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하느님 나라의 문을 여셨다??? - 교황회칙 구세주의 임무 중에서 869_KH_JPII [하늘나라_개념오류] 케리그마

인쇄

1990.12.07. [175.115.219.*]

2010-05-22 ㅣ No.918

 
+ 찬미 예수님
 
다음은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90년 12월 7일자 회칙인 "구세주의 임무(Redemptoris missio)"의 제2장에 대한 엮은이의 번역입니다.
 
아래의 각주에서 지적하였습니다만, 특히 제2장 제16항의 우리말 번역에 있어, "하늘(heaven, 천당)"의 개념과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하늘 나라[kingdom of heaven, 천국, 즉, 하느님의 나라(kingdom of God)]"의 개념이 다름을, 즉 동일하지 않음을, 모르셨던 분께서 번역을 하셨는지, 그 내용에 있어 납득하기 힘들 정도로 상당히 다른 표현으로 우리말로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을 한 부분이 있어 이를 지적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으니, 다음의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이 회칙의 우리말 전문의 제2장과 비교하면서 읽어 보실 것을 권합니다:
 
 
----------
 
 
 
Ioannes Paulus PP. II
Redemptoris missio
On the permanent validity of the Church's missionary mandate
1990.12.07
 
요한 바오로 2세
구세주의 임무
교회에 위임된 선교 권한의 항구적인 적법성에 대하여
1990.12.07
 
 
 
 
 
(번역자 주: 제1장 번역은 생략).
 
 
CHAPTER II - THE KINGDOM OF GOD
제 2장 - 하느님의 나라
 
12. "It is 'God, who is rich in mercy' whom Jesus Christ has revealed to us as Father: it is his very Son who, in himself, has manifested him and made him known to us." I wrote this at the beginning of my Encyclical Dives in Misericordia, to show that Christ is the revelation and incarnation of the Father's mercy. Salvation consists in believing and accepting the mystery of the Father and of his love, made manifest and freely given in Jesus through the Spirit. In this way the kingdom of God comes to be fulfilled: the kingdom prepared for in the Old Testament, brought about by Christ and in Christ, and proclaimed to all peoples by the Church, which works and prays for its perfect and definitive realization.
 
12. “예수 그리스도께서 다음과 같이 우리에게 성부(Father)로서 드러내셨던 분이 바로 ‘자비에 있어 풍부하신 하느님’이십니다: 당신 자신으로(in himself), 우리에게 성부를 드러내시어 그리하여 성부를 알게 하시는 분이 바로 성부의 친 아드님이십니다.”1) 저는, 그리스도께서 성부의 자비의 드러나심 및 강생이심을 보이기 위하여, 저의 회칙인 ‘자비로우신 하느님(Dives in Misericordia)’의 시작 부분에서 이것을 설명하였습니다. 구원(salvation)은, 성령을 통하여 예수님 안에서 드러나게 되며 그리고 아낌없이 주어지는(freely given), 성부의 신비 및 성부의 사랑의 신비를 믿으며 그리고 받아들이는 데에 있습니다(consists in).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하느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는 구현됩니다: 구약 성경에서 준비되었던, 그리스도에 의하여 및 그리스도 안에서 초래되었던(brought about), 그리고, 이 나라의 완벽하고 최종적인 실현(realization)을 위하여 일하고 기도하는, 교회에 의하여 모든 백성들에게 선포되는 나라.
 
-----
1) 「자비로우신 하느님」, 1항(Encyclical Letter Dives in Misericordia, 1).
-----
 
The Old Testament attests that God chose and formed a people for himself, in order to reveal and carry out his loving plan. But at the same time God is the Creator and Father of all people; he cares and provides for them, extending his blessing to all (cf. Gn 12:3); he has established a covenant with all of them (cf. Gn 9:1-17). Israel experiences a personal and saving God (cf. Dt 4:37; 7:6-8; Is 43:1-7) and becomes his witness and interpreter among the nations. In the course of her history, Israel comes to realize that her election has a universal meaning (cf. for example Is 2:2-5; 25:6-8; 60:1-6; Jer 3:17; 16:19).
 
구약 성경은 하느님께서, 당신의 애정 어린(loving) 계획을 드러내어 실천하시고자, 당신 자신을 위한 한 개의 백성을 선택하여 형성하셨음을 입증합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하느님께서는 모든 백성들의 창조주(Creator)이시며 그리하여 성부(Father)이시고, 그리고 당신께서는 모두에 대한 당신의 축복을 확장하여(창세기 12,3을 참조하라), 그들을 돌보시고 부양하시며, 그리고 당신께서는 한 개의 계약(a covenant)을 그들 모두와 설정하셨습니다(창세기 9,1-17을 참조하라). 이스라엘은 인격적이시고(personal, 즉 이성적이시고 자의식이 있으신)2) 그리고 구원하시는(saving) 하느님을 경험하며(신명기 4,37; 7,6-8; 이사야 43,1-7을 참조하라) 그리하여 나라들 사이에서 당신의 증언자(witness) 및 통역자(interpreter)가 됩니다. 이스라엘은, 자신의 역사의 과정 안에서, 자신에 대한 하느님의 선택이 보편적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예를 들어, 이사야 2,2-5; 25,6-8; 60,1-6; 예레미야 3,17; 16,19를 참조하라).
 
-----
2) 번역자 주: Merriam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의하면, ‘personal(인격적)’ 단어는 다음과 같이 ‘rational and self-conscious(이성적이고 자의식이 있는)’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mw/unabridged_dictionary.htm 
(바로 위의 주소를 클릭하면 가지게 되는 새 창에서, personal 단어를 찾아 보십시오).
-----
 

Christ Makes the Kingdom Present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의 나라를 현존하게 하십니다
 
13. Jesus of Nazareth brings God's plan to fulfillment. After receiving the Holy Spirit at his Baptism, Jesus makes clear his messianic calling: he goes about Galilee "preaching the Gospel of God and saying: 'The time is fulfilled, and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repent and believe in the Gospel'" (Mk 1:14-15; cf. Mt 4:17; Lk 4:43). The proclamation and establishment of God's kingdom are the purpose of his mission: "I was sent for this purpose" (Lk 4:43). But that is not all. Jesus himself is the "Good News," as he declares at the very beginning of his mission in the synagogue at Nazareth, when he applies to himself the words of Isaiah about the Anointed One sent by the Spirit of the Lord (cf. Lk 4;14-21). Since the "Good News" is Christ, there is an identity between the message and the messenger, between saying, doing and being. His power, the secret of the effectiveness of his actions, lies in his total identification with the message he announces; he proclaims the "Good News" not just by what he says or does, but by what he is.
 
