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2월24일[이콘]성 몬타노와 루치오 순교자♬kyrie-Mozart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2-24 ㅣ No.1632

 

[ICON] 예수 십자가에 못 박히심. 북러시아 화파. 16세기. 파리 국립미술관.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힌 장면의 묘사는 그리스도교가 전파되는 곳마다

각기 다른 모양으로 조각되거나 그려졌다.
서방교회는 주로 요한 복음의 수난사에 따라 그린 반면
동방교회에서는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마태오 복음의 수난사에 대한 강론에서 영감을 받아
조직적이고 상징적으로 그렸다.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를 중심으로 양옆에는 마리아와 사도 요한이 서있으며,
그들 뒤에는 거룩한 부녀들과 백부장, 군인들,그리고 바리사이파 사람들과 군중들이 등장한다.

그런데 마리아를 향해 숙여진 예수의 얼굴은 지극한 고통중에도

고귀한 위엄과 평화를 지닌 표정을 짓고 계신다.
이는 하느님이시며 인간이신 그분의 몸은 죽음 안에서도 부패되지 않은 채 남아 있기 때문이다.

 

십자가 아래에는 골고타 동굴이 열려 있는데 이는 죽음과 지옥에 대한 예수의 승리를 상징한다.
이 동굴에는 아담의 해골이 보인다.
전승에 의하면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그가 구원해야 될 인류의 조상인 아담의 무덤위에 세워졌다고 전한다.
이것은 구약의 아담과 신약의 아담이 연결됨으로써,
죽음을 불러온 첫 아담이 둘째 아담이신 그리스도의 피로 구원 된것을 표현한 것이다.

십자가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건축물은 예루살렘 성벽이다.
당시의 모든 죄인들과 마찬가지로 예수 역시 성벽 바깥쪽에서 고통을 받았다.
즉, 예수의 시신이 도시, 성전 그리고 박해자들을 불결하게 만들지 않도록 도시 밖에서 사형이 집행된 것이다.

이러한 묘사는 또한 영성적 진리를 표현하고 있다.
6세기 경부터 이런 그림을 그렸는데 이것은 그리스도께서 예루살렘 밖에서 수난하신 것처럼
이 땅 위에는 차지할 도성이 없고,
다만 앞으로 올 도성을 바라보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마음의 벽을 헐고 나아가 주님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히브리 13,12-13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예수께서도 당신의 피로 백성을 거룩하게 만드시려고 성문 밖에서 고난을 당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성문 밖으로 그분께 나아가 그분의 치욕을 겪읍시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팔이 달려 있는 횡목은 하늘을 배경삼고 있다
이렇게 창공에 놓인 십자가는 악의 세력에서 온 우주을 해방시킨 그리스도의 죽음이라는
우주론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성모는 왼손으로는 망토를 쥐고 오른손은 그리스도를 향하여 내밀고 있다. 그녀는 비탄의 표정을 짓고 있다.
그 반대편의 요한은 영적인 공포와 번민으로 가득차 오른손으로 얼굴을 쥐고

왼손은 십자가를 향하여 내밀고 있다.
성모의 뒤의 여인은 왼손으로 자기뺨을 만지며 통곡하고 있다.

요한 뒤의 터반을 쓴 사람은 백부장 론지노스이다. 

이렇게 ’십자가에 못박히심의 이콘’은 천상에로의 창문이 되며,
우리를 그 당시의 사건에 참여하도록 초대하며 구원의 신비와 결합하도록 이끌어 주고 있다.

 

주여, 주의 백성을 구원하시고
주의 후사에게 강복하시고
믿는 자에게 원수에 대한 승리를 주시고
십자가로 보호하소서.

사순 제3주일 조과 십자가 아뽈리띠끼온 중.

 

*이콘.신비의 미.(교회미술 아카데미.장긍선신부 편저)에서

 

 

축일:2월24일

성 몬타노와 루치오 순교자

St. Montanus, St. Lucius  

Born:African

Died:beheaded in 259 at Carthage

Canonized:Pre-Congregation

 

성 몬타누스(또는 몬타노), 성 루키우스(Lucius), 성 율리아누스(Julianus), 성 빅토리쿠스(Victoricus), 성 플라비아누스(Flavianus), 성 레누스(Rhenus)와 두 명의 동료들은 아프리카에서 순교하였다. 그들 중 몇 명은 258년 발레리아누스 황제 때 순교한 성 키프리아누스(Cyprianus, 9월 16일) 주교의 성직자들이었다. 그들에 대한 행적은 전적으로 확실한데, 감옥에서의 행적 부분은 그들 스스로 기록했고, 그들의 순교에 대해서는 목격증인들이 기록하였다.

