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impiety -에우티프로(Euthyphro) 1444_piety [소크라테스]

인쇄

. [218.55.90.*]

2015-04-22 ㅣ No.1630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5월 6일]

게시자 주: 이 글의 부제(副題)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형 선고를 받은 소크라테스의 죄목은 무엇? -에우티프로(Euthyphro)

[이상, 내용 추가 끝]

 

질문 1: 기원후 30년경에 사형 선고를 받은 예수님의 죄목은 신성모독(blasphemy)이었는데, 또한 사형 선고를 받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Socrates, 기원전 470-399년) 의 죄목은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요?

 

질문 2: 예수님께 그러한 죄목을 내세웠던 그 당시 예루살렘 유다인들의 심리 상태는 시기(jealousy)아니라 질투(envy)였다고 알려져 있는데(마태오 복음서 27,18; 마르코 복음서 15,10), 예수님의 공생활 시기보다 약430년 이전에 활동하였던 소크라테스에게 그러한 죄목을 내세웠던 그 당시 아테네인들의 심리 상태는 무엇이었는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질문 1: 기원후 30년경에 사형 선고를 받은 예수님의 죄목은 신성모독(blasphemy)이었는데, 또한 사형 선고를 받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Socrates, 기원전 470-399년) 의 죄목은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요?

 

질문 2: 예수님께 그러한 죄목을 내세웠던 그 당시 예루살렘 유다인들의 심리 상태는 시기(jealousy)아니라 질투(envy)였다고 알려져 있는데(마태오 복음서 27,18; 마르코 복음서 15,10), 예수님의 공생활 시기보다 약430년 이전에 활동하였던 소크라테스에게 그러한 죄목을 내세웠던 그 당시 아테네인들의 심리 상태는 무엇이었는지요?

  

1. 들어가면서

1-1. 다들 잘 알고 계시겠지만,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Socrates, 기원전 470-399년)는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Plato, 기원전 428-348년)의 스승이었고, 그리고 플라톤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기원전 384-322년)의 스승이었습니다.

 

질문 1: 기원후 30년경에 사형 선고를 받은 예수님의 죄목은 신성모독(blasphemy)이었는데, 또한 사형 선고를 받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Socrates, 기원전 470-399년) 의 죄목은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요?

 

1-2. (질문 1에 대한 답변 시작)

주변의 몇몇 지인들에게 약간 한가한 시간에 위의 질문 1을 하였더니 "아테네 젊은이들을 선동한 죄" 라고 답변하는 분들이 더러 계십니다만, 그러나 그 당시에 정치인이 결코 아니었던 소크라테스가 "선동죄"로 불리는 죄목으로 심지어 "사형 선고"를 받게 되었을 것이라는 추정은 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아래의 << 부 록 >>에 발췌되어 있고 그리고 또한 우리말로 번역도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마련된, 플라톤(Plato)의 저술의 명칭을 언급하였더나,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알아보는 분들이 전혀 없었습니다.

 

1-2-1.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에 주어진 Socrates 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특히, 소크라테스 본인은 아무런 저술도 남기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설명이 주어져 있는데, 소크라테스의 죄목이 무엇이었는지 말하고 있습니다. 즉, 당시의 아테네 시민들의 입장에서 말하면, 아테네 시민이라면 마땅히 경신(敬神)하여야 할 의무가 있는 올림푸스 산의 잡신들에 대한 신성모독(神聖冒瀆)이 바로 그에 대한 사형 선고의 죄목이었던 것입니다:

 

출처: http://plato.stanford.edu/entries/socrates/

(발췌 시작)

Prior to the action in the Theaetetus, a young poet named Meletus had composed a document charging Socrates with the capital crime of irreverence (asebeia): failure to show due piety toward the gods of Athens.

 

[플라톤의 저술인] Theaetetus 에서 그 사건(the action) 이전에, 메레투스(Meletus)라고 불리는 한 명의 젊은 시인(poet)이 불경(不敬, irreverence)(asebeia), 즉, 아테네의 잡신(gods)들을 향하여 정당한(due) piety의 제시(提示) 불이행(不履行)(failure to show)(*)이라는 사형에 처할 죄목(capital crime)으로 소크라테스를 고발하는 한 개의 서류를 이미 작성하였습니다.

 

-----

(*) 게시자 주: 국내의 일부 문헌들에서 소크라테스에 대한 사형 선고의 죄목을 단순히 "불경(不敬)" 이라고만 답변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나 (i) 도대체 누구에게 불경하였는지도 알 수 없고, 그리고 (ii) 언제 (즉, 어떠한 특정 순간에 혹은 평소에) 불경하였는지도 알 수 없는 그러한 답변과, (a) 위의 출처로부터 발췌된 철학 사전에 주어진 설명과 (b)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회복/복구된 "piety(pietas, eusebeia)"라는 단어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 둘 다에 의존하는, "아테네의 잡신(gods)들을 향하여 정당한(due),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의 제시(提示) 불이행(不履行)" 이라는 답변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라.

 

-----

(#) 번역자 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회복/복원한 "piety(pietas, eusebeia)" 정의(definition)인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으니, 국내의 성직자 및 수도자들을 포함하여, 되도록 많은 분들께서,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꼭 읽을 것을 권고드린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24_eusebeia_JP_II.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28_four_principles_of_Evangelization.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44.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49.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22.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piety_concept_error.htm [유관글들 전체 모음]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이상, 질문 1에 대한 답변 끝)

 

1-2-2. 다음은 또한,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에 주어진 Socrates 에 대한 설명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plato.stanford.edu/entries/socrates/

(발췌 시작)

Socrates's irreverence, Meletus claimed, had resulted in the corruption of the city's young men (Euthyphro 3c-d). Evidence for irreverence was of two types: Socrates did not believe in the gods of the Athenians (indeed, he had said on many occasions that the gods do not lie or do other wicked things, whereas the Olympian gods of the poets and the city were quarrelsome and vindictive); Socrates introduced new divinities (indeed, he insisted that his daimonion had spoken to him since childhood).

 

소크라테스의 irreverence [즉, impiety]가 아테네의 젊은이들의 타락을 결과로서 이미 초래하였다고 메레투스(Meletus)는 주장하였습니다 [에우티프로(Euthyphro) 3c-d]. irreverence [즉, impiety]에 대한 증거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들에 기인하였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인들의 잡신들 쪽으로 믿지(believe in) 않았으며 (정말로, 잡신들은 거짓말을 하거나 혹은 다른 사악한 일(other wicked things)들을 행하지 않으나, 이에 반하여 이 시인(the poets)들의 및 이 도시의 올림푸스 산의 잡신(Olympian gods)은 싸우기를 좋아하고(quarrelsome) 그리고 보복적이라고(vindictive) 그는 많은 기회들에서 이미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소크라테스는 새로운 신(divinities)들을 도입하였습니다 (정말로, 어린 시절 이후 그에게 자신의 다이아모니온(daimonion)이 이미 말해 왔다고 그는 강력히 주장하였습니다(insisted)).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2: 소크라테스의 죄목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어 impiety(asebeia)는 piety(eusebeia)의 반대말이다.

 

질문 2: 예수님께 그러한 죄목을 내세웠던 그 당시 예루살렘 유다인들의 심리 상태는 시기(jealousy)아니라 질투(envy)였다고 알려져 있는데(마태오 복음서 27,18; 마르코 복음서 15,10), 예수님의 공생활 시기보다 약430년 이전에 활동하였던 소크라테스에게 그러한 죄목을 내세웠던 그 당시 아테네인들의 심리 상태는 무엇이었는지요?

 

1-3. (질문 2에 대한 답변)

아래의 부록에 발췌된 플라톤(Plato)의 저술인 에우티프로(Euthyphro)에 의하면, 또한 질투(envy)였습니다.

(이상, 질문 2에 대한 답변 끝)

 

게시자 주 1-3: "시기(jealousy)""질투(envy)" 의 차이점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으니,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envy_vs_jealousy_concept_error.htm  <---- 필독 권고

 

2. 

2-1. 본글의 부록으로 발췌되어 많이 부족한 죄인에 의하여 우리말로 초벌 번역이 완료된, 플라톤(Plato)의 저서인 "에우티프로(Euthyphro)" 전문(영어본)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데, 

 

http://classics.mit.edu/Plato/euthyfro.html [미국 MIT 대학교 홈페이지 제공]

 

여기서 소크라테스가 아테네에서 사형 선고를 받게 된 죄목이 아테네의 잡신들 쪽으로 impiety(asebeia) 였음을 우리에게 또한 말하면서,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아버지를 아테네의 잡신들 쪽으로 impiety(asebeia)라는 동일한 죄목으로 이미 고발한, 에우티프로(Euthyphro)라고 불리는 [잡신(gods)들을 섬기는] 신전 예언자를 한 명의 훌륭한 신학자(a great theologian)라고 부르면서 자신이 에우티프로(Euthyphro)의 제자가 되겠다는 겸손한 언급과 함께, 자신에게 부과된 아테네의 잡신들 쪽으로 impiety(asebeia)라는 동일한 죄목과 관련하여, piety(eusebeia)impiety(asebeia) 정의(definitions)들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에우티프로(Euthyphro)에게, (i) 질문을 하고 (ii) 답변을 듣고, 그리고 또다시 (iii)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고 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혹시 에우티프로(Euthyphro)의 답변들이 자신에게 부과된 죄목에 반대하여 자신이 변론할 때에 도움이 될까 싶어 이러한 대화를 계속하였으나, 그러나 이 대화의 결론은, 에우티프로(Euthyphro)가 소크라테스가 납득하기에 충분한 piety(eusebeia)impiety(asebeia) 정의(definitions)들을 말해주지 못하고 소크라테스를 떠나감입니다.(*)

  

2-2. 그리고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두 명의 미국인들이 바로 위의 제2-1항에 있는 영어본을 대화 형식으로 읽는 것을 직접 들을 수 있습니다. 영어 듣기가 가능한 분들의 경우에, 단순히 눈으로만 읽고 이해하는 것보다 훨씬 더 쉽게 문맥을 이해할 수 있기에, 또한 안내해 드립니다 [mp3 파일 듣기 소요 시간: 약40분19초]:

 

http://www.archive.org/download/euthyphro_librivox/euthyphro_plato_64kb.mp3

 

출처: https://librivox.org/euthyphro-by-plato/

 

3.

3-1. (본글의 추가 결론들) 아래의 부록 전문을 가만히 읽어보면, 다음의 내용들을 그리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1) 소크라테스(Socrates)는, 자신의 제자인 플라톤(Plato)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와 마찬가지로, 보편적 진리(universal truth)를,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 학파에 의하여 사용되었고 그리고 수학자들이 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는, 논증적 추론(discursive reasoning)에 의존하여, 추구한 철학자였다.

 

(2) 소크라테스는, 올림푸스 산의 잡신(the Olympian gods)들이 시인(poets)들의 상상(imaginatiion)에 의한 산물(products)들이라고 말함으로써, 그들의 실재적 존재(existence)를 인정하지 않는다.

 

(3) 그러나, 소크라테스가, 한 분이신 하느님(God)의 존재(existence)를 인정하였는지 혹은 부정하였는지는 오로지 이 저술만로부터는 추정할 수 없다.(*)

 

(4) 다른 한편으로, 만약에, 소크라테스와 에우티프로가, 13세기 중반에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소크라테스의 제자인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언어 체계를 사용하여 제시한, 그리고, 다음에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gologica)Ia, q2 에 기술되어 있는,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에 의한 증명들인, 한 분이신 하느님의 존재(the Existence of God) 증명들 다섯 개를 학습하고, 그리하여 그 결과 한 분이신 하느님(God)의 존재를 인정하였더라면, 이들 두 사람들 사이의 대화들에서 특히 에우티프로의 주장들의 상당 부분이 그 설득력을 상실하게 되었을 것임에 반드시 주목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61.htm <----- 필독 권고

 

-----

(*) 게시자 주: "소크라테스(Socrates)" 에 대한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언급들은 다음에 있다:

 

출처: 2008년 1월 17일자 로마 소재 "La Sapienza" 대학교 방문 동안 강연/연설:

http://w2.vatican.va/content/benedict-xvi/en/speeches/2008/january/documents/
hf_ben-xvi_spe_20080117_la-sapienza.html

(발췌 시작)

Now, however, we must ask ourselves: “What is the university? What is its task?” This is a vast question to which, once again, I can only endeavour to respond in an almost telegraphic style with one or two comments. I think one could say that at the most intimate level, the true origin of the university lies in the thirst for knowledge that is proper to man. The human being wants to know what everything around him is. He wants truth. In this perspective, once can see Socratic questioning as the impulse that gave birth to the western university. I am thinking, for example – to mention only one text – of the dispute with Euthyphro, who in debate with Socrates defended the mythical religion and cult. Socrates countered with a question: “Do you believe that the gods are really waging war against each other with terrible feuds and battles? … Must we effectively say, Euthyphro, that all this is true?” (6 b-c). The Christians of the first centuries identified themselves and their journey with this question which seems not particularly devout – but which in Socrates’ case derived from a deeper and purer religious sensibility, from the search for the true God. They received their faith not in a positivistic manner, nor as a way of escape from unfulfilled wishes; rather, they understood it as dispelling the mist of mythological religion in order to make way for the discovery of the God who is creative Reason, God who is Reason-Love. This is why reasoned enquiry concerning the truly great God, and concerning the true nature and meaning of the human being, did not strike them as problematic, as a lack of due religious sentiment: rather, it was an essential part of their way of being religious. Hence they did not need to abandon or set aside Socratic enquiry, but they could, indeed were bound to accept it, and recognize reason’s laborious search to attain knowledge of the whole truth as part of their own identity. In this way, within the context of the Christian faith, in the Christian world, the university could come into being – indeed it was bound to do so.

(이상, 발췌 끝)

 

출처: 2010년 4월 15일자 교황청 성경 위원회 위원들과의 성찬 전례 강론 말씀:

http://w2.vatican.va/content/benedict-xvi/en/homilies/2010/documents/
hf_ben-xvi_hom_20100415_pcb.html

(발췌 시작)

And here exegetes draw our attention to the fact that St Peter's response to the Sanhedrim is almost word for word identical to Socrates' response to the sentence at the tribunal in Athens. The tribunal offers him freedom, liberation; on the condition, however, that he does not continue to seek God. But for him searching for God, the quest for God, is a superior mandate, which comes from God himself. And a freedom bought at the price of renouncing the journey towards God would no longer be freedom. Therefore he must not obey these judges he must not purchase his life at the cost of losing himself but must obey God. Obedience to God has priority.

(이상, 발췌 끝)

 

출처: 2011년 5월 4일자 교리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

http://w2.vatican.va/content/benedict-xvi/en/audiences/2011/documents/
hf_ben-xvi_aud_20110504.html

(발췌 시작)

In the pagan religion of ancient Greece, a very significant development may be seen: prayers, while still invoking divine help to obtain heavenly favours in every circumstance of daily life and to receive material benefits, gradually became orientated to more disinterested requests, which enabled the believer to deepen his or her relationship with God and to become a better person.

