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1월8일 복녀 마리아 사텔리코♬Brother Sun and Sister Moon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7-06-08 ㅣ No.2004

 

Den salige Maria Satellico.

Portrett malt av Cavalier Valery i 1746.

 

축일:11월8일
복녀 마리아 사텔리코
Beata Maria Crocifissa Satellico Clarissa
(Venezia, 9 gennaio 1706 – Ostra Vetere (Ancona), 8 novembre 1745 )
Den salige Maria Satellico
Bl. MARIA CRUCIFIED SATELLICO
Born:31 December 1706 at Venice, Italy as Elisabetta Maria Satellico
Died: 8 November 1745; buried at the Church of Saint Lucy in Ostra Vetere
Beatified: 10 October 1993 by Pope John Paul II
Canonized : pending

 

 

복녀 마리아  사텔리코는 1706년 이태리 베니스에서 태어났으며
1745년 귀천하였다.
1993년 요한바오로2세 교황에 의해 시복되었다.

 

 

 

제주성글라라수도회 홈에서

 

우리 수도회의 영성
성 클라라 수도회는 아시시 성 프란치스코의 정신을 따라 성교회 안에서 거룩한 복음을 그대로 본받음을 생활양식으로 하고, 산 위에서 기도하신 그리스도를 모방하는 기도생활로써 하느님의 영원한 계획인 그리스도 신비체의 완성을 위해 봉헌된 관상 수도회이다. 성 클라라 수도회, 또는 가난한 자매 수도회라고 불리며, 프란치스코회의 제2회를 이루고 있다.

본 수도회의 생활양식이란 교회생활, 형제애, 가난, 관상이다.
우리 수도회는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고 성모 마리아의 발자취를 따라 성령의 정배가 되어 오직 하느님만을 소유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과 겸손, 삼위일체의 친교 안에 가족적 일치를 이루며,  “그리스도와 함께 하느님 안에 숨은 삶을 살아가는 봉쇄 안에서 말씀을 마음에 새기고 하느님께 그 마음을 두는 관상생활을 한다.
그러므로 “성자를 당신 마음에 꼭 들어하시는” 성부와 함께 산 위에서 관상 중에 계시는 그리스도(마태 17,5)를 본받아 증거하며 살아가는 관상 수도회이다.

침묵 안에 끊임없이 회개의 정신을 새롭게 하여 그리스도의 얼굴을 끊임없이 바라봄으로써 모든 사람과 사물과 모든 사건 속에 “거룩하시고 의로우신 아버지의 사랑과 자비를 발견하게 되어 찬미와 감사를 드린다.
이 찬미와 감사는 성체신비의 거행에서 절정을 이루며, 교회의 심장 역할을 다한다. 이로써 교회는 이 생명의 샘에서 한없이 새로워진다.
이렇게 자매들은 자신의 삶 전체로 온 누리의 찬미를  수행하며 다가오는 하느님 나라의 축제에 들어감으로써 하느님을 위해서 함께 일하는 일꾼이요, 그 영광스러운 몸의 연약한 지체들을 받치는 받침대가 된다.

 

▒ 복음적 교회생활
성녀 클라라는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에 절대 순명하며 교회에 종속됨을 근본가치와 이 성소의 주춧돌로 삼았다.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심장 안에 살면서 그리스도의 생명의 맥박이며 교회를 존재케 하고 유지시켜주는 전례, 특히 성체성사에 이 공동체생활의 중심을 두고 있다. 교회의 딸로서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와 같이 성체성사를 통해 한 빵을 나누어 먹음으로써 그리스도와 결합되고 그리스도의 생명과 사랑으로 그의 신비체인 교회의 전 지체와 일치함으로써 교회를 지탱시켜 나아가고, 특히 나약하고, 버림받고, 고통받는 지체들의 보조자로서 영적 봉사를 하는 것이 본회의 주요 소명이다. 이에 교회에 충성함으로써 교회의 어느 지체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는 교회정신과 완전히 일치하여 복음을 생활함을 기본원칙으로 한다.

