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불신/회의(unbelief)와 거부(disbelief)의 차이점에 대하여 [교리용어_회의] [교리용어_불신] [교리용어_거부] 1267_

인쇄

. [110.14.3.*]

2012-10-09 ㅣ No.1273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여기를 클릭하면(필독 권고) 읽을 수 있는 글 [제목: 불신/회의(unbelief) - 신학대전여행]에 이어지는, 이번의 글에서는, 세속의 영한 사전들에서 동의어로 알려져 있는, 영어 단어들인 "unbelief(라틴어: infidelitas)"(*)"disbelief(라틴어: discredere)"(**) 의 의미에 있어서의 차이점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에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Ia IIae, q10, a1 에 의하면, 라틴어 "infidelitas"가 영어본 신학 대전에서 "unbelief"로 번역된 것을 알 수 있다: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0-15.htm#q10

(**)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에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Ia IIae, q5, a3 에 의하면, 라틴어 "discredere"가 영어본 신학 대전에서 "disbelief"로 번역된 것을 알 수 있다: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7.htm#q5
-----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10월 15일]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이들 두 라틴어 단어들에 대한 세속의 사전적 설명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만, 이 짧은 설명들이 독자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될 지 잘 모르겠습니다:

출처: http://www.archives.nd.edu/cgi-bin/words.exe?infidelitas

(발췌 시작)
infidelitas          N      3 1 NOM S F                
infidelitas          N      3 1 VOC S F                
infidelitas, infidelitatis  N  F   [XXXCX] 
faithlessness; inconstancy;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www.archives.nd.edu/cgi-bin/words.exe?discredere

(발췌 시작)
dis                  PREFIX                            
- apart, in different directions;
cred.ere             V      3 1 PRES ACTIVE  INF 0 X   
cred.ere             V      3 1 PRES PASSIVE IMP 2 S   
cred.ere             V      3 1 FUT  PASSIVE IND 2 S   
credo, credere, credidi, creditus  V   [XXXAO] 
trust, entrust; commit/consign; believe, trust in, rely on, confide; suppose;
lend (money) to, make loans/give credit; believe/think/accept as true/be sure;
(이상, 발췌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게시자 주 1-1: 이번의 고찰을 하게 된 주된 이유가, 13세기에 저술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의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들 두 용어들의 신학적 의미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에 있음에 또한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1.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영어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서 이들 두 단어들 혹은 이들의 파생어들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신학 대전 본문에서의 이들의 용례를 또한 분석하도록 하겠습니다.

1-2.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자신의 저서인 "신학 대전"을 저술하였던 시기인 13세기에 이들 두 단어들이 그 의미에 있어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3. 성 토마스 아퀴나스"신학 대전"을 애초에 라틴어로 저술하였기에, 필요시에는, 신학 대전의 라틴어본과 영어본의 대응하는 본문을 또한 동시에 비교/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1-4. 혹시 도움이 될까 하여 또한 추가적으로, "NAB(New American Bible)"과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들에서의 이들의 용례를 또한 분석하도록 하겠습니다.

2.
2-1.
 
2-1-1. 다음의 파란색 글자들을 클릭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어본 "신학 대전" 본문 중에 "unbelief" 단어와 그 파생어들이 사용되고 있는 각 문항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97 unbelief 
- Ia IIae, q73, a3; a4; q74, a10; q76, a4; q88, a2; q89, a3; a5;
- IIa IIae, q1, a1; a5; q5, a2; q6, a2; q10, a1; a2; a3; a4; a5; a6; a10; a11; a12; q11, a1; a2; a4q12, a1; a2; q13, a1; a2; a3; q14, a2; a3; q16, a1; q20, a1; a2; a3; q23, a7; q27, a8; q34, a2; q39, a1; a2; q89, a6; q94, a1; a3; q97, a2; a3; q99, a2; q100, a1; q122, a3; q162, a4; a6; a7; q163, a1; q178, a1; 
- IIIa, q27, a4; q30, a4; q42, a1; q43, a1; a2; q52, a2; q59, a5; q64, a9; q68, a8; a9; a10; q80, a5; q86, a3; q88, a1;
- IIIa Supp., q56, a4; q58, a2; q59, a1; a2; a3; a4; a5; a6; q62, a1; q89, a7; q99, a2; a4;  

 90 unbeliever 
- Ia IIae, q63, a2; q68, a5; q73, a8; q89, a5; q105, a2;
- IIa IIae, q1, a1; q4, a4; q10, a1; a3; a4; a5; a7; a8; a9; a10; a11; a12; q12, a2; q20, a2; q23, a7; q34, a2; q39, a2; q97, a2; q162, a4; q176 a1; q187, a5; 
IIIa, q42, a2; q57, a1; q63, a1; q64,  a9; q80, a3; a5; 
IIIa Supp., q38, a2; q59, a1; a2; a3; a4; a5; a6;          

219 unbelievers
- Ia, q32, a1; q46, a2; q65, a1; q68, a1;
- Ia IIae, q79, a3; q89,  a5; a6;  
- IIa IIae, q1, a5; q2, a2; q3, a2; q10, a1; a3; a4; a5; a7; a8; a9; a10; a11, a12; q11, a3; a4; q12, a2; q23, a7; q31, a2; q40, a3; q66, a8; q69, a3; q71, a2; q97, a2; q99, a1; q151, a1; q174, a4; q176, a1, a2; q188, a4; 
IIIa, q22, a3; q29, a1; q42, a2; a3; q43, a1; a2; q44, a3; q46, a11; q56, a2; q67, a8; q68, a9; a10; q70, a2; a4; q72, a5; q75, a5; q80, a3; q83, a3; a4; 
IIIa Supp., q21, a1; q22, a6; q23, a2; q37, a2; q52, a2; q59, a1; a2; a3; a5; q69, a4; q75, a2; q88, a2; q89, a5; a7; q99, a3;  