13. 나자렛 출신의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계획을 구현으로 이르게 하십니다(brings to). 당신의 세례에서 성령을 받으신 후에, 예수님께서는 메시아로서의 당신의 소명(his messianic call)을 다음과 같이 분명하게 하십니다: 당신께서는 갈릴래아 지역을, ‘하느님의 복음(the Gospel of God)’을 설교하시며 그리고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마르코 복음서 1,14-15; 마태오 복음서 4,17; 루카 복음서 4,43을 참조하라) 라고 말씀하시면서, 돌아다니십니다. 하느님의 나라의 선포(proclamation) 및 제정(establishment)은 다음과 같이 당신 임무의 목적입니다: “나는 그 일을 하도록 파견된 것이다”(루카 복음서 4,43). 그러나 이것만이 전부가 아닙니다. 주님의 영(the Spirit of the Lord)에 의하여 보내진 기름부음 받은 자(the Anointed One)에 대한 이사야의 표현들을 당신께서 당신 자신께 적용하시는 때인(루카 복음서 4,14-21) 당신 임무의 맨 처음에 나자렛에 위치한 회당에서 당신께서 선언하셨듯이, 예수님 당신 자신이 바로 이 ‘기쁜 소식(Good News)’이십니다. 이 ‘기쁜 소식’이 바로 그리스도이시기에, 이 메시지(the message)와 이 메시지의 전달자(the messenger) 사이에, 즉 말씀하심과, 행하시어 그리하여 존재하심 사이에, 한 개의 항등식(an identity)이 존재합니다. 당신의 권능(his power)은, 즉 당신의 활동(action)들의 효능에 대한 비밀은, 당신과 당신께서 선포하시는 이 메시지의 완전한 동일의 상태(identification)에 있으며(lies in), 그리고 당신께서는, 단지 당신께서 말씀하시거나 혹은 행하신 바로써 뿐만이 아니라, 또한 당신이 무엇이신 바(by what he is)로써, 이 ‘기쁜 소식’을 선포하십니다.
 
The ministry of Jesus i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his journeys within his homeland. Before Easter, the scope of his mission was focused on Israel. Nevertheless, Jesus offers a new element of extreme importance. The eschatological reality is not relegated to a remote "end of the world," but is already close and at work in our midst.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cf. Mk 1:15); its coming is to be prayed for (cf. Mt 6:10); faith can glimpse it already at work in signs such as miracles (cf. Mt 11:4-5) and exorcisms (cf. Mt 12:25-28), in the choosing of the Twelve (cf. Mk 3:13-19), and in the proclamation of the Good News to the poor (cf. Lk 4:18). Jesus' encounters with Gentiles make it clear that entry into the kingdom comes through faith and conversion (cf. Mk 1:15), and not merely by reason of ethnic background.
 
예수님의 사역은 당신 고향 땅 안에서의 당신의 여행들이라는 문맥 안에서 설명됩니다. 부활절 이전에, 당신 임무의 영역(scope)은 이스라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께서는 매우 중요한 새로운 요소를 제시하십니다(offers). 종말론적 실재(the eschatological reality)는 멀리 있는 ‘이 세상의 끝(end of the world)’에 맡겨져 있는(is relegated) 것이 아니라, 이미 가까이에 와 있으며 그리고 우리들 가운데에서 작용 중입니다(at work). 하느님의 나라는 가까이에 와 있으며(마르코 복음서 1,15를 참조하라), 그리고 그 도래는 기도로 청해지며(마태오 복음서 6,10을 참조하라), 믿음(faith, 신앙)은 기적들과 같은 표징(signs)들과 구마 행위들에서, 열둘을 선택하심에서(마르코 복음서 3,13-19를 참조하라), 그리고 가난한 이들에게 이 기쁜 소식(the Good News)을 선포하심에서(루카 복음서 4,18을 참조하라), 이 나라가 이미 작용 중임을 엿볼 수 있게 합니다(마태오 복음서 11,4-5를 참조하라). 이방인들과 예수님의 조우(encounters)들은 이 나라로 들어감이, 단지 민족적 배경(ethnic background)에 기인하는 이유에 의하여서가 아니라, 믿음과 회심(faith and conversion)을 통하여 옴을 분명하게 합니다(마르코 복음서 1,15).
 
The kingdom which Jesus inaugurates is the kingdom of God. Jesus himself reveals who this God is, the One whom he addresses by the intimate term "Abba," Father (cf. Mk 14:36). God, as revealed above all in the parables (cf. Lk 15:3-32; Mt 20:1-16), is sensitive to the needs and sufferings of every human being: he is a Father filled with love and compassion, who grants forgiveness and freely bestows the favors asked of him.
 
예수님께서 개시하시는(inaugurates) 이 나라는 하느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를 말합니다. 예수님 몸소 이 하느님이 누구이신지를 드러내시는데, 이 분께서는 당신께서 아버지, 즉 ‘아빠’(마르코 복음서 14,36을 참조하라)라는 친밀한 표현으로 부르시는 바로 그 유일하신 분(the One)이십니다. 하느님께서는, 무엇보다도 비유들에서 드러나듯이(루카 복음서 15,3-32; 마태오 복음서 20,1-16을 참조하라), 다음과 같이 모든 인간들의 곤궁(needs)들과 고통(sufferings)들에 민감하십니다: 당신께서는 사랑과 연민(compassion)으로 채워진 성부(Father, 아버지)이신데, 당신께서는 용서를 허락하시고(grants forgiveness) 그리고 당신께 청해진 호의(the favors)들을 아낌없이(freely) 주십니다(bestows).
 
St. John tells us that "God is love" (1 Jn 4:8, 16). Every person therefore is invited to "repent" and to "believe" in God's merciful love. The kingdom will grow insofar as every person learns to turn to God in the intimacy of prayer as to a Father (cf. Lk 11:2; Mt 23:9) and strives to do his will (cf. Mt 7:21).
 
성 요한은 우리에게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God is love)”(1요한 4,8.16) 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모든 사람은 ‘회개하도록(repent)’ 그리고 하느님의 자비로우신 사랑을 ‘믿도록’ 초대됩니다. 이 나라는, 모든 사람이 성부에 대한(as to) 기도의 내밀함(intimacy) 안에서 하느님을 향하는 것을 배우며(루카 복음서 11,2; 마태오 복음서 23,9를 참조하라) 그리고 당신의 뜻을 행하기 위하여 노력하는(마태오 복음서 7,21을 참조하라) 한(insofar as), 자랄 것입니다.
 

Characteristics of the Kingdom and Its Demands
하느님의 나라의 특징들과 이 나라의 요구들
 
14. Jesus gradual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kingdom through his words, his actions and his own person.
 
14.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말씀들, 당신의 활동(actions)들 그리고 당신 고유의 위격(person)을 통하여 이 나라의 특징들과 요구들을 점차 드러내십니다.
 
The kingdom of God is meant for all mankind, and all people are called to become members of it. To emphasize this fact, Jesus drew especially near to those on the margins of society, and showed them special favor in announcing the Good News. At the beginning of his ministry he proclaimed that he was "anointed...to preach good news to the poor" (Lk 4:18). To all who are victims of rejection and contempt Jesus declares: "Blessed are you poor" (Lk 6:20). What is more, he enables such individuals to experience liberation even now, by being close to them, going to eat in their homes (cf. Lk 5:30; 15:2), treating them as equals and friends (cf. Lk 7:34), and making them feel loved by God, thus revealing his tender care for the needy and for sinners (cf. Lk 15:1-32).
 
