)]으로 번역한 것은, "act of charity"가 오로지 기도[誦, 頌]들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기에, 번역 미숙 혹은 번역 오류이다.

 

(3) 마찬가지로, 영어로 "act of hope" 로 번역되는 표현을 단순히, 굿뉴스 서버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 그리고 전례 사전 등에서처럼, 단순히 망덕송[望德誦(頌)]으로 번역한 것은, "act of hope"가 오로지 기도[誦, 頌]들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기에, 번역 미숙 혹은 번역 오류이다.

 

(4) 다른 한편으로,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삼덕송" 의 한자어 단어는 "三德誦" 인데, 그러나 굿뉴스 서버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 그리고 전례 사전 등에서는 이들 세 개의 기도들을 칭할 때에, 위에서 보았듯이, "" 과 "" 을 혼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또 다른 종류의 번역 오류라는 생각이다. 그리고 지금 지적하고 있는 이 번역 오류가 중국 천주교 측에서 이미 발생한 후에 우리나라로 수입된 것인지, 아니면, 중국이 아니라 우리나라 천주교 측에서 발생한 것인지에 대하여서는, 이 글의 주제로부터 너무 벗어나므로 이 지적만을 하고, 별도의 시간을 내어 별도의 글을 통하여 조사해 볼 생각이다.

(이상, 게시자 주 끝)

 

3.

3-1. Modern Catholic Dictionary 등에 주어진 "charity(애덕)"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글의 제2항에 있으니 필독하십시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35.htm <----- 필독 권고

 

3-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 에 주어진 "act of charity(애덕의 행위)"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c/c199.htm

(발췌 시작)
CHARITY, ACT OF.

 

A supernatural act, based on faith, wherein God is loved for himself and not for any hope of reward. An act of charity requires divine grace, either sanctifying or actual or both. It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in the absence of baptism, sacramental absolution, or anointing. It is also the normal way of growing in the virtue of charity. A simple and widely used act of charity says: "My God, because you are so good, I love you with all my heart, and for your sake, I love my neighbor as myself. Amen." (Etym. Latin caritas, love; from carus, dear.)

 

애덕/사랑의 행위(act of charity)

 

신덕(faith, 신앙)에 근거된, 한 개의 초자연적 행위(a supernatural act)를 말하는데, 그 안에서 하느님이, 보상(reward)에 대한 어떤 희망(hope) 때문이 아니라, 당신 자신을 위하여 사랑받게 됩니다(God is loved for himself). 애덕/사랑의 한 행위는, 성화(sanctifying) 은총 혹은 조력(actual) 은총 이들 둘 중의 하나 혹은 이들 둘 다인, 하느님의 은총(divine grace)필요로 합니다(requires). 이 행위는, 세례의 부재(absence)에 있어 의화(justification), 성사적 사죄(赦罪, 죄의 용서)(sacramental absolution), 혹은 도유 행위(anointing)를 위하여, 필요합니다. 이 행위는 또한 애덕(the virtue of charity)에 있어 성장하는 정상적인 방식입니다. 한 개의, 단순한 그리고 널리 사용되는, 애덕/사랑의 행위는 다음과 같이 기도하는 것입니다: [애덕송(愛德誦)] "나의 하느님, 당신께서는 너무도 선하시기 때문에, 저는 저의 심장(heart) 모두와 함께 당신을 사랑하며(love), 그리고 당신을 위하여, 저는 저의 이웃을 저 자신으로서 사랑합니다(love). 아멘." [어원. Latin caritas, love; from carus, dear.]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4.

4-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 등에 주어진 "hope(희망)"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h/h148.htm

(발췌 시작)
HOPE

 

The confident desire of obtaining a future good that is difficult to attain. It is therefore a desire, which implies seeking and pursuing; some future good that is not yet possessed but wanted, unlike fear that shrinks from a future evil. This future good draws out a person's volition. Hope is confident that what is desired will certainly be attained. It is the opposite of despair. Yet it recognizes that the object wanted is not easily obtained and that it requires effort to overcome whatever obstacles stand in the way. (Etym. Latin spes, hope.)