 32 unbelieving
- Ia IIae, q102, a5;
- IIa IIae, q10, a9; a10; a12; q12, a2; q69, a3; q125, a3;
- IIIa Supp., q59, a3; a4; a5;

2-1-2. 다음의 파란색 글자들을 클릭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어본 "신학 대전" 본문 중에 "disbelief" 단어와 그 파생어들이 사용되고 있는 각 문항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disbelief 
- IIa IIae, q5, a3;

  3 disbelieve 
-IIa IIae, q20, a3;

  1 disbelieved 
-IIIa q30, a1;

 10 disbelieves 
-IIa IIae, q5, a3; a4; q10, a5;
  
  2 disbelieving 
-IIIa q80, a5;

게시자 주 2-1: (중간 결론 1) 
따라서, 이상 제2-1항제2-2항에서 확인한 바로부터, 우리는,

(i) "신학 대전" 본문 중에서 "unbelief" 단어와 "disbelief" 단어는, 영어로의 번역 이전의 대응하는 두 개의 라틴어 단어들의 어원이 서로 다름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따라서 이들 두 단어들은 동일한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ii) "신학 대전" 본문 중에서 "unbelief" 와 그 파생어들"disbelief"와 그 파생어들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ii) 따라서, 예를 들어,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신학의 한 분야인 윤리 신학(moral theology)에서의 가르침과 관련하여, "unbelief"정의(definition)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2-2. 
2-2-1. 다음의 파란색 글자들을 클릭하면, "New American bible(NAB)" 본문  및 각주들에서 "unbelief" 단어와 그 파생어들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괄호 안의 표현은 "새 번역 성경"에서의 대응하는 우리말 번역 용어입니다:

 21 unbelief 
- NAB의 총 6개의 절들에서 사용됨: 마르코 9,24 [불신]; 마르코 16,14 [불신]; 로마 4,20 [불신]; 로마 11,20 [믿지 않음]; 로마 11,23[불신]; 1티모테오 1,13[믿음이 없음];
  2 unbelievable 
- NAB의 총 2개의 절들에서 사용됨: 판관 13,13; 사도행전 26,8 [믿을 수 없는];
  
  9 unbeliever 
-NAB의 총 7개의 절들에서 사용됨: 1코린토 7,12 [신자가 아닌 자]; 1코린토 7,13[신자가 아닌 자]; `1코린토 7,15[신자가 아닌 자]; 1코린토 10,27 [불신자]; 1코린토`14,24 [믿지 않는 이]; 2코린토 6,15 [불신자]; 1티모테오 5,8 [믿지 않는 사람];

 15 unbelievers 
-NAB의 총 6개의 절들에서 사용됨: 1코린토 6,6 [불신자들]; 1코린토 14,22 [믿지 않는 이들]; 1코린토 14,23 [믿지 않는 이들]; 2코린토 4,4 [불신자들]; 2코린토 6,14 [불신자들];

 13 unbelieving 
- NAB의 총 개의 4절들에서 사용됨: 요한 20,27 [의심을 버리고(do not be unbelieving) 믿어라(but believe)]; 1코린토 7,14 [신자 아닌]; 티토 1,15 [믿지 않는];

2-2-2. 다음의 파란색 글자들을 클릭하면, "New American Bible(NAB)" 본문  및 각주들에서 "disbelief" 단어와 그 파생어들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7 disbelief 
- NAB의 총 1개의 절들에서 사용됨: 사도행전 19,9 [고집스럽게 믿으려 하지 않음]

  3 disbelieve 
- NAB의 총 1개의 절들에서 사용됨: 지혜 1,2 [불신]

  3 disbelieved 
- NAB의 총 2개의 절들에서 사용됨: 지혜 12,17 [불신]; 지혜 18,13 [아무 것도 믿지 않음];

  4 disbelieving 
- NAB의 총 2개의 절들에서 사용됨: 지혜 10,7 [믿지 않는]; 사도행전 14,2 [믿기를 거부하는]

게시자 주 2-2: (중간 결론 2)
따라서, 제2-2항에서 확인한 바에 의하면, NAB에서, 분명하게 구분되어, "unbelief" 로 번역되는 표현과 "disbelief"로 번역되는 표현이, "새 번역 성경"의 다수의 절들에서 분명하게 구분되도록 용어 번역이 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번역 미숙 혹은 번역 오류라는 생각이다.