 

▒ 복음적 형제애
성녀 클라라는 공동체 안에서 그리스도의 사랑을 거울삼아 상호 형제적 일치를 깊이 보존하며 복음 이상의 완성을 향해 나아감을 핵심으로 삼았다. 또한 이 심오한 자매적 일치를 이루는 사랑의 생활을 통해 그리스도와 일치되고 전 공동체가 하나되어 전 지체, 교회에 형제애 일치의 표징이 되고 활력을 주며, 이로써 누리는 기쁨은 복음적 생활의 결실이며 참의미를 지닌다. 이와 같이 자매애 안에 복음 정신은 구체화되고, 그리스도의 지체인 교회는 그리스도 사랑 안에 모두 하나되는 구원의 신비를 실현하게 된다.

 

▒ 복음적 가난
성녀 클라라에게 복음적 생활은 성령 안에서 참된 자유를 누리는 절대적 가난의 생활이다. 가난은 그 자체에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랑의 법에 의한 복음적 가난이다. 즉 구유에서 가난하게 나셨고, 십자가 위에서 맨 몸으로 달리신 가난한 주님께 대한 사랑 때문에 개인적으로만 아니라 공동체적으로 가난하신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생활로써 따름이 본 회의 영성에 근본을 이룬다.

순례자로서 단순과 겸손으로 온전히 주님께 의존하며 기쁜 마음으로 만물의 주인이신 하느님께로부터 필요한 모든 것을 받아 살아가는 가난한 자, 작은 자의 생활이다. 즉 모든 것은 은총이며 하느님의 선물임을 의식하는 성 프란치스코의 청빈(가난. 겸손)은 그리스도를 본받아 자신을 철저히 비우고 성령의 자유 안에서 하느님의 자녀된 참된 자유인으로서 이 세상에 집착하지 않고 장차 도래할 하느님 나라에 마음을 두고 모든 것의 원천이신 하느님께 절대적 신뢰 안에서 늘 감사하는 참된 의미의 복음적 가난이다.

 

▒ 복음적 관상생활
성녀 클라라의 복음적 생활양식은 관상이다. 봉쇄된 수도원 안에서 깨끗한 마음과 주님의 정신으로 철저하게 성령의 지시를 따르는 고요와 침묵의 기도 생활에 있어 산 위에서 기도하신 그리스도는 이 고요와 관상적 고독의 모범이다. 관상 중에 끊임없이 그리스도를 뵈옵고 추구하는, 특히 그리스도의 탄생, 수난과 죽음, 성체성사의 신비를 묵상하며 이 안에 나타난 하느님의 무한한 사랑과 우리의 아버지되심을 모든 것 위에 감사하며 기쁨과 평화 중에 끊임없는 찬미의 제물을 바치는 것이 본 회의 사도직이며 이는 하느님의 영원한 만민 구원계획과 영광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관상생활은 교회가 그 현존을 드러내기 위한 중요한 본질적 표징이 된다.

 

▒ 활동분야
우리의 사도직은 관상생활이며, 사도적 활동은 없다. 자급자족을 위한 한 수단으로 봉쇄 구역 안에서 소규모의 밭농사를 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의 생활 양식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나눔의 실천이며, 인근 주민과 같은 형태의 육체적 노동을 성 프란치스코의 가난의 정신에 따라 택한 서민적 생활 수단이다. 주님께서 주시는 은총 안에서 이 육체 노동은 낮은 자들의 수고를 함께 하는 것이며 고통 당하고 굶주리며 억압 당하는 그리스도의 지체들과 함께 실생활로써 이 낮은 자되는 어리석음을 받아들여 창설자의 정신으로 복음적 가난과 단순의 길을 걷는 것이다. 이러한 복음지향적 삶은 육체적 노동에서뿐 아니라 각자의 소임과 고유한 분야 안에서도 한 맥이 되어 기도와 침묵으로 살아 움직인다.

 

 


세라핌적 가난의 특전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성녀 클라라에게 허가한(1228. 9. 17.) 세라핌적 가난의 특전

 

하느님의 종들의 종 그레고리오 주교는 아시시 교구의 산 다미아노 성당에서 수도적 공동생활을 하는, 그리스도 안에서 경애하는 딸들인 그리스도의 시녀들, 클라라와 그 자매들에게 인사하며 사도적 강복을 보내노라.

1.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그대들은 오직 주님께만 자신을 봉헌하기 위하여 세속의 모든 부귀 영화를 포기하였소. 그리하여 그대들은 모든 소유를 팔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고 우리를 위하여 가난하여지신 그분, “길이요 진리요 생명”(요한 14,6)이신 분의 발자취를 모든 점에서 따르며 어떠한 경우에도 그 길에서 떠나지 않기 위하여, 더 이상 어떠한 재산도 결코 소유하지 않기로 결심하였소.