 

For example, the great philosopher Plato records a prayer of his teacher, Socrates, held to be one of the founders of Western thought. This was Socrates’ prayer: “Grant to me that I be made beautiful in my soul within, and that all external possessions be in harmony with my inner man. May I consider the wise man rich; and may I have such wealth as only the self-restrained man can bear or endure” (Plato, Phaedrus, English trans.: Loeb, Harold North Fowler). Rather than to possess plenty of money, he wanted above all to be beautiful within and wise.

(이상, 발췌 끝)

-----

 

3-2. 다음은, 케나다 Waterloo Ontario 소재 St. Jerome University의 석좌 교수 Donald Demarco의 2001년 9월, Lay Witness 에 "Piety" 라는 제목으로 게재된, 에세이에서 발췌된 것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education.org/en/culture/catholic-contributions/piety.html

(발췌 시작)
he was expressing his duty in piety to Socrates, to the perished splendors of Athens, and to the notable Athenian family to which he belonged.

 

플라톤(he)은, [자신의 스승인] 소크라테스(Socrates) 쪽으로, 아테네의 소멸된 광채들 쪽으로, 그리고 자신이 속하였던, 주목할 만한, 아테네인들로 이루어진, 가족(the notable Athenian family) 쪽으로,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 안에서, 자신의 의무를 표현하는 중이었습니다.

 

-----

(*) 번역자 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회복/복원한 "piety(pietas, eusebeia)" 정의(definition)인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으니, 국내의 성직자 및 수도자들을 포함하여, 되도록 많은 분들께서,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꼭 읽을 것을 권고드린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24_eusebeia_JP_II.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28_four_principles_of_Evangelization.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44.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49.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22.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piety_concept_error.htm [유관글들 전체 모음]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부 록 >>

에우티프로/에우티프론 

By Plato

Written 380 B.C.E(*)

Translated by Benjamin Jowett


Persons of the Dialogue

대화의 인물들


SOCRATES

소크라테스


EUTHYPHRO

에우티프로/에우티프론

Scene

장면 

The Porch of the King Archon.

아르콘(Archon) 임금의 주랑

 

-----

(*) 번역자 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이 저술 연대는 명백한 오류일 것이다. 이는 소크라테스의 사망 년도가 기원전 399년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 

----------------------------------------------------------------


[2a] Euthyphro. Why have you left the Lyceum, Socrates? and what are you doing in the Porch of the King Archon? Surely you cannot be concerned in a suit before the King, like myself?

 

에우티프로. 왜 당신이 라이체움(Lyceum)을 이미 떠났는지요, 소크라테스님? 그리고 아르콘(Archon) 임금의 주랑에서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는 중이신지요? 확실히, 나 자신처럼, 당신이 이 임금 앞에서 한 개의 소송(a suit)에 관련될 수는 없는 것이지요? 

Socrates. Not in a suit, Euthyphro; impeachment is the word which the Athenians use.

 

소크라테스. 한 개의 소송에 가 아니고, 에우티프로여, 탄핵(impeachment)이 아테네인(Athenians)들이 사용하는 단어이라네.

[2b] Euth. What! I suppose that some one has been prosecuting you, for I cannot believe that you are the prosecutor of another.

 

에우티. 무슨! 어떤 이가 당신을 이미 기소하였다고 저는 추정하는데요(suppose), 이는 당신이 다른 이의 기소자이라는 것을 제가 믿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Soc. Certainly not.

 

소크. 확실히 그렇지 않네.

Euth. Then some one else has been prosecuting you?

 

에우티. 그렇다면 어떠한 다른 이가 당신을 이미 기소하였다는 것입니까?

Soc. Yes.

 

소크. 그렇다네.

Euth. And who is he?

 

에두티. 그러면 그자가 누구인지요?

Soc. A young man who is little known, Euthyphro; and I hardly know him: his name is Meletus, and he is of the deme of Pitthis. Perhaps you may remember his appearance; he has a beak, and long straight hair, and a beard which is ill grown.

 

소크. 별로 알려지지 않은 한 명의 젊은이라네, 에우티프로여, 그리고 나는 그자를 거의 알지 못하는데, 그자의 이름은 메레투스(Meletus)이고, 그리고 피티스(Pitthis) 의 지방 자치 단체(deme) 출신이라네. 아마도 자네가 그자의 얼굴을 기억할 수도 있겠는데, 그자는 매부리코(a beak)를, 그리고 길다란 직모 머리카락을 그리고 부실하게 자란(ill grown) 턱수염(a beard)을 가졌다네.

Euth. No, I do not remember him, Socrates. [2c] But what is the charge which he brings against you?

 

에우티. 아닙니다, 저는 그자를 기억하지 못함니다, 소크라테스님.  그러나 그자가 당신에 반대하여 가져온 죄목이 무엇인지요?


Soc. What is the charge? Well, a very serious charge, which shows a good deal of character in the young man, and for which he is certainly not to be despised. He says he knows how the youth are corrupted and who are their corruptors. I fancy that he must be a wise man, and seeing that I am the reverse of a wise man, he has found me out, and is going to accuse me of corrupting his young friends. And of this our mother the state is to be the judge. [2d] Of all our political men he is the only one who seems to me to begin in the right way, with the cultivation of virtue in youth; like a good husbandman, he makes the young shoots his first care, and clears away us who are the destroyers of them. [3a] This is only the first step; he will afterwards attend to the elder branches; and if he goes on as he has begun, he will be a very great public benefactor.

 

소크. 죄목이 무엇이냐고? 글쎄, 한 개의 심각한 죄목인데, 이 죄목은 그 젊은이에게 있는 성격의 상당 부분을 보여주나, 그러나 그것 때문에 그자가 결코 멸시를 받게 되지 않아야 한다네. 젊음이 어떻게 타락하게 됨을 그리고 누가 그들을 타락시키는 자들인지를 자신이 알고 있다고 그자가 말한다네. 나는, 그자가 한 명의 지혜로운 자가 틀림없고 그리고 내가 한 명의 지혜로운 자의 반대(reverse)이므로, 그자가 나를 이미 찾아내었고, 그리하여 자신의 젊은 친구들을 타락시켰다고 나를 고발하였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네. 그리고 바로 이것에 대하여 우리의 어머니인 국가(state)가 판관이 될 것이네. 우리의 정치적인 사람들 모두 중에서 그자는 젊음 안에 있는 덕(virtue)의 함양(涵養, cultivation)과 함께, 올바른 방식으로 시작하는 유일한 자이라고, 그리하여 한 명의 선한 농부처럼, 그자는 어린 싹들을 자신의 첫 번째 보살핌으로 삼고, 그리고 그들의 파괴자들인 우리를 치워 없앨 것이라고, 나에게 생각된다네. 이것은 오로지 첫 번째 단계이고, 그자는 이후에 더 오래된 가지들을 장차 보살필 것이고, 그리고 만약에 그자가 이미 시작하였듯이 계속한다면, 그자는 장차 한 명의 대단히 훌륭한 공공의 후원자(public benefactor)가 될 것이네.

 
Euth. I hope that he may; but I rather fear, Socrates, that the opposite will turn out to be the truth. My opinion is that in attacking you he is simply aiming a blow at the foundation of the state. But in what way does he say that you corrupt the young?

 

에우티. 그자가 그렇게 되기를 저도 희망합니다만, 그러나, 소크라테스님, 정반대(the opposite)가 진리인 것으로 장차 드러날까 저는 오히려 두렵습니다. 저의 견해는 그자가 당신을 공격함으로써 이 국가의 기초에 단순히  일격(a blow)을 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어떠한 방식으로 당신이 젊은이들을 타락시킨다고 그자가 말하는지요?

[3b] Soc. He brings a wonderful accusation against me, which at first hearing excites surprise: he says that I am a poet or maker of gods, and that I invent new gods and deny the existence of old ones; this is the ground of his indictment.

 

소크. 그자는, 처음 들었을 때에 놀라움을 일깨우는(excites), 나에게 반하는 한 개의 경이로운 비난(accusation)을 다음과 같이 제기하네: 그자는 내가 한 명의 시인(poet) 혹은 잡신(gods)들을 만드는 자(maker)라고, 그리하여 내가 새로운 잡신들을 고안하고 그리고 옛 잡신들의 존재를 부정한다고 말하는데,(#) 바로 이것이 그자의 고발(indictment)의 근거이라네.

 

-----

(#) 번역자 주:

(1) 바로 이러한 언급으로부터 우리는, 그리스 신화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잡신(gods)들이 [예를 들어, 소위 말하는, "일곱 개의 자유인들에게 적합한 기술(liberal arts)들" 에 포함되는 당시의 "천문학(astronomy)" "음악(music)" 등에 익숙하였을] 시인(poets)들의 상상력에 의하여 묘사되어, 그리하여 형이상학(metaphysics) 안쪽으로 들어오게 되는, 있음(beings)들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2) "일곱 개의 자유인들에게 적합한 기술(liberal arts)"에 대한 대단히 좋은 내용의, 그리고 여태까지 국내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내용의, 안내의 글[제목: 지성덕들과 전통적 교육체계 외]은 다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특히 교육계에 종사하는 분들의 필독을 권고드린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21.htm <----- 필독 권고

-----

Euth. I understand, Socrates; he means to attack you about the familiar sign which occasionally, as you say, comes to you. He thinks that you are a neologian, and he is going to have you up before the court for this. He knows that such a charge is readily received by the world, as I myself know too well; [3c] for when I speak in the assembly about divine things, and foretell the future to them, they laugh at me and think me a madman. Yet every word that I say is true. But they are jealous of us all; and we must be brave and go at them.

 

에우티. 소크라테스님, 저는 이해하며. 그리고 그자는, 당신이 말씀하시듯이, 당신에게 가끔 오는 잘 알려진 표징(sign)에 관하여 당신을 공격할 작젇일 것입니다. 그자는 당신이 한 명의 신교의(新敎義) 제창자(a neologian)라고 생각하며, 그리고 그는 바로 이것 때문에 당신을 법정 앞에 장차 서게 할 것입니다. 그자는 그러한 한 개의 죄목(a charge)이, 제 자신이 너무 잘 알고 있듯이, 세상에 의하여 선뜻 받아들여진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이는 제가 회중에게 신성한 사물(divine things)들에 관하여 말하고, 그리고 그들에게 미래를 예언할(foretell) 때에, 그들은 저를 향하여 웃고 그리고 저를 한 명의 미친자로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말한 모든 전언(傳言, word)은 참(true)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우리 모두에 대하여 질투하며(jealous of)(*), 그리하여 우리는 용감하여야 하고 그리고 그들을 향하여 나아가야(go at) 합니다.

 

-----

(*) 번역자 주: (영어본 번역 오류)

(1) 그 어원이 "phthonos" 인 그리스어 단어가 이 영어본에서는 "jealous" 로 번역되었으나, 다음에 있는 프랑스어본 [3c]에서는 "envie"로 번역되었는데, 여기서는 전후의 문맥 안에서 "나쁜(bad)/악한(evil) jealousy(시기)"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단순히 "시기하는(jealousy)" 으로 번역되기 보다는, "질투(envious)" 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http://philoctetes.free.fr/euthyphron.htm

 

(2) 바로 위의 제(1)항에서의 지적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야고보서 4,5 등에 대한 다음의 글들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15_phthonos.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16_phthonos.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25_phthonos.htm <----- 필독 권고

 

(3) 그리고 더 나아가, "시기(jealousy)""질투(envy)" 의 차이점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으니,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envy_vs_jealousy_concept_error.htm  <---- 필독 권고

-----

Soc. Their laughter, friend Euthyphro, is not a matter of much consequence. For a man may be thought wise; but the Athenians, I suspect, do not much trouble themselves about him until he begins to impart his wisdom to others, [3d] and then for some reason or other, perhaps, as you say, from jealousy, they are angry.

 

소크. 그들의 웃음은, 친구 에우티프로여, 커다란 중요성(much consequence)의 문제가 아닐쎄. 이는 한 사람(a man)이 지혜롭디고 생각될 수도 있으나, 그러나 아테네인들은 그자가 자신의 지혜를 다른 이들에게 나누어 주기 시작하여, 그리고 그런 다음에 이런 저런 이유 때문에, 아마도, 그대가 말하듯이, 질투(envie)(**)로부터, 그들이 화가 날 때까지는, 그자 때문에 자기 자신들을 괴롭히지(trouble themselves about) 않을 것이라고, 내가 생각하기 때문이라네.

 

-----

(**) 번역자 주:

(1) 위의 (*) 번역자 주를 꼭 읽도록 하라.

 

(2) 다른 한편으로, 바로 이러한 역설적 화법으로 당시에 아테네인들이 [예를 들어, 그리스도교에서 가르치는, 인류의 선조인 아담(Adam)과 하와(Eve)가 범하였던 원죄(the original sin)의 결과들 중의 하나인 칠죄종(the seven capital sins)들 중의 하나인] 질투(envy) 때문에 자신의 스승인 소크라테스에게 사형 선고를 내렸음을, 플라톤(Plato)이 대단히 강하게 항변하고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

Euth. I am never likely to try their temper in this way.

 

에우티. 저는 그들의 기질(temper)을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결코 시험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Soc. I dare say not, for you are reserved in your behaviour, and seldom impart your wisdom.(*) But I have a benevolent habit of pouring out myself to everybody, and would even pay for a listener, and I am afraid that the Athenians may think me too talkative. Now if, as I was saying, they would only laugh at me, as you say that they laugh at you, the time might pass gaily enough in the court; but perhaps they may be in earnest, and then what the end will be you soothsayers only can predict.

 

소크. 그래서 바로 이 말이 그대가 [자신의 처신에 있어] 대단히 극단적으로 유보적이고, 그리하여 자신의 지혜를 기꺼이 나누어 주려고(communicate) 하지 않는 이유로군.(*) 그러나 나는 모든 이에게 나 자신을 거침없이 드러내고, 그리고 심지어 한 명의 청중에 대하여도 경청(傾聽)의 댓가를 지불하고자 하는 어떤 호의적인 습관을 가지고 있는데, 그리하여 아테네인들이 내가 너무 말이 많다고 생각할 수도 있음을 내가 염려한다네. 그런데 만약에, 내가 말하였듯이, 그들이, 그대를 향하여 그들이 웃는다고 말하듯이, 오로지 나를 향하여 웃기만 한다면, 그 시간은 법정에서 충분히 흥겹게(gaily) 지나갈 것이지먄, 그러나 혹시라도 그들이 진지할(in earnest) 수도 있는데, 그렇다면, 그대들 예언자(soothsayers)들만이 오로지 예언할 수 있는, 그 끝(the end)이 장차 무엇일지.

 

-----

(*) 번역자 주: 이 영어본 번역문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다음의 프랑스어본 번역문과 너무도 다르고, 특히 이 영어본 번역문을 우리말로 번역을 하였을 때에, 전후 문맥 안에서 잘 합치되지 않는 문제 때문에, 영어본 대신에, 프랑스어본에서의 해당 번역문을 우리말로 번역하였다:

 

출처: http://philoctetes.free.fr/euthyphron.htm

(프랑스어본 발췌 시작)

Voilà donc pourquoi tu es si fort réservé, et ne communiques pas volontiers ta sagesse.