하느님의 나라는 모든 인류를 위하여 의도된 것이며(is meant for), 그리고 모든 사람들은 이 나라의 구성원들이 되도록 부름을 받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강조하기 위하여, 예수님께서는 특별히 사회의 주변부(margins of society)들에 있는 자들에게(즉, 사회로부터 소외된 자들에게) 가까이 다가가셨으며, 그리고 그들에게 이 기쁜 소식을 선포함으로써 특별한 호의(favor)를 보이셨습니다. 당신의 사목의 시작 부분에서 당신께서는 당신께서 “기름부어져 ...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한다”(루카 복음서 4,18) 라고 선포하셨습니다. 거부와 멸시(rejection and contempt)의 희생자들 모두에게 예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선언하십니다: “행복하여라, 가난한 사람들!”(루카 복음서 6,20). 더욱이(what is more), 당신께서는, 그들에게 가까이 계심으로써, 그들의 가정들에서 식사를 하심으로써(루카 복음서 5,30; 15,2), 그들을 동등한 사람(the equals)들로서 그리고 친구로서 대함으로써(루카 복음서 7,34를 참조하라), 그리고 그들로 하여금 하느님에 의하여 사랑을 받고 있음을 느끼게 함으로써, 그 결과 곤궁한 자(the needy)들과 죄인들에 대한 애정 어린 당신의 보살핌(his tender care)을 드러내심으로써(루카 복음서 15,1-32), 그러한 개인들이 심지어 지금 해방(liberation)을 경험하는 것을 허락하십니다.
 
The liberation and salvation brought by the kingdom of God come to the human person both in his physical and spiritual dimensions. Two gestures are characteristic of Jesus' mission: healing and forgiving. Jesus' many healings clearly show his great compassion in the face of human distress, but they also signify that in the kingdom there will no longer be sickness or suffering, and that his mission, from the very beginning, is meant to free people from these evils. In Jesus' eyes, healings are also a sign of spiritual salvation, namely liberation from sin. By performing acts of healing, he invites people to faith, conversion and the desire for forgiveness (cf. Lk 5:24). Once there is faith, healing is an encouragement to go further: it leads to salvation (cf. Lk 18:42-43). The acts of liberation from demonic possession-the supreme evil and symbol of sin and rebellion against God-are signs that indeed "the kingdom of God has come upon you" (Mt 12:28).
 
하느님의 나라에 의하여 초래되는 해방과 구원은 인간의 인격에, 인간의(his) 육체적 및 영적 양상(dimensions)들 둘 다에 있어, 다가옵니다(come to the human person).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동작들이 예수님의 임무의 특징입니다: 치유와 용서(healing and forgiving). 예수님께서 행하신 많은 치유들은 인간의 고통(human distress) 앞에서의 당신의 커다란 연민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그리고 이들은 또한 이 나라 안에는 병들거나 고통 받음이 더 이상 있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며, 그리고 당신의 임무가, 맨 처음부터, 이러한 악(evils)들로부터 사람들을 자유롭게 하고자 의도된 것임을 나타냅니다. 예수님께서 보시는 바로는(in Jesus' eyes), 치유들은 또한 영적인 구원(spiritual salvation), 즉 죄로부터의 해방(liberation from sin)에 대한 하나의 표징(a sign)입니다. 치유 행위들을 수행하심으로써, 당신께서는 사람들을 믿음(faith)으로, 회심(conversion)으로 그리고 용서를 받고자 하는 바람(desire)으로 초대하십니다(루카 복음서 5,24를 참조하라). 일단 믿음이 있으면, 치유는 다음과 같이 더 나아가기 위한 하나의 격려입니다: 치유는 구원으로 인도합니다(루카 복음서 18,42-43을 참조하라). 최고의 악(supreme evil)이며 그리고 죄와 하느님에 반하는 모반(rebellion)의 상징(symbol)인 마귀 들림(demonic possession)으로부터의 해방 행위(the acts of liberation)들은 진실로 “하느님의 나라가 이미 우리에게 와 있음”(마태오 복음서 12,28)에 대한 표징(signs)들입니다.
 
15. The kingdom aims at transforming human relationships; it grows gradually as people slowly learn to love, forgive and serve one another. Jesus sums up the whole Law, focusing it on the commandment of love (cf. Mt 22:34-40; Lk 10:25-28). Before leaving his disciples, he gives them a "new commandment": "Love one another; even as I have loved you" (Jn 13:34; cf. 15:12). Jesus' love for the world finds its highest expression in the gift of his life for mankind (cf. Jn 15:13), which manifests the love which the Father has for the world (cf. Jn 3:16). The kingdom's nature, therefore, is one of communion among all human beings-with one another and with God.
 
이 나라는 인간관계(human relationships)들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 나라는 사람들이 사랑하고, 용서하며 그리고 서로를 섬기는(serve) 것을 느리게 배워나감에 따라 점진적으로 자랍니다. 예수님께서는 모세 율법 전체(the whole Law)를, 사랑에 대한 계명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요약하십니다(마태오 복음서 22,34-40; 루카 복음서 10,25-28을 참조하라). 당신의 제자들을 떠나시기 전에, 당신께서는 그들에게 다음과 같은 한 개의 ‘새로운 계명’을 주십니다: “서로 사랑하여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요한 복음서 13,34; 요한 복음서 15,12를 참조하라). 이 세상에 대한 예수님의 사랑은 인류를 위한 당신의 목숨이라는 최고의 선물의 모습으로 나타나는데(요한 복음서 15,13을 참조하라), 이것은 성부께서 이 세상에 대하여 가지고 계신 바로 그 사랑을 나타냅니다(요한 복음서 3,16을 참조하라). 따라서 이 나라의 본질은 모든 인간들 사이에서의, 즉 서로와의 그리고 하느님과의, 하나 됨(communion, 친교, 통공)이라는 본질입니다.
 
The kingdom is the concern of everyone: individuals, society, and the world. Working for the kingdom means acknowledging and promoting God's activity, which is present in human history and transforms it. Building the kingdom means working for liberation from evil in all its forms. In a word, the kingdom of God is the manifestation and the realization of God's plan of salvation in all its fullness.
 
이 나라는 개인들, 사회, 그리고 이 세상 모두의 관심꺼리(concern)입니다. 이 나라를 위하여 일하는 것은, 인간의 역사 안에 이미 존재하고 있으면서 이 역사를 변화시키고 있는, 하느님의 활동에 대한 인정 그리고 증진(acknowledging and promoting)을 뜻합니다. 이 나라를 건설한다는 것은 모든 형태에 있는 악으로부터의 해방을 위하여 일하는 것을 뜻합니다. 한 마디로, 하느님의 나라는 구원에 대한 하느님의 계획이 충만하게(in all its fullness) 나타나고 실현되는 것을 말합니다.
 

In the Risen Christ God's Kingdom Is Fulfilled and Proclaimed
부활하게 되신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의 나라는 구현되고 선포됩니다
 
 
----------
(라틴어)
16. Iesum a mortuis suscitando, Deus mortem vicit, et in eo Regnum suum auspicatus est. Per vitam terrenam Iesus est Regni propheta et, post suam passionem, resurrectionem et ascensionem in caelum potentiam et dominium in mundum cum Deo communicat (Cfr. Matth. 28, 18; Act. 2, 36; cfr. ibid. 1, 18-21). Resurrectio momentum universale confert et vim decretoriam Christi nuntio, eius actioni totique eius missioni. Discipuli animadvertunt Regnum iam inesse in Iesu persona et paulatim exstrui in homine et in mundo per arcanum vinculum cum eo.
 