2-3.
2-3-1.
 다음의 파란색 글자들을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에서 "unbelief" 단어와 그 파생어들이 사용되고 있는 각 문항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괄호 안의 표현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의 대응하는 우리말 번역 용어입니다:

  5 unbelief 
- CCC 591 [불신], CCC 643 [불신], CCC 674 [믿지 않음], CCC 678 [불신], CCC 1851 [불신]

  2 unbelievers 
- CCC 39 [믿지 않는 자들], CCC 905 [믿지 않는 사람들]

  3 unbelieving 
- CCC 1637 [신자 아닌], CCC 1637, CCC 1655 [믿지 않는]

  2 incredulity
- CCC 2089 [불신], CCC 2732 [불신]

2-3-2. 다음의 파란색 글자들을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에서 "disbelief" 단어와 그 파생어들이 사용되고 있는 각 문항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괄호 안의 표현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의 대응하는 우리말 번역 용어입니다:

  1 disbelief 
- CCC 494 [불신]

  1 disbelieving 
- CCC 644 [믿지 못하고]

게시자 주 2-3: (중간 결론 3)
따라서, 제2-3항에서 확인한 바에 의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에서, 분명하게 구분되어, "unbelief" 로 번역되는 표현과 "disbelief"로 번역되는 표현이,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거의 대부분의 항들에서 분명하게 구분되도록 용어 번역이 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번역 미숙 혹은 번역 오류라는 생각이다.


3.
3-1.

3-1-1.
(i) 다음은 Merir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unbelief"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mw/u_d.htm

(발췌 시작)
unbelief
Etymology: Middle English unbeleve, from 1un- + beleve belief
: withholding of belief [믿음에 대한 보류] : incredulity or skepticism especially in matters of religious faith [특히 종교적 믿음의 사안들에 있어 쉽사리 믿지 않음 혹은 회의] unbelief -- A.C.McGiffert>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ii) 그리고 다음은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에 주어진 "unbelief"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발췌 시작)
unbelief
Date: 12th century
: incredulity or skepticism especially in matters of religious faith [종교적 믿음의 사안들에 있어 쉽사리 믿지 않음 혹은 회의]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1-2. 다음은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2089항에 주어진 "incredulity" 단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ch.vatican.va/archive/ENG0015/__P7C.HTM

CCC 2089 Incredulity is the neglect of revealed truch or the willful refusal to assent to it. [무시/거절(incredulity)는 계시된 진리에 대한 무시(neglect) 혹은 그것에 동의하는 것에 대한 의도적 거절(willful refusal)을 말합니다] "Heresy is the obstinate post-baptismal denial of some truth which must be believed with divine and catholic faith, or it is likewise an obstinate doubt concerning the same; apostasy is the total repudiation of the Christian faith; schism is the refusal of submission to the Roman Pontiff or of communion with the members of the Church subject to him."

게시자 주: 위의 CCC 제2089항에 주어진 "무시/거절(incredulity)" 라는 단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에 의하면, 이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이 위에서 이미 고찰한 "unbelief(불신/회의)" 라는 단어의 사전적 정의(definition)에 포함되며, 그리고 그 의미가, "unbelief(불신/회의)"보다는, 또한 위에서 이미 고찰한 "거절(disbelief)"의 사전적 정의(definition)에 더 가까움을 알 수 있습니다.

3-1-3.
(i) 다음은 Merir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disbelief"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발췌 시작)
disbelief
Etymology: 1dis- + belief
: the act of disbelieving : mental refusal to accept (as a statement or proposition) as true [참인 것으로서 (한 개의 문장 혹은 제안으로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마음의 거부(mental refusal)] disbelief>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ii) 그리고 다음은 Merir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에 주어진 "disbelief"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발췌 시작)
disbelief
Date: 1672
: the act of disbelieving : mental rejection of something as untrue [참이 아닌 것으로서 어떤 것에 대한 마음의 거절(mental rejection)]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1-3. 
(i) 다음은 Meriram-Webster's Collegiate Thesaurus에 주어진 "unbelief"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발췌 시작)
unbelief
Text: the attitude or state of mind of one who does not believe [믿지 않는 자의 마음의 태도 혹은 상태] unbelief to his words>
Synonyms [동의어들] disbelief, incredulity, unbelievingness, unfaith
Related Word [동족의 단어] doubt [의심], dubiety [의혹], dubiosity [의혹], skepticism [회의], uncertainty [불확실]; distrust [불신], mistrust [불신], suspicion [혐의, 의심]; apprehension [우려, 두려움], misgiving [불안, 의심], qualm [불안, 염려]
Contrasted Words [대조되는 단어들] assurance [보증, 확신], certitude [확신, 확실], security [안전, 보증], trust [신뢰]; dependence [의뢰, 신뢰], reliance [신뢰, 의지], stock [저장], store [저장]
Antonyms [반의어들] belief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ii) 다음은 Meriram-Webster's Collegiate Thesaurus에 주어진 "disbelief"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발췌 시작)
disbelief
Text: Synonyms [동의어들] UNBELIEF, incredulity, unbelievingness, unfaith
Related Word [동족의 단어] atheism [무신론], deism [이신론(理神論)]; rejection [거절], repudiation [거절], spurning [일축 행위] 
Contrasted Words [대조되는 단어들] credence [신임], credit [신용], faith [믿음]
Antonyms [반의어들] belief
(이상, 발췌 끝).

(iii) 다음은 Merriam-Webster's Collegiate Thesaurus에 주어진 "incredulous"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발췌 시작)
incredulous
Text: unwilling to admit or accept what is offered as true [참으로서 제시된 바를 인정하거나 혹은 받아들이는 것을 꺼리는(unwilling, 마음 내키지 않는] incredulous response from his listeners>
Synonyms aporetic, disbelieving, questioning, quizzical, show-me, skeptical, unbelieving
Related Word hesitant, suspicious, uncertain, wary; distrustful, distrusting, mistrustful; doubting, dubious, unconvinced, unsatisfied
Contrasted Words trustful, trusting; unsuspecting, unsuspicious, unwary; gullible, naive
Antonyms credulous
(이상, 발췌 끝)

3-2.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Ia IIae, q5, a3 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summa/3005.htm

(발췌 시작)
On the contrary, Just as mortal sin is contrary to charity, so is disbelief in one article of faith contrary to faith. Now charity does not remain in a man after one mortal sin. Therefore neither does faith, after a man disbelieves one article.