 

So that's why you are so extremely reserved, and do not willingly communicate your wisdom.

(이상, 발췌 및 영어로 졸번역 끝)

-----


Euth. I dare say that the affair will end in nothing, Socrates, and that you will win your cause; and I think that I shall win my own.

 

에우티. 이 사건은 아무 것도 아닌 것으로 장차 끝날 것이며, 그리하여 당신이 자신에 대한 소송(cause)에서 장차 이길 것이라고 저는 감히 말하고, 그리고 저는 제 고유한 소송에서 장차 이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Soc. And what is your suit, Euthyphro? are you the pursuer or the defendant?

 

소크. 그런데 그대의 소송은 무엇인가, 에우티프로여? 그대는 원고인가 혹은 피고인가?

Euth. I am the pursuer.

 

에우티. 저는 원고입니다.

Soc. Of whom?

 

소크. 누구에 대하여?

Euth. You will think me mad when I tell you.

 

에우티. 제가 당신께 말씀드리면 당신은 제가 미쳤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Soc. Why, has the fugitive wings?

 

소크. 왜, 도망(逃亡)하는 날개(the fugitive wings)들을 가졌나?

Euth. Nay, he is not very volatile at his time of life.

 

에우티. 아닙니다, 그는 삶에 있어서의 자신의 시간에 별로 변덕스럽지(volitile) 못합니다.

Soc. Who is he?

 

소크. 그가 누구인지?

Euth. My father.

 

에우티. 제 아버지입니다.

Soc. Your father! my good man?

 

소크. 자네 아버지라니! 여보게?

Euth. Yes.

 

에우티. 예.

Soc. And of what is he accused?

 

소크. 그리고 무엇 때문에 그가 [아들인 자네의] 고발을 당하였는가?

Euth. Of murder, Socrates.

 

에우티. 살인 때문입니다, 소크라테스님.

Soc. By the powers, Euthyphro! how little does the common herd know of the nature of right and truth. A man must be an extraordinary man, and have made great strides in wisdom, before he could have seen his way to bring such an action.

 

소크. 신적 존재(the powers)들에 의하여서였겠지, 에우티프로여! 올바른 행위(right)와 진리(truth)의 본성에 대하여 보통 사람(the common herd)들이 아는 것이 얼마나 적은지. 한 사람(a man)은, 자신이 그러한 행동을 감히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전에, 한 명의 비상한(extraordinary) 사람이어야 하고, 그리고 지혜에 있어 커다란 진보(strides)들을 이미 하였어야 할 것이네. 

 

Euth. Indeed, Socrates, he must.

 

에우티. 정말로, 소크라테스님, 그는 그러하였어야 합니다.

Soc. I suppose that the man whom your father murdered was one of your relatives-clearly he was; for if he had been a stranger you would never have thought of prosecuting him.

 

소크. 자네의 아버지가 살해한 그 사람이 자네의 친척이었을 것이라고 - 분명히 그가 그러하였을 것이라고, 나는 추정하는데(suppose), 이는 만약에 그자가 한 명의 낯선 사람이었더라면 그대는 그를 고소할 생각을 결코 하지 못하였었을 것이기 때문이네. 

Euth. I am amused, Socrates, at your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one who is a relation and one who is not a relation; for surely the pollution is the same in either case, if you knowingly associate with the murderer when you ought to clear yourself and him by proceeding against him. The real question is whether the murdered man has been justly slain. If justly, then your duty is to let the matter alone; but if unjustly, then even if the murderer lives under the same roof with you and eats at the same table, proceed against him. Now the man who is dead was a poor dependent of mine who worked for us as a field labourer on our farm in Naxos, and one day in a fit of drunken passion he got into a quarrel with one of our domestic servants and slew him. My father bound him hand and foot and threw him into a ditch, and then sent to Athens to ask of a diviner what he should do with him. Meanwhile he never attended to him and took no care about him, for he regarded him as a murderer; and thought that no great harm would be done even if he did die. Now this was just what happened. For such was the effect of cold and hunger and chains upon him, that before the messenger returned from the diviner, he was dead. And my father and family are angry with me for taking the part of the murderer and prosecuting my father. They say that he did not kill him, and that if he did, dead man was but a murderer, and I ought not to take any notice, for that a son is impious who prosecutes a father. Which shows, Socrates, how little they know what the gods think about piety and impiety.

 

에우티. 소크라테스님, 당신이 한 명의 친척인 자와 한 명의 친척이 아닌 자 사이에서 어떤 구분을 하는 것을 듣고서 제가 즐겁게 되는데, 이는, 비록, 당신 자신과 그가 마땅히 결백함을 입증하여야(clear) 할 때에 그에 반하여 나아감으로써, 당신이 고의로(knowingly) 살인자와 한패가 된다고 하더라도, 둘 중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윤리적 타락(pollution)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문제는 살인을 당한 자가 정당하게(justly) 죽임을 당하였는지에 있습니다. 만약에 정당하게 였다면, 당신의 임무(duty)는 이 사건을 내버려 두는 것이지만, 그러나 만약에 정당하지 않게(unjustly) 였다면, 심지어 이 살인자가 당신과 함께 동일한 지붕 아래에서 살고 있고 그리고 동일한 식탁에서 식사를 하더라도, 당신의 임무는 그에 반하여 나아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죽은 사람은, 낙소스(Naxos)에 있는 우리의 밭에서 한 명의 밭 일꾼으로서 우리를 위하여 일하였던 나의 소유물인 한 명의 가난한 식솔(dependent)이었는데, 어느날 술로 인한 흥분(drunken passion) 때문에 우리의 가정의 하인(domestic servants)들 중의 한 명과 어떤 다툼 안쪽으로 들어갔으며 그리고 그를 살해하였습니다(slew). 저의 아버지가 손발을 못쓰게 그자를 묶었고 그리고 한 개의 수로(a ditch) 안쪽으로 그자를 던졌으며, 그런 다음에 그자를 어떻게 처리하여야 할 지를 한 명의 점쟁이(a diviner)에게 묻고자 아테네로 [심부름꾼을] 보냈습니다. 그동안에 그는 그자를 전혀 돌보지(attended to) 않았고 그리고 그자에 관하여 아무런 조심도 하지 않았는데(took no care), 이는 그가 그자를 한 명의 살인자로 간주하였고, 그리고 심지어 그자가 정말로 죽는다고 하더라도 아무런 커다란 해가 행해진 것이 아닐 것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다음은 정말(just) 발생한 바였습니다: 그자 위에 추위와 배고픔 그리고 쇠사슬의 결과가 있었던 경우(such)인데, 그리하여 그 결과 그 심부름꾼이 그 점쟁이로부터 되돌아오기 전에, 그자가 죽었습니다. 그리고 저의 아버지와 가족은 제가 이 살인자의 편을 들고 그리고 저의 아버지를 기소한 것에 대하여 화를 내고 있습니다. 그가 그자를 죽이지 않았다고 그들은 말하며, 그리고 설사 그가 그랬다고 하더라도, 죽은 사람은 오로지 한 명의 살인자였으며, 그리하여, 하나뿐인 아버지를 기소하는 한 명의 아들은 impious하다는 이유 때문에, 제가 주목하지 않아야 한다 라고 그들은 말합니다. 바로 이것은, 소크라테스님, pietyimpiety에 관하여 잡신(gods)들이 생각하는 바를 그들이 얼마나 모르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Soc. Good heavens, Euthyphro! and is your knowledge of religion and of things pious and impious so very exact, that, supposing the circumstances to be as you state them, you are not afraid lest you too may be doing an impious thing in bringing an action against your father?

 

소크. 저런(good heavens), 에우티프로여! 그런데 경신(敬神, religion)에 대한 그리고 pious하고 그리고 impious한 사물들에 대한 그대의 지식이 대단히 정확하여, 그리하여 그 결과, 자네가 그것들에 대하여 서술하였듯이 그 상황들이 그러함을 추정하면서도(supposing), 그대의 아버지에게 반하는 한 개의 고소를 하는 행위에 있어 어떤 impious한 것(thing)을 그대가 또한 행하지는 않을까 하고 그대는 걱정하지 않는가?

Euth. The best of Euthyphro, and that which distinguishes him, Socrates, from other men, is his exact knowledge of all such matters. What should I be good for without it?

 

에우티. 에우티프로의 장점(best)은, 그리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그를 구분하는 바로 그것은, 소크라테스님, 모든 그러한 사건들에 대한 그의 정확한 지식(exact knowledge)입니다. 제가, 그러한 지식 없이, 무엇을 위하여 유익할까요?

Soc. Rare friend! I think that I cannot do better than be your disciple. Then before the trial with Meletus comes on I shall challenge him, and say that I have always had a great interest in religious questions, and now, as he charges me with rash imaginations and innovations in religion, I have become your disciple. You, Meletus, as I shall say to him, acknowledge Euthyphro to be a great theologian, and sound in his opinions; and if you approve of him you ought to approve of me, and not have me into court; but if you disapprove, you should begin by indicting him who is my teacher, and who will be the ruin, not of the young, but of the old; that is to say, of myself whom he instructs, and of his old father whom he admonishes and chastises. And if Meletus refuses to listen to me, but will go on, and will not shift the indictment from me to you, I cannot do better than repeat this challenge in the court.

 

소크. 드문(rare) 친구로군! 내가 그대의 제자가 되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을 도저히 행할 수가 없다고 나는 생각하네. 그렇다면 메레투스(Meletus)와 재판(trial)이 다가오기 전에 내가 그자에게 이의를 제기하고(challenge), 그리고 경신(敬神)에 대한 질문(religious questions)들에 내가 항상 커다란 관심을 이미 가져 왔다 라고 말하고자 하는데, 그런데(and now), 그자가 경신(敬神, religion)에 있어 성급한 상상(imaginations)들 및 혁신(innovations)들과 함께 나를 고발하므로, 내가 이미 그대의 제자가 되었네. 내가 그자에게 다음과 같이 마땅히 말하고자 하네: "자네, 메레투스는, 에우티프로가 한 명의 훌륭한 신학자(theologian)이고, 그리고 자신의 견해들에 있어 건전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리고 만약에 자네가 그의 말에 찬성한다면 자네는 마땅히 나의 말에 찬성하여야 하고, 그리하여 법정 안쪽에서 나를 경험하지(have) 않아야 할 것이나, 그러나 만약에 자네가 찬성하지 않는다면, 자네는 나의 스승인, 그리고 장차, 젊은이들이 아니라, 늙은이들의, 말하자면, 그가 가르치는 나 자신의, 그리고 그가 훈계하고(admonishes) 그리고 정화하는(chastises) 자신의 늙은 아버지의, 파멸의 원인(the ruin)이 될 그를 고발함으로써 마땅히 시작하여야 하네." 그리고 만약에 메레투스가 나의 말을 듣는 것을 거부하고, 오로지 장차 계속하고자 하고, 그리하여 나로부터 그대 쪽으로 그 기소의 방향을 장차 바꾸지 않고자 한다면, 법정에서 바로 이러한 이의 제기를 반복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을 내가 행할 수 없다네.


Euth. Yes, indeed, Socrates; and if he attempts to indict me I am mistaken if I do not find a flaw in him; the court shall have a great deal more to say to him than to me.

 

에우티. 예, 정말 그렇습니다, 소크라테스님, 그리고 그자가 저를 기소하는 것을 시도할 경우에, 만약에 제가 그자에게서 어떤 결함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제가 잘못된 것이며, 그리고 법정은 저에게보다 그자에게 말할 것을 마땅히 훨씬 더 많이 가져야 할 것입니다.

Soc. And I, my dear friend, knowing this, am desirous of becoming your disciple. For I observe that no one appears to notice you - not even this Meletus; but his sharp eyes have found me out at once, and he has indicted me for impiety. And therefore, I adjure you to tell me the nature of piety and impiety, which you said that you knew so well, and of murder, and of other offences against the gods. What are they? Is not piety in every action always the same? and impiety, again - is it not always the opposite of piety, and also the same with itself, having, as impiety, one notion which includes whatever is impious?

 

소크. 그래서, 나의 소중한 친구여, 내가, 바로 그것을 알기 때문에, 그대의 제자가 되는 것을 욕망하네(am desirous of). 이는 아무도, 심지어 바로 이 메레투스(Meletus)도, 그대를 주목하지 않는 것 같으나, 그러나 그자의 날카로운 눈들이 즉시 나를 이미 찾아내었고, 그리고 impiety 때문에 나를 이미 기소하였음을 내가 간취(看取)하고 있기(observe) 때문이네.(*) 그래서, 그대가 대단히 잘 알고 있다고 그대가 말하였던, piety impiety의, 그리고 살인의, 그리고 잡신들에 반하는 다른 위반(offenses)들의, 본성(nature)을 그대가 나에게 말해줄 것을 간청하네(adjure). 그것들은 무엇인가? 모든 행동에 있어 piety는 항상 동일하지 않은가? 그리고 게다가 또(again), impiety도 - 그것이 항상 piety 의 정반대(the opposite)이고, 그리고, impiety 로서, impious 한 무엇이든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개념(one notion)을 가짐으로써, 또한 자기 자신과 동일하지 않은가? 

-----

(*) 번역자 주: 바로 여기서, 등장 인물인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메레투스(Meletus)에 의하여 기소를 당한 이유가 "impiety" 라고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


Euth. To be sure, Socrates.

 

에우티. 틀림없습니다, 소크라테스님.

Soc. And what is piety, and what is impiety?

 

소크. 그런데 piety는 무엇인가, 그리고 impiety는 무엇인가?

Euth. Piety is doing as I am doing; that is to say, prosecuting any one who is guilty of murder, sacrilege, or of any similar crime- [5e] whether he be your father or mother, or whoever he may be-that makes no difference; and not to prosecute them is impiety. And please to consider, Socrates, what a notable proof I will give you of the truth of my words, a proof which I have already given to others: - of the principle, I mean, that the impious, whoever he may be, ought not to go unpunished. For do not men regard Zeus as the best and most righteous of the gods?- [6a] and yet they admit that he bound his father (Cronos) because he wickedly devoured his sons, and that he too had punished his own father (Uranus) for a similar reason, in a nameless manner. And yet when I proceed against my father, they are angry with me. So inconsistent are they in their way of talking when the gods are concerned, and when I am concerned.