Namque, post resurrectionem, ii Regnum Dei praedicant, nuntiantes Iesum mortuum et resuscitatum. Philippus in Samaria “evangelizabat de Regno Dei et nomine Iesu Christi” (Act. 8, 12). Paulus Romae “Regnum Dei” praedicabat et “quae sunt de Domino Iesu Christo” (Ibid. 28, 31) docebat. Prisci quoque Christiani nuntiant “Regnum Christi et Dei” (Eph. 5, 5; cfr. Apoc. 11, 15; 12, 10), vel simpliciter “Aeternum regnum Domini nostri et salvatoris Iesu Christi” (2 Petr. 1, 11). Nuntius Iesu Christi, qui unus idemque est ac Regnum, primas tenet in praedicatione pristinae Ecclesiae. Sicut tunc, oportet iungantur hodie nuntius Regni Dei (id, quod Iesu kerygma continet) et eventus Iesu Christi proclamatio (quae est Apostolorum kerygma). Ambo nuntii invicem explentur et illustrantur.  
 
(이탈리아어)
16. Risuscitando Gesù dai morti, Dio ha vinto la morte e in lui ha inaugurato definitivamente il suo regno. Durante la vita terrena Gesù è il profeta del regno e, dopo la sua passione, risurrezione e ascensione al cielo, partecipa della potenza di Dio e del suo dominio sul mondo. (Mt 28,18); (At 2,36); (Ef 1,18) La risurrezione conferisce una portata universale al messaggio di Cristo, alla sua azione e a tutta la sua missione. I discepoli avvertono che il regno è già presente nella persona di Gesù e viene a poco a poco instaurato nell'uomo e nel mondo mediante un misterioso legame con lui. Dopo la risurrezione, infatti, essi predicavano il regno annunziando Gesù morto e risorto. Filippo in Samaria «recava la buona novella del regno di Dio e del nome di Gesù Cristo». (At 8,12) Paolo a Roma «annunziava il regno di Dio e insegnava le cose riguardanti il Signore Gesù Cristo». (At 28,31) Anche i primi cristiani annunziavano «il regno di Cristo e di Dio», (Ef 5,5); (Ap 11,15); (Ap 12,10) oppure «il regno eterno del Signore nostro e Salvatore Gesù Cristo». (2 Pt 1,11)
 
È sull'annunzio di Gesù Cristo, con cui il regno si identifica, che è incentrata la predicazione della chiesa primitiva. Come allora, oggi bisogna unire l'annunzio del regno di Dio (il contenuto del «kérygma» di Gesù) e la proclamazione dell'evento Gesù Cristo (che è il «kérygma» degli apostoli). I due annunzi si completano e si illuminano a vicenda.
 
(프랑스어)
16. En ressuscitant Jésus d'entre les morts, Dieu a vaincu la mort et, dans le Christ, il a inauguré définitivement son Règne. Pendant sa vie terrestre, Jésus est le prophète du Royaume et, après sa Passion, sa Résurrection et son Ascension au ciel, il participe à la puissance de Dieu et à son pouvoir sur le monde (cf. Mt 28, 18; Ac 2, 36; Ep 1, 18-21). La Résurrection confère une portée universelle au message du Christ, à son action et à toute sa mission. Les disciples se rendent compte que le Royaume est déjà présent dans la personne de Jésus et qu'il est instauré peu à peu dans l'homme et dans le monde par un lien mystérieux avec lui.

Après la Résurrection, en effet, ils prêchaient le Royaume, annonçant que Jésus est mort et ressuscité. Philippe, en Samarie «annonçait la Bonne Nouvelle du Royaume de Dieu et du nom dé Jésus Christ» (Ac 8, 12). A Rome, Paul «proclamait le Royaume de Dieu et enseignait ce qui concerne le Seigneur Jésus Christ» (cf. Ac 28, 31). Les premiers chrétiens annonçaient eux aussi, «le Royaume du Christ et de Dieu» (Ep 5, 5; cf. Ap 11, 15; 12, 10), ou bien «le Royaume éternel de notre Seigneur et Sauveur Jésus Christ» (2 P 1, 11). C'est sur l'annonce de Jésus Christ, avec qui s'identifie le Royaume, qu'est centrée la prédication de l'Eglise primitive. Aujourd'hui, il faut de même unir l'annonce du Royaume de Dieu (le contenu du «kérygme» de Jésus) et la proclamation de l'événement Jésus Christ (c'est-à-dire le «kérygme» des Apôtres). Les deux annonces se complètent et s'éclairent réciproquement.

----------

(영어)
16. By raising Jesus from the dead, God has conquered death, and in Jesus he has definitely inaugurated his kingdom. During his earthly life, Jesus was the Prophet of the kingdom; after his passion, resurrection and ascension into heaven he shares in God's power and in his dominion over the world (cf. Mt 28:18; Acts 2:36; Eph 1:18-21). The resurrection gives a universal scope to Christ's message, his actions and whole mission. The disciples recognize that the kingdom is already present in the person of Jesus and is slowly being established within man and the world through a mysterious connection with him.
 
16. 예수님을 죽은 이들로부터 부활하게 하심으로써, 하느님께서는 죽음을 이미 정복하셨으며, 그리고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나라를 뚜렷하게(definitely) 이미 개시하셨습니다(has definitely inaugurated).3) 당신의 지상에서의 삶 동안에, 예수님께서는 이 나라에 대한 하느님의 뜻의 최종적 권위 있으신 계시자로, 당신을 따르는 자들로 이루어진 집단에 의하여, 간주되신 분(the Prophet of the kingdom)4)이셨으며, 그리고 당신의 수난, 부활 그리고 하늘로의 승천 이후 당신께서는 하느님의 권능(power)에 그리고 이 세상에 대한 당신의 통치(dominion)에 함께하고 계십니다(마태오 복음서 28,18; 사도행전 2,36; 에페소 1,18-21을 참조하라). 당신의 부활은 당신의 활동(actions)들 및 전체 임무인 예수님의 메시지에 하나의 보편 의도(a universal scope)를 제시합니다. 제자들은 이 나라가 예수님이라는 위격 안에(in the person of Jesus)5) 이미 현존하고 있으며 그리고 당신과의 신비로운 결합(connection)을 통하여 사람(man)과 이 세상 내부에(within) 더디게 제정되고 있는 중(is slowly being established)임을 알아차립니다.
 
-----
3) 번역자 주:
 
(1) 여기를 클릭하시면 읽으실 수 있는 다른 글에서 이미 지적하였지만, 2007년에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출판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 제125항의 마지막 문장에서 ‘opened the gates of heaven’에 해당하는 표현을, ‘하늘의 문(들)을 여셨다’고 번역하는 대신에, ‘하늘 나라의 을 여셨다’로 잘못 번역하였는데, 이는 우리말로의 번역자가 "하늘"과 "하늘 나라"를 개념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는 명백한 번역 오류이며, 이 번역 오류와 아래의 (2)에서 지적한 번역 오류와 결코 무관하지 않다는 생각이다. 
 
