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가톨릭 성가 284번 무궁무진세 구노 작곡 년도.. [인터넷전교] [성음악]

인쇄

2005-11-29 오전 4:50: [202.30.109.*]

2005-11-30 ㅣ No.575

+ 찬미 예수님

 

구노의 "무궁무진세"가 언제 작곡되었는지에 대하여 좀 들여다 보았습니다.

 

1. 다음의 프랑스어로 된 음악가 구노의 삶과 작품에 관한 홈페이지 자료

 

http://www.charles-gounod.com/vi/bio/index.htm (클릭하세요)

 

에 의하면,

 

구노는 1843년 11월 달에 프랑스 (파리) 외방선교회 Chapel의 Master로 임명되었으며, "선교를 떠나는 선교자들을 위한 성가(Chant)"를 작곡하였다고 합니다. 이 곡의 작곡 년도 또한 1843(?)으로 추정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구노가 1848년 3월에 프랑스 (파리) 외방선교회를 떠났다고 하며, 또 구노가 작곡한 곡들 중에서 프랑스 (파리) 외방선교회 관련 작품은 한 곡뿐인 것 같으로 파악되는데, "무궁무진세" 작품은 1843년 - 1848년 사이에 작곡된 이 곡이지 않나 싶습니다.

 

[내용추가]

아직은 추측 단계이지만, 1839년에 우리나라에서 있었던 프랑스 (파리) 외방선교회 사제 3분의 순교 소식을, 당시의 교통 사정을 고려할 때에 한 1- 2년 뒤에 전해 듣고는, 구노가 작곡에 임하여 1843년 경에 이 곡을 작곡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아래의 제 2항의 내용을 참고할 때에) 1866년에 우리나라에서 순교하신 프랑스 (파리) 외방선교회 소속 사제 7분 (1866년 3월 7일자 4분, 1866년 3월 30일자 3분

(주: http://saint.paolo.net/personview.php?num=2604 내용 또한 참고하세요.)

께서는 프랑스를 떠나기 전에 틀림없이 구노의 성가곡을 들으셨을 것입니다. 즉, 이 분들께서는 이 땅에 오시기 전에 그 곳에 가면 목숨을 잃을 것이라는 것을 잘 알고 오신 거룩한 분들이신 셈입니다. 

 

성 앵베르 라우렌시오 주교 1839.9.21 순교
성 모방 베드로 신부 1839.9.21 순교
성 샤스탕 야고보 신부 1839.9.21 순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1846년 순교 


성 베르뇌 시므온 주교 1866.3.7 순교
성 볼리외 루도비코 신부 1866.3.7 순교
성 브르트니애르 유스도 신부 1866.3.7 순교
성 앙리 도리 베드로 신부 1866.3.7 순교

성 다블뤼 안토니오 주교 1866.3.30 순교
성 오매트로 베드로 신부 1866.3.30 순교
성 위앵 루가 신부 1866.3.30 순교

[이상 내용추가 끝.]

 

주: 프랑스어를 아시는 분께서는 위의 인터넷 주소에서 발췌한 다음의 내용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Novembre 1843
De retour en France, Gounod est nommé maître de Chapelle des Missions Étrangères. Il retrouve le père évêque d'Anthéon. Gounod compose une Messe brève pour voix d'homme , un chant du départ des missionnaires et quelques cantates.

----------------------------------------------------------------------------------------------

 

2. 불초소생의 변변찮은 불어 실력을 총동원(?)하여, 다음 자료에 근거하여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http://www.charles-gounod.com/vi/oeuvres/motets/index.htm (클릭하세요)

 

즉, 구노가 1843(?)년에 작사 및 작곡을 한 원래의 곡명은  A la Reine des apôtres 이었으나, 1856년 12월 6일에는 Chant pour le départ des Missionnaires du Séminaire des Missions étrangères 이라는 곡명 하에 첫 개정을 하였고, 그 이후 1870년에는 Le Départ des Missionnaires, dédié "Au Séminaire des Missions Etrangères" 라는 제목하에 Ch. Dallet 이 가사를 붙인 작품으로 개작을 한 모양입니다. 

 

주: 프랑스어를 아시는 분께서는 위 인터넷 주소에서 발췌한 다음의 내용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1843(?)

A la Reine des apôtres. Chant pour le départ des Missionnaires (du séminaire des Missions étrangères). Paroles et musique de M. Ch. Gounod. Quam speciosi pedes evangelizantium pacem, evangelizantium bona. Paris, Typ. de F. Didot frères, rue Jacob, 56. 1852. Infol. Imprimé. Réédité d'abord (6 déc. 1856) sous le titre: Chant pour le départ des Missionnaires du Séminaire des Missions étrangères, à Paris, chez Lecoffre; puis sous le titre: Le Départ des Missionnaires, dédié "Au Séminaire des Missions Etrangères", paroles de Ch. Dallet, Miss. Apost (Choudens, 1870). Cette édition (1. pour soprano ou baryton; 2. pour soprano ou ténor; 3. à 2 voix; 4. en choeur) ne reproduit que trois strophes (1, 3 et 8) sur huit.

-------------------------------------------------------------------------------------------------

 

3. 그런데, 당시에 구노가 "우리나라로 파견되는 프랑스 파리 외방선교회 소속 사제들 만을 위하여" 위의 곡을 작곡하였다는 말은 위 홈페이지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사실 확인은 다른 문헌을 참고하여야 할 것 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단, 위의 번역 요약에는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미천한 저 보다 더 프랑스어에 밝으신 분께서 번역을 해 주시면 좋을 것입니다..^^

 



1,269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