 

에우티. piety 제가 행하고 있듯이, 말하자면, 살인에 대하여, 독성(瀆聖, sacrilege)에 대하여, 혹은 임의의 유사한 죄에 대하여, 그자가 당신의 아버지이거나 혹은 어머니이거나 간에, 혹은 그자가 누구이거나 간에 - 아무런 차이가 없는, 유죄인 자 누구든지를 기소하는, 행위(doing)를 말하며, 그리고 그들을 기소하지 않는 것이 impiety 입니다. 그리고, 제가 장차 당신께 제공할, 나의 말들로 이루어진, 진리(truth)에 대한, 그리고, 제 말은(I mean), 그자가 누구이든지 간에, impious 한 자가 처벌을 면하지 못하는 것이 마땅한, 바로 그 원리(principle)에 대한, 참으로 주목할 만한 증명(proof) 한 개를, 제가 다른 이들에게 이미 제공한 증명 한 개를, 소크라테스님, 부디 고찰하십시오(consider). 이는, 제우스(Zeus)가 잡신들 중에서 최선의 그리고 가장 의로운 자로서 사람들이 간주하지 않습니까? 그렁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그가 자신의 아버지(크로노스, Cronos)를 결박하였음을, 왜냐하면 그자가 자신의 아들(sons)들을 사악하게(wickedly) 게걸스럽게 먹었기 때문에, 인정하고(admit), 그리고 그자 또한 자신의 고유한 아버지(우라누스, Uranus)를, 한 개의 유사한 이유 때문에, 형언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이미 처벌하였음을 인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저의 아버지에 반하여 기소할 때에, 그들은 저에게 화를 냅니다. 잡신들이 관련될 때에, 그리고 제가 관련될 때에, 자신들의 대화의 방식에 있어 대단히 일관성이 없는(inconsistent) 자들이 바로 그들입니다. 

 

Soc. May not this be the reason, Euthyphro, why I am charged with impiety - that I cannot away with these stories about the gods? and therefore I suppose that people think me wrong. But, as you who are well informed about them approve of them, I cannot do better than assent to your superior wisdom. What else can I say, confessing as I do, that I know nothing about them? Tell me, for the love of Zeus [프랑스어본: dieu], whether you really believe that they are true.

 

소크. 내가 잡신들에 관한 이들 이야기들을 참을 수 없다는 바로 그것이, 에두티프로여, 왜 내가 impiety의 혐의를 받는지에 대한 이유일 수가 없겠지? 그러나 그 때문에(and therefore) 사람들이 나를 잘못이라고(wrong) 생각한다고 나는 추정하네(suppose). 그러나, 이들 이야기들에 관하여 박식한 그대가 그것들을 승인하므로(approve of), 나는 자네의 탁월한 지혜(superior wisdom)에 동의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을 할 수가 없다네. 내가 하듯이 고백함으로써, 내가 이들 이야기들에 관하여 아무 것도 알지 못한다는 것 이외에 무엇을 내가 말할 수 있겠는가? 제발[for the love of Zeus(프랑스어본: dieu (god)],(*) 이들 이야기들이 참이라는(true) 것을 실제로(really) 그대가 믿는지를(believe) 나에게 말해주게.

 

-----

(*) 번역자 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 영어본에서의 번역 표현 자체가 의역된(freely translated) 표현 이라고 판단되어, 필자에 의한 우리말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또한 "제발" 이라는 의역된 표현으로 번역되었다.

-----

Euth. Yes, Socrates; and things more wonderful still, of which the world is in ignorance.

 

에우티. 예, 소크라테스님, 그리고, 여전히 더 경이로운 사물들로 이루어진, 이 세상이 무지의 상태에(in ignorance) 있습니다.

Soc. And do you really believe that the gods, fought with one another, and had dire quarrels, battles, and the like, as the poets say, and as you may see represented [6c] in the works of great artists? The temples are full of them; and notably the robe of Athene, which is carried up to the Acropolis at the great Panathenaea, is embroidered with them. Are all these tales of the gods true, Euthyphro?

 

소크. 그런데, 시인(poets)들이 말하듯이, 그리고 위대한 예술가들의 작품들에 묘사된 것들을 그대가 볼 수도 있듯이, 잡신들이 서로 다투었고, 그리하여 무시무시한 싸움들, 전투들, 등등을 가졌다는 것을 그대는 실제로 믿는가? 신전들은 그들로 가득차 있으며, 그리고 특히 위대한 전체 아테네 축제(Panathenaea)에서 아크로폴리스(Acropolis)에 이르기까지 운반하게 되는 [지식, 예술들, 학문들, 그리고 올바른 전챙의 여신이며 그리고 특히 아테네의 수호신인] 아테네(Athene)의 예복은 이들 이야기들로 수놓아져 있네(is embroidered with). 잡신들에 대한 이들 이야기들이 모두 참인가(true), 에우티프로여?

Euth. Yes, Socrates; and, as I was saying, I can tell you, if you would like to hear them, many other things about the gods which would quite amaze you.

 

에우티. 예, 소크라테스님, 그리고, 제가 말씀드려 왔듯이, 만약에 당신이 그것들을 듣고싶어 하신다면, 당신을 아주 몹시 놀라게 할 잡신들에 관한 많은 다른 일들을 당신께 제가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Soc. I dare say; and you shall tell me them at some other time when I have leisure. But just at present I would rather hear from you a more precise answer, which you have not as yet given, my friend, to the question, What is "piety"? When asked, you only replied, Doing as you do, charging your father with murder.

 

소크. 그럴 것이겠지, 그리고 내가 여가(leisure)를 가질 때인 어떠한 다른 시간에 그대가 그것들을 말해 주도록 하게. 그러나 바로 지금 나는, 내 친구여, 다음의 질문에 대하여 그대가 아직까지 제시하지 않은, 어떤 더 정확한 답변을 그대로부터 오히려 듣고싶네: "piety"는 무엇인가? 내가 물었을 때에, 그대는 오로지 다음과 같이 답변하였네: 자신의 아버지를 살인 죄목으로 고발하는, 그대가 행하듯이 행하는 행위.

Euth. And what I said was true, Socrates.

 

에우티. 그리고 제가 말씀드렸던 것은 참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님.

Soc. No doubt, Euthyphro; but you would admit that there are many other pious acts?

 

소크. 확실히 그렇겠지, 에우티프로여, 그러나 많은 다른 pious 한 행위들이 있음을 그대가 인정할 것이지?

Euth. There are.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Remember that I did not ask you to give me two or three examples of piety, but to explain the general idea which makes all pious things to be pious. [6e] Do you not recollect that there was one idea which made the impious impious, and the pious pious?

 

소크. 내가 그대에게 piety 의 예들 두 개 혹은 세 개를 제시할 것을 요구한 것이 아니고, pious 한 사물들 모두를 pious 하게 만드는 일반적인 관념(idea)를 설명할 것을 요구하였음을 기억하게. impious 한 것들을 impious 하게 만들었고, 그리고 pious 한 것들을 pious하게 만들었던 하나의(one) 관념이 있었다는 것을 그대는 생각해 내지(recollect) 못하나?

Euth. I remember.

 

에우티. 저는 기억합니다.

Soc. Tell me what is the nature of this idea, and then I shall have a standard to which I may look, and by which I may measure actions, whether yours or those of any one else, and then I shall be able to say that such and such an action is pious, such another impious.

 

소크. 바로 이 관념의 본성(nature)이 무엇인지 나에게 말해 주게, 그러면 내가 바라 볼 수도 있는 한 개의 표준(a standard)을 내가 가질 것이고, 그리고 바로 이 표준에 의하여, 내가 행동(actions)들을, 그대의 행동들이건 혹은 임의의 다른 이의 행동들이건, 측정할(measure) 수도 있을 것이고, 그러면 어떠 어떠한 행동은 pious 하고, 어떠한 다른 행동은 impious 하다고 내가 말할 수 있을 것이네.

Euth. I will tell you, if you like.

 

에우티. 원하신다면, 제가 당신께 말씀을 드릴 것입니다.

Soc. I should very much like.

 

소크. 내가 마땅히 대단히 많이 원하여야 하네.

Euth. Piety, then, is that which is dear to the gods, and [7a] impiety is that which is not dear to them.

 

에우티. 그러시다면, piety 는 잡신들에게 소중한(dear) 바로 그것을 말하고, 그리고 impiety 는 그들에게 소중하지 않은 바로 그것을 말합니다.


Soc. Very good, Euthyphro; you have now given me the sort of answer which I wanted. But whether what you say is true or not I cannot as yet tell, although I make no doubt that you will prove the truth of your words.

 

소크. 대단히 좋네, 에우티프로여, 내가 원하였던 그런 종류의 답변을 이제 그대가 나에게 제시하였군. 그러나 그대가 말한 바가 참인지(true) 혹은 아닌지는, 비록 그대가 자신의 말들의 진리를 증명할 것임을 내가 조금도 의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as yet) 내가 말할 수 없네.

Euth. Of course.

 

에우티. 당연합니다.

Soc. Come, then, and let us examine what we are saying. That thing or person which is dear to the gods is pious, and that thing or person which is hateful to the gods is impious, these two being the extreme opposites of one another. Was not that said?

 

소크. 그러면, 와서, 우리가 말하고 있는 바를 함께 검토하지. 잡신들에게 소중한 바로 그 사물 혹은 인격은 pious하고, 그리고 잡신들에게 가증스러운 바로 그 사물 혹은 인격은 impious 하여, 이들 둘은 서로의 극단적인 반대들이다. 말해졌던 바로 그것이지 않았니?

Euth. It was.

 

에우티. 그러하였습니다.


Soc. And well said?

 

소크. 그리고 잘 말해졌던 것이지?

Euth. [7b] Yes, Socrates, I thought so; it was certainly said.

 

에우티. 예, 소크라테스님, 저는 그렇게 생각하며, 그리고 그것은 확실하게 말해졌습니다.

Soc. And further, Euthyphro, the gods were admitted to have enmities and hatreds and differences?

 

소크. 그리고 더욱이, 에우티프로여, 잡신들은 적의(敵意, enmities)들을 그리고 증오(hatreds)들을 그리고 불화(不和)/종차(種差)/차이(differences)들을 가지는 것이 허락되었지?(*)

 

-----

(*) 번역자 주: 여기에서의 전후 문맥 안에서 "difference" 를, "종차(種差, difference)" 라는, 플라톤(Plato)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용어로 번역하는 것 보다는, "불화(不和)" 로 번역하는 것이 더 나은 번역일 것이다. 그리고 "차이/종차(種差)(difference)" 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0.htm

-----


Euth. Yes, that was also said.

 

에우티. 예, 바로 그것 또한 말해졌습니다.

Soc. And what sort of difference creates enmity and anger? Suppose for example that you and I, my good friend, differ about a number; do differences of this sort make us enemies and set us at variance with one another? Do we not go at once to arithmetic, and put an end to them [7c] by a sum?

 

소크. 그리고 어떤 종류의 불화(不和)/종차(種差)(difference)가 적의(敵意)와 분노를 만들지? 예를 들어, 그대와 내가, 나의 좋은 친구여, 어떤 숫자에 대하여 불화(不和)/종차(種差)라고 하면, 이런 종류의 불화/종차들이 우리를 원수(enemies)들로 만들고 그리하여 서로에 대하여 일치되지 않음에 우리를 배치하는가? 우리는 산술(arithemetic)로 즉시 가서, 그리고 어떤 계산에 의하여 그들을 끝내지 않는가?

Euth. True.

 

에우티. 참입니다.

Soc. Or suppose that we differ about magnitudes, do we not quickly end the differences by measuring?

 

소크. 혹은 우리가 크기(magnitudes)들에 불화(不和)/종차(種差)가 있다고 하면, 우리가 측정함으로써 이 불화(不和)/종차(種差)들을 재빨리 끝내지 않는가?

Euth. Very true.

 

에우티. 정말로 참입니다.

Soc. And we end a controversy about heavy and light by resorting to a weighing machine?  

 

소크. 그리고 어떤 무게를 재는 기계에 의지함으로써 우리가 무겁다 그리고 가볍다 함에 관한 어떤 논쟁을 끝내지?(*)


Euth. To be sure.

 

에우티. 틀림없습니다.

 

-----

(*) 번역자 주:

(1) 이 저서에서 등장 인물인 소크라테스가 바로 위에서 숫자[numbers, 즉, 자연수(natural numbers)]들, [눈금 없는 자와 콤파스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크기[magnitudes, 즉, 실수(real numbers)]들,[저을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무게(weights)들을 언급하는 세 개의 예(examples)들은 제시한다는 사실로부터 우리는, 그 당시에 이미, 피타고라스 학파(Pythagoreans)의 가르침이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 등의 도시 국가들에 널리 잘 알려졌을 뿐만이 아니라 또한 받아들여졌고, 그리하여 고대 그리스 시대의 철학자들인 이 저서의 저자인 플라톤(Plato) 뿐만이 아니라 플라톤의 스승인 소크라테스 자신도 당시의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이 증명의 수단/도구로서 이미 사용하고 있었던, 두 개의 보편적인(universal) 논증적 추론(discursive reasoning) 방식들 중의 하나인, 연역적 추론(deductive reasoning) 방식을 이미 받아들였음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주: 나머지 하나는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이라고 불리는 방식이다]. 이들 추론 방식들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의 글은 다음에 있으니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88.htm

 

(2) 따라서, 고대 그리스 철학(the ancient Greek Philosophy) 이전에 수학(Mathematics)이 먼저 시작/태동되였음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

-----

Soc. But what differences are there which cannot be thus decided, and which therefore make us angry and set us at enmity with one another? I dare say the answer does not occur to you at the moment, and therefore I will [7d] suggest that these enmities arise when the matters of difference are the just and unjust, good and evil, honourable and dishonourable. Are not these the points about which men differ, and about which when we are unable satisfactorily to decide our differences, you and I and all of us quarrel, when we do quarrel?

 

소크. 그러나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없는, 그래서 우리를 화나게 만들고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적의(enmity)에 우리를 배치하는 불화(不和)/종차(種差)(differences)들이 무엇일까? 이에 대한 답변이 바로 지금 그대에게 떠오르지 않는다고 나는 감히 말하며, 그래서, 불화/종차의 질료(matters)이 의로움(just, 정의(正義))(*)과 의롭지 아니함(unjust, 불의), 선(good)과 악(evil)(**), 명예(honourable)와 불명예(dishonourable)일 때에, 이들 적의(敵意)들이 일어난다고 장차 제안할 것일세. 이들이 그것들에 대하여 사람들이 불화(不和)하는/종차(種差)적인 요지들이고, 그리고, 우리가 정말로 다툰다고(quarrel) 한다면(when), 그것들에 관하여 우리가 우리의 불화(不和)/종차(種差)들을 만족스럽게 해결할(decide) 수 없을 때에, 그대와 나 그리고 우리들 중의 모두가 다투지 않니? 

 

-----

(*) 번역자 주: 적어도 기원전 17세기 이후로 지중해 문화권에서 말하는 "정의(正義, justice)"가 나타내는 개념이, 중국 한문 문화권에서 말하는 "의(義)"가 나타내는 개념과 근본적으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Justice_concept_error.htm

 

(**) 번역자 주: 가톨릭 보편 교회가, 적어도,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의 시기부터 전통적으로 수용해 온, 비 이원론적으로 정의되는(non-dualistically defined)"악(evil)"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85.htm

-----

Euth. Yes, Socrates, the nature of the differences about which we quarrel is such as you describe.