   성 키프리아누스의 순교 이후 지방총독 갈레리우스 막시무스는 사망하였다. 그러나 로마로부터 새로운 총독을 기다리는 동안 지방 행정장관인 솔론(Solon)은 계속해서 박해와 폭정을 거듭하였다. 결국 카르타고(Carthago) 시민들은 솔론의 폭정과 학대에 못 이겨 폭동을 일으켰고, 솔론은 관련자를 찾기보다는 고의적으로 그리스도인들에게 그 혐의를 뒤집어 씌워 체포하였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심문을 받은 후 관례대로 투옥되었고, 이때 무고하게 갇힌 성 몬타누스와 그 동료들에게는 소량의 음식물만 제공하였기 때문에 그들은 허기와 갈증으로 거의 빈사상태가 되었다.

   그러던 중에 성 몬타누스는 꿈을 꾸었는데, 그 내용은 그의 부족한 사랑을 기워 갚으라는 내용이었다고 한다. 이리하여 그는 7개월 동안 허기와 갈증을 영웅적으로 감내하고, 나약해진 성 루키우스를 격려하여 순교의 월계관을 받게 하였다. 그들은 오히려 박해자에게 회개하라고 촉구하는 용기까지 보이다가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가톨릭홈에서)

 

 

* 성 고르넬리오 교황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축일:9월16일, 게시판1366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몬따노와 루치오 일행은 카르타고에서 발생했던 폭동과 연루되어 체포되었지만,

이것은 당국의 고의적인 계략이었다.

어쨌든 이들은 심문을 받은 후 관례대로 투옥되었는데,

극히 소량의 음식물을 제공하므로 허기와 갈증으로 빈사상태가 되었다.

그러던 중에 몬따노는 꿈을 꾸었는데, 그 내용은 그의 부족한 사랑을 기워갚으라는 내용이었다고 한다.

이리하여 그는 7개월 동안 허기와 갈증을 영웅적으로 감내하고,

나약해진 루치오를 격려하여 순교의 월계관을 받게 하였다.

이들을 박해자에게 회개하라고 촉구하는 용기까지 보이다가 참수치명하였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악]

 

성 몬타노는 초기 그리스도교 순교자다.

그는 3세기 발레리아노 황제의 박해 시대에 동료들과 함께 순교했다.

그들이 받았던 고문과 처형 당시의 상황을 상세하게 묘사한 기록이 남아 있는데,

그들은 감옥에 갇히고 쇠사슬에 묶여 끌려 다녔으며

물과 음식은 거의 먹지 못했고 군중들 앞에서 목 베임을 당했다.

다른 많은 초기 순교자들은 그들보다 더욱더 잔인한 방법으로 고문을 당했다.

형틀에 묶여 사지를 늘이는 형벌을 받거나 산 채로 살가죽을 벗기는 고문을 당한 후 나무 기둥에 묶여

화형에 처해지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 기록들은 읽기조차 끔찍하지만,

악은 단순히 우리의 집단 무의식 속에서 만들어진 ‘허구’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악은 환상이 아니라 ‘실재’다.

그러나 서구의 순교자들뿐 아니라 우리 나라 순교자들의 예에서도 볼 수 있듯이 악은 결코 선을 이기지 못한다.

순교자들이 흘린 피는 믿음의 씨앗이 되어 수천 수만 배의 열매를 맺었다.

그것은 악이 마지막 실재가 아니라 선이 악보다 더 확실한 실재임을 알려 준다.

 

성 몬타노와 같은 초기 순교자들의 삶은

가장 악랄한 악을 대면해서도 굴하지 않는 신앙과 인간 영혼의 본 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오늘날 이 세상에서 가장 큰 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나는 악이 존재한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악이 내 삶에 둥지를 치게 하지는 않을 것이다.