2. 이러한 그대들의 결심은 어떠한 물질적 곤란을 당하더라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오. 왜냐하면 사랑의 마땅한 도리로 결심하고 스스로를 영의 법에 굴복시킨 그대들 육신의 허약함은 임의 왼손이 머리 받쳐 도와 주실 것이기(참조: 아가 2,6; 8,3) 때문이오.

3. 뿐만 아니라 하늘의 새들을 먹이시고(참조: 마태 6,26) 들의 꽃들을 입히시는(참조: 마태 6,26) 그분께서는 그대들에게도 무엇이건 모자람이 없게 보살펴 주실 것이며, 그분을 마주뵈올 영원의 나라에서는 당신 바른손으로 그대들을 안아주시고(참조: 아가 2,6; 8,3), 그분의 식탁에 자리한 그대들 사이를 오가며 손수 시중들어(참조: 루가 12,37) 주시리이다.

4. 이렇게 우리는 그대들의 간청을 받아들여 지극히 높은 가난에의 결심을 사도적 호의로 뒷받침하고 보증하며, 어느 누구도 그대들에게 재산 받아들이기를 강요할 수 없게 이 문서를 통하여 사도적 권위로 확인하는 바이오.

5. 어느 누구도 우리가 인준하고 확인하는 이 기록을 훼손하거나 이에 대해 무모한 반대를 하지 말 것입니다. 누가 무엄하게도 이런 행동을 하려고 하면 전능하신 하느님과 복되신 사도 베드로와 바오로의 진노를 부르게 되리라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페루지아에서 교황 즉위 제2년 9월 17일

(제주성글라라수도회홈에서)

 

 

 

  ♬Brother Sun and Sister Moon

 

 

 

 

Beata Maria Crocifissa Satellico Clarissa
8 novembre 
Venezia, 9 gennaio 1706 – Ostra Vetere (Ancona), 8 novembre 1745

Di intelligenza viva , manifestò prestissimo il desiderio di far parte della comunità delle Clarisse di Montenovo (ora Ostra Vetere). Il 13 maggio 1725, fu ammessa alla vestizione con il nome di Maria Crocifissa ed il 19 maggio dell'anno seguente emise la professione solenne. Disimpegnò nelle comunità vari uffici oltre a quelli di maestra di canto e di organista. Nel 1742 Suor Maria Crocifissa fu eletta abbadessa e portò avanti il suo compito dimostrando grandi doti di saggezza, prudenza, fermezza e carità. Tutta la sua vita fu segnata da un intenso amore a Gesù e Maria. Fu gratificata dallo Spirito con doni di grazia straordinari accompagnati, da segni esterni come la capacità di parlare con competenza dei temi della fede, le visioni e le locuzioni celesti e alcuni fatti prodigiosi attribuiti alle sue preghiere. Soffrì di terribili tentazioni e vessazioni diaboliche. Terminato il triennio di governo della comunità, Suor Maria Crocifissa a causa della sua precaria salute, chiese di non essere rieletta. Morì di tisi l'8 novembre 1745.

