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가톨릭 구원론에 있어 궁금증 [교리용어_구원] [성경용어_구원]

인쇄

. [39.118.118.*]

2012-11-24 ㅣ No.1299


질문:

성경에 보면 주 예수를 믿어라 그리하면 너와 너희 가족이 구원을 받으리라(사도행전 16,31: “주 예수님을 믿으시오. 그러면 그대와 그대의 집안이 구원을 받을 것이오.”)

이 말씀을 두고 세례를 받은 사람들은 이미 구원을 받았다고 하는데 구원이란 모든 죄를 사함 받았을 때에 가능한 것이라고 했으니 사람이 살아 있는 한 죄는 진행형인데 어떻게구원이 되었다고 하겠는가?

 

아마도 내 생각으로는 세례당시 이전의 모든 죄를 특별히 죄 사함을 받았기에 즉 이 시점으로 볼 때는 구원받았다는 게 가능하겠지만 여전히 죄를 짓고 살면서 구원받았다고 주장 할 수가 있는 것일까?

 

그러면 부름을 받은 사람은 많지만 뽑히는 사람은 적다(마태오 복음서 22,14: “사실 부르심을 받은 이들은 많지만 선택된 이들은 적다”)하시니 믿기만 하면 다 구원받는다(루카 복음서 8,50: “두려워하지 말고 믿기만 하여라. 아이는 구원을 받을 것이다.” 참조)는 말씀과 는 어떠한 해석이 합당할까? 부름을 받았다는 건 세례에 절차가 끝난 사람일터인데 뽑히는 사람 이 적다는 말씀?

 

주여 주여한다고 다 하늘 나라에 다 가는 건 아니다(마태오 복음서 7,21: “나에게 ‘주님, 주님!’ 한다고 모두 하늘 나라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행하는 이라야 들어간다.") 내 뜻을 실천하는 사람만이 갈 수 있다(마태오 복음서 21,31: “이 둘 가운데 누가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였느냐?” 그들이 “맏아들입니다.” 하고 대답하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세리와 창녀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간다." 참조)  하셨습니다,

주여 주여할 정도면 성령에 이름으로 세례 받은 사람임에는 틀림없는 사람인데 믿기만 하면 구원된다고 구원 받았다고 하는 주장과는 이해하기 어려운 생각이 듭니다

 

내 생각으로는 세례당시에 구원상태가 삶속에서 죄로 인하여 구원상태가 완전하게 지속될 수가 없기에 끈임 없는 노력과 주님에 관용으로 구원이 완성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아시는 분은 좀 더 알기 쉽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답변:

+ 찬미 예수님

1. 우선, 형제님께서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또한 이미 말씀하신,

"세례 당시에 구원 상태가 삶속에서 죄로 인하여 구원 상태가 완전하게 지속될 수가 없기에 끈임 없는 노력과 주님에 관용으로 구원이 완성되는 것이다"

라는 문장이, "가톨릭 교회가 전통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구원관"을 간략하게 참 잘 요약 표현하셨다는 생각입니다.

2. 다른 한편으로, 위의 결론뿐만이 아니라, 그 이전의 문장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원"이라는 용어는, 영어로 "salvation"으로 번역되고 있는, 번역 용어입니다.

따라서, 세속의 영한 사전들, 국어 사전들 혹은 한자 자전들에 주어진 "구원"이라는 한자어 명사의 의미만으로는, 지중해 지역에서 기록된 성경 본문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의 우리말 번역 용어인, "구원"이라는 번역 용어가 가지고 있는 적어도 네 개의 서로 의미들에 대하여 결코 제대로 이해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는, 예를 들어, 지중해 지역 문화권에서 처음 등장한 개념을 나타내는 "ABC" 라는 용어를 "ㄱㄴㄷ" 라는 우리말 표현으로 바꾸는 번역 작업만으로는, 이러한 번역 작업 과정 자체가 "ABC" 라는 단어가 나타내고 있는 의미를, 또한 자동적으로, 온전하게 잘 전달해 주는 것이 결코 아니기 때문입니다.