이와는 달리, 대죄(mortal sin)가 애덕(charity, 사랑)에 상반되듯이, 마찬가지로 믿음의 한 개의 조항(one article of faith)에 대한 disbelief(거부)는 신덕(faith, 믿음)에 상반됩니다. 이제 애덕(charity, 사랑)은 한 개의 대죄 이후에 해당 사람에게 남아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신덕(faith, 믿음) 또한, 어떤 사람이 한 개의 조항을 disbelieves(거부한) 이후에, [그에게] 남아있지 않습니다.

I answer that, Neither living nor lifeless faith remains in a heretic who disbelieves one article of faith.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살아있는 믿음(living faith, 즉 신덕)과 생명 없는 믿음(lifeless faith) 둘 다는 믿음의 한 개의 조항(one article of faith)을 disbelieves(거부하는) 이단자(a heretic)에게 남아있지 않습니다.

The reason of this is that the species of every habit depends on the formal aspect of the object, without which the species of the habit cannot remain. Now the formal object of faith is the First Truth, as manifested in Holy Writ and the teaching of the Church, which proceeds from the First Truth. Consequently whoever does not adhere, as to an infallible and Divine rule, to the teaching of the Church, which proceeds from the First Truth manifested in Holy Writ, has not the habit of faith, but holds that which is of faith otherwise than by faith. Even so, it is evident that a man whose mind holds a conclusion without knowing how it is proved, has not scientific knowledge, but merely an opinion about it. Now it is manifest that he who adheres to the teaching of the Church, as to an infallible rule, assents to whatever the Church teaches; otherwise, if, of the things taught by the Church, he holds what he chooses to hold, and rejects what he chooses to reject, he no longer adheres to the teaching of the Church as to an infallible rule, but to his own will. Hence it is evident that a heretic who obstinately disbelieves one article of faith, is not prepared to follow the teaching of the Church in all things; but if he is not obstinate, he is no longer in heresy but only in error. Therefore it is clear that such a heretic with regard to one article has no faith in the other articles, but only a kind of opinion in accordance with his own will.

이에 대한 이유는 모든 습관(habit)의 종(the species, 種)이, 그것 없이는 그 습관의 종(種)이 존재할 수 없는, 그 대상의 형상적 양상(formal aspect)에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믿음(faith)의 형상적 대상(formal object)은, 성경 본문과, 이 첫 번째 진리로부터 나오는 교회의 가르침에 분명하게 나타내어져 있듯이, 첫 번째 진리(the First Truth)입니다.(**) 그 결과, 어떤, 무류의 그리고 하느님의, 규정(an infallible and Divine rule)에 관하여, 성경 본문에 분명하게 나타내어져 있는 이 첫 번째 진리로부터 나오는 교회의 가르침에 충실하지(adheres to) 않는 자 누구든지 믿음(faith, 신덕)이라는 습관을 가진 것이 아니라, 믿음(faith, 신덕)의한 것이라기보다는 다른 믿음(faith)에 기인하는 바를 품고 있는 것입니다. 심지어 그러함에도, 그의 마음이 그것이 어떻게 증명되는지 알지도 못하면서 어떤 결론(a conclusion)을 품고 있는 어떤 사람은 학문적 지식(scientific knowledge)이 아니라 단순히 그것에 관한 견해(opinion)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이제, 어떤 무류한 규정에 관하여, 교회의 가르침에 충실한 자는 교회가 가르치는 것 무엇이든지에 동의하는 것은 명백한데, 이와는 달리, 만약에, 교회에 의하여 가르쳐지는 것들 중에서, 그가 품기 위하여 자신이 선택한 바를 품고, 그리고 자신이 거부하기 위하여 자신이 선택한 바를 거부한다면, 그는 어떤 무류의 규정에 관하여 교회의 가르침에 충실한 것이 이미 결코 아니고, 자신 고유의 의지에 충실한 것입니다. 따라서 믿음의 한 개의 조항을 완강하게(obstinately) disbelieves(거부하는) 이단자는 모든 것들에 있어 교회의 가르침을 따를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그러나 만약에 그가 완강하지 않다면, 그는 이미 이단(heresy)에 있는 것이 아니고 오로지 오류(error)에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그러므로 한 개의 조항에 관련하여 그러한 [즉 완강히 거부하는] 이단자는 다른 조항들에 대한 믿음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러나 오로지 자신 고유의 의지에 따라서 견해(opinion)의 한 종류를 가지고 있을 뿐임은 분명합니다.