(2) 영문본의 ‘in Jesus he has definitely inaugurated his kingdom’에 해당하는 표현을, 예를 들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436항의 번역에서 처럼[아래의 (4) 참조],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나라를 결정적으로(definitely) 세우셨습니다’ 라고 번역하지 않고, 라틴어본 및 다른 지역 언어로의 번역본들에 있지도 않은 ''이라는 단어를 임의적으로 추가하여 ‘예수님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하느님 나라의 을 여셨습니다’ 라고 번역한 것은 명백한 번역 오류로서, 이 오류는, 예수 재림의 날까지는 동일하지 아니한, 예수님께서 선포하신‘하느님의 나라[kingdom of God, 천국, 즉, 하늘 나라(kingdom of heaven)]’(따라서 예수님의 선포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예수님께서 선포하신 하느님의 나라")와 (성자께서 강생하시기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던)‘하늘(heaven, 즉, 천당)’ 이라는 두 개의 개념들을, 우리말로의 번역자가 분명하게 구분하지 못하였을뿐만이 아니라, 오히려 동일시한 것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는 생각이다.
 
(3) 그리고 다음의 Merriam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실린 ‘inaugurate’ 단어에 대한 사전적 정의에 ‘문을 연다(to open the gate)’는 설명이 없는데, 이렇게 의역(free translation)을 하다 보면 자칫 오역이 되므로, 특히 교회의 문헌들을 번역할 경우에 있어, ‘번역자의 개인적 해석’이 개입될 수 있는 의역은 될 수 있는 한 삼가야 할 것이다:

(4) 더 나아가 살펴보면, 사실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 중에 ‘to inaugurate his kingdom definitively’라는 표현이 나오는 항은 오직 제436항에서 뿐이며, 이 항에 대한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출판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번역은 다음과 같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어느 나라의 지역 언어로 번역이 되더라도 같은 내용이 전달되어야 하므로, 이렇게 함께 비교하여 살펴보면, 위의 (1)에서 지적한 ‘하느님 나라의 문을 여셨다’고 번역한 것이 명백한 오역임을 쉽게 알 수 있다는 생각이다:
 
CCC 436 The word "Christ" comes from the Greek translation of the Hebrew Messiah, which means "anointed". It became the name proper to Jesus only because he accomplished perfectly the divine mission that "Christ" signifies. In effect, in Israel those consecrated to God for a mission that he gave were anointed in his name. This was the case for kings, for priests and, in rare instances, for prophets.29 This had to be the case all the more so for the Messiah whom God would send to inaugurate his kingdom definitively. It was necessary that the Messiah be anointed by the Spirit of the Lord at once as king and priest, and also as prophet.31 Jesus fulfilled the messianic hope of Israel in his threefold office of priest, prophet and king.
 
CCC 436 ‘그리스도’ 라는 이름은‘기름부음 받은 이’ 를 뜻하는 히브리 말 ‘메시아’ 의 그리스 말 번역에서 온 것이다. 예수님께서 ‘그리스도’ 가 의미하는 신적 사명을 완전히 수행하시는 분이시기 때문에, 이는 예수님의 고유한 이름이 된다. 실제로 이스라엘에서는 하느님께서 주시는 사명을 위해 봉헌된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이름으로 기름을 부었다. 왕과 사제들의 경우가 그랬고,  간혹 예언자들도 그런 경우가 있었다.  하느님께서 당신의 나라를 결정적으로 세우시기 위해 파견하시는 메시아의 경우는 그중 가장 특출한 예이다. 메시아는 왕이며 사제로서, 또한 예언자로서30) 주님의 성령을 통해 기름부음을 받아야 했다. 예수님께서는 사제, 예언자, 왕의 삼중 임무 안에서 메시아에 대한 이스라엘의 희망을 채워 주셨다.
 
(5)
"(이미 존재하고 있는 그러나 닫혀있었던) 하늘의 문을 열였다(open the gates of heaven)" 라는 표현은 "하늘을 개시하였다(즉 하늘을 처음으로 시작하였다)"는 뜻이 전혀 아니며,
 
"하느님의 나라를 개시하였다(inaugurated, 처음으로 시작하였다)" 라는 표현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그러나 닫혀있었던) 하느님 나라의 문을 열었다"는 뜻이 전혀 아닙니다.
 
4) 번역자 주: ‘the Prophet’은 Merriam Webster's OnLine Dictionary에 주어져 있는, capitalized: ‘one regarded by a group of followers as the final authoritative revealer of God's will’ 라는 설명에 따라 번역한 것이다.

5) 번역자 주: 영문본의 ‘in the person of Jesus’에 해당하는 표현을, 예를 들어, ‘예수님이라는 인격 안에’로 번역하는 대신에, 단순히 ‘예수님 안에’로 번역한 이유를 이해할 수가 없다. 즉, 여기서 ‘the person of’에 해당하는 표현을 번역의 과정에서 무작정 생략한 이유를 이해할 수가 없다.
 
이상 게시자 주 끝.
-----
 
Indeed, after the resurrection, the disciples preach the kingdom by proclaiming Jesus crucified and risen from the dead. In Samaria, Philip "preached good news about the kingdom of God and the name of Jesus Christ" (Acts 8:12). In Rome, we find Paul "preaching the kingdom of God and teaching about the Lord Jesus Christ'' (Acts 28:31). The first Christians also proclaim "the kingdom of Christ and of God" (Eph 5:5; cf. Rev 11:15; 12:10), or "the kingdom of our Lord and Savior Jesus Christ" (2 Pt 1:11). The preaching of the early Church was centered on the proclamation of Jesus Christ, with whom the kingdom was identified. Now, as then, there is a need to unite the proclam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e content of Jesus' own "kerygma") and the proclamation of the Christ-event (the "kerygma" of the apostles). The two proclamations are complementary; each throws light on the other.
 
진실로, 당신의 부활 이후에,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십자가 형벌을 받으셨으며 그리고 죽은 이들로부터 부활하셨음을 선포함으로써 이 나라를 설교합니다. 사마리아에서, 필립포스(Philip)는 “하느님의 나라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에 관한 복음”을 전하였습니다(사도행전 8,12). 로마에서, 우리는 바오로가 “하느님의 나라를 선포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하여 가르쳤음”(사도행전 28,31)을 발견합니다. 첫 그리스도인들도 또한 “그리스도와 하느님의 나라”를(에페소 5,5; 요한 묵시록 11,15; 12,10을 보라), 혹은 “우리의 주님이시며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나라”(2베드로 1,11)를 선포합니다. 초기 교회의 설교는, 이 나라와 동일시되었던, 예수 그리스도의 선포에 중점을 두고 있었습니다. 요즈음에 와서, 과거처럼, 하느님의 나라에 대한 선포[예수님 고유의 ‘선포(케리그마, kerygma)’에 대한 내용]그리스도 사건(Christ-event)에 대한 선포[사도들의 ‘선포(케리그마, kerygma)’]를 결합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이들 두 선포들은 상호 보완적이며, 각 선포는 다른 선포를 쉽게 이해하게 합니다(each throws light on the other).  
 

The Kingdom in Relation to Christ and the Church
그리스도와 교회에 대한 관계 안에 있는 하느님의 나라
 
17. Nowadays the kingdom is much spoken of, but not always in a way consonant with the thinking of the Church. In fact, there are ideas about salvation and mission which can be called "anthropocentric" in the reductive sense of the word, inasmuch as they are focused on man's earthly needs. In this view, the kingdom tends to become something completely human and secularized; what counts are programs and struggles for a liberation which is socio-economic, political and even cultural, but within a horizon that is closed to the transcendent. Without denying that on this level too there are values to be promoted, such a notion nevertheless remains within the confines of a kingdom of man, deprived of its authentic and profound dimensions. Such a view easily translates into one more ideology of purely earthly progress. The kingdom of God, however, "is not of this world...is not from the world" (Jn 18:36).
 