2-1.
다음은, 예를 들어, "네이버 영어사전"에 주어진 "salvation"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endic2009.naver.com/endic.nhn?docid=1001340

(발췌 시작)
sal·va·tion〔L 「구하다」의 뜻에서〕 n.

1  구제, 구조
   the company’s salvation from bankruptcy 회사를 파산에서 구제하기
2 구제물;구제 수단;구제자
   be the salvation of …의 구제 수단이 되다, …을 구제하다
3  【신학】 구원, 구세; 구세주
(이상, 발췌 끝)


2-2. 그리고 다음은, 위의 영한사전에서 설명하는 단어로 사용하고 있는, "구원(救援)"이라는 우리말 단어에 대한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입니다:

출처: http://124.137.201.223/search/View.jsp

(발췌 시작)
구원(救援)

「1」어려움이나 위험에 빠진 사람을 구하여 줌. ≒구증03(救拯).

「2」『기독교』인류를 죽음과 고통과 죄악에서 건져 내는 일.
(이상, 발췌 끝).

2-3. 그리고 다음은, 예를 들어, "네이버 한자사전"에 주어진 "救援(구원)"이라는 한자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hanja.naver.com/word?q=救援

(발췌 시작)
救援

①어려움에 처하여 있는 사람을 도와서 건져줌
②인류(人類)를 죄악(罪惡), 고통(苦痛), 죽음에서 건져내어 천국(天國)(*)에 가게 함
(이상, 발췌 끝).

-----
(*) 게시자 주: 여기서 말하는 "천국(天國)"이 어디에 있는 혹은 어떤 상태인지와 관련하여, (i) 예수 그리스도께서. 지상에 있는 죄인들의 구원(救援)을 위하여, 지상에 개시하신 "하늘 나라(the Kingdom of Heaven, 즉, 천국)"를 말하는 것인지, 혹은 (ii) 이와는, 예수 재림의 날까지, 결코 동일하지 않은, 죽은 자들의 영혼들 중의 일부가 예수 재림의 날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들 중의 하나인, "하늘(heaven, 천당)"을 말하는지 분명하지가 않다.
-----

2-4. 다음은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에 주어진 "salvation" 이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특히, 바로 위의 "표준국어대사전" 혹은 "한자사전"과는 달리, 이 단어가, 크게 여섯 개의 구분되는 다른 의미들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mw/u_d.htm

(발췌 시작)
sal·va·tion   

Function: noun
Inflected Form(s): -s
Etymology: Middle English salvacioun, sauvacioun, from Old French salvation, sauvation, from Late Latin salvation-, salvatio, from salvatus (past participle of salvare to save) + Latin -ion-, -io -ion -- more at SAVE
1 : the saving of man from the power and effects of sin: as a : his deliverance from the condition of spiritual isolation and estrangement to a reconciled relationship of community with God and fellowmen : redemption from spiritual lostness to religious fulfillment and restoration to the fullness of God's favor b : redemption from ultimate damnation through divine agency c : the deliverance of the soul from sin or the spiritual consequences of sin : the saving of a person's soul from eternal punishment and its admission into heavenly beatitude
2 : liberation from ignorance or illusion : deliverance from clinging to the phenomenal world of appearance and final union with ultimate reality <salvation in Hinduism implies deliverance from samsara>
3 Christian Science : the realization of the supremacy of infinite Mind over all bringing with it the destruction of the illusion of sin, sickness, and death
4 : preservation especially from destruction, disintegration, or failure : final deliverance especially from dangers, difficulties, or deficiencies <salvation from alcoholism -- H.C.Webster> salvation through hard work -- W.H.Whyte> salvation from the evils and dangers of the times -- H.J.Morgenthau>
5 : the agent, the means, or the course of spiritual experiences determining the soul's redemption salvation> salvation>
6 : something that saves or delivers from danger or difficulty : the source, cause, or means of preservation salvation -- T.H.Fielding> salvation of the primates -- Weston La Barre> 
(이상, 발췌 끝)