-----
(*) 번역자 주: "종(種, species)"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0.htm

(**) 번역자 주: "첫 번째 진리(the First Truth)"의 정의(definition)와 "오류(error)"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5.htm
-----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3-1: (중간 결론 4)
따라서, 지금까지 제2항제3항에서 살펴본 바로 부터 우리는 다음을 알 수 있다:

(i)
특히 위의 사전 설명에 의하면 "disbelief" 라는 단어는 17세기 후반부에 와서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고 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또한 13세기에 저술된 성 토마스 아퀴나스라틴어본 신학 대전 본문에서도 이 단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점[주: 단, 위의 제 1항(**) 게시자 주에 있는,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또한 확인할 수 있는, 한 개의 문항에서 단 한 번 사용됨]에 비추어 볼 때에, 그리스도교 신학적으로, 13세기에 이르기까지 이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을 사용할 필요성이 별로 없었을뿐만이 아니라, 심지어 17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도, 그리스도교 신학적으로, 적어도 지중해 지역 및 유럽 지역에서 이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을 사용할 필요성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었다고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ii) "unbelief"는, 이 단어의 주된 의미 이외에, 전후 문맥에 따라 "의심", "의혹", "회의", "불확실", "불신", "우려", "두려움" 등의 느낌을 전달할 수 있음과, 그리고 "disbelief" 는, 이 단어의 주된 의미 이외에, 전후 문맥에 따라, "무신론", "자연신론", "거절", "일축" 등의 느낌을 전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들 두 단어들의 애초의 의미는 지금까지도 잘 보존되고 있다.

(iii) "disbelief""거부(拒否)"로 번역하고 "unbelief""불신(不信)/회의(懷疑)"로 번역하기로 한다.

3-3.
[참고 자료] 다음의 사전은, 비록 Merriam 이라는 이름이 또한 함께 붙어있지 않기에, 위의 제3-1항의 사전들에 비하여 그 권위가 떨어지나, 위의 제3-1항의 사전들의 주어진 설명을 읽고 이해할 때에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3-1. 다음은 Webster's Revised Unabridged Dictionary 1913 에 주어진 "unbelief"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glossarium.info/dict__web1913/search__unbelief.html

(발췌 시작)
Unbelief
\Un`be*lief"\, n. [Pref. un- not + belief: cf. AS. ungele['a]fa.]
1. The withholding of belief ; doubt; incredulity; skepticism [1. 믿음에 대한 보류; 의심; 쉽사리 믿지 않음; 회의]. [ 2. Disbelief; especially, disbelief of divine revelation, or in a divine providence or scheme of redemption [2. 마음의 거부; 특히, 하느님의 계시에 대한, 혹은 어떤 하느님의 섭리에 있어 혹은 구속 계획에 있어, 마음의 거부]. Blind unbelief is sure to err, And scan his work in vain. --Cowper. Syn: See {Disbelief}.
(이상, 발췌 끝).

3-3-1. 다음은 Webster's Revised Unabridged Dictionary 1913 에 주어진 "disbelief"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glossarium.info/dict__web1913/search_disbelief.html

(발췌 시작)
Disbelief
\Dis*be*lief"\, n.
The act of disbelieving;; a state of the mind in which one is fully persuaded that an opinion, assertion, or doctrine is not true; refusal of assent, credit, or credence; denial of belief. [어떤 자가 그 안에서 어떤 견해, 주장, 혹은 교리가 참이 아니라고 충분하게 설득되는 마음의 어떤 상태; 동의, 신용, 혹은 신임에 대한 거부; 믿음에 대한 부정(거부).] Our belief or disbelief of a thing does not alter the nature of the thing. --Tillotson. No sadder proof can be given by a man of his own littleness that disbelief in great men. --Carlyle. Syn: Distrust; unbelief; incredulity; doubt; skepticism. -- {Disbelief}, {Unbelief}. Unbelief is a mere failure to admit; disbelief is a positive rejection. [unbelief 는 인정하는 데에 있어 어떤 불이행에 불과하나, disbelief[마음의 거부]는 어떤 명확한 거부를 말한다]  One may be an unbeliever in Christianity from ignorance or want of inquiry; a unbeliever has the proofs before him, and incurs the guilt of setting them aside. [누구든지 무지 혹은 탐구의 결핍 때문에 그리스도교에 대한 한 명의 unbeliever일 수도 있다; unbeliever는 자신 앞에 있는 증거들을 가지며, 그리하여 증거들을 무시함이라는 죄를 초래한다.]   Unbelief is usually open to conviction; disbelief is already convinced as to the falsity of that which it rejects. [unbelief 는 통상적으로 설득에 열려 있으나, 그러나 disbelief[마음의 거부] 는 그것이 거부하는 바로 그것의 허위에 관하여 이미 확신하고 있다.] Men often tell a story in such a manner that we regard everything they say with unbelief. Familiarity with the worst parts of human nature often leads us into a disbelief in many good qualities which really exist among men.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4. (이 글의 결론들)
위에서 이미 말씀드린 네 개의 중간 결론들뿐만이 아니라, 지금까지 고찰한 바로부터, 우리는 다음의 결론을 도출합니다:

(i) "거부(disbelief)" "불신/회의(unbelief)"이나,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즉,

(ii) 오로지 "불신자/회의자(unbelievers)들" 중에서만 "거부자(disbelievers)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iii) "믿음(faith, 신덕)에 대한 거부" "믿음(faith, 신덕)에 대한 불신/회의"이나,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즉,

(iv) 오로지 "믿음(faith, 신덕)에 대한 불신자/회의자들" 중에서만 "믿음(faith, 신덕)에 대한 거부자들"이 있을 수 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n.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18시간 (자료 분석 포함)

==================== 

<< 부 록 >>

 이 글은 아래의 제192343번 글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정신이 아주 깨끗할 때 꼭 읽어 보겠습니다. 지금은 밤이라 집중하기가 힘들어서...ㅠㅠ...좋은 주말 되세요. 고맙습니다.]     
 
