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catechumen은 예비신자 가 아니라, 신문교우/신입교우/세례 준비자/새 교우/모도자[慕道者)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한불자전][번역오류] 1310_ 1242_

인쇄

. [121.190.18.*]

2018-08-15 ㅣ No.1944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44.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1. 들어가면서

 

1-1. 질문 1: "예비신자"는 아직 세례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스도교 신자가 아니라고 하는데, 이러한 판단과 주장이 그리스도교 교리적으로 참(true)인지요???

 

질문 1에 대한 간단한 답변: 전혀 아닙니다. 우선적으로, 그러한 판단과 주장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년 10월 11일-1965년 12월 8일) 회기 중이었던, 아무리 빠르더라도 1964년 5월 이후(*1) , 그리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년 10월 11일-1965년 12월 8일)가 폐막된 직후인, 1966년 2월 어느 날부터(*2)갑자기 우리나라 천주교회 안에 처음으로 도입된, 영어로 "catechumen"으로 번역되는 라틴어 교회의 용어 "catechumenus"에 대응하는, "예비신자"라는 대단히 잘못 선정된 차용(借用) 번역 용어에 사용된 세속의 단어들 "예비""신자(the faithful)" 이들 두 단어들의 자구적 의미(literarl senses)들 때문에 발생한, 대단히 잘못된 임의적/자의적/작위적 자구 해석의 결과일뿐인 것이지, 그러나 그리스도교 교의 신학(dogmatic theology)적으로 대단히 심각한 오류(error)의 판단입니다.

 

두 번째로, 교리 교육의 부족으로 인하여, 만약에 그 질료(matter)가 물(water)인 세례 성사(Sacrament of Baptism, 세례성자지적(聖事之迹), 즉, 세례라는 성사의 표적), 즉, "수세(水洗, Baptism of water)" 만이 오로지 세례(Baptism)인 줄로 알고 있다면, "예비신자"는 아직 물로 씻는 세례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신자"가 아니다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만, 그러나 그러한 성급한 판단(rash judgment)도 또한 심각한 문제라 아니 말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세례에는 물로 씻음이 수반되는 세례, 즉, "수세(水洗, Baptism of water)" 이외에, "화세(火洗, Baptism of desire)"/"열세(熱洗)""혈세(血洗, Baptism of blood)"라고 불리는 세례(Baptisms)들의 두 종류들이 또한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catechumen 은,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화세(火洗, Baptism of desire)"/"열세(熱洗)"라고 불리는 세례를 이미 받은 분들이므로, 신자, 즉, 그리스도교 신자가 분명합니다.

 

-----

(*1) 게시자 주: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경향잡지 1964년 12월호, 1964.5, 제44쪽에 실린 글의 제목은 "신문교우를 위한 조언"이다:

http://zine.cbck.or.kr/gallery/view.asp?seq=57429&path=070506082616&page=44&flip=0  (###)

 

[내용 추가 일자: 2022년 3월 14일]

-----

(###) 게시자 주: 안내된 접속 주소를 클릭하여도 자료를 볼 수 없는 문제와 관련하여, 다음의 공지를 참조히라:
 

출처: https://cbck.or.kr/Documents/Zine 

(발췌 시작)

Flash Player 기반으로 제공되던 1906~2014년 경향잡지 전자책 콘텐츠가 보안 문제상 웹 브라우저에서 차단됨에 따라, 경향잡지 전자책은 2015년 1월호부터 열람 가능하며, 이전 발행호는 목차만 제공됩니다. 최신호는 다음 달 15일부터 보실 수 있습니다.
목차 검색은 전체 발행호에서 가능합니다.