(까리따스수녀회홈에서)

 

 

모든 고통받는 이들의 기쁨인 성모. 중앙러시아. 1700년경. 31x25.5cm

 

이 성화(Icon)에는 "모든 고통받는 이들의 기쁨인 성모"가 묘사되어 있다.

그림의 중앙에 성모가 아기 그리스도를 팔에 안고 그녀의 좌우 양편에는 천사들이 고통받는 자들을 그녀에게 인도하고 있다.

화면의 3분의 2선상에 있는 글씨판에는 고통받는 자들의 도움을 청하는 글이 씌어 있는데,

이로써 천상의 후원자인 성모에게 가까이 하고 있다.

마리아는 자비심으로 가득찬 얼굴을 고통받는 자들을 향해서 돌리고 있으며, 오른손으로는 아기 그리스도를 가리키고 있다.

그녀의 좌우 양편에 전개된 장면들은 성경의 다음과 같은 문구를 묘사하고 있다.

 

"옷 벗은 자는 입을 것이요,

병자와 중병환자는 나을 것이요.

소경은 보게 될 것이요,

다리를 저는 자는 걸을 것이요,

앉은뱅이는 일어설 것이다."

 

그림의 좌우 양 모서리에는 해와 달을 그려 넣었는데,

이는 비잔틴에서는 해와 달이 왕국의 복을 보증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유럽 聖畵(ICON)集에서)

 

 

♬kyrie-Mozart Brevis K220

 

 

 

 

 

 

 

 

 

 

 

 

 

 

 

 

 

 

 

 

 

 

 

 

 

 

 

 

 

 

 

MONTANUS

Memorial

24 February

Profile

Disciple of Saint Cyprian of Carthage. When revolt erupted in Carthage in 259, during a period of persecution by Valerian, the procurator Solon blamed it on the Christians, and began oppressing them. Arrested, tortured, and martyred with Saint Julian, Saint Lucius, Saint Victorius, Saint Flavian, and five companions whose names have not come down to us.

Born

African

Died

beheaded in 259 at Carthage

Canonized

Pre-Congregation

 

 

 

 

 

St. Montanus

Martyr with Flavian, Julian, Lucius, Victoricus, and five others at Carthage. They were disciples of St. Cyprian of Carthage. Victoricus was a priest. These martyrs were tortured and then beheaded.

 

 

 

 

 

LUCIUS

Memorial

24 February

Profile

Disciple of Saint Cyprian of Carthage. When revolt erupted in Carthage in 259, during a period of persecution by Valerian, the procurator Solon blamed it on the Christians, and began oppressing them. Arrested, tortured, and martyred with Saint Montanus, Saint Julian, Saint Victorius, Saint Flavian, and five companions whose names have not come down to us.

Born

African

Died

beheaded in 259 at Carthage

Canonized

Pre-Congregation

 

 

 

JULIAN
Memorial
24 February
Profile
Disciple of Saint Cyprian of Carthage. When revolt erupted in Carthage in 259, during a period of persecution by Valerian, the procurator Solon blamed it on the Christians, and began oppressing them. Arrested, tortured, and martyred with Saint Montanus, Saint Lucius, Saint Victorius, Saint Flavian, and five companions whose names have not come down to us.
Born
African
Died
beheaded in 259 at Carthage

 

VICTORIUS
Memorial
24 February
Profile
Priest. Disciple of Saint Cyprian of Carthage. When revolt erupted in Carthage in 259, during a period of persecution by Valerian, the procurator Solon blamed it on the Christians, and began oppressing them. Arrested, tortured, and martyred with Saint Montanus, Saint Lucius, Saint Julian, Saint Flavian, and five companions whose names have not come down to us.
Born
African
Died
beheaded in 259 at Carthage


FLAVIAN
Memorial
24 February
Profile
Disciple of Saint Cyprian of Carthage. When revolt erupted in Carthage in 259, during a period of persecution by Valerian, the procurator Solon blamed it on the Christians, and began oppressing them. Arrested, tortured, and martyred with Saint Montanus, Saint Lucius, Saint Victorius, Saint Julian, and five companions whose names have not come down to us.
Born
African
Died
beheaded in 259 at Carthage

 

 



325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