<----- + 찬미 예수님! 이전의 글을 읽고 이해가 잘 되지 않으셨던 분들께서는 굳이 클릭하여 꼭 읽지 않으셔도 됩니다. 읽으라고 강요하는 권한은 누구에게도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자신의 자녀들도 부모 뜻대로 되지 않는데, 어떻게 다른 분들을 강요할 수 있겠는지요? 또 굳이 강요까지 할 생각도 전혀 없습니다.   
 
 기껏해야, "권고"일 뿐입니다.   
 
 불신(不信) distrust;disbelief;discredit;unbelief;lack of confidence,
 출처 : http://endic2009.naver.com/endic.nhn?docid=2386430   
 
 회의(懷疑) doubt;skepticism;incredulity;unbelief;disbelief,
 출처: http://endic2009.naver.com/endic.nhn?docid=2940440   
 
 그리고 간혹이겠지만, 자신 고유의 지성만으로는 자신이 사실은 회의자인지 불신자인지, 혹은 거부자인지 구분이 잘 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세속의 사전들에서의 정의(definition)와 다를 수도 있는, 성 토마스의 신학대전 및 이 신학대전의 입문서인 "신학대전여행" 에 주어진 "unbelief"라는 신학적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위의 글에 있습니다.   
 
 약간의 용어 설명을 각주로서 추가하였습니다.   
 
----------
다른 분 A의 한줄답변:

대표적인 크리스챤 님들이 올리는 글들을... 믿음-사랑-희망의 향주3덕에 기반해서 읽고... 함께 나누려 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아무런 약이 없으니...    
----------
 
<----- A 형제님께서 정확하게 잘 보셨다는 생각입니다. 세속의 사전들에 주어진 이런 저런 단어들이 나타내는 세속의 개념들의 "포로"들이 생각보다도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
다른 분 B의 한줄답변:

소형제님이 올리신 글 중 [회의]에 대한 내용은 본문에 없으나 소형제님께서 의도적으로 삽입하였다 는 문제제기가 있고 번역 또한 의역이 심한 부분이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다시한번 살펴보셔서 만약 실수가 보이시면 수정하시면 좋겠습니다. 늘 좋은 자료와 말씀 감사합니다.^^    
----------
 
<----- 제가 전달해드리고 있는 글 중의 우리말 단어들 "불신" 혹은 "회의"를, 국어 사전 혹은 한자 사전에 주어진 의미로 이해하려고 하면 이해가 잘 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제 글에서의 "불신", 혹은 "회의"라는 단어들은 번역 이전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야만 하는, "번역 용어"들이기 때문입니다. 지금 이 지적이 이해가 되지 않는 분들은, 생각을 좀 많이 하셔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제 번역은 직역 번역이며, 따라서, 제가 의역한 것 전혀 없습니다. 
 
----------
다른 분 A의 한줄답변:

소 형제님도 믿음-사랑-희망의 철학과 반대되는 불신-증오-회의의 철학으로 같은 교우님들을 대하는 분들을 좀더 세밀하게 가리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   
 
----------
다른 분 B의 한줄답변:

소 형제님 의견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지적하신 분과 그 지적에 동의하신분은 12번째 단락에서 회의로 해석이 될만한 단어가 없는데 소 형제님이 넣으셨다고 하고 그렇게 불신과 회의를 동일시 하는것은 커다란 오류다 라고 했습니다. 형제님의 귀한 애씀이 가치가 절하되서는 안되니 수고스럽겠지만 다시한번 살펴주시면 어떨런지요^^    
----------
 
<----- B 형제님, "unbelief" 를 "불신/회의"로 번역하였으니, "unbeliever"는 "불신자/회의자"로 번역한 것 뿐입니다. 여기서 "불신자/회의자"들이 어떤 자들을 말하는지는 이전의 항들에서 설명되어 있습니다. 자신의 생각/의미로 그 문장만을 들여다 보면서 뭐라고 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그 위에 정의된 의미대로 이해하지 않는 것은 의도적이라는 생각입니다. 동일시??? 언제 제가 동일시하였는지요?   
 
 제1항에서 정의되고 있는 "unbelief" 에 대한 우리말 번역 표현으로서 "불신/회의"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므로, 제1항에 주어진 "unbelief"의 정의(definition)에 근거하여 그 아래에 있는 항들에 등장하는 "불신자/회의자" 의 의미가 정해지는 그런 구조입니다. 따라서, 제12항은 국어 사전에 주어진 불신자, 회의자 단어들의 의미에 근거하여 번역한 문장이 아닙니다.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시간을 보내는 분들이야 별 소리도 다 할 것이기만, 제가 올려드린 위의 글은, 철저하게 논리적으로 연결된 유기적인 구조의 약600여개에 달하는 "신학대전"의 문항들 중의 한 개의 문항의 주된 부분과 내용적으로 일치하면서 대응하는 글의 우리말 번역문이므로,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저의 개인적인 생각/의도 등이 들어가서는 안됩니다. 오로지 최대한도의 직역 번역으로 원문의 내용 그대로를 전달해야만 합니다.   
 
 제1항에서, "믿음(faith, 신덕)에 대한 진리들을 듣는 것을 거부하거나 혹은 이들 진리들을 경멸하는 것"을 "unbelief"라고 정의하고 있기에, 따라서, "믿음(faith, 신덕)에 대한 진리들을 듣는 것을 거부하거나 혹은 이들 진리들을 경멸하는 자"가 "unbeliever" 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바로 위의 한줄답변에서 "unbelief" 를 "불신/회의"로 대체하고, "unbeliever"를 "불신자/회의자"로 대체하기만 하십시오.    
 