(이상, 발췌 끝)

-----

[이상, 2022년 3월 14일자 내용 추가 끝]

 

(*2) 게시자 주: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경향잡지 1966년 2월호, 1966.2, 제41쪽에 실린 글[제목: [월남 통신] 교회 여러 출판물과 위문 편지를 고대합니다]의 본문 중에서 "예비신자"라는 용어가, "경향잡지"에서 처음으로, 두 번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ttp://zine.cbck.or.kr/gallery/view.asp?seq=57515&path=070507172015&page=41&flip=0 (###)

 

http://1.226.83.42/catimes/search/tsearch_contentview.asp?key=%EC%98%88%EB%B9%84+%EC%8B%A0%EC%9E%90&keyfield=title&chk_date=0&s_year=1955&s_month=11&s_day=21&e_year=1955&e_month=11&e_day=11&key2=&s_where=0&s_section=0&chk_thmbnail=&chk_text=&keyfield2=&pno1=0&pno2=0&pagesize=20&se_order1=&se_order=&se_num=&idx=46827 (###)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1966년 2월 27일(주일)자 가톨릭시보[즉, 가톨릭신문의 전신]에 게재된, 제2차 바티칸 공의 문헌들 중의 하나인, 우리말 번역본 "포교활동율령"[즉, 교회의 선교 활동에 관한 교령「만민에게」(Ad Gentes Divinitus)], 제2장 포교사업 자체 서론, 제2절 복음설교와 하느님의 백성, 제14항에서 "예비신자"/"예비 신자"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ttp://1.226.83.42/gallery/view.asp?seq=66840&path=660227000508&page=3&flip=0&startpage=3&stext=예비 신자 (###)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hist_councils/ii_vatican_council/documents/vat-ii_decree_19651207_ad-gentes_lt.html 

(발췌 시작)

14. Qui fidem in Christum a Deo per Ecclesiam acceperunt,[74] liturgicis caeremoniis admittantur ad catechumenatum; qui non est mera dogmatum praeceptorumque expositio, sed totius vitae christianae institutio et tirocinium debite protractum, quibus discipuli cum Christo suo Magistro coniunguntur. Catechumeni ergo apte initientur mysterio salutis et exercitio morum evangelicorum sacrisque ritibus, successivis temporibus celebrandis,[75] introducantur in vitam fidei, liturgiae et caritatis Populi Dei.

 

Deinde per initiationis christianae sacramenta liberati a potestate tenebrarum,[76] Christo commortui, consepulti et conresuscitati,[77] Spiritum accipiunt[78] adoptionis filiorum, et memoriale mortis et resurrectionis Domini cum cuncto Populo Dei celebrant.

 

Desiderandum est ut liturgia temporis quadragesimalis et paschalis ita restauretur ut animos catechumenorum componat ad celebrationem paschalis mysterii in cuius sollemnibus peragendis per baptismum Christo regenerantur.

 

Initiatio autem illa christiana in catechumenatu non a solis catechistis vel sacerdotibus, sed a tota communitate fidelium, speciali autem modo a patrinis, est procuranda, ita ut catechumeni inde ab initio sentiant se pertinere ad Populum Dei. Cumque vita Ecclesiae sit apostolica, catechumeni item discant testimonio vitae et fidei professione ad evangelizationem et Ecclesiae aedificationem actuose cooperari.

 

Status tandem iuridicus catechumenorum in novo Codice clare ponatur. Iam enim cum Ecclesia coniuncti sunt,[79] iam de domo sunt Christi[80] et non raro iam vitam agunt fidei, spei et caritatis.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hist_councils/ii_vatican_council/index.htm 

Decrees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8031&rpage=100 [우리말본, Lumen Gentium, 제14항] (###)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8031&rpage=538 [우리말본, 선교 교령, 제14항] (###)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92866&rpage=26 [우리말본, 선교 교령, 제14항] (###)

-----

 

1-2. 질문 2: 그렇다면, 1966년 이전에 우리나라 천주교회 안에서 사용된, 영어로 "catechumen"으로 번역되는 라틴어 교회의 용어 "catechumenus"에 대응하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는 무엇이었는지요?

 

질문 2에 대한 간단한 답변: 1880년에 초간된 "한불자전"에 의하면, "신문교(新問敎)"였습니다.

 

1-3. 질문 3: 그렇다면,  "예비신자"라는 대단히 잘못 선정된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채택과 사용에 최초로 동의한 분들과 이 용어에 근거하여 "예비신자"는 그리스도교 신자가 아니다 라는 판단과 주장을 지금까지 해온 분들의 공통의 특징/면모는 무엇인지요?