 

에우티. 그렇습니다, 소크라테스님, 그것에 관하여 우리가 다투는 불화(不和)/종차(種差)(differences)들의 본성은 당신이 서술하듯이 그런 것입니다.

Soc. And the quarrels of the gods, noble Euthyphro, when they occur, are of a like nature?

 

소크. 그리고, 잡신들의 다툼들은, 고상한 에우티프로여, 그들이 발생할 때에, 어떤 비슷한 본성에 대한 것이지?

Euth. Certainly they are.

 

에우티. 확실하게 그렇습니다.

Soc. They have differences of opinion, as you say, about good and evil, just and unjust, honourable and dishonourable: there would have been no quarrels among them, if there had been no such differences-would there now?

 

소크. [7e] 그들은, 그대가 말하듯이, 선(good)과 악(evil), 의로움(just, 정의(正義))과 의롭지 아니함(unjust, 불의), 명예(honourable)와 불명예(dishonourable)에 관하여 견해에 있어서의 불화(不和)/종차(種差)(differences)들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만약에 그러한 불화(不和)/종차(種差)들이 전혀 없었더라면, 그들 사이에 아무런 다툼들도 없었을텐데 - 그런데 [그들 사이에 다툼들이] 있지?   

Euth. You are quite right.

 

에우티. 당신은 정말로 맞습니다.

Soc. Does not every man love that which he deems noble and just and good, and hate the opposite of them?

 

소크. 모든 사람은 자신이 고상하고(noble) 그리고 의롭고(just) 그리고 선히다고(good) 간주하는(deems) 바로 그것을 사랑하고(love), 그리고 그들의 반대를 증오하지(hate) 않니?

Euth. Very true.

 

에우티. 정말로 참입니다.

Soc. But, as you say, people regard the same things, some as just and others as unjust,-about these they dispute; [8a] and so there arise wars and fightings among them.

 

소크. 그러나, 그대가 말하듯이, 사람들은 동일한 사물들을, 어떤 자들은 의롭고 그리고 다른 자들은 의롭지 않다고 간주하며, 이들에 관하여 그들은 논쟁하고(dispute), 그리하여 그 결과 그들 사이에서 전쟁(wars)들과 싸움(fightings)들이 일어나네.

Euth. Very true.

 

에우티. 정말로 참입니다.

Soc. Then the same things are hated by the gods and loved by the gods, and are both hateful and dear to them?

 

소크. 그렇다면(then) 동일한 사물들은 잡신들에 의하여 증오를 받고 그리고 잡신들에 의하여 사랑을 받는데, 그리하여 둘 다가 그들에게 싫고(hateful) 그리고 소중하지(dear)?

Euth. True.

 

에우티. 참입니다.

Soc. And upon this view the same things, Euthyphro, will be pious and also impious?

 

소크. 그런데 바로 이러한 관점 위에 있는 동일한 사물들이, 에우티프로여, pious 하고 그리고 또한 impious 할까(will)?

Euth. So I should suppose.

 

에우티. 그러할 것이라고 저는 마땅히 추정합니다(suppose).

Soc. Then, my friend, I remark with surprise that you have not answered the question which I asked. For I certainly did not ask you to tell me what action is both pious and impious: but now it would seem that what is loved by the gods is also hated by them. [8b] And therefore, Euthyphro, in thus chastising your father you may very likely be doing what is agreeable to Zeus but disagreeable to Cronos or Uranus, and what is acceptable to Hephaestus but unacceptable to Here, and there may be other gods who have similar differences of opinion.

 

소크. 그렇다면, 나의 친구여, 내가 요청하였던 질문에 그대가 아직까지 답변하지 않았음을 놀라움과 함께 내가 주목하네. 이는 확실히, 어떠한 행동이 pious 하고 그리고 impious 둘 다인지를 나에게 말해 달라고 그대에게 내가 요청한 것이 아니었는데, 그러나 그런데 잡신들에 의하여 사랑을 받게 되는 바가 또한 그들에 의하여 증오를 받는 것 같다는 생각 때문일쎄. 따라서 그 결과, 에우티프로여,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그대의 아버지를 정화함(chastising)에 있어, 제우스Zeus)에게 동의하나 그러나 크로노스(Cronos) 혹은 우라누스(Uranus)에게 동의하지 않는 바를, 그리고 헤프레스투스(Hephaestus)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으나 그러나 헤레(Here)에게 받아들여질 수 없는 바를, 그대가 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대단히 크며, 그리고 견해에 있어서의 유사한 불화(不和)/종차(種差)들을 가지고 있는 다른 잡신들이 있을 수도 있네.  

Euth. But I believe, Socrates, that all the gods would be agreed as to the propriety of punishing a murderer: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of opinion about that.

 

에우티. 그러나, 소크라테스님, 한 명의 살인자에 대한 처벌 행위의 타당성에 관하여 모든 잡신들이 동의할 것임을, 그리하여 바로 이것에 관하여 견해에 있어서의 불화(不和)/종차(種差)(difference)가 전혀 없을 것임을 저는 믿습니다(believe).

Soc. Well, but speaking of men, Euthyphro, did you ever hear any one arguing that a murderer or any sort of evil-doer ought to be let off?

 

소크. 글쎄, 그러나 사람들에 대하여 말하면서, 에우티르포여, 어떤 한 명의 사람이 어떤 살인자 혹은 임의의 종류의 악행자가 방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을 그대는 언젠가(ever) 들었지?

Euth. I should rather say that these are the questions which they are always arguing, especially in courts of law: they commit all sorts of crimes, and there is nothing which they will not do or say in their own defence.

 

에우티. 이들은 그들이, 특히 법정에서, 항상 주장하고 있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라고 저는 오히려 마땅히 말해아 합니다: 그들은 모든 종류의 범죄들을 범하며, 그리고 그들이 자신들의 고유한 변론에서 장차 행하거나 혹은 말하지 않을 어떠한 것도 없다.

Soc. But do they admit their guilt, Euthyphro, and yet say that they ought not to be punished?  

 

소크. 그러나, 에우티프로여, 그들이 자신들의 유죄를 인정하나, 그러나 그렁에도 불구하고(and yet) 자신들이 처벌받지 않아야 한다고 말하지?


Euth. No; they do not.

 

에우티. 아닙니다, 그들은 그러지 않습니다.

Soc. Then there are some things which they do not venture to say and do: for they do not venture to argue that the guilty are to be unpunished, but they deny their guilt, do they not?

 

소크. 그렇다면 그들이 과감히 말하고 그리고 행하는 것을 하지 않는 어떠한 사물들이 있는데, 이는 그들이 유죄인 자들이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과감히 주장하는 것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들은 자신들의 범죄(guilt)를 부정하기 때문이네, 그들이 그렇지 않은가?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Then they do not argue that the evil-doer should not be punished, but they argue about the fact of who the evil-doer is, and what he did and when?

 

소크. 그렇다면 그들이 약행자(evil-doer)는 마땅히 처벌을 받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악행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가 무엇을 그리고 언제 행하였는지로 이루어진 사실에 관하여 주장하는 것이지?

Euth. True.

 

에우티. 참입니다.

Soc. And the gods are in the same case, if as you assert they quarrel about just and unjust, and some of them say while others deny that injustice is done among them. For surely neither God (프랑스어본: dieu; 그리스어 원문:)(*) nor [8e] man will ever venture to say that the doer of injustice is not to be punished?

 

소크. 그리고 잡신들도, 만약에, 그대가 단언하듯이, 그들이 의로움(just, 정의(正義))과 의롭지 아니함(unjust, 불의)에 관하여 다투고, 그리하여 정의가 그들 사이에서 행해졌다고 그들 중의 일부는 말하나 이와는 달리(while) 다른 잡신들이 그것을 부정한다면, 동일한 경우에 있는 것이네. 이는 확실히 신(god, 프랑스어본: dieu; 그리스어 원문:)(*) 혹은 사람(man) 둘 중의 어느 누구도, 의롭지 아니함(unjust, 불의)을 행하는 자가 장차 처벌받지 않을 것이지? 라고, 결코 용감하게 말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네.  

 

-----

(*) 번역자 주: 영어본에서, 그리스어 원어 "" 가, "god" 대신에, 한 분이신 유일한 하느님을 나타내는 고유 명사인 "God" 로 표현된 것은 명백한 번역 오류 혹은 명백한 표기 오류이므로, 우리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많이 부족한 최인인 필자가, 잡신(gods)들의 전부를 나타내는 것이 분명한 collective noun인 "신(god)" 으로 바로잡았다.

-----

Euth. That is true, Socrates, in the main.

 

에우티. 대체적으로, 그것은 참입니다, 소크라네스님.

Soc. But they join issue about the particulars-gods and men alike; and, if they dispute at all, they dispute about some act which is called in question, and which by some is affirmed to be just, by others to be unjust. Is not that true?

 

소크. 그러나 그들은, 잡신들과 사람들은 마찬가지로, 개별(particulars)들에 관한 문제(issue)에 합류하며(join), 그리고, 만약에 그들이 조금이라도 논쟁한다면, 그들은 질문으로 소환된 어떠한 행위(act)에 관하여 논쟁하고, 그리고 그것에 대하여 일부는 의롭다고, 다른 이들은 의롭지 않다고 확언하네, 바로 이것은 참이지 않나?

Euth. Quite true.

 

에우티. 대단히 참입니다.

Soc. Well then, my dear friend Euthyphro, do tell me, for my better instruction and information, what proof have you that in the opinion of all the gods a servant who is guilty of murder, and is put in chains by the master of the dead man, and dies because he is put in chains before he who bound him can learn from the interpreters of the gods what he ought to do with him, dies unjustly; and that on behalf of such an one a son ought to proceed against his father and accuse him of murder. How would you show that all the gods absolutely agree in approving of his act? Prove to me that they do, and I will applaud your wisdom as long as I live.

 

소크. 글쎄 그렇다면, 나의 소중한 친구 에티프로여, 나를 위한 더 좋은 설명과 정보를 위하여, 모든 잡신들의 견해에 있어 살인 죄목의 유죄인(guilty of), 그리고 이 죽은 사람의 주인에 의하여 쇠사슬들로 매어진, 그리고, 그자를 묶었던 자가 그자에 대하여 마땅히 무엇을 하여야 하는 바를 잡신들의 해석자들로부터 듣기 전에, 그자가 쇠사슬들에 묶여졌기 때문에 죽은, 한 명의 하인이 의롭지 않게 죽은 것에 대한(that), 그리고 그러한 한 명을 대신하여 한 명의 아들이 마땅히 자신의 아버지에 반하여 나아가야 하고 그리고 그를 살인의 죄목으로 고발하여야 함에 대한(that), 어떠한 증명을 그대는 가지고 있는가? 그것들이 그러함을 나에게 증명하게, 그리하여 내가 살아있는 한 그대의 지혜를 내가 칭찬할 것일세.

Euth. It will be a difficult task; but I could make the matter very dear indeed to you.

 

에우티. 그것은 한 개의 어려운 과제일 것이나, 그러나 저는 이 문제(matter)를 정말로 당신께 대단히 소중하게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Soc. I understand; you mean to say that I am not so quick of apprehension as the judges: for to them you will be sure to prove that the act is unjust, and hateful to the gods.

 

소크. 재판관들이 그러하듯이 알아차림에 있어 내가 그렇게 빠르지 못함에 대하여 말함을 그대가 의미함을 나는 이해하는데, 이는 그 행위가 의롭지 않고, 그리고 잡신들에게 가증스러운 것을 그대가 장차 확실하게 증명할 것이기 때문이네.

Euth. Yes indeed, Socrates; at least if they will listen to me.

 

에우티. 적어도 만약에 그들이 저의 말에 장차 귀를 기울인다면, 정말로 그렇습니다, 소크라테스님.

Soc. But they will be sure to listen if they find that you are a good speaker. There was a notion that came into my mind while you were speaking; I said to myself: "Well, and what if Euthyphro does prove to me that all the gods regarded the death of the serf as unjust, how do I know anything more of the nature of piety and impiety? for granting that this action may be hateful to the gods, still piety and impiety are not adequately defined by these distinctions, for that which is hateful to the gods has been shown to be also pleasing and dear to them." And therefore, Euthyphro, I do not ask you to prove this; I will suppose, if you like, that all the gods condemn and abominate such an action. But I will amend the definition so far as to say that what all the gods hate is impious, and what they love pious or holy; and what some of them love and others hate is both or neither. Shall this be our definition of piety and impiety?

 

소크. 그러나 만약에 그대가 한 명의 선한 연설자(a good speaker)인 것을 그들이 알아차린다면 그들은 확실히 장차 귀를 기울일 것이네. 그대가 말하고 있는 중에 내 마음 안쪽으로 문들 떠올랐던 한 개의 개념(a notion)이 있었는데, 내가 나 자신에게 "글쎄, 그런데 만약에 에우티프로가 잡신들 모두가 이 농노(serf)의 죽음을 의롭지 않다고 간주함을 나에게 증명한다면, pietyimpiety 의 본성에 대하여 더 나은 어떤 것(anything more)을 내가 어떻게 알지? 이는 바로 그 행동이 잡신들에게 가증스러울 수도 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이들 구분들에 의하여  pietyimpiety 가 적절하게(adequately) 정의되지 않기 때문인데, 이는 잡신들에게 가증스러운 바로 그것이 그들에게 또한 즐거움을 주고 그리고 소중하다는 것이 이미 보여졌기 때문이다" 라고 말하였네. 그래서, 에우티프로여, 나는 그대에게 이것을 증명하라고 요청하지 않네, 그리고, 나는 장차, 그대가 괜찮다면, 모든 잡신들이 그러한 행동을 비난하고 그리고 혐오한다고 추정할(suppose) 것일세. 그러나 나는 이 정의(definition)를 모든 잡신들이 증오하는 바는 impious 하다고 말하는, 그리고 그들이 사랑하는 바는 pious 하거나 혹은 거룩하고(holy), 그리고 그들 중의 일부는 사랑하고 그리고 다른 자들은 증오하는 바는 둘 다(both) 혹은(or) 전혀 아니다(neither) 라고 말하는 정도에까지 장차 수정할(amend) 것일세. 바로 이것이 pietyimpiety에 대한 우리의 정의(definition)가 장차 될 것인가? 

Euth. Why not, Socrates?

 

에우티. 왜 안되는지요, 소크라테스님?

Soc. Why not! certainly, as far as I am concerned, Euthyphro, there is no reason why not. But whether this admission will greatly assist you in the task of instructing me as you promised, is a matter for you to consider.

 

소크. 왜 안되느냐라니! 확실하게, 내가 염려하는 한, 에우티프로여, 왜 안될 이유는 전혀 없네. 그러나 바로 이 용인(admission)이 그대가 약속하였듯이 나를 가르치는 과제에 있어 그대를 장차 크게 도룰 것인가는, 그대가 생각해야 하는 문제일세.

Euth. Yes, I should say that what all the gods love is pious and holy, and the opposite which they all hate, impious.