Elisabetta Maria Satellico nacque a Venezia da Pietro Satellico e da Lucia Mander, il 9 gennaio 1706; visse con i genitori in casa dello zio materno sacerdote, che provvide alla sua formazione morale e culturale.
Dotata di precoce intelligenza poté molto presto applicarsi alla lettura, dimostrando una particolare disposizione per la preghiera, la musica ed il canto.
Fin da fanciulla ebbe la vocazione religiosa e aspirava farsi cappuccina, ma il Signore con un atto provvidenziale le indicò l’Ordine in cui consacrarsi; una giovane insegnante veneziana di musica e canto, impegnata nel monastero delle Clarisse di Ostra Vetere, nella diocesi di Senigallia, nelle Marche, dovette lasciare il convento per motivi di salute, al suo posto si accettò l’offerta di Elisabetta Satellico, che entrò come educanda e addetta alla direzione del canto e del suono dell’organo, aveva appena 14 anni.
A causa della giovanissima età, il vescovo di Senigallia, non le concesse il vestire l’abito religioso, cosa che poté fare solo cinque anni dopo, a 19 anni, il 13 maggio 1725 con il permesso del nuovo vescovo Bartolomeo Castelli, cambiando il nome in Maria Crocifissa.
Trascorse l’anno di noviziato, in raccoglimento e preghiera, meditando il mistero della Croce, del quale voleva rendersi maggiormente partecipe. Fece la professione religiosa il 19 maggio 1726, davanti al Vicario generale della diocesi di Senigallia; concentrò tutti i suoi sforzi nella realizzazione del suo costante desiderio; rendersi sempre più conforme a Gesù Crocifisso, con la pratica dei consigli evangelici e la devozione filiale alla Vergine Immacolata, secondo lo spirito di s. Chiara di Assisi.
Provata e purificata da Dio con continue afflizioni di spirito e con gravi infermità corporali, pervenne ad una straordinaria perfezione; in convento continuarono gli insulti e gli assalti dei demoni, che la tormentarono per tutta la vita, anche fisicamente.
Poté superare e sopportare queste prove e difficoltà con l’aiuto di esperti e santi direttori spirituali, il minore conventuale Angelo Sandreani e padre Giovanni Battista Scaramelli, che diventerà il suo primo biografo; ebbe il dono di straordinari prodigi soprannaturali e autentici fenomeni mistici, che erano particolari segni di predilezione divina.
Fu eletta anche badessa del monastero e quando pur essendo stata rieletta dalle monache, non poté continuare nell’Ufficio per disposizione vescovile, assunse la carica di Vicaria, che esercitò onoratamente con bontà e fermezza fino alla morte, che la colse, consumata dalla tisi, l’8 novembre 1745 all’età di 39 anni; venne sepolta nella chiesa di S. Lucia di Ostra Vetere (provincia di Ancona)..
A seguito della straordinaria fama di santità, avvalorata anche da numerose grazie e favori attribuiti alla sua intercessione, già sette anni dopo la sua morte, si aprì il primo processo ordinario, il 18 agosto 1752, poi le difficoltà di quei tempi fecero accantonare la pratica, che riprese il suo iter nel 1826 con papa Leone XII e nel 1914 con papa s. Pio X.
Il 14 maggio 1991 si ebbe l’approvazione del miracolo attribuito alla sua intercessione e infine il 10 ottobre 1993, papa Giovanni Paolo II l’ha proclamata beata.
La vita della beata Maria Crocifissa Satellico, risplenderà sempre come viva testimonianza della potenza della Croce, che sola redime, santifica e salva e sola garantisce la pace e l’amore tra tutti i figli di Dio.
Autore: Antonio Borrell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19-Nov-2002


MARIA CRUCIFIED SATELLICO
Memorial
8 November
Profile
Daughter of Piero Satellico and Lucia Mander, she grew up in the home of her maternal uncle who was a priest. Weak and sickly as a child, she was strong in prayer, music and singing. "I want to become a nun," she said, "and if I succeed, I want to become a saint". Student in the Poor Clare Monastery of Ostra Vetere, and responsible for singing and playing the organ. Joined the Poor Clares at age 19, she made her religious profession on 19 May 1726, and changed her name to Maria Crucified. Abbess of her community.
Born
31 December 1706 at Venice, Italy as Elisabetta Maria Satellico
Died
8 November 1745; buried at the Church of Saint Lucy in Ostra Vetere
Beatified
10 October 1993 by Pope John Paul II
Canonized
pending


 
Den salige Maria Satellico (1706-1745)

Minnedag: 8. november
 
Den salige Maria Satellico. Portrett malt av Cavalier Valery i 1746. 
Den salige Maria ble født som Elisabeth Maria Satellico (it: Elisabetta Maria) den 31. desember 1706 i Venezia i Nord-Italia. Hun ble døpt den 9. januar 1707 og bodde sammen med sine foreldre Pietro Satellico og Lucia Mander i huset til sin onkel på morssiden. Don Francesco Mander. Han var prest og ga henne en moralsk og kulturell oppdragelse. Selv om Elisabeth hadde dårlig helse, hadde hun et våkent sinn og viste tidlig spesielle gaver for bønn, musikk og sang. Hennes barndom var preget av en sterk kjærlighet til den korsfestede Jesus og en oppriktig hengivenhet til Jomfru Maria. I 1715 mottok hun sin første kommunion og ble fermet (konfirmert).