 

질문 3에 대한 간단한 답변: 1880년에 초간된 "한불자전"에 표제어로 수로된 "신문교(新問敎)"라는 우리나라 천주교회의 고유한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오늘에 이르기까지 1966년부터 거의 55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에, 국내의 그리스도교 교우님들이 손쉽게 잘 읽을 수 있도록 공개하지 않아 온 점입니다.

 

1-4. 질문 4: 심지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우리말 개정판 "가톨릭 대사전"에는, "세례지원기"(catethumenate)라는 용어는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으나, 그러나 정작에, "catechumen"이라는 용어의 우리말 번역 용어는 아예 수록되어 있지 않은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요?

http://ch.catholic.or.kr/pundang/4/cb/가톨릭대사전/세례지원기_1_catechumen_표제어_없음.jpg <----- 필히 확인하도록 하라

 

1-5. 더 나아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우리말 초판 "가톨릭 대사전""예비자"(catechumen)라는 용어가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었는데, 왜 이 용어가  개정판 "가톨릭 대사전"에서 아예 삭제되었는지에 대하여서는, 누군가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http://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2484&keyword=catechumen&gubun=01 <----- 필독 권고

 

게시자 주 1: (1) 필자가 아는 한, 심지어 "한불자전"을 언급하는 교회사 분야 혹은 인접한 제 분야들의 연구자들의 논문들에서조차, 바로 이 한불자전에 표제어로 수록된 "신문교(新問敎)"라는 우리나라 천주교회의 고유한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정의(definition)가 프랑스어로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독자들에게 밝힌 논문들을 본 기억이 없습니다.

 

(2) 이번 글에서는, 지금까지 지적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차분히 함께 들여다보도록 하겠습니다.

 

2. 사료 분석

 

2-1. 다음은, 1880년에 초간된 "한불자전"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830-1884_리델/1880_한불자전.htm <----- 여기를 클릭하면 필자가 어렵게 확보하여 제공하는 [제공처: 분당골 가톨릭 문서 선교 홈페이지 capax Dei], 예를 들어, 우리말 고어체 표기의 변천과정과 관련하여 대단히 중요한 문헌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국내의 인터넷 공간에 제공자가 없어서 국내의 인터넷 공간에서 전혀 구할 수 없었던, "한불자전 전문 pdf"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발췌 시작)

 

게시자 주: 바로 위에 있는, 1880년에 초간된 "한불자전", 제419쪽에서 발췌된 바에서, 신문교(新問敎)라는 표제어에 대한 프랑스어 설명을 영어 및 우리말로 번역을 하면 다음과 같다:

 

(발췌 시작)

신문교[新問敎, 가르침을 묻는 새 교우()]

 

prosélyte; catéchumène; néophyte; nouveau chrétien. (Mot chrét.)

 

(영어 졸번역)

proselyte; catechumen; newly-converted Christian [or novice]; new Christian. (church word)

 

(우리말 졸번역)

[그리스도교 쪽으로] 개종자; 모도자[慕道者, catechumen, 도()/길(the Way)(사도행전 9,2)을 지향(志向)하는 자]; 새로이 회심하게 된 그리스도인 [혹은 초심자(初心者, beginner)]; 새 그리스도인. (교회 용어)

(이상, 발췌 및 영어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1: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우리는, catechumen이 그 설명 중에 포함된, 신문교(新問敎) 라는 용어의 설명 어디에도, "신자(信者, the faithful)"라는 단어가 사용되지 않았음에 반드시 주목하여야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예비신자"라는 표현은, 그 자구적 의미(its literal sense)에 있어, 

 

prosélyte; catéchumène; néophyte; nouveau chrétien, 즉,

proselyte; catechumen; newly-converted Christian; new Christian, 즉,

[그리스도교 쪽으로] 개종자; 모도자[慕道者, catechumen, 도(道)/길(the Way)(사도행전 9,2)을 지향(志向)하는 자]; 새로이 회심하게 된 그리스도인; 새 그리스도인

 

으로 번역되는 용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지칭되는 사람이, 신자, 즉, 그리스도교 신자아님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2-2.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atechesis"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c/c105.htm 

(발췌 시작)

CATECHESIS

교리(catechesis)


That form of ecclesiastical action that leads both communities and individual members of the faithful to maturity of faith. Because of varied circumstances and multiple needs, catechetical activity takes on various forms.