 

에우티. 예, 모든 잡신들이 사랑하는 바는 pious 하고 그리고 거룩하다(holy)고, 그리고 그들 모두가 증오하는 그 반대는, impious 하다라고 제가 말하고자 합니다.

Soc. Ought we to enquire into the truth of this, Euthyphro, or simply to accept the mere statement on our own authority and that of others? What do you say?

 

소크. 바로 이것의 진리 안쪽으로 우리가 마땅히 조사하거나 혹은 단순히 우리의 고유한 권위와 다른 이들의 권위에 따라 이 단순한 문장을 받아들여야 할까? 어떻게 생각하나?

Euth. We should enquire; and I believe that the statement will stand the test of enquiry.

 

에우티. 우리는 마땅히 조사하여야 하며, 그리고 이 문장이 조사라는 시험에 장차 합격할 것임을 저는 믿습니다.

Soc. We shall know better, my good friend, in a little while. The point which I should first wish to understand is whether the pious or holy is beloved by the gods because it is holy, or holy because it is beloved of the gods.

 

소크. 우리는 조금 있다가, 나의 선한 친구여, 더 잘 알게 될걸세. 내가 첫 번째로 이해하기를 바라는 요지(point)는 pious 혹은 거룩한(holy) 것이 그것이 거룩하기 때문에 잡신들에 의하여 사랑을 받게 되는 것인지, 혹은 그것이 잡신들에 의하여 사량을 받게 되기 때문에 거룩한 것인지 이네.

Euth. I do not understand your meaning, Socrates.

 

에우티. 저는 당신의 취지(meaning)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소크라테스님.

Soc. I will endeavour to explain: we, speak of carrying and we speak of being carried, of leading and being led, seeing and being seen. You know that in all such cases there is a difference, and you know also in what the difference lies?

 

소크. 내가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장차 노력할 것이네: 우리는, 운송(運送, carring)에 대하여 말하고 그리고 우리는 운송(運送)됨에 대하여 말하며, 인도(引導, leading)에 대하여 그리고 인도(引導)됨에 대하여, 봄(seeing)과 보임(being seen)에 대하여. 그러한 경우들 모두에 있어 어떤 차이점(a difference)이 있음을 그대는 알며, 그리고 이 차이점이 무엇에 있는지도 그대는 또한 알지?

Euth. I think that I understand.

 

에우티. 제가 이해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Soc. And is not that which is beloved distinct from that which loves?

 

소크. 그리고 사랑받게 되는 바로 그것은 사랑하는 바로 그것으로부터 구분되는 것이 아닌가? 

Euth. Certainly.

 

에우티. 그렇고 말고요.

Soc. Well; and now tell me, is that which is carried in this state of carrying because it is carried, or for some other reason?

 

소크. 글쎄, 이제 나에게 말해주게, 운송(運送)되는 바로 그것은, 왜냐하면 그것이 운송(運送)되기 때문에 혹은 어떠한 다른 이유로, 운송(運送)이라는 바로 그 상태에 있지?

Euth. No; that is the reason.

 

에우티. 아닙니다, 바로 그것이 그 이유입니다.

Soc. And the same is true of what is led and of what is seen?

 

소크. 그리고, 인도(引導)되는 바에 대하여 및 보이는 바에 대하여, 동일한 것이 참이지?

Euth. True.

 

에우티. 참입니다.

Soc. And a thing is not seen because it is visible, but conversely, visible because it is seen; nor is a thing led because it is in the state of being led, or carried because it is in the state of being carried, but the converse of this. And now I think, Euthyphro, that my meaning will be intelligible; and my meaning is, that any state of action or passion implies previous action or passion. It does not become because it is becoming, but it is in a state of becoming because it becomes; neither does it suffer because it is in a state of suffering, but it is in a state of suffering because it suffers. Do you not agree?

 

소크. 그리고 한 개의 사물은 그것이 가시적이기(visible) 때문에 보이는 것이 아니고, 그리고 역으로(conversely), 그것이 보이기 때문에 가시적이며, 그리고 한 개의 사물은, 왜냐하면 그것이 인도됨이라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인도되는 것이 아니고, 혹은, 왜냐하면 그것이 운송됨이라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운송되는 것이 아니고, 바로 그것의 역(converse)이네. 그리고. 에우티프로여, 이제 나는 나의 취지(meaning)가 지성에 의하여 알 수 있다(intelligible)고 생각하고, 그리고 나의 취지(meaning)는, 행동/능동(action) 혹은 수동/피동(passion)의 임의의 상태는 이전의(previous) 행동/능동 혹은 수동/피동을 의미한다네. 그것이 변성(變成)함(becoming)(*)이기 때문에 그것이 변성(變成)하는(become) 것이 아니고, 그것이 변성(變成)하기 때문에 그것이 변성(變成)함(becoming)이라는 상태에 있으며, 그리고 그것이 고통받음(suffering)이라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것이 고통을 겪는 것이 아니고, 그것이 고통을 겪기 때문에 그것이 고통받음이라는 상태에 있는 것이네. 그대는 동의하지 않니?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5월 19일]

-----

(*) 번역자 주: "변성(變成)함(becoming)"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의 제2-5항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54.htm <----- 필독 권고
-----

[이상, 내용 추가 끝]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Is not that which is loved in some state either of becoming or suffering?

 

소크. 어떠한 상태에서 사랑받게 된 바로 그것이 변성(變成)함(becoming) 혹은 고통받음(suffering) 둘 중의 하나에서 기인하지 않지?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And the same holds as in the previous instances; the state of being loved follows the act of being loved, and not the act the state.

 

소크. 그리고 이전의 예들에서처럼 동일한 것이 다음과 같이 유지되네: 사랑받음의 상태는 사랑받음이라는 행위를 뒤따르는 것이지(follows), 그 행위가 그 상태를 뒤따르는 것이 아닐쎄.

Euth. Certainly.

 

에우티. 그렇고 말고요.

Soc. And what do you say of piety, Euthyphro: is not piety, according to your definition, loved by all the gods?

 

소크. 그런데, 에우티프로여, piety에 대하여 그대가 무엇을 말하였지: 그대의 정의(definition)에 따르면 piety 는 모든 잡신들에 의하여 사랑받게 되는 것이 아니지?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Because it is pious or holy, or for some other reason?

 

소크. 왜냐하면 그것이 pious 혹은 거룩하기(holy) 때문에, 혹은 어떠한 다른 이유로?

Euth. No, that is the reason.

 

에우티. 아닙니다, 바로 그것이 그 이유입니다.

Soc. It is loved because it is holy, not holy because it is loved?

 

소크. 그것이 거룩하기 때문에 그것이 사랑받는 것이지, 그것이 사랑받기 때문에 거룩한 것이 아니지?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And that which is dear to the gods is loved by them, and is in a state to be loved of them because it is loved of them?

 

소크. 그리고 잡신들에게 소중한 바로 그것은, 그들에 의하여 사랑받고, 그리고, 왜냐하면 그것이 그들에 기인하여 사랑받기 때문에, 그들에 기인하여 사랑받는다는 어떤 상태에 있지?

Euth. Certainly.

 

에우티. 확실합니다.

Soc. Then that which is dear to the gods, Euthyphro, is not holy, nor is that which is holy loved of God, as you affirm; but they are two different things.

 

소크. 그렇다면, 에우티프로여, 잡신들에게 소중한 바로 그것은 거룩하지 않고, 그리고, 그대가 확언하듯이, 거룩한 바로 그것은 신(god)에 기인하여 사랑받는 것이 아니고, 다만 그들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사물들일쎄.

Euth. How do you mean, Socrates?

 

에우티. 무슨 말씀이신지요, 소크라테스님?

Soc. I mean to say that the holy has been acknowledge by us to be loved of God because it is holy, not to be holy because it is loved.

 

소크. 거룩한 것은, 그것이 거룩하기 때문에, 신(god)에 기인하여 우리에 의하여 사랑받게 되도록 이미 인정된 것이지, 그것이 사랑받기 때문에 거룩한 것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을 내가 의미하네.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But that which is dear to the gods is dear to them because it is loved by them, not loved by them because it is dear to them.

 

소크. 그러나 잡신들에게 소중한(dear) 바로 그것은, 그들에 의하여 사랑받기 때문에, 그들에게 소중한 것이지, 그것이 그들에게 소중하기 때문에 그들에 의하여 사랑받는 것이 아닐쎄.

Euth. True.

 

에우티. 참입니다.

Soc. But, friend Euthyphro, if that which is holy is the same with that which is dear to God, and is loved because it is holy, then that which is dear to God would have been loved as being dear to God; but if that which dear to God is dear to him because loved by him, then that which is holy would have been holy because loved by him. But now you see that the reverse is the case, and that they are quite different from one another. For one (theophiles) is of a kind to be loved cause it is loved, and the other (osion) is loved because it is of a kind to be loved. Thus you appear to me, Euthyphro, when I ask you what is the essence of holiness, to offer an attribute only, and not the essence-the attribute of being loved by all the gods. But you still refuse to explain to me the nature of holiness. And therefore, if you please, I will ask you not to hide your treasure, but to tell me once more what holiness or piety really is, whether dear to the gods or not (for that is a matter about which we will not quarrel) and what is impiety?

 

소크. 그러나, 나의 친구 애우티프로여, 만약에 거룩한 바로 그것이 신(god)에게 소중한 바로 그것과 동일하고, 그리고 그것이 거룩하기 때문에 사랑받는다면, 신(god)에게 소중한 바로 그것은, 신(god)에게 소중한 것으로서(as), 사랑받게 되었을 것이나(would have been), 그러나 만약에 신(god)에게 소중한 바로 그것이, 그에 의하여 사랑받기 때문에. 그에게 소중하다면, 거룩한 바로 그것은, 그분에 의하여 사랑받기 때문에, 거룩하게 되었을 것이네(would have been). 그러나 이제 그 역(逆)(the reverse)이 사실(the case)임을, 그리고 그들이 서로로부터 상당히 다름을 그대가 보고 있네. 이는 하나(theophiles, 즉, 잡신들에 의하여 사랑받게 되는 것)는, 그것이 사랑받게 되기 때문에, 사랑받게 되어야 하는 한 종류에 대한 것이고, 그리고 다른 것(osion, 즉 the pious)은, 그것이 사랑받게 되어야 하는 한 종류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사랑받게 되기 때문일쎄.(*) 따라서, 에우티프로여, 내가 그대에게 거룩함(holiness)의 본질이 무엇인지 물었을 때에, 그대가, 오직 한 개의 부수(an attribute)만을, 모든 잡신들에 의하여 사랑받음이라는 부수를, 제시한 것이지, 그 본질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나에게 드네. 그리하여 그대는 거룩함(holiness)의 본성을 나에게 설명하는 것을 여전히 거부하고 있네. 그래서, 그대가 괜찮다면, 그대의 보물을 감추지 말고, 다만 거룩함(holiness) 혹은 piety가 실제로 무엇인지, 잡신들에게 소중한 것인지 혹은 아닌지 (이는 바로 그것이 우리가 장차 다투지 않을 것에 관한 한 개의 질료(matter)이기 때문이네) 그리고 impiety 가 무엇인지? 한 번 더 나에게 말해 줄 것을 장차 그대에게 요청할 것일쎄.

 

-----

(*) 번역자 주: 다음에 있는 문헌들에 주어진 설명들도 또한 참고하라: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또한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Euth. I really do not know, Socrates, how to express what I mean. For somehow or other our arguments, on whatever ground we rest them, seem to turn round and walk away from us.

 

에우티. 제가 의미하는 바를 어떻게 표현하여야 하는지 제가 정말 모르겠습니다, 소크라테스님. 이는 웬일인지, 어떠한(whatever) 근거 위에 우리가 그들을 두더라도 우리의 논의들이 방향을 바꾸고 그리고 우리로부터 걸어서 떠나는 것 같기 떄문입니다.

Soc. Your words, Euthyphro, are like the handiwork of my ancestor Daedalus; and if I were the sayer or propounder of them, you might say that my arguments walk away and will not remain fixed where they are placed because I am a descendant of his. But now, since these notions are your own, you must find some other gibe, for they certainly, as you yourself allow, show an inclination to be on the move.

 

소크. 에우티프로여, 그대의 표현은 나의 조상인 [그리스 신화에서 크레테(Crete)의 미궁을 만든 아테네의 장인인] 다에다루스(Daedalus)의 수공(handwork)과도 같네(like), 그리고 만약에 내가 그들에 대한 말하는 자(sayer) 혹은 이의 제기자(propounder)이었더라면, 나의 논의들이, 내가 그의 한 명의 후손이기 때문에, 걸어서 떠나고 그리하여 그들이 자리잡게 된 장소에 장차 고정되어 남아있지 않을 것이라고 그대가 말할 수도 있을 것이네. 그러나 이제, 이들 개념들은 그대의 고유한 것이기 때문에, 그대는 어떠한 다른 비웃음(gibe)을 찾아내야 하네, 이는 그들이 확실하게, 그대 몸소 허락하듯이, 움직임 위에 있고자 하는 어떤 경향을 보이기 때문일쎄.

Euth. Nay, Socrates, I shall still say that you are the Daedalus who sets arguments in motion; not I, certainly, but you make them move or go round, for they would never have stirred, as far as I am concerned.

 

에우티. 아닙니다, 소크라테스님, 당신은, 논의들을 움직이게 하는 그 다에다루스(Daedalus)라고 저는 여전히 말할 것이며, 그리고 제가 아니고, 확실히, 당신께서 그들을 움직이게 혹은 회전하게 만드는데, 이는 그들이, 제가 염려하는 한, 결코 움직이지 않아 왔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Soc. Then I must be a greater than Daedalus: for whereas he only made his own inventions to move, I move those of other people as well. And the beauty of it is, that I would rather not. For I would give the wisdom of Daedalus, and the wealth of Tantalus, to be able to detain them and keep them fixed. But enough of this. As I perceive that you are lazy, I will myself endeavor to show you how you might instruct me in the nature of piety; and I hope that you will not grudge your labour. Tell me, then-Is not that which is pious necessarily just?

 

소크. 그렇다면 나는 다에다루스(Daedalus)보다 더 위대한 한 명이 틀림없는데, 이는 그가 자신의 고유한 고안물(inventions)들을 오로지 움직이게 하였던 반면에, 나는 또한 다른 사람들의 것들을 움직이기 때문일쎄. 그리고 그것의 아름다움은, 내가 오히려 [말]하고 싶지 않은 바로 그것일쎄. 이는 그들을 못가게 붙들고 그리고 그들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유지할 수 있기 위하여 내가 다에다루스(Daedalus)의 지혜와, 그리고 [제우스의 아들인] 탄타루느(Tantalus)의 부(wealth)를 제공할 것이기 때문일쎄. 그러나 이것에 대하여 충분하네. 그대가 게으르다는 것을 내가 인지하기에, 나는 piety의 본성에 대하여 그대가 나를 어떻게 가르칠 수도 있는지를 그대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나 스스로 장차 노력할 것이고, 그리고 그대가 그대의 노동을 장차 아까워하지 않을 것을 내가 희망하네. 그렇다면, 나에게 말해주게, pious 한 바로 그것이 필연적으로 의로운(just) 것은 아니지?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And is, then, all which is just pious? or, is that which is pious all just, but that which is just, only in part and not all, pious?