2-5. 그리고 다음은 "Merriam-Webseter's Collegiate Encyclopedia"에 주어진 "salvation"이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타 종교들에 있어 "구원"과 관련한 설명이 주어지고 있는데,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발췌 시작)
salvation

In religion, deliverance from fundamentally negative conditions, such as suffering, evil, death, or samsara, or the restoration or elevation of the natural world to a higher, better state. Eastern religions tend to stress self-help through individual discipline and practice, sometimes over the course of many lifetimes, though in Mahayana Buddhism bodhisattvas and certain buddhas may act as intervening divine agents. In Christianity, Jesus is the source of salvation and faith in his saving power is stressed. Islam emphasizes submission to God. Judaism posits collective salvation for the people of Israel.
(이상, 발췌 끝).

3. 그러므로, 번역 용어"구원(salvation)"의 의미가 국내 그리스도교 신자들 (주: 여기에는 자신의 신앙 생활에 있어 한국 말을 주된 언어로 사용하는 가톨릭 신자와 개신교 신자들 모두를 포함함) 사이에서, 사용자마다 다른 의미를 가질 수도 있기에, 말씀하시는 바와 같은 일종의 "사고의 혼란"이 국내 그리스도교 내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특히 가톨릭 신자들에게는, 이 번역 용어의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정의(definition)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다음은, 이전의 필자의 졸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9.htm <----- 필독 권유

3-1. 다음은 St. Joseph 판 NAB 의 부록인 Bible Dictionary에 주어진 "Salvation, Savior" 에 대한 설명입니다:
 
SALVATION, SAVIOR. Inasmuch as the terms express redemption (cf. REDEMPTION) and appear as a cause of salvation, the Hebrew uses one word: Yacha, which means to be generous, to deliver from slavery or from distress. This term in the Old Testament expresses the Work of God, assuring the deliverance of his people as a whole (Hos 5, 13; Is 31, 1; Ps 33, 16-17) and then personal salvation (Ps 51, 14) - the whole bound up in the messianic and eschatological perspective. This term provides the substantive "machia," translated as Savior (Is 45, 21). In the New Testament, the term is employed very frequently for a cure, the health of the body, but often, in connection with faith, of the soul (Mk 5, 34; Lk 8, 48; 18, 42). Thus, the work of the New Testament even in its temporal action is entirely oriented towardd the work of spiritual salvation, of remission of sins (Lk 17, 19) and the liberation from the servitude that sin brings to man (Mt 1, 21; Lk 1, 77; Act 5, 31 etc.) and leading the Christian to his highest destiny (Rom 1, 16; 5, 9-10; 1 Cor 15, 2; Jas 1, 21). This work will be definitely manifested at the last judgment (Rom 8, 22-25).
 
SALVATION, SAVIOR. 이 용어들이 속량(redemption)을 표현하고 [속량(REDEMPTION, 구속)을 참조하라] 그리고 구원(salvation)의 어떤 원인(a cause)인 한, 히브리인들은 Yacha 라는 한 개의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 단어는 관대하다(be generous), 노예 상태로부터 혹은 고통(distress)으로부터 구출하다(to deliver)를 뜻합니다. 구약 성경에 있어 이 용어는, 메시아적 및 종말론적 관점과 밀접하게 관계가 있는, 전체로서 당신의 백성의 구출을 보증하는(호세아 5,13; 이사야 31,1; 시편 33,16-17) 그런 다음에 개인의 구원(시편 51,14)을 보증하는, 하느님의 위업(the Work of God)을 표현합니다. 바로 이 용어가 구원자(Savior)로 번역이 되는, 명사적(substantive) "machia" 를 제공합니다 (이사야 45,21). 신약 성경에 있어 이 용어는 어떤 치유, 몸의 건강을 위하여 매우 자주 사용되나, 그러나, 가끔은, 믿음(faith)과 관련하여, 영혼의 건강을 위하여 사용됩니다 (마르코 5,34; 루카 8,48; 18,42). 따라서, 신약 성경에 있어서의 일(work)은, 심지어 그 일시적 행위에 있어서도, 전적으로 영적 구원(spiritual salvation)의 일, 죄들의 사함(루카 17,19) 및 죄가 사람에게 가져온 노예 상태로부터의 해방의 일 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으며 (마태오 1,21; 루카 1,77; 사도행전 5,31 등.) 그리하여 그리스도인을 그의 가장 높은 운명(destiny) 쪽으로 이끕니다 (로마 1,16; 5,9-10; 1코린토 15,2; 야고보 1,21). 이러한 일은 최후의 심판에서 결정적으로 분명하게 나타내어질 것입니다 (로마 8,22-25).
 