17. 요즈음에 이 나라에 대하여 많이 언급됩니다만, 그러나 교회의 생각과 항상 일치하는 방식으로는 아닙니다. 사실, 구원과 선교에 관한 개념들이 있는데, 이 개념들은, 사람의 세속적 요구(man's earthly needs)들에 초점을 맞추는 한, 인간중심적이라는 단어의 환원주의적 의미에 있어(in a reductive sense of the word), ‘인간중심적(anthropocentric)’이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견해(view)에 있어, 이 나라는 전적으로 인간적이고 사회주의화 된(socialized) 그 어떤 것으로 되는 경향이 있는데(tends to), 중요한 것은, 사회-경제적이고, 정치적이며 그리고 심지어 문화적인, 해방을 위한 프로그램들과 노고(struggles)들에 있는 것이지, 하느님의 초월성을 향하여 차단된(is closed to the transcendent) 어떤 시야 안쪽에(within a horizon)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관점(level)에 있어서도 또한 증진되어야 하는 가치들이 있음을 거부함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관념(notion)은, 그 진정한 그리고 깊은 특징(dimensions)들을 박탈당한(deprived of), 사람의 나라(the kingdom of man)라는 한계 안쪽에 머물러 있습니다. 그러한 견해는 순전히 세속적 진전(progress)인 또 하나의 이념(one more ideology)으로 쉽게 바뀝니다(translate). 그러나 하느님의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하지 않습니다 ... 이 세상으로부터 유래하지 않습니다”(요한 복음서 18,36).
 
There are also conceptions which deliberately emphasize the kingdom and which describe themselves as "kingdom-centered." They stress the image of a Church which is not concerned about herself, but which is totally concerned with bearing witness to and serving the kingdom. It is a "Church for others" just as Christ is the "man for others." The Church's task is described as though it had to proceed in two directions: on the one hand promoting such "values of the kingdom" as peace, justice, freedom, brotherhood, etc,, while on the other hand fostering dialogue between peoples, cultures and religions, so that through a mutual enrichment they might help the world to be renewed and to journey ever closer toward the kingdom.
 
이 나라를 의도적으로 강조하는 개념(conceptions)들도 또한 있는데 이 개념들은 스스로를 ‘나라 중심적으로(kingdom-centered)’ 묘사합니다. 이 개념들은 교회의 모습(image)을 강조하는데, 교회는 그 자신에 관하여 염려하는 것이 아니라, 이 나라에 대하여 증거하고 이 나라를 섬기는 데에 전적으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마치 예수님께서 ‘다른 이들을 위한 사람(man for others)’이신 것과 꼭 같이 교회는 ‘다른 이들을 위한 교회(Church for other)’입니다. 교회의 과제(task)는 다음과 같이 마치 두 방향으로 진행하여야 하였던 것처럼 묘사됩니다: 한편으로는 평화, 정의, 자유, 형제애 등과 같은 ‘이 나라의 가치들’을 증진시키는 반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사람들, 문화들 그리고 종교들 사이의 대화를 조성하여(fostering), 그 결과 서로를 풍성하게 함(a mutual enrichment)을 통하여 이 개념들은 이 세상이 새롭게 되도록 그리하여 그 어떤 때보다도 더 가까이 이 나라를 향하여 여행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Together with positive aspects, these conceptions often reveal negative aspects as well. First, they are silent about Christ: the kingdom of which they speak is "theocentrically" based, since, according to them, Christ cannot be understood by those who lack Christian faith, whereas different peoples, cultures and religions are capable of finding common ground in the one divine reality, by whatever name it is called. For the same reason they put great stress on the mystery of creation, which is reflected in the diversity of cultures and beliefs, but they keep silent about the mystery of redemption. Furthermore, the kingdom, as they understand it, ends up either leaving very little room for the Church or undervaluing the Church in reaction to a presumed "ecclesiocentrism" of the past, and because they consider the Church herself only a sign, for that matter a sign not without ambiguity.
 
긍정적인 양상들과 함께, 이들 개념들은 또한 부정적인 양상들을 자주 드러냅니다. 첫째, 이 개념들은 다음과 같이 그리스도에 관하여 침묵함니다: 이 개념들이 말하는 나라는 ‘신중심적으로(theocentrically)’ 기반을 두고 있는데, 이는, 이 개념들에 따르면, 그리스도는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Christian faith)이 결여된 자들에 의하여 이해될 수 없으나, 이와는 달리 다른 사람들, 문화들 그리고 종교들은, 어떠한 이름으로써 그것이 불리든지 간에, 하나의 신성한 실재(one divine reality) 안에 있는 공통의 기반(common ground)을 발견할 능력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꼭 같은 이유로 이 개념들은, 다양한 문화들과 믿음(beliefs)들에 반영되어 있는(is reflected), 창조의 신비(the mystery of creation)를 크게 강조합니다만, 그러나 이 개념들은 속량의 신비(the mystery of redemption)에 관하여서는 침묵을 유지합니다. 더구나, 이 나라는, 이 개념들이 이해하는 바에 의하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과거의 ‘교회중심주의(ecclesiocentrism)’에 대한 반작용으로, 그리고 이 개념들은 교회 그 자체를 단지 하나의 표징(a sign)으로, 이 점에 대해서는(for that matter) 애매모호함이 없지 아니한(not without ambiguity) 하나의 표징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교회의 여지를 거의 남겨두지 않거나 혹은 교회를 과소평가하는 것 둘 중의 하나로 끝맺습니다(ends up).
 
18. This is not the kingdom of God as we know it from Revelation. The kingdom cannot be detached either from Christ or from the Church.
 
18. 이것은 거룩한 계시(Revelation)로부터 우리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은 하느님의 나라가 아닙니다. 이 나라는 그리스도 혹은 교회 어느 것으로부터도 떼어낼 수 없습니다.
 
As has already been said, Christ not only proclaimed the kingdom, but in him the kingdom itself became present and was fulfilled. This happened not only through his words and his deeds: "Above all,...the kingdom is made manifest in the very person of Christ, Son of God and Son of Man, who came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 (Mk 10:45)."22 The kingdom of God is not a concept, a doctrine, or a program subject to free interpretation, but it is before all else a person with the face and name of Jesus of Nazareth, the image of the invisible God.23 If the kingdom is separated from Jesus, it is no longer the kingdom of God which he revealed. The result is a distortion of the meaning of the kingdom, which runs the risk of being transformed into a purely human or ideological goal, and a distortion of the identity of Christ, who no longer appears as the Lord to whom everything must one day be subjected (cf. 1 Cor 15:27).
 