 

In regions that have been Catholic from past ages, catechesis most often takes the form of religious instruction given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chools or outside a school atmosphere. Also found in those regions are various catechetical programs for adults, whether in preparation for baptism or reception into the Church, or to deepen one's understanding of the faith. Sometime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faithful demands that some form of evangelization of the baptized precede catechesis.

 

In church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recently, special importance is placed on evangelizing in the strict sense. This becomes the well-known catechumenate for those who are being introduced to the faith in preparation for baptism.

 

For individuals whose minds are open to the message of the Gospel, catechesis is an apt means to understand God's plan in their own lives and in the lives of others. Having come to know this divine plan, they can more effectively co-operate with God's grace and become better instruments for the extension of Christ's kingdom. (Etym. Greek katechizo, to teach by word of mouth.)

(이상, 발췌 끝)

 

2-3.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atechism"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c/c107.htm 

(발췌 시작)

CATECHISM

교리서(catechism) 

 

A popular manual of instruction in Christian doctrine. In the early Church, catechetical instruction was standardized in preparation for baptism as in the writings of St. Augustine (354-430) and St. Gregory of Nyssa (330-95). After the invention of printing, books of catechetical instruction multiplied. The best known catechisms in the Catholic Church are St. Peter Canisius' Summa of Christian Doctrine (1555) and the Catechism of the Council of Trent, or Roman Catechism (1566). Numerous catechisms were published in various countries authorized by their respective hierarchies, e.g., the so-called Penny Catechism in Great Britain and the series of Baltimore Catechisms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all catechisms published by ecclesiastical authority must also be "submitted to the Apostolic See for review and approval" (General Catechetical Directory, 119).

(이상, 발췌 끝)

 

2-4.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atechist"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c/c108.htm 

(발췌 시작)

CATECHIST

교리 교사(catechist)

 

In general, one who teaches the essentials of Christian faith and morals. The term also has the technical meaning of one who gives instruction in Catholic doctrine, especially in mission lands or among people who are not baptized or who are dechristianized. As one of the supernatural charisms of knowledge, it is the special gift of being able to teach the faith with extraordinary effectiveness.

(이상, 발췌 끝)

 

2-5.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atechumenate"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c/c110.htm 

(발췌 시작)

CATECHUMENATE 

 

The period of instruction in the faith before baptism and admission of converts to the Catholic Church. The Second Vatican Council set down specific directives on the catechumenate by: 1. distinguishing between the more intense and normally prolonged catechumenate in mission lands; 2. stressing the importance of not only instruction but training in the practice of virtue; 3. pointing out the responsibility of the whole Christian community to co-operate in the preparation of catechumens; and 4. directing that the catechumenate be integrated with the liturgical year and the celebration of the Paschal Mystery (Ad Gentes Divinitus; 13-14). (Etym. Latin catechumenus; from Greek katēkhoumenos, from katēkhein, to catechize.) 

 

새 교우들의 준비 기간/모도기[慕道期, 도(道)/길(the Way)(사도행전 9,2)을 지향(志向)하는 기간](catechumenate)

 

세례(baptism) 및 가톨릭 교회 쪽으로 회심자(converts)들의 입장(admission) 이전에 있는(before) [초자연덕을인 향주삼덕들 중의 한 개인, 하느님에 의하여 해당자의 영혼에 주입되는, 그리스도인들의] 믿음(the faith)에 대한 가르침(instruction)의 기간을 말합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the Second vatican Council)는 이 새 교우들의 준비 기간/모도기(慕道期, 도(道)/길(the Way)(사도행전 9,2)을 찾는 기간)(the catechumenate)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specific directives)들을, 다음에 의하여, 제정하였습니다(set down): 1. 선교의 땅(mission lands)들에서, 더 강렬한(intense) 세례 준비 기간과 통상적으로 연장된(normally prolonged) 세례 준비 기간을 구분함으로써(distinguishing between); 2. 덕(virtue)의 실천에 있어, 덕(virtue)에 대한 가르침(instruction)뿐만이 아니라 또한 훈련(traning)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stressing); 3. 세례 준비자들의 준비에 있어, 전체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상호-협조하여야 하는 책임(responsibility)을 지적함으로써(pointing out); 그리고 4. 새 교우들의 준비 기간/모도기[慕道期, 도(道)/길(the Way)(사도행전 9,2)을 지향(志向)하는 기간]전례력(the liturgical year) 및 파스카 신비(the Paschal Mystery)의 경축결합시켜져야 함을 지시함으로써(directing).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의 선교 활동에 관한 교령 "만민에게"(Ad Gentes Divinitus), 제13-14장]. [어원: Latin catechumenus; from Greek katēkhoumenos, from katēkhein, to catechize.]