[제가 형제님의 글을 자세히 보기 전에 문형제님의 글을 읽었습니다. 12번은 잘못된 번역입니다. 아무리 직역이라해도 잘못 번역하실 수 있으니 신중에 신중을 기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불신과 회의는 동격화할 수 없다 생각합니다. 아뭏든 올려주신 글로 많은 것을 생각해보아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위에서 이미 말씀드렸지만, 전혀 제가 동격화하지 않았는데요...    
 
[그런데 그렇게 보여요. 불신/회의 라고 하셨으니까요.]    
 
[아주 쉽답니다. 오해할만한 것은 수정하면 되요.]     
 
<----- 12. 유다인들과 "믿음(faith, 신덕)에 대한 진리들을 듣는 것을 거부하거나 혹은 이들 진리들을 경멸하는 자"들의 자녀들은 그들의 부모들의 의지에 반하여 세례를 받는 것을 못하게 하여야 합니다.    
 
[회의(unbelief)라고 하셨잖아요. 회의(doubt or skeptism)해야죠.    
 
[아닙니다. 잘못된 해석입니다. 영문학 전공하신 분께 여쭈어보았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보여요. 불신/회의 라고 하셨으니까요.]

<----- 자매님께서 그렇게 보는 것은 자매님께서 그러는 것입니다. 바로 위의 한줄답변이 위의 본글에서의 제12항과 동일한 문장입니다.    
 
[네 그럴수도 있어요. 하지만 일반적인 사람의 눈에는 그렇게 보여요. 그것을 이해하지지 못한다면 할 수 없고요.]     
 
[밤이 늦었습니다. 또 다른 이야기는 내일로 미루고 안녕히 주무세요. 내일 거룩한 주님의 날을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맞으시기를 기도 드립니다.]     
 
<----- "unbelief" = "불신/회의" 라고 번역하면서 그 정의가 또한 주어져 있기에, 세속의 사전의 의미의 적용 대신에, 전달해드리는 제 글중에서 주어지고 있는 "unbelief"의 정의(definition)를 적용하여야 합니다.    
 
[네 그럴수도 있어요. 하지만 일반적인 사람의 눈에는 그렇게 보여요. 그것을 이해하지지 못한다면 할 수 없고요.]

<----- 자신의 판단을 먼저 내세우기 전에, 읽는 글의 본문에서 무슨 소리를 하고 있는지 잘 들여다 보십시오.    
 
[왜 unbelief에 회의라는 의미까지 넣었는지 설명해주세요.]    
 
[본인의 번역이 완벽하다고 생각하시지는 않으시지요?]    
 
[아닙니다. 잘못된 해석입니다. 영문학 전공하신 분께 여쭈어보았습니다.]

<----- 그분이야 세속의 학문 중의 한 분야의 전공자이죠. 세속의 영어 사전만을 사용하여 가톨릭 교회가 사용하는 신학적 의미를 가진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    
 
[왜 unbelief에 회의라는 의미까지 넣었는지 설명해주세요.]

<----- 넣은 것 없습니다.    
 
[본인의 번역이 완벽하다고 생각하시지는 않으시지요?]

<----- 제가 언제 그랬습니까?    
 
[믿는 분이세요.]  
 
[이제 정말 그만하고 싶습니다. 안녕히 주무세요.]     
 
<----- 이제 엉뚱한 말씀을 하기 시작하시는데, 위에 제가 드린 한줄답변들을 잘 읽어 보십시오.    
 
[알겠습니다. 원래 제가 엉뚱한 말을 잘 하는 편입니다. 생각이 중구난방이예요. 이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본문 글로 제가 이해하기 쉽게 한 번 올려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중간 중간 저의 의견과 대화가 있으니 형제님의 글 전달이 제게 잘 되지 않아요. 죄송합니다.]     
 
<----- 위의 본글의 제1항에서, "unbelief" <-----> "불신/회의" 라고 번역하였기에, "불신/회의" = "믿음(faith, 신덕)에 대한 진리들을 듣는 것을 거부하거나 혹은 이들 진리들을 경멸하는 것" 이지, 다른 의미 없습니다.    
 
[그리고 본문 글로 제가 이해하기 쉽게 한 번 올려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중간 중간 저의 의견과 대화가 있으니 형제님의 글 전달이 제게 잘 되지 않아요. 죄송합니다.]

<----- 저 위에서 제가 다음과 같이 말씀드렸습니다:   
 
 + 찬미 예수님! 이전의 글을 읽고 이해가 잘 되지 않으셨던 분들께서는 굳이 클릭하여 꼭 읽지 않으셔도 됩니다. 읽으라고 강요하는 권한은 누구에게도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자신의 자녀들도 부모 뜻대로 되지 않는데, 어떻게 다른 분들을 강요할 수 있겠는지요? 또 굳이 강요까지 할 생각도 전혀 없습니다. 기껏해야, "권고"일 뿐입니다.    
 
[제 1항에서 그러면 왜 unbelief를 불신/회의 라고 번역하셨어요? 회의라는 말은 진리를 의심해보는 것이지 거부하거나 진리를 경멸하는 것이 아닌데...원 의도를 알고 싶습니다. 왜 unbelief를 불신/회의 라고 번역하셨는지요?]    
 
