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2월4일 성 안드레아 코르시니♬AVE MARIA (C.Gounod)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2-03 ㅣ No.1602

 

축일 : 2월 4일

성 안드레아 코르시니

ST. ANDREW CORSINI

Sant’ Andrea Corsini Vescovo

1302 at Florence, Italy -

6 January 1374 at Fiesole, Italy; relics at Florence, Italy

Beatified:1374

Canonized:29 April 1629 by Pope Urban VIII

Patronage:civil disorder, riot

 

 

이탈리아 플로렌스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원래 성질이 고약하고 문제아였지만

갑작스럽게 마음을 고쳐 먹고 1316 년 플로렌스의 가르멜회에 입회하였다.

사제 서품 후 오로지 기도와 연구에 몰두하였지만

1360년 이탈리아 피에소레의 주교가 서거하자 다른 사제들과 신자들이 그의 후임이 되어주기를 간청하였다.

 

그는 남몰래 도망을 했지만 기도 도중 백의를 입은 한 아이가 나타나 "두려워할 것 없다.

나도 너를 보호하겠고 특별히 성모 마리아는 너를 도우리라"고 하여 돌아왔다.

그 후에도 그는 엄격한 생활을 그대로 계속했으며 종종 단식과 자기 몸을 매질하기도 하였다.

 

분쟁을 조정하는 특별한 재능을 가졌던 그는 볼로냐 시의 불안을 화해시키는

교황 사절로 임명되어 맹활약을 보였다.

1373년에 주의 품으로 올라간 그는 55 년 동안 수도 생활을 한 것이다.

1373 년 코르시니 가문 출신인 교황 클레멘스 12세에 의하여

로마의 성 요한 라테란 성당에 그를 기념하는 성당이 세워졌다.

코르시니가(家)는 이탈리아의 플로렌스에서 가장 높은 귀족인데,

1282년 이래 장군이나 대사, 주교나 추기경 등 중요한 인물이 많이 세상에 나왔다.

그러나 그 중에서 제일 유명한 이는 성 안드레아 코르시니이다.

 

그의 아버지는 니콜라오, 어머니는 베레그리나라고 하는데, 결혼 후에도 오랫동안 자녀가 없었으므로

그들은 섭섭히 생각하면서도 항상 기도하며 성모상 앞에서 서원까지 발한 일도 있었다.

그들의 열성이 하느님께 통했음인지 마침내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에 옥동자와 같은 남자아이를 낳게 되었다.

그래서 그의 본명도 안드레아라고 이름지었다. 그를 낳기 전날 밤에 어머니는 늑대를 낳은 꿈을 꾸었다.

그러나 막상 낳고 보니 그 아들은 지극히 건강한 미남이었으므로

근심했던 만큼 어머니의 안심과 즐거움은 대단한 것이었다.

 

아들은 수년 후 학교에 입학해 비상한 재능을 발휘했다.

그러나 그 행동이 난폭하기 짝이 없어 동생들을 줄곧 울리곤 했었다.

그리고 병정 놀이나 격렬하게 뛰고 노는 것을 대단히 좋아했다.

이와 같이 손을 댈 수 없이 철없는 아이였지만 그의 마음만은 극히 순진했다.

15세 때에도 난폭한 행동을 했으며, 부모가 부르시는데도 꾸중을 들을까봐 좀체 이에 응하지 않았다.

그 뿐 아니라, 어떤 때에는 부모에게 달려들어 심지어는 추태까지 부리게 되었다.

 

 

그러므로 어머니는 보다 못해 눈물을 흘리며 "얘! 너는 참으로 내가 꿈에 본 늑대와 똑같구나"하고 말하니,

안드레아는 정중히 "그것은 무슨 꿈입니까?"하고 물었다.

어머니는 그 꿈 이야기와 또한 그가 성모의 전구로 태어났다는 것을 자세히 설명해 주고

"너는 성모님의 전구로 태어났으니 더욱 착한 아이가 되지 않으면

마리아께도 면목이 서지 않는다"하고 타일렀다.

 

이 한마디가 얼마나 그의 마음을 자극했는지 그 날 밤 기도로 밤을 세우고

어머니가 서원을 발했다는 성당을 참배하고 성모상 앞에서 2, 3시간 기도를 바치고

그 후 가르멜회의 수도원에 가서 총장 예로니모 메리올라디스에게 입회시켜 줄 것을 간청했다.

그는 이미 부모의 슬하에는 절대로 돌아가지 않기로 굳게 결심했다.

 

총장은 소년의 결심에 탄복했지만, 다시 그의 양친을 불러 의논한 결과

그들도 아들의 회개를 의외로 즐거워하며 아무 이의 없다고 하므로

그때서야 비로서 안드레아의 소원대로 수도회에 입회할 수 있었다. 이 기적은 하느님의 은총이었다.

안드레아는 은총의 지도에 잘 순종했다.