 

소크. 그리고, 그렇다면, 의로운(just) 것 모두가 pious 한가? 혹은, pious 한 바로 그것은 모두 의로우나, 그러나 의로운 바로 그것은, 전부가 아니라 오로지 부분적으로, pious 한가?

Euth. I do not understand you, Socrates.

 

에우티. 당신의 말을 제가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소크라테스님.

Soc. And yet I know that you are as much wiser than I am, as you are younger. But, as I was saying, revered friend, the abundance of your wisdom makes you lazy. Please to exert yourself, for there is no real difficulty in understanding me. What I mean I may explain by an illustration of what I do not mean. The poet (Stasinus) sings-

Of Zeus, the author and creator of all these things,
You will not tell: for where there is fear there is also
reverence.

 

Now I disagree with this poet. Shall I tell you in what respect?

 

소크. 그리고 여전히, 그대가 더 젋은 만큼이나, 나보다 더 지혜롭다는 것을 나는 알고 있네. 그러나, 내가 말해 왔듯이, 존경하는 친구여, 그대의 지혜의 넉넉함이 그대를 게으르게 만든다네. 제발 스스로 노력하게, 이는 나의 말을 이해하는 데에는 아무런 실제적 어려움이 없기 때문일쎄. 내가 의미하는 바를, 내가 내가 의미하지 않는 바에 대한 한 개의 예증(illustration)에 의하여, 설명할 수도 있을 것이네. 시인 스타시누스(Stasinus)는 다음과 같이 노래하네:

 

제우스에 대하여, 이들 사물들 모두의 주권자이고 창조주,

당신은 장차 말하지 않을 것인데, 이는 두려움(fear)이 있는 곳에 또한

경외(敬畏, reverence)가 있기 때문이네,

 

이제 나는 바로 이 시와 동의하지 않네. 어떠한 면에서인지 그대에게 내가 말할까?

Euth. By all means.

 

에우티. 그럼요.

Soc. I should not say that where there is fear there is also reverence; for I am sure that many persons fear poverty and disease, and the like evils, but I do not perceive that they reverence the objects of their fear.

 

소크. 나는 두려움이 있는 곳에 또한 경외(敬畏, reverence)가 있다고 말하지 않겠네, 이는 많은 사람들이 빈곤과 질병을, 그리고 비슷한 악(evils)들을 두려워 하나, 그러나 그들이 자신들의 두려움의 대상들을 경외(敬畏)함을 내가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일쎄.

Euth. Very true.

 

에우티. 정말로 참입니다.

Soc. But where reverence is, there is fear; for he who has a feeling of reverence and shame about the commission of any action, fears and is afraid of an ill reputation.

 

소크. 그러나 경외(敬畏, reverence)가 있는 곳에, 두려움(fear)이 있는데, 이는 경외(敬畏)의 어떤 느낌과 어떤 행동의 범행(commission)에 관하여 부끄러움을 가지고 있는 자는 두려워하고 그리고 어떤 나쁜 평판을 무서워하기 때문일쎄.

Euth. No doubt.

 

에우티. 의심의 여지 없습니다.

Soc. Then we are wrong in saying that where there is fear there is also reverence; and we should say, where there is reverence there is also fear. But there is not always reverence where there is fear; for fear is a more extended notion, and reverence is a part of fear, just as the odd is a part of number, and number is a more extended notion than the odd. I suppose that you follow me now?

 

소크. 그렇다면, 두려움이 있는 곳에 또한 경외(敬畏)가 있다고 말한 것은 우리가 잘못한 것이고, 그리하여, 경외(敬畏)가 있는 곳에 또한 두려움이 있다라고 우리는 마땅히 말하여야 하네. 그러나 두려움이 있는 곳에 경외(敬畏)가 항상 있는 것은 아닌데, 이는, 마치 홀수들이 숫자(즉, 자연수들)의 한 부분이고, 그리고 숫자가 홀수들보다 한 개의 더 확장된 개념인 것과 꼭 마찬가지로, 두려움은 한 개의 더 활장된 개념이고, 그리고 경외(敬畏)는 두려움의 한 부분이기 때문일쎄. 지금 그대가 나를 뒤따른다고 내가 추정하네?

Euth. Quite well.

 

에우티. 아주 잘 뒤따르고 있습니다.


Soc. That was the sort of question which I meant to raise when I asked whether the just is always the pious, or the pious always the just; and whether there may not be justice where there is not piety; for justice is the more extended notion of which piety is only a part. Do you dissent?

 

소크. 바로 그것이 내가 의로운 자가 항상 pious 한 자인지를, 혹은 pious 한 자가 항상 의로운자인지를, 내가 물었을 때에 내가 제기하고자 의미하였던 바로 그 종류의 질문이었으며, 그리고 piety가 아닌 곳에 의로움(정의, justice)가 있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piety가 오로지 그것의 한 부분일뿐인, 의로움(정의, justice)은 더 확장된 개념이기 때문일쎄. 그대는 동의하지 않는가?

Euth. No, I think that you are quite right.

 

에우티. 그렇습니다. 당신이 정말로 맞다고(right) 나는 생각합니다.

Soc. Then, if piety is a part of justice, I suppose that we should enquire what part? If you had pursued the enquiry in the previous cases; for instance, if you had asked me what is an even number, and what part of number the even is, I should have had no difficulty in replying, a number which represents a figure having two equal sides. Do you not agree?

 

소크. 그렇다면, 만약에 piety가 정의(의로움, justice)의 한 부분이라면, 우리가 어떤 부분인지를 마땅히 조사하여야 한다고 나는 추정하는데(suppose)? 만약에 그대가 이전의 경우들에 있어 이 조사를 이미 추구하였더라면, 예를 들어, 만약에 그대가 한 개의 짝수(an even number)가 무엇인지, 그리고 숫자의 어떤 부분이 짝수인지, 나에게 질문하였더라면, 두 개의 동일한 변(sides)들을 가지는 한 개의 형체(a figure)를 나타내는 한 개의 숫자라고 답변함에 있어, 아무런 어려움을 내가 가지지 않았을 것일쎄. 그대는 동의하지 않나?

Euth. Yes, I quite agree.

 

에우티. 예, 저는 정말로 동의합니다.

Soc. In like manner, I want you to tell me what part of justice is piety or holiness, that I may be able to tell Meletus not to do me injustice, or indict me for impiety, as I am now adequately instructed by you in the nature of piety or holiness, and their opposites.

 

소크. piety 혹은 겨룩함의 본성, 그리고 그들의 반대들에 대하여 그대에 의하여 내가 이제 적절하게 교육받고 있듯이, 비슷한 방식으로, 내가 메레투스(Meletus)에게 나애게 불의(injustice)를 행하지 말라고, 혹은 impiety 라는 죄목으로 나를 기소하지 말라고, 말할 수 있도록, 정의(의로움, justice)의 어떤 부분이 piety 혹은 거룩함(holiness)인지 그대가 나에게 말해주기를 원하네.

Euth. Piety or holiness, Socrates, appears to me to be that part of justice which attends to the gods, as there is the other part of justice which attends to men.

 

에우티. piety 혹은 거룩함(holiness)은, 소크라테스님, 사람들을 돌보는, 정의(justice, 의로움)의 다른 부분이 있듯이, 잡신들을 돌보는, 정의(justice, 의로움)의 바로 그 다른 부분이라고 저에게 생각됩니다.


Soc. That is good, Euthyphro; yet still there is a little point about which I should like to have further information, What is the meaning of "attention"? For attention can hardly be used in the same sense when applied to the gods as when applied to other things. For instance, horses are said to require attention, and not every person is able to attend to them, but only a person skilled in horsemanship. Is it not so?

 

소크. 그것은 좋은 답변입니다만, 에우티프로여,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것에 관하여 내가 그 이상의 정보를 마땅히 가져야 하는 어떤 약간의 요지(point)가 있네. "돌봄(attention)"의 의미가 무엇이지? 이는 돌봄이 잡신들에게 적용될 때에, 다른 사물들에게 적용 될 때처럼, 동일한 의미로 거의 사용될 수 없기 때문이네. 예를 들어, 말(horses)들은 돌봄을 요구한다고 말해지고, 그리고 모든 사람이 아니라, 오로지 말 사육직(horsemanship)에 숙련된 어떤 자만이 그들을 돌볼 수 있네, 그것이 그렇지 않은가?

Euth. Certainly.

 

에우티. 그렇고 말고요.

Soc. I should suppose that the art of horsemanship is the art of attending to horses?

 

소크. 말 사육직이라는 기술(art)이 말(hoses)들을 돌보는 기술이라고 내가 마땅히 추정하여야 하지?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Nor is every one qualified to attend to dogs, but only the huntsman?

 

소크. 그리고 모든 자가 아니라, 오로지 사냥개 담당자(huntsman)만이, 개(dogs)들을 돌보는 데에 적격이지?

Euth. True.

 

에우티. 참입니다.

Soc. And I should also conceive that the art of the huntsman is the art of attending to dogs?

 

소크. 그리고 말 사육직이라는 기술(art)이 개들을 돌보는 기술이라고 내가 또한 마땅히 이해하여야(conceive) 하나?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As the art of the ox herd is the art of attending to oxen?

 

소크. 소 치는 사람(ox herd)의 기술이 소(oxen)들을 돌보는 기술이듯이?

Euth. Very true.

 

에우티. 정말로 참입니다.

Soc. In like manner holiness or piety is the art of attending to the gods?-that would be your meaning, Euthyphro?

 

소크. 비슷한 방식으로 거룩함(holiness) 혹은 piety가 잡신들을 돌보는 기술인가? 바로 이것이 그대의 의미일 수도 있는데, 에우티프로여?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And is not attention always designed for the good or benefit of that to which the attention is given? As in the case of horses, you may observe that when attended to by the horseman's art they are benefited and improved, are they not?

 

소크. 그리고 돌봄이, 이 돌봄이 제공되고 있는 바로 그자의 선(good) 혹은 혜택(benefit)을 위하여, 항상 예정되는 것이 아닌가? 말(horses)들의 경우에서처럼, 말 사육직이라는 기술(art)에 의하여 돌봄을 받을 때에 그들이 혜택을 입고 그리고 향상이 됨을 그대가 관찰할 수도 있네, 그들이 그렇지 않나?

Euth. True.

 

에우티. 참입니다.

Soc. As the dogs are benefited by the huntsman's art, and the oxen by the art of the ox herd, and all other things are tended or attended for their good and not for their hurt?

 

소크. 개(dogs)들이 사냥개 담당자(huntsman)의 기술에 의하여 혜택을 누리듯이, 그리고 소(oxen)들이 소 치는 사람(ox herd)의 기술에 의하여 혜택을 누리듯이, 모든 다른 사물들은, 자신들에 대한 상해(hurt)를 위하여서가 아니라, 자신들의 선(good)을 위하여 시중을 받거나 혹은 돌봄을 받는 것이지?

Euth. Certainly, not for their hurt.

 

에우티. 확실히, 자신들에 대한 상해를 위하여서가 아닙니다.

Soc. But for their good?

 

소크. 그러나 자신들의 선(good)을 위하여서이지?

Euth. Of course.

 

에우티. 당연합니다.

Soc. And does piety or holiness, which has been defined to be the art of attending to the gods, benefit or improve them? Would you say that when you do a holy act you make any of the gods better?

 

소크. 그리고, 잡신들을 돌보는 기술이라고 이미 정의된, piety 혹은 거룩함(holiness)이 그들에게 혜택을 베푸는가 혹은 그들을 향상시키는가(improve)? 그대가 어떤 거룩한 행위를 할 때 그대가 잡신들 중의 어느 것을 더 좋게 만든다고 그대가 말하는 것인가?

Euth. No, no; that was certainly not what I meant.

 

에우티. 아니, 아닙니다. 그것은 제가 의미하였던 바가 확실히 아니었습니다.

Soc. And I, Euthyphro, never supposed that you did. I asked you the question about the nature of the attention, because I thought that you did not.

 

소크. 그리고, 에우티프로여, 그대가 그러하였다고 내가 결코 추정하지(suppose) 않았네, 나는 이 돌봄의 본성에 관하여 질문을 그대에게 하였던 것인데, 왜냐하면 그대가 그러지 않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네.

Euth. You do me justice, Socrates; that is not the sort of attention which I mean.

 

에우티. 당신게서 저에게 정의(justice, 의로움)을 행하십시오, 소크라테스님, 그것은 제가 의미하는 돌봄의 종류가 아닙니다.

Soc. Good: but I must still ask what is this attention to the gods which is called piety?

 

소크. 좋네,. 그러나 piety 라고 불리는 잡신들에 대한 바로 이 돌봄이 무엇이지? 나는 여전히 묻네.

Euth. It is such, Socrates, as servants show to their masters.

 

에우티. 소크라테스님, 그것은 하인들이 자신들의 주인들에게 나타내 보이는 바와 같은 그러한 것입니다.

Soc. I understand-a sort of ministration to the gods.

 

소크. 잡신들에 대한 섬김(ministration)의 한 종류라고 나는 이해하네.

Euth. Exactly.

 

에우티. 정확하게 그렇습니다.

Soc. Medicine is also a sort of ministration or service, having in view the attainment of some object-would you not say of health?

 

소크. 의술(medicine)이, 어떠한 목적(some object)의 획득을 염두에 둠으로써, 또한 섬김(ministration) 혹은 봉사(service)의 한 종류인데, 그대는 건강(health)에 대하여 말하지 않니?

Euth. I should.

 

에우티. 그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Soc. Again, there is an art which ministers to the ship-builder with a view to the attainment of some result?

 

소크. 또다시, 어떠한 결과의 획득 쪽으로 어떤 목적과 함께 선박 건조자를 섬기는(ministers) 한 개의 기술이 있네.

Euth. Yes, Socrates, with a view to the building of a ship.

 

에우티. 예, 소크라네스님, 한 채의 선박의 건조 쪽으로 어떤 목적과 함께.

Soc. As there is an art which ministers to the housebuilder with a view to the building of a house?

 

소크. 한 채의 집의 건축 쪽으로 어떤 목적과 함께 가옥 건축자(housebuilder)를 섬기는(ministers) 기술이 있지?

Euth. Yes.

 

에우티. 그렇습니다.

Soc. And now tell me, my good friend, about the art which ministers to the gods: what work does that help to accomplish? For you must surely know if, as you say, you are of all men living the one who is best instructed in religion.

 

소크. 그런데, 나의 선한 친구여, 잡신들을 섬기는 기술에 관하여 나에게 말해주게: 성취하도록 정말로 도와주는 일이 무엇이지? 이는, 만약에, 그대가 말하듯이, 그대가 모든 살아있는 사람들 중에서 경신(敬神, religion)에 있어 가장 잘 교육받은 자이라면, 그대는 확실하게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네.