이미 언급되었듯이, 그리스도께서는 단지 이 나라만을 선포하셨던 것이 아니라, 또한 당신 안에 이 나라 자체가 현존하게 되었으며 그리고 구현되었음을 선포하셨습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오로지 당신의 말씀들과 당신의 행위들을 통하여 발생하였던 것만이 아닙니다: “무엇보다도, ... 이 나라는, 하느님의 아드님이시며 사람의 아들인, 그리스도라는 바로 그 위격 안에서(in the very person of Christ) 나타나게 되는데, 당신께서는 ‘섬기러 오셨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당신의 목숨을 바치러’(마르코 복음서 10,45) 오셨습니다.”6) 하느님의 나라는 자유 해석의 대상인(subject to free interpretation) 하나의 개념(a concept), 하나의 가르침(a doctrine), 혹은 하나의 프로그램(a program)이 아니라, 오히려 이것은 무엇보다도 먼저, 비가시적인 하느님의 모습(the image of the invisible God)인, 나자렛 출신의 예수님의 얼굴과 이름을 가진 하나의 인격체(a person)입니다.7) 만약에 이 나라가 예수님으로부터 분리된다면, 이 나라는 당신께서 드러내셨던 하느님의 나라가 더 이상 아닙니다. 그 결과는, 순전히 인간적 혹은 이념적 목표로 변질되는(transformed into) 위험을 무릅쓰는, 이 나라의 의미에 대한 하나의 왜곡(a distortion)이며, 그리고, 언젠가 모든 것들이 종속되어야만 하는 주님으로 더 이상 나타나지 않으시는, 그리스도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하나의 왜곡입니다(1코린토 15,27을 참조하라).
 
-----
6) 교회 헌장, 5장. (Second Vatican Ecumenical Council, Dogmatic Constitution on the Church Lumen Gentium, 5).
7) 사목 헌장, 22항 참조. (Cf. Second Vatican Ecumenical Council, Pastoral Constitution on the Church in the Modern World Gaudium et Spes, 22).
-----
 
Likewise, one may not separate the kingdom from the Church. It is true that the Church is not an end unto herself, since she is ordered toward the kingdom of God of which she is the seed, sign and instrument. Yet, while remaining distinct from Christ and the kingdom, the Church is indissolubly united to both. Christ endowed the Church, his body, with the fullness of the benefits and means of salvation. The Holy Spirit dwells in her, enlivens her with his gifts and charisms, sanctifies, guides and constantly renews her.24 The result is a unique and special relationship which, while not excluding the action of Christ and the Spirit outside the Church's visible boundaries, confers upon her a specific and necessary role; hence the Church's special connection with the kingdom of God and of Christ, which she has "the mission of announcing and inaugurating among all peoples."25

마찬가지로, 누구도 이 나라를 교회로부터 분리할 수 없을 것입니다. 교회는 그 자신을 향한 목표가 아님은 사실인데, 이는 교회가 하느님의 나라를 향하도록 명해져 있으며, 교회는 이 나라의 씨앗이고, 표징(sign)이며 그리고 도구(instrument)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그리스도로부터 그리고 이 나라로부터 구별되어 남아 있으면서도(remaining distinct), 교회는 이들 둘 다로부터 서로 떼어 놓을 수 없는 관계로 결합되어 있습니다(is indissolubly united to both).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지체이신 교회를 구원에 관계되는 특전들과 수단들(the benefits and means of salvation)의 풍만함으로 채우셨습니다. 성령께서는 교회 안에 거주하고 계시며, 당신의 선물(gifts)들과 은사(charisms)들로써 교회를 활기 띠게 하시며, 교회를 성화시키시고, 인도하시며, 그리고 지속적으로 새롭게 하십니다.8) 그 결과는 한 개의 유일하고 특별한 관계(a unique and special relationship)인데 이 관계는, 교회의 가시적인 범위(boundaries)들 밖에서의 그리스도와 성령의 활동(action)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교회에 하나의 구체적이고 필요한 역할(a specific and necessary role)을 부여하고, 그 결과 하느님 및 그리스도의 나라와 교회의 특별한 관계(connection)를 부여하여, 교회는 이 나라를 “모든 백성들 사이에서 선포하고 개시하는 임무(the mission of announcing and inaugurating)”를 가집니다.9)
 
-----
8) 교회 헌장, 4항 참조. (Cf. Second Vatican Ecumenical Council, Dogmatic Constitution on the Church Lumen Gentium, 4).
9) 같은 곳, 5항. (Ibid., 5).
-----
 
19. It is within this overall perspective that the reality of the kingdom is understood. Certainly, the kingdom demands the promotion of human values, as well as those which can properly be called "evangelical," since they are intimately bound up with the "Good News." But this sort of promotion, which is at the heart of the Church, must not be detached from or opposed to other fundamental tasks, such as proclaiming Christ and his Gospel, and establishing and building up communities which make present and active within mankind the living image of the kingdom. One need not fear falling thereby into a form of "ecclesiocentrism." Pope Paul VI, who affirmed the existence of "a profound link between Christ, the Church and evangelization,"26 also said that the Church "is not an end unto herself, but rather is fervently concerned to be completely of Christ, in Christ and for Christ, as well as completely of men, among men and for men."27

19. 이 나라의 실재(reality)가 이해되는 것은 바로 이 전반적인 관점 안에서입니다. 분명히, 이 나라는, ‘복음적(evangelical)’이라고 합당하게 불릴 수 있는 것들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가치들의 증진을 요구하는데, 이는 이 가치들이 ‘기쁜 소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교회의 심장(the heart of the Church)에 있는, 이러한 종류의 증진은, 그리스도와 당신의 복음을 선포함, 그리고 이 나라의 살아있는 모습을 인류 안에서 현존하게 하고 활발하게 하는 공동체들을 설립하고 건설함 등과 같은, 다른 기본적인 과업들로부터 분리되거나 혹은 이들 과업들에 대하여 반대하지 말아야 합니다. 누구도 그 때문에(thereby) ‘교회중심주의(ecclesiocentrism)’의 한 형태로 되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스도, 교회 그리고 복음의 설교(evangelization) 사이에 있는 심오한 연결’10)의 존재를 확언하셨던(affirmed) 교황 바오로 6세(Pope John VI)께서는 교회는 “그 자신을 향한 목표가 아니라, 이보다는 오히려, 완전하게 사람들에 의하여, 사람들 사이에서 그리고 사람들을 위하는 데에 뿐만이 아니라, 완전하게 그리스도에 의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그리스도를 위하는 데에 열정적 관심이 있습니다.” 라고 또한 말씀하셨습니다.11)
 
-----
10) 현대 복음의 선교, 16항. (Apostolic Exhortation Evangelii Nuntiandi).
11) 바오로 6세,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제3회기 개막 연설, 1964.9.14., AAS 56(1964), 810면. [Address at the opening of the Third Session of the Second Vatican Ecumenical Council, September 14, 1964: AAS 56 (1964), 810].
-----
 

The Church at the Service of the Kingdom
하느님의 나라에 대한 봉사에 임하고 있는 교회
 
20. The Church is effectively and concretely at the service of the kingdom. This is seen especially in her preaching, which is a call to conversion. Preaching constitutes the Church's first and fundamental way of serving the coming of the kingdom in individuals and in human society. Eschatological salvation begins even now in newness of life in Christ: "To all who believed in him, who believed in his name, he gave power to become children of God" (Jn 1:12).
 
20. 교회는 효과적으로 그리고 확고하게 이 나라에 대한 봉사에 임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특별히, 회심(conversion)으로의 부름인, 교회의 설교(preaching)에서 보입니다. 설교는 개인들에 있어 그리고 인간 사회에 있어 이 나라의 도래(the coming of the kingdom)를 위하여 일하는(serving) 교회의 첫 번째 그리고 기본적 방식을 구성합니다. 종말론적 구원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의 새로움 안에서 다음과 같이 심지어 지금 시작합니다: “그분께서는 당신을 받아들이는 이들, 당신의 이름을 믿는 모든 이에게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권한을 주셨습니다.”(요한 복음서 1,12).
 