물론 거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의 노력으로 모두 이겨나갔다.

또한 그는 그렇게도 교만하고 무모한 플로렌스 명문의 아들이었지만 수도원의 청소나

부엌일 같은 천한 일까지도 기꺼이 할 수 있는 겸손한 사람이 되었던 것이다.

 

그의 양친은 아들의 회개를 무척 즐거워했지만 그의 친척들은 안드레아가

천한 수도복을 몸에 걸친 것을 가문의 수치로 생각해 어떤 날

그가 장터에 나오는 것을 붙잡고 다시 세속에 나오라고 권했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유혹에 빠지는 일 없이 단호히 자기의 신념을 시종일관 지켜나갔다.

 

그의 그러한 신념 때문에 모든 덕의 진보도 현저히 나타났으며

그 중에도 순명에 대해서는 형제들의 모법이 되었고,

또한 고신 극기에 있어서도 회의 규칙 이상으로 행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덕에도 출중해

가난한 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두터웠다.

 

 

수도 서원을 발한 후, 그는 오로지 기도와 연구에 몰두해 사제가 될 준비를 했다.

그리고 신품 성사를 받았다.

부모는 자기네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성대한 첫 미사를 지내기를 원했지만 그는 겸손한 마음으로

플로렌스에서 7마일 가량 떨어진 어느 고요한 마을의 성당에서 첫 미사를 봉헌했다.

이와 같은 겸손은 특별한 상을 받아 영성체 후

성모의 발현을 보게 되어 "너는 나의 일꾼이다.

나는 너를 선택하고 너로 인해 영광을 얻게 되리라"는 고마운 말씀까지 받게 되었다.

 

안드레아는 사제가 된 후에도 검소한 고해의 생활을 계속했다.

그의 명성은 오래지 않아 세상에 퍼져 사방에서 훈계를 받으러 오는 이, 힘을 빌리러 오는 이가 끊이지 않았다.

그는 될 수있는데까지 그들을 위해 노력했고, 어떤 때는 그의 기도로 기적이 일어나기도 했다.

예를 들자면,

어느 날 친척이 되는 아비뇽 시의 추기경 베드로 코르시니에게 일이 있어서 초대를 받은 때가 있었다.

그가 길을 걷다 보니 성당 문전에서 자선을 청하고 있는 한 소경이 눈에 띄었다.

 

가련한 생각으로 사정을 물어보니까 금, 은(金銀)을 가르는 난로 앞에서 일하다가 실수하여

불덩이가 눈에 들어가서 눈이 멀었다고 하며

"자녀들은 아직 어려서 일할 수 없고 또 저는 눈이 보이지 않으므로 사실 곤란합니다"하고 말했다.

안드레아는 몹시 측은한 마음에 눈물까지 흘리며 굳은 신앙심을 가지고 성수를 뿌리면서

 ’전능하신 하느님, 이 불쌍한 죄인의 눈을 뜨게 해주소서!"라고 기도하니

즉각 그의 눈이 보이게 되었음으로 그 사람은 소리 높여 하느님께 감사하며 자기의 행복을 온 거리로 다니며

외쳤다고 한다.

 

 

1360년 이탈리아 피에솔레의 주교가 서거하자 다른 사제들과 신자들은

그에게 그의 후임이 되어 주기를 간청했다.

그러나 그는 남몰래 트라피스트 수도원으로 숨었다.

사람들은 그가 행방불며이 되었으므로 교회에 모여 할 수 없이 다른 이를 선출하려 할 때

돌연 거기에 참석한 3세 가량 되어 보이는 아이가 "하느님께서는 안드레아 신부를 주교로 선택하셨습니다.

신부는 지금 트라피스트 수도원에 계십니다"하고 부르짖었다. 이것을 들은 모든 이의 놀람은 대단했다.

 

마침 그 시간에 기도를 바치던 안드레아에게도 백의를 입은 한 아아기 발현해

"두려워 할 것 없다.나도 너를 보호하겠고 특별히 성모 마리아는 만사에 너를 도우시리라"했다.

그가 아기 예수라는 것을 깨달은 그는 주님의 뜻을 알고 마침내 주교의 직을 맡게 되었다.

 

그 후에도 그는 엄격한 생활을 그대로 계속하고 포도가지를 깔고 그 위에서 자며,

종종 단식하고 편태하기도 했다.

그는 가난한 이와 불행한 사람들을 특별히 사랑하고 될 수 있는데 까지 그들을 위로하며 도와 주었다.

가끔 하느님께서는 성인을 위해 그들에게 베풀어주는 물품을 많게 해 주실 때도 있었다.

 

1372년 성탄 대축일에 성모의 성당에서 자정미사를 지내고 있을 때,

성모 마리아께서 발현하시어 그의 임종이 임박한 것을 가르쳐 주셨다.

그것을 들은 그의 즐거움은 보통이 아니었다.