(이상, 발췌 끝)

 

2-6.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atechumen"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c/c109.htm

(발췌 시작)

CATECHUMEN


A learner, a person being instructed preparatory to receiving baptism and being admitted into the Church. The length of the catechumenate varies: in parts of Africa it may require a minimum of four years before the candidate is ready for baptism. (Etym. Greek katekhouminos, one instructed.)

 

신문교우/세례 준비자/신입교우/새 교우/모도자[慕道者, 도(道)/길(the Way)(사도행전 9,2)을 지향(志向)하는 자](catechumen)

 

세례를 받아들임(receiving baptism) 및 교회 안쪽으로 허락됨(being admitted)을 위하여 준비하는 가르침을 받게 되는 한 인격(a person)인, 한 명의 배우는 자(a leaner)를 말합니다. 새 교우들의 준비 기간/모도기[慕道期, 도(道)/길(the Way)(사도행전 9,2)을 지향(志向)하는 기간](catecumenate)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프리카의 일부들에서는 지원자(the candidate)가 세례를 위하여 준비가 다 되기 전에 4년이라는 최소한도의 기간를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어원: Greek katekhouminos, one instructed.]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22년 3월 14일]

2-7. 다음은, "Merriam Webster's Dictionary"에 주어진 "catechumen"이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catechumen 

(발췌 시작)

Catechumen

 

1 : a convert to Christianity receiving training in doctrine and discipline before baptism [졸번역: 세례 전에 교리(doctrine) 및 규범(discipline)에 있어 훈련을 수용하는(receiving training), 그리스의 가르침(Christianity) 쪽으로 한 명의 회심자(a convert)를 말한다](*1)

 

2 : one receiving instruction in the basic doctrines of Christianity before admission to communicant membership in a church [졸번역: 한 개의 교회(a church, 즉, 개별 교회) 안에서 성체배령(聖體拜領)을 하는(communicant, 프랑스어: communiant, 즉, 영성체를 하는) 구성원 쪽으로 허락(admission) 전에 그리스도의 가르침(Christianity)의 기본적인 교리에 대한 교육(instruction)을 받는 자를 말한다.(*1)

 

-----

(*1) 번역자 주: 바로 이 서술은 "catechumen"이라는 교회의 용어의 자구적 의미/정의(definition)이며, 그리고 바로 이 정의 그 자체가 그러한 회심자, 즉, 신문교우/신입교우/세례 준비자는 이미, 아래의 제2-10항에 안내된, 소위 말하는, 화세(baptism of desire)를 받았음을 또한 의미함에 반드시 주목하라.

 

(*2) 번역자 주: (1) (i) 바로 이 사전 설명의 제1항에 정의된(defined) 세례 준비자, 그리고 (ii) 대세(代洗, private baptism)를 받은 자, 모두가 여기에 해당함에 반드시 주목하라.

 

(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대세(代洗, private baptism)를 받은 자가 영성체를 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한 졸글을 읽을 수 있다. 필독을 권고드린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254.htm <----- 필독 권고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2022년 3월 14일자 내용 추가 끝]

 

2-8.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Baptism"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b/b017.htm 

(발췌 시작)

BAPTISM

 

The sacrament in which, by water and the word of God, a person is cleansed of all sin and reborn and sanctified in Christ to everlasting life. (Etym. Latin baptisma; from Greek baptisma, a dipping.)