 

희망(hope)

 

획득하기 힘든 한 개의 미래의 선(a future good)을 얻음에 대한 확신하는 욕망(confident desire)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한 개의 욕망(a desire)인데, 이 욕망은, 한 개의 미래의 악(a future evil)으로부터 움츠러드는 두려움(fear)과는 달리, 아직 소유하게 되지 못한 그러나 원하게 되는(wanted), 어떠한 미래의 선을 찾는 행위(seeking)와 추구하는 행위(pursuing)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미래의 선은 한 인격의 의지의 선택 행위 혹은 결정 행위(volition)을 끌어냅니다. 희망은 욕망하게 되는 바가 장차 획득하게 될 것임을 확신합니다. 이것은 절망(despair)의 반대입니다. 그러나(yet) 이것은 원하게 되는 대상이 쉽게 얻어지지 않음을 알아차리며 그리고 그 방식에 있어 서 있는 장애물들이 무엇이든지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4-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 등에 주어진 "virtue of hope(망덕)"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h/h150.htm

(발췌 시작) 

HOPE, VIRTUE OF

 

An infused theological virtue, received at baptism together with sanctifying grace and having the possession of God as its primary object. It belongs to the will and makes a person desire eternal life, which is the heavenly vision of God, and gives one the confidence of receiving the grace necessary to reach heaven. The grounds of hope are the omnipotence of God, his goodness, and his fidelity to what he promised. The virtue of hope is necessary for salvation. Acts of hope are also necessary for salvation and are commanded by God for all who have come to the use of reason.

 

망덕(virtue of hope)

 

세례에서 성화 은총과 함께 받게 되고 그리하여 하느님을 그 주된(첫 번째) 대상으로서 소유하게하는, 한 개의 [하느님에 의하여] 주입되는 신학적 덕(향주덕, 대신덕)을 말합니다. 이 덕은 의지(the will)에 속하며 그리고 하느님에 대한 천상 직관(heavenly vision of God)인, 영원한 생명(eternal life)을 한 인격(a person)으로 하여금 욕망하게(desire) 하며, 그리고 하늘(heaven)에 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은총(grace)을 받음에 대한 확신을 당사자에게 제공합니다. 망덕(hope)의 근거들은 하느님의 전능(omnipotence), 당신의 선하심(goodness), 그리고 당신께서 약속하셨던 바에 대한 당신의 충실함(fidelity)입니다. 망덕(the virtue of hope)은 구원(salvation)을 위하여 필요합니다(necessary).(*) 망덕의 행위(acts of hope)들도 또한 구원(salvation)을 위하여 필요하며 (**)그리고 이성(reason)의 사용을 이미 의식한(have come to) 자들 모두를 위하여 하느님에 의하여 명해집니다(are commanded).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번역자 주: "망덕(hope)"이 구원을 위하여 필요하다(necessary)는 설명은 다음의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도 주어져 있다:

http://www.newadvent.org/cathen/07465b.htm

 

(**) 번역자 주: "'망덕의 행위(act of hope'가 미래의 지복(至福, bliss)을 위하여 하느님 쪽으로 바라보는 것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다"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65, a4 에 주어진 설명은 다음에 있다:

http://www.newadvent.org/summa/2065.htm#article4

-----

 

4-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 등에 주어진 "act of hope(망덕의 행위)"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h/h149.htm

(발췌 시작) 

HOPE, ACT OF

 

An act of confident expectation of possessing God in heaven and of obtaining the necessary grace to reach this destiny. Acts of hope are required in times of temptation to discouragement or despair, and are implicit in every supernaturally good work. A simple and highly authorized act of hope says: "My God, I hope in You, for grace and for glory, because of Your promises, Your mercy and Your power. Amen."

 

망덕/희망의 행위(act of hope)

 

하늘(heaven)에 계신 하느님을 소유함에 대한, 그리고 바로이 운명에 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은총을 얻음에 대한, 확신하는 기대(expectation)의 한 행위를 말합니다. 망덕의 행위들은 낙담(discouragement) 혹은 절망(despair) 쪽으로 유혹의 시간들에 있어 필요로 하게 되며, 그리고 각 초자연적 선행(every supernatural good work)에 잠재하고 있습니다(implicit). 한 개의 단순하고 그리고 높게 [교도권에 의하여] 허락된(authorized) 망덕의 행위는 다음과 같이 기도하는 것입니다: [망덕송(望德誦)] "나의 하느님, 저는 은총 얻고자 그리고 영광을 얻고자 당신 쪽으로 희망하는데(hope in), 이는 당신의 약속들, 당신의 자비 그리고 당신의 힘 때문입니다. 아멘."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7시간 



1,33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