The Church, then, serves the kingdom by establishing communities and founding new particular churches, and by guiding them to mature faith and charity in openness toward others, in service to individuals and society, and in understanding and esteem for human institutions.
 
그런 다음에, 교회는 공동체(communities)들을 설립함으로써 그리고 새로운 개별 교회(particular churches, 즉 지역 교회)들을 건립함으로써, 그리고 다른 이들을 향한 개방 안에서, 개인들과 사회에 대한 봉사 안에서, 그리고 인간의 제도(human institutions)들에 대한 이해와 존중 안에서, 이들을 성숙한 믿음(faith)과 사랑(charity)으로 인도함으로써, 이 나라를 위하여 일합니다.
 
The Church serves the kingdom by spreading throughout the world the "gospel values" which are an expression of the kingdom and which help people to accept God's plan. It is true that the inchoate reality of the kingdom can also be found beyond the confines of the Church among peoples everywhere, to the extent that they live "gospel values" and are open to the working of the Spirit who breathes when and where he wills (cf. Jn 3:8). But it must immediately be added that this temporal dimension of the kingdom remains incomplete unless it is related to the kingdom of Christ present in the Church and straining towards eschatological fullness.28
 
교회는 이 세상 전체에 걸쳐, 이 나라에 대한 하나의 표현(an expression)이며 그리고 사람들이 하느님의 계획을 받아들이는 것을 도와주는, ‘복음의 가치들(gospel values)’을 퍼뜨림으로써 이 나라를 위하여 일합니다. 이 나라의, 특히 완전하지 않게 형성되거나 체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존재나 작용에 있어 단지 부분적인12) 현실(the inchoate reality of the kingdom)이 또한, 그들이 ‘복음의 가치들’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며(live) 그리고 언제 어디에서나 당신께서 원하시는 데로 부시는(breathes)(요한 복음서 3,8) 성령의 일하심에 개방적인 한(to the extent that), 교회의 경계를 넘어 어디든지 사람들 사이에서 발견(among peoples everywhere) 될 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 나라에 대한 이러한 일시적인 양상(this temporal dimension)은, 만약에 이 양상이, 교회 안에 현존하면서(present) 그리고 종말론적 충만함(eschatological fullness)을 향하여 잡아당기는, 그리스도의 나라(the kingdom of Christ)에 관련되어 있지(is related) 않으면(unless), 여전히 불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음(remains incomplete)이 즉시 덧붙여 말해져야만(must be added) 합니다.13)
 
-----
12) 번역자 주: 다음의 Merriam Webster's On Line Dictionary의 사전적 설명에 따라, ‘inchoate’ 단어를 ‘특히 완전하지 않게 형성되거나 체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존재나 작용에 있어 단지 부분적인’으로 번역하는 것이 본문의 문맥에 훨씬 더 충실한 번역, 즉 예수 그리스도께서 교회 안에 그 씨앗을 심으셨고 교회의 탄생일 이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교회 안에서 지속적으로 자라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선포하신 하느님의 나라가 교회 밖에도 있는 것 같은 착각을 독자들에게 불러일으키지 않게 하는 번역이라는 생각이다:
 
13) 현대의 복음 선교, 34항 참조. (Cf. Paul VI, Apostolic Exhortation Evangelii Nuntiandi, 34).
-----
 
The many dimensions of the kingdom of God29 do not weaken the foundations and purposes of missionary activity, but rather strengthen and extend them. The Church is the sacrament of salvation for all mankind, and her activity is not limited only to those who accept her message. She is a dynamic force in mankind's journey toward the eschatological kingdom, and is the sign and promoter of gospel values.30 The Church contributes to mankind's pilgrimage of conversion to God's plan through her witness and through such activities as dialogue, human promotion, commitment to justice and peace, education and the care of the sick, and aid to the poor and to children. In carrying on these activities, however, she never loses sight of the priority of the transcendent and spiritual realities which are premises of eschatological salvation.
 
하느님의 나라의 많은 양상(dimensions)들은14) 선교 행위의 기초들 및 목적들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들을 강화하고 확장합니다. 교회는 모든 인류를 위한 구원의 성사(the sacrament of salvation)이며, 그리고 교회의 활동은 단지 교회의 메시지를 받아들인 자들에게만 제한되어 있지 않습니다. 교회는 종말론적 이 나라를 향한 인류의 여정에 있어 하나의 역동적인 힘이며, 그리고 복음 가치들의 표징(sign)이고 장려자(promoter)입니다.15) 교회는 자신의 증언을 통하여 그리고 대화, 인간적인 증진(human promotion), 정의(justice)와 평화에 대한 헌신(commitment), 교육과 병든 이들에 대한 돌봄, 그리고 가난한 이들 및 자녀들에 대한 도움 등과 같은 활동들을 통하여 하느님의 계획을 향한 회심(conversion)인 인류의 순례(mankind's pilgrimage)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이들 활동들을 수행함에 있어, 교회는, 종말론적 구원의 전제(premises)들인, 초월적이고 영적인 실체(realities)들에 대한 우선 사항(the priority)을 결코 잊어버리지 않습니다(never loses sight of).
 
-----
14) 교황청 국제신학위원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폐막 20주년에 즈음하여 교회론 관련 선택 주제들, 1985.10.7., 10: “교회의 종말론적 성격: 하느님 나라와 교회” 참조. (Cf. International Theological Commission, Select Themes of Ecclesiology on the Occasion of the Twentieth Anniversary of the Closing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October 7, 1985), 10: "The Eschatological Character of the Church: Kingdom and Church.").
번역자 주: 다음은 위에 언급된 자료이며, 필독을 권유한다.
 
15) 사목 헌장, 39항 참조. (Cf. Second Vatican Ecumenical Council, Pastoral Constitution on the Church in the Modern World Gaudium et Spes, 39).
-----
 
Finally, the Church serves the kingdom by her intercession, since the kingdom by its very nature is God's gift and work, as we are reminded by the gospel parables and by the prayer which Jesus taught us. We must ask for the kingdom, welcome it and make it grow within us; but we must also work together so that it will be welcomed and will grow among all people, until the time when Christ "delivers the kingdom to God the Father" and "God will be everything to everyone" (cf. 1 Cor 15:24, 28).
 
끝으로, 교회는 자신의 전구 기도(intercession)로써 이 나라를 위하여 일하는데, 이는 이 나라가, 복음서의 비유들에 의하여 그리고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가르치셨던 바로 그 기도에 의하여 우리가 상기하게 되듯이, 바로 그 자체의 본성에 의하여 하느님의 선물이며 위업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 나라를 간청하여야 하며, 이 나라를 기쁘게 맞이하고 이 나라가 우리 안에서 자라도록 하여야 하며, 그리고 또한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이 나라를 하느님 아버지께 넘겨드리시고” “하느님께서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이 되실” 바로 그때까지, 이 나라가 앞으로 모든 사람들 사이에서 기쁘게 받아들여지고 성장하도록 함께 일하여야 합니다.
 
 
(번역자 주: 이상은 제2장 전부에 대한 번역이며, 이하 생략).
 
-----
 
번역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14시간



1,262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