 

세례(baptism)

 

그 안에서, 물(water)과 하느님의 말씀(the word of God)에 의하여, 한 인격(a person)이 모든 죄에 대하여 씻음을 받게되어 그리하여 다시 태어나게 되고(reborn)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영원한 생명/삶(everlasting life) 쪽으로 성화되는(sanctified) 것을 말합니다. [어원. Latin baptisma; from Greek baptisma, a dipping.]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9.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Baptism of blood"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b/b026.htm 

(발췌 시작)

BAPTISM OF BLOOD

 

Martyrdom in the case of a person who died for the Christian faith before he or she could receive the sacrament. The effects of martyrdom of blood are the complete remission of all sin and the title to immediate entrance into heaven. The expression entered the Christian vocabulary during the first three centuries when many catechumens awaiting baptism and pagans suddenly converted to the Christian faith were martyred before they could receive formal baptism of water.

 

혈세(Baptism of blood)

 

그가 혹은 그녀가 세례 성사(the sacrament)를 받을 수 있기 전에 그리스도교 신앙(Christian faith)을 위하여 죽은 한 인격(a person)의 경우에, 순교(martrdom)를 말합니다. 혈세의 효능(effects)들은 모든 죄에 대한 완전한 사함(complete remission) 그리고 하늘(heaven, 천당) 안쪽으로 즉각적인 들어감 쪽으로 자격(title)입니다. 이 표현은, 첫 3세기들 동안에 세례를 기다리던 다수의 catechumens들과 그리스도교 신앙 쪽으로 갑자기 회심하게 된 이교도인(pagans)들이, 그들이 정식의 수세(formal baptism of water)를 받을 수 있기 전에 순교 당하였을 때에, 그리스도교 어휘에 들어왔습니다.

(이상, 발췌 끝)

 

2-10.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Baptism of desire"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b/b027.htm 

(발췌 시작)

BAPTISM OF DESIRE

 

The equivalent of sacramental baptism of water, which in God's providence is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to obtain the state of grace and to save his or her soul. According to the Church's teaching, "Those who through no fault of their own, do not know the Gospel of Christ or His Church, but who nevertheless seek God with a sincere heart, and, moved by grace, try in their actions to do His will as they know it through the dictates of their conscience – those too may achieve eternal salvation" (Second Vatican Council, Constitution on the Church, I, 16).

 

화세(Baptism of desire)

 

성사인 수세(sacramental baptism of water)등가인 세례(the equivalent)를 말하는데, 이 세례는 하느님의 섭리(God's providence) 안에서 한 인격(a person)이 은총의 지위(state of grace)를 획득하는 것을 그리하여 그의 혹은 그녀의 영혼(soul)을 구하는(save)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enable) 충분합니다(sufficient). 교회의 가르침에 따르면, "자신들의 고유한 잘못을 통함 없이, 그리스도의 복음(the Gospel of Christ)[즉, 하느님 나라의 도래(the coming of the kingdom of heaven)(LG, 5)]을 모르나,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진솔한 심장(a sincere heart)과 함께 그리스도를 찾는(seek), 그리하여, 은총(grace)에 의하여 움직여져, 그들이 당신의 뜻/의지(His will)를, 자신들의 양심의 지시들을 통하여 그것을 알게됨에 따라, 자신들의 행동(actions)들 안에서 실행하고자(do) 노력하는 바로 그러한 자들을 말하는데 - 그들도 또한 영원한 구원(eternal salvation)을 성취할 수도(may) 있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Constitution on the Church), 제1장, 제16항]

(이상, 발췌 끝)

 

2-11.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Baptism of martyrdom"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b/b028.htm 

(발췌 시작)

BAPTISM OF MARTYRDOM

 

Also called baptism of blood. It is the patient endurance of fatal torture inflicted out of hatred for Christ or the Christian faith or Christian virtue.

 

순교 세례(Bpatism of martyrdom)

 

또한 혈세(baptism of blood)라고 불립니다. 이것은, 그리스도(Christ) 혹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Christian faith) 혹은 그리스도인들의 덕(Christian virtue)에 대한 증오(hatred)에 기인하여 가해지는 치명적인 고문(fatal torture)의 고통스러운 인내(patient endurance)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착성 중입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331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