Da Elisabeth ble eldre, var hennes mål å bli klarissenonne. Hun sa: «Jeg vil bli nonne, og hvis jeg lykkes, vil jeg bli en helgen». Hun mente at det guddommelige forsyn hadde gitt henne et påfallende tegn: En ung kvinne fra Venezia var trådt inn i klarisseklosteret i Ostra Vétere i Montenovo som sang- og musikklærerinne. Men på grunn av sykdom måtte hun igjen forlate klosteret og vende tilbake til Venezia. Da mente Elisabeth, som da var godt utdannet i sang og cembalospill, å tre inn som stedfortreder for denne søsteren.

Hun ble faktisk opptatt hos klarissene (Ordo Sanctae Clarae – OSC) i deres kloster i Ostra Vétere den 29. august 1720, selv om hun bare var 13 år og 8 måneder. Men den ansvarlige biskopen, Pico della Mirandola av Senigallia, motsatte seg ikledningen av den unge jenta. Først fem år senere, den 13. mai 1725, kunne hun nitten år gammel motta ordensdrakten takket være den nye biskopen, Bartolomeo Castelli. Hun fikk ordensnavnet «Maria av den korsfestede», Maria Crocifissa. Den 19. mai 1726 avla hun løftene. Hun fikk ansvaret for sang og orgelspill og var et forbilde på åndelig iver i klosterfellesskapet.

 Etter sin løfteavleggelse konsentrerte hun alle sine anstrengelser om å oppfylle sin konstante lengsel: å bli mer og mer lik Den korsfestede Jesus på alle måter, ved å leve etter de evangeliske råd og datterlig hengivenhet til den uplettede Jomfru Maria i den hellige Klara av Assisis ånd. Hun fylte sine dager med personlig bønn og felles klosterbønn. Hun hadde en sterk hengivenhet til Treenigheten og til eukaristiens mysterium, som daglig næret hennes håp og kjærlighet, en kjærlighet som kom til uttrykk ved en englelik hengivenhet til Gud som hos den hellige Frans av Assisi og den hellige Klara, og i en broderlig og universell kjærlighet til alle som er blitt forløst ved Herrens kors.

Hennes liv i kontemplasjon var preget av askese og bot, noe som førte henne mer og mer til Korset mysterium og til triumf over fiendens fristelser og snarer. Hun hadde overnaturlige gaver og opplevde autentiske mystiske fenomener, noe som var spesielle tegn på den guddommelige nåde som var skjenket henne. Men hun måtte også tåle store ofre i form av sykdom og åndelige prøvelser. I tillegg kom hyppeige angrep av demoner, som også pinte henne fysisk. Hun kom gjennom prøvelsene ved hjelp av Guds nåde, men også kloke åndelige veiledere. Først var det den fransiskanske konventualpateren Angelo Antonio Sandreani og deretter den jesuittiske predikanten og forfatteren Giovanni Battista Scaramelli.

 Maria ble snart enstemmig valgt til klosterets abbedisse, og hun ble gjenvalgt etter tre år. Hun så på autoritet som en kjærlig tjeneste for kommuniteten, og hun utøvde den med godhet og målbevissthet og overtalte andre gjennom sitt eget eksempel. Hennes stilling tillot henne også å utøve barmhjertighet mot sine neste, særlig overfor de fattige.

Hun døde den 8. november 1745 i Ostra Vétere, bare 39 år gammel, og hun ble gravlagt i kirken Santa Lucia i Ostra Vétere. Saligkåringsprosessen ble innledet få år etter hennes død, i 1752. Den ble så innstilt, men gjenåpnet i 1914. Den 14. mai 1991 ble hennes «heroiske dyder» anerkjent og hun fikk tittelen Venerabilis («Ærverdig»). Den 30. september 1992 ble hennes relikvier overført fra kirken Santa Lucia til kirken Santa Maria, hvor de ble utstilt i et glasskrin.

Den 2. april 1993 undertegnet pave Johannes Paul II (1978-2005) dekretet fra Helligkåringskongregasjonen som godkjente et mirakel på hennes forbønn. Hun ble saligkåret av paven den 10. oktober 1993 i Roma. Hennes minnedag er dødsdagen 8. november.


 



306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