3-2. 다음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alvation" 용어의 설명입니다. 이 사전에 주어진 설명이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에 있어 "구원"이라는 번역 용어의 네 개 의미들을 대단히 잘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사전적 설명에 있는 네 개의 설명들 각각을 위의 질문 중에 있는 "구원(salvation)"이라는 단어에 대입한 후에, 전후 문맥 안에서 그 내용을 이해하려고 노력해 보십시오. 전후 문맥 안에서 그 내용 이해가 잘 되는 경우가 있고 또 그렇지 않을 경우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게시자 주: 특히, 아래의 사전적 설명에서, (iv)는, 소위 말하는, 영원한 구원(eternal salvation), 영원한 생명(eternal life)을 얻고자 할 때에 반드시 필요한, 그리스도교 신학에 있어 핵심 개념들인, 은총(grace)과, 소위 말하는, 적정 공로(適正功勞, condignity, meritum de condigno) 대하여 또한 비록 간략하나 그러나 대단히 구체적으로 명기하고 있는데, 바로 이 의미 아래에서, 위의 제1항에서 결론으로 언급되고 있는 명제가 비로소 참(true)임에 특히 주목하십시오.
 
SALVATION

In biblical language the deliverance from straitened circumstances or oppression by some evil to a state of freedom and security. As sin is the greatest evil, salvation is mainly liberation from sin and its consequences. This can be deliverance by way of preservation, or by offering the means for being delivered, or by removing the oppressive evil or diffculty, or by rewarding the effort spent in co-operating with grace in order to be delivered. All four aspects of salvation are found in the Scriptures and are taught by the Church. (Etym. Latin salvare, to save.)
 
구원(SALVATION)
 
성경의 언어에 있어 어떤 악(some evil)에 의한 부자연스러운 여건들 혹은 억압(strained circumstances or oppression)으로부터 자유 및 안전(freedom and security)의 어떤 상태로의 구출(deliverance)을 말합니다. 죄(sin)는 가장 커다란 악이기에, 구원은 주로 죄와 그 결과들로부터의 해방(liberation)을 말합니다. 이것은 (i) 예방(preservation)의 방식에 의한, 혹은 (ii) 구출되는 수단의 제공에 의한, 혹은 (iii) 억압하는 악(evil) 혹은 어려움의 제거에 의한, 혹은 (iv) 구출받기 위하여 은총(grace)과의 상호 협조에 소비된 노력에 대한 상을 줌(rewarding the effort)에 의한, 구출(deliverance)일 수 있습니다. 구원에 대한 네 가지 양상들 모두는 성경의 본문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그리고 교회에 의하여 가르쳐지고 있습니다 (어원: Latin salvare, to save.).
-----

4. 따라서, 성경 본문의 어느 특정 구절에서 사용 중인 "구원"이라는 번역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다르게 이해하고 있는 분들이 "구원"에 대하여 대화를 할 경우에는 상당한 오해와 그리고 갈등이 야기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3항[제목: 일시적 및 영원한 구원]을 읽어 보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9.htm <----- 필독 권유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2시간


 


1,313 5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