[권고라는 말대신 그저 도움이라는 말로 대체하시면 좋겠습니다. 권고는 마치 진리를 알고 있는 사람이 진리를 모르는 이를 다그쳐서 꼭 들어 알게 해야한다는 그런 뉘앙스가 느껴져요. 저만의 이해일수도 있습니다만...]    
 
[권고라는 말대신 그저 도움이라는 말로 대체하시면 좋겠습니다. 권고는 마치 진리를 알고 있는 사람이 진리를 모르는 이를 다그쳐서 꼭 들어 알게 해야한다는 그런 뉘앙스가 느껴져요. 저만의 이해일수도 있습니다만... ]


<----- 그럼, 그것마저 좋을대로 생각하고 무시하십시오. [추가] 그 표현 앞의, "기껏해야" 하는 표현은 왜 잘라내어 버리고 "권고" 소리만 합니까?   
 
[왜 unbelief를 불신/회의 라고 번역하셨는지요?]

<----- 간단합니다. 제 능력으로는, 위의 제1항에 주어진 "unbelief"의 정의(definition)를 100% 전달하는 신조어를 만들 능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차선책으로 제가 택한 표현이 바로 "불신/회의" 라는 번역 표현인 것이지, 이 번역 표현에서 단지 사용 중인 "불신" 이나 "회의"를 뜻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혹은, 일부 영어 사전들에서는 동의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가 "불신"을 "회의"와 동일시한다는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제가 번역 작업시에 수시로 들여다 보는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unbelief 단어의 설명에 대하여 전혀 말씀을 드리지 않았는데, 왜 말씀을 드리지 않았는가 하면, 위의 본글의 제1항에 또한 "unbelief"의 정의(definition)가 주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unbelief"의 사전적 설명이 궁금하지 않으신지요? 다음과 같습니다:    
 
 unbelief: withholding of belief (믿음에 대한 보류) : incredulity or skepticism especially in matters of religious faith (특히 종교적 믿음의 사안들에 있어 쉽사리 믿지 않음 혹은 회의) [주: 괄호 안은 저의 졸번역입니다]    
 
 위의 설명이 "불신"이라는 우리말 단어의 의미에 가깝습니까? 아니면 "회의"라는 우리말 단어의 의미에 가깝습니까?    
 
 제가 볼 떄에, 위의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에 주어진 "unbelief"의 의미가 우리말 단어인 "회의"에 가깝다는 생각입니다. 그러면, 이러한 의미로 언제, 어느 시기에 사용되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지요? 다음의 출처에 있는 여러 사전들을 들여다 보면, 12세기라고 합니다.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13세기에 살았습니다:    
 
 unbelief : noun Date: 12th century incredulity or skepticism especially in matters of religious faith   
 
 출처: http://www.glossarium.info/dict__global/search__unbelief.html    
 
 그러니까, 12세기에 "unbelief"라는 단어가, 특히 종교적 믿음의 사안들에 있어(especially in matters of religious faith), 거의 우리말 단어 "회의"의 의미에 가깝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사전적 설명은 위의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과 동일합니다.   
 
 그러나, 위의 본글의 제1항에서 주어지고 있는 "unbelief" 라는 용어의 정의는 이것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만약에 위의 본글을 마련하면서 우리말 번역 시에, 위의 사전들의 설명대로, 고어 단어인 "unbelief""회의" 로만 번역하였더라면, 여러분들의 반발은 아마도 더 클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아니었을까요?    
 
 우리말 번역시에 자주 직면하는 적절한 우리말 번역 용어의 선정과 관련한 "이러한" 종류의 저의 고민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저의 몫이기에, 바로 위의 한줄답변들에 대하여 굳이 관심까지 가지면서, 섣불리 이러쿵 저러쿵 판단/재단까지 하지는 말아 주십시오. 부탁드립니다.    
 
[회의라는 말은 진리를 의심해보는 것이지 거부하거나 진리를 경멸하는 것이 아닌데...원 의도를 알고 싶습니다.]

<----- 이것도 자의적인 주장입니다. 위의 본글의 제1항을 잘 읽어 보십시오: 1. 믿음(faith, 신덕)에 대한 진리들을 듣는 것을 거부하는(refuses), 혹은 이들 진리들을 경멸하는(despises), 한 인격(a person)의 불신(不信)/회의(懷疑)(unbelief)는 한 개의 죄(a sin)입니다.   
 
 분명히, "믿음(faith, 신덕)에 대한 진리들을 듣는 것을 거부하는(refuses), 혹은 이들 진리들을 경멸하는(despises), ..." 이라는 앞에 표현이 있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수식하는 부분은 생략하면서, 왜 [회의라는 말은 진리를 의심해보는 것이지 거부하거나 진리를 경멸하는 것이 아닌데...원 의도를 알고 싶습니다.] 라고, 무슨 저의 때문에, 왜곡을 시도합니까?    
 
[원래 제가 엉뚱한 말을 잘 하는 편입니다. 생각이 중구난방이예요. 이건 사실입니다...^^]

<----- 사실이라고까지 하면서, 자랑할 만한 처신은 못될 것입니다.    
 
 더 나아가, 혹시 "disbelief""unbelief(불신/회의)"의 차이점은 궁금하지 않으신지요?    
 
 소순태 (sunsoh) (2012/10/09) : 위의 본글에 약간의 우리말 번역문을 추가하였습니다.    

(이상, 부록 끝).

 



1,314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