Euth. And I speak the truth, Socrates.

 

에우티. 그리고 저는 진리를 말합니다, 소크라테스님.

Soc. Tell me then, oh tell me-what is that fair work which the gods do by the help of our ministrations?

 

소크. 그렇다면, 우리의 섬김(ministrations)들이라는 도움에 의하여 잡신들이 행하는 바로 그 공정한 일(fair work)이 무엇이지? 나에게 말해주게, 아! 나에게 말해주게.

Euth. Many and fair, Socrates, are the works which they do.

 

에우티. 소크라테스님, 그들이 행하는 일들은 많고 그리고 공정합니다(many and fair).

 

Soc. Why, my friend, and so are those of a general. But the chief of them is easily told. Would you not say that victory in war is the chief of them?

 

소크. 나의 친구여, 한 개의 일반 백성(a general)에 대하여 그것들이 왜, 그리고 그러한지. 그러나 그 일들의 주된 부분(chief)은 쉽게 말해질 것이네. 전쟁에 있어 승리가 그 일들의 주된 부분이라고 그대가 말하지 않을 것이지?

Euth. Certainly.

 

에우티. 그렇고 말고요.

Soc. Many and fair, too, are the works of the husbandman, if I am not mistaken; but his chief work is the production of food from the earth?

 

소크. 또한, 만약에 내가 틀리지 않았다면, 농부(husbandman)의 일들도 많고 그리고 공정하나, 그러나 그의 주요한 일은 땅으로부터 식량(food)의 산출이지?


Euth. Exactly.

 

에우피. 바로 그렇습니다.


Soc. And of the many and fair things done by the gods, which is the chief or principal one?

 

소크. 그리고 잡신들에 의하야 행해지는 많은 그리고 공정한 사물들 중에서, 주요 부분 혹은 주된 하나가 어떤 것인가?

 

Euth. I have told you already, Socrates, that to learn all these things accurately will be very tiresome. Let me simply say that piety or holiness is learning, how to please the gods in word and deed, by prayers and sacrifices. Such piety, is the salvation of families and states, just as the impious, which is unpleasing to the gods, is their ruin and destruction.

 

에우티. 소크라테스님, 이러한 사물들 모두를 정확하게 학습하는 것은 매우 지루할(tiresome) 것이라고 제가 이미 당신께 말씀드렸습니다. piety 혹은 거룩함(holiness)은, 말과 행위(word and deed)로, 기도들과 희생 제물들에 의하여, 잡신들을 어떻게 기쁘게 하는 지를 배우는 것이라고 제가 간단하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그러한 piety 는, 잡신들에게 불유쾌함인 impious 한 것이 그들의 파멸이고 그리고 파괴인 것과 꼭 마찬가지로, 가족들과 국가들의 구원(salvation)입니다.

Soc. I think that you could have answered in much fewer words the chief question which I asked, Euthyphro, if you had chosen. But I see plainly that you are not disposed to instruct me-dearly not: else why, when we reached the point, did you turn aside? Had you only answered me I should have truly learned of you by this time the-nature of piety. Now, as the asker of a question is necessarily dependent on the answerer, whither he leads-I must follow; and can only ask again, what is the pious, and what is piety? Do you mean that they are a sort of science of praying and sacrificing?

 

소크. 애우티프로여, 만약에 그대가 선택하였더라면, 내가 요청하였던 주요한 질문을 훨씬 더 적은 단어들로 그대가 답변하였을 수 있었다는 것이 내 생각일쎄. 그러나 그대가 나를 가르칠 마음이 내키지 않는다는 것을 내가 명백히 보네, 그리고 이외에, 우리가 이 요지(point)에 도달하였을 때에, 왜 그대는 벗어났지? 만약에 그대가 나에게 답변을 하기만 하였더라면 바로 이 시간 쯤에 내가 그대로부터 piety의 본성을 참으로 학습하였을 것인데. 그런데, 답변자에게 필연적으로 의존하는 한 개의 질문을 묻는 자로서, 어디로든지 그가 인도하더라도, 나는 뒤따라야 하고, 그리고 pious 한 것이 무엇이지, 그리고 piety 가 무엇이지? 를 오로지 다시 질문 할 수 있을 뿐이네. 그들이 기도 행위(praying)와 제사 행위(sacrificing)에 대한 과학(science)의 한 종류임을 그대는 의미하나? 

Euth. Yes, I do.

 

에우티. 예, 그렇습니다.

Soc. And sacrificing is giving to the gods, and prayer is asking of the gods?

 

소크. 그리고 제사 행위는 잡신들에게 제공 행위이고 그리고 기도는 잡신들에게 청하는 행위이지?

Euth. Yes, Socrates.

 

에우티. 예, 소크라테스님.

Soc. Upon this view, then piety is a science of asking and giving?

 

소크. 바로 이러한 관점 위에서, 그렇다면 piety 는 요청 행위(asking)와 제공 행위(giving)에 대한 한 개의 과학(a science)인가?

Euth. You understand me capitally, Socrates.

 

에우티. 당신은 저를 휼륭하게 이해합니다, 소크라테스님.

Soc. Yes, my friend; the reason is that I am a votary of your science, and give my mind to it, and therefore nothing which you say will be thrown away upon me. Please then to tell me, what is the nature of this service to the gods? Do you mean that we prefer requests and give gifts to them?

 

소크. 그래, 나의 친구여, 그 이유는 내가 그대의 과학에 대한 한 명의 추구자이고, 그리하여 그것에 전념하며, 그래서 그대가 말하는 어떠한 것도 나에게서 장차 결코 버려지지 않을 것이네. 그러니 잡신들에 대한 바로 이 봉사(service)의 본성이 무엇인지? 부디 나에게 말해주게. 우리가 그들에게 요청들을 선호하고 그리고 선물들을 제공하는 것을 그대는 의미하나?

Euth. Yes, I do.

 

에우티. 예, 그렇습니다.

Soc. Is not the right way of asking to ask of them what we want?

 

소크. 우리가 원하는 바를 그들에게 요청하는 것은 요청 행위의 올바른 길이니?

Euth. Certainly.

 

에우티. 그렇고 말고요.

Soc. And the right way of giving is to give to them in return what they want of us. There would be no, in an art which gives to any one that which he does not want.

 

소크. 그리고 제공 행위(giving)의 올바른 길은 그들이 우리에게 원하는 바에 답례로(in return) 그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네. 어떤 자에게 그가 원하지 않는 바로 그것을 제공하는 한 개의 기술(an art)에는, 거절(no)이 있을 것이네.

Euth. Very true, Socrates.

 

에우티. 정말로 참입니다, 소크라테스님.

Soc. Then piety, Euthyphro, is an art which gods and men have of doing business with one another?

 

소크. 그런하면, 에우티프로여, piety는 잡신들과 사람들이 가지는 서로와 거래 행위(doing business)에 있어서의 한 개의 기술이지?

Euth. That is an expression which you may use, if you like.

 

에우티. 바로 이 말은 당신이, 그렇게 말하고 싶다면, 사용할 수도 있는 한 개의 표현입니다.

Soc. But I have no particular liking for anything but the truth. I wish, however, that you would tell me what benefit accrues to the gods from our gifts. There is no doubt about what they give to us; for there is no good thing which they do not give; but how we can give any good thing to them in return is far from being equally clear. If they give everything and we give nothing, that must be an affair of business in which we have very greatly the advantage of them.

 

소크. 그러나 나는 진리(the truth) 이외에 어떤 것에 대한 특별히 종아함을 가지지 않네. 그렇지만, 우리의 선물들로부터 잡신들에게 무슨 혜택이 생기는지를 그대가 나에게 말해주기를 바라네. 그들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바에 관하여 아무런 의심도 있지 읺은데, 이는 그들이 제공하지 않는 선한 사물은 없기 때문이나, 그러나 답례로 우리가 임의의(any) 선한 사물을 그들에게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지는 동등하게 분명한 것으로부터 멀리에 있네. 만약에 그들이 모든 것을 제공하고 그리고 우리가 아무 것도 제공하지 않는다면, 바로 그것은, 그 안에서 우리가 그들로부터 이득을 대단히 커다랗게 가지는, 거래에 있어서의 한 개의 사건(an affair)임에 틀림 없네.


Euth. And do you imagine, Socrates, that any benefit accrues to the gods from our gifts?

 

에우티. 그리고, 소크라테스님, 어떠한 혜택이 우리의 선물들로부터 잡신들에게 생기는 것을 당신이 상상하는지요?

Soc. But if not, Euthyphro, what is the meaning of gifts which are conferred by us upon the gods?

 

소크. 그러나 만약에 그렇지 않다면, 에우티프로여, 잡신들에게 우리에 의하여 수여되는 선물들의 의미가 무엇일까?

Euth. What else, but tributes of honour; and, as I was just now saying, what pleases them?

 

에우티. 명예의 찬사들, 그리고, 제가 바로 전에 말하였듯이, 그들을 즐겁게 하는 무엇 이외의, 무엇이 있을까요?

Soc. Piety, then, is pleasing to the gods, but not beneficial or dear to them?

 

소크. piety, 그렇다면, 잡신들을 즐겁게 하는 행위이지, 그들에게 혜택을 주거나 혹은 소중한 것이 아니라고?

Euth. I should say that nothing could be dearer.

 

에우티. 어떠한 것도 더 소중할 수 없다고 저는 마땅히 말하여야 합니다.

Soc. Then once more the assertion is repeated that piety is dear to the gods?

 

소크. 그렇다면 한 번 더 piety가 잡신들에게 소중하다(dear)는 바로 그 단언(assertion)이 반복되는 것이지?

Euth. Certainly.

 

에우티. 그렇고 말고요.

Soc. And when you say this, can you wonder at your words not standing firm, but walking away? Will you accuse me of being the Daedalus who makes them walk away, not perceiving that there is another and far greater artist than Daedalus who makes them go round in a circle, and he is yourself; for the argument, as you will perceive, comes round to the same point. Were we not saying that the holy or pious was not the same with that which is loved of the gods? Have you forgotten?

 

소크. 그리고 그대가 바로 그 말을 할 때에, 그대는 확고하게 서 있지 못하고 오로지 걸어가 버리는 그대의 말들에 의아해 할 수 있는가? 그대는, 그대가 인지할 것이듯이, 이 논의가 동일한 점 쪽으로 방향이 바뀐다는 이유 때문에, 그들을 한 개의 원으로(in a circle) 돌도록 만드는 다에다루스(Daedalus)보다 더 위대한 또다른 기술자가 있음을 그리고 그자가 바로 그대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나를 두고서 그들을 걸어가 버리게 만드는 다에다루스(Daedalus)이라고 비난할 것인가? 거룩한 혹은 pious 한 것이 잡신들에 기인하여 사랑받는 바로 그것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우리가 말하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Euth. I quite remember.

 

에우티. 저는 완전히 기억합니다.

Soc. And are you not saying that what is loved of the gods is holy; and is not this the same as what is dear to them-do you see?

 

소크. 그리고 잡신들에 기인하여 사랑받는 바는 거룩하다고 그대가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그리고 바로 이것이 그들에게 소중한 바와 동일한 것이 아님을, 그대는 보는가?

Euth. True.

 

에우티. 참입니다.

Soc. Then either we were wrong in former assertion; or, if we were right then, we are wrong now.

 

소크. 그렇다면 우리는 전자의(former) 단언에 있어 잘못이 있었거나, 혹은, 만약에 그 때에 우리가 옳았더라면, 우리는 지금 잘못이 있네.


Euth. One of the two must be true.

 

에우티. 둘 중의 하나는 참이어야 합니다.

Soc. Then we must begin again and ask, What is piety? That is an enquiry which I shall never be weary of pursuing as far as in me lies; and I entreat you not to scorn me, but to apply your mind to the utmost, and tell me the truth. For, if any man knows, you are he; and therefore I must detain you, like Proteus, until you tell. If you had not certainly known the nature of piety and impiety, I am confident that you would never, on behalf of a serf, have charged your aged father with murder. You would not have run such a risk of doing wrong in the sight of the gods, and you would have had too much respect for the opinions of men. I am sure, therefore, that you know the nature of piety and impiety. Speak out then, my dear Euthyphro, and do not hide your knowledge.

 

소크. 그렇다면 우리는 다시 시작하고 그리고 piety는 무엇인가? 를 질문하여야 하네. 바로 이것은, 내 안에 누워 있는 한 추구함에 내가 결코 염증을 느끼지 않을 한 개의 조사(an enquiry)이며, 그리고 그대가 나를 경멸하지 않고, 오로지 최대한도로 그대의 마음(mind)을 사용하여, 그리하여 나에게 그 진리를 말해줄 것을 내가 간청하네. 이는, 만약에 어떤 사람이 알고 있다면, 그대가 바로 그자이기 때문이고, 그래서 그대가 말할 때까지, 나는 그대를, 프로테우스(Proteus)처럼, 못가게 붙들어야 하네. 만약에 그대가 pietyimpiety 의 본성을 확실하게 알지 못하였더라면, 그대가, 한 명의 농노(a serf)를 대신하여, 자신의 늙은 아버지를 살인자라는 죄목으로 결코 고발하지 않았을 것임을 나는 확신하네. 그대가 잡신들의 시야 안에서 잘못을 행하는 어떤 위험을 결코 무릅쓰지 않았을 것이고, 그리고 그대가 사람들의 견해들에 대한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존경을 가졌을 것임을 나는 확신하네. 그러므로, 그대가 pietyimpiety 의 본성을 알고 있음을 내가 확신하네. 그러니, 나의 소중한 에우티프로여, 그대의 지식을 터놓고 말하게, 그리하여 감추지 말게.

Euth. Another time, Socrates; for I am in a hurry, and must go now.

 

에우티. 또다른 시간에, 소크라테스님, 이는 제가 황급(遑急)에 있으며, 그리하여 지금 가야하기 떄문입니다.

Soc. Alas! my companion, and will you leave me in despair? I was hoping that you would instruct me in the nature of piety and impiety; and then I might have cleared myself of Meletus and his indictment. I would have told him that I had been enlightened by Euthyphro, and had given up rash innovations and speculations, in which I indulged only through ignorance, and that now I am about to lead a better life.

 

소크. 슬프도다! 나의 동료여, 그대는 나를 절망 안에 남겨둘 것인가? 그대가 pietyimpiety 의 본성에 대하여 나를 가르칠 것이고, 그래서 내가 메레투스(Meletus)와 그의 기소로부터 나 자신의 결백함을 입증할 수도 있을 것임을 내가 희망하고 있었는데. 내가 애우티프로에 의하여 교화되었다고, 그리고, 그 안에 내가 오로지 무지 때문에(through ignorance) 빠졌던, 성급한 혁신(innovations)들과 억측(speculations)들을 포기하라고, 그리하여 그 결과 이제 내가 어떤 더 나은 삶을 조만간 지낼 것이라고, 내가 그에게 말하였을 것인데.

 

THE END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44시간

 



1,271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