기쁨에 가득 차 미사 세 대를 드리고난 그는 재차 청춘을 맞이하는 것과 같은 용모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1월 6일의 자정에 이르러 그는 임종의 병상에서

자기 교회의 사제들에게 호위되어 사도신경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가 "오 주여, 당신 말씀을 따라서 안락한 곳으로 가게 해 주소서!" 하고

최후의 기도를 올리고 있을 때 하늘에는 신성한 광채가 빛나고

그의 영혼은 주님의 품으로 올라갔다.

성인은 그때 70세였고 수도 생활 55년째 되는 해였다.

(대구대교구홈에서)

 

 

 

 

♬AVE MARIA (C.Gounod) 성요한 수도회

 

 

 

 

 

 

 

 

 

 

 

 

 

 

 

 

 

 

 

 

 

 

 

 

 

 

 

 

 

 

 

 

 

 

 

 

 

 

 

 

 

 

 

 

 

Andrew was born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eenth century in Florence and entered the Carmelite Order there. He was elected provincial of Tuscany at the general chapter of Metz in 1348. He was made bishop of Fiesole on October 13, 1349, and gave the Church a wonderful example of love, apostolic zeal, prudence and love of the poor. He died on January 6, 1374.

 

 

 

 

ANDREW CORSINI

 

Also known as

Andres Corsino; Apostle of Florence

Memorial

4 February

Profile

Following a wild and misspent youth, Andrew became a Carmelite at Florence. Studied at Paris and Avignon, France. Prior. Provincial of Tuscany in 1348. Bishop of Fiesole on 13 October 1349. Had the gift of prophecy and miracle worker. Noted peacemaker between quarreling Italian houses.

Born

1302 at Florence, Italy

Died

6 January 1374 at Fiesole, Italy; relics at Florence, Italy

Beatified

1374

Canonized

29 April 1629 by Pope Urban VIII

Patronage

civil disorder, riot

Representation

holding a cross, with a wolf and lamb at his feet, and floating above a battlefield on a cloud or a white palfrey

 

 

 

Sant’ Andrea Corsini Vescovo

 

4 febbraio - Comune

Firenze, 1301 - Firenze, 6 gennaio 1373

 

Di nobile famiglia, indossato l’abito dei carmelitani fece dapprima il questuante. Eletto provinciale nel periodo terribile della peste, cerco di ripopolare e soprattutto mantenerne vivi nei religiosi l’amore alla poverta e l’osservanza della Regola. Vescovo di Fiesole svolse intensa vita pastorale e istitui una confraternita di sacerdoti in onore della SS. Trinita.

 

 

Etimologia: Andrea = virile, gagliardo, dal greco

Emblema: Bastone pastorale

 

Andrea, della nobile famiglia fiorentina dei Corsini, nacque nel 1301, l’anno in cui Dante Alighieri veniva bandito dalla sua citta, divisa e turbolenta. Sua madre, prima di metterlo al mondo, disse di aver visto in sogno il suo figliolo nelle sembianze di un lupo, trasformato poi in agnello. In gioventu Andrea pare sia stato davvero "una testa calda", un lupo, o meglio un giovane leone, come si direbbe oggi per definire quel tipo di giovane arrogante, spendaccione e ozioso. Andrea, pur nel frastuono della gaia e rissosa Firenze, udi il soffio dello Spirito, che si tradusse in un irresistibile richiamo alla mistica pace del Carmelo.

A uno zio che tentava di riportarselo a casa, prospettandogli un eccellente matrimonio, rispondeva: "Che ne farei di questi beni, se poi non avessi la pace del cuore?". Andrea nascondeva sotto il saio un cilicio, ancora conservato, tutto irto di punte di ferro, e andava di porta in porta a chiedere l’elemosina, senza evitare quelle case in cui un tempo si recava a far baldoria con gli amici. Dopo la sua ordinazione sacerdotale, venne mandato a completare gli studi nell’universita di Parigi.

Torno dal soggiorno parigino piu irrobustito non solo culturalmente, ma anche nello spirito. Durante il viaggio di ritorno, narrano i suoi biografi, opero alcune prodigiose guarigioni. Torno a Firenze quando gia imperversava l’epidemia della peste, descritta dal Boccaccio. Venne eletto superiore provinciale dell’Ordine nel 1348 e, due anni dopo, essendo morto di peste il vescovo di Fiesole, Andrea fu chiamato a succedergli. Cerco di sottrarsi all’alto incarico, di cui si reputava indegno, andando a nascondersi in un lontano eremo, ma il suo nascondiglio venne scoperto da un fanciullo.

Andrea interpreto quell’episodio come un invito all’obbedienza e accetto la nomina. Per ventiquattro anni resse la diocesi di Fiesole, non sempre con la mansuetudine dell’agnello, poiche il suo rigore ascetico e la sua assoluta dedizione al ministero pastorale non erano sempre graditi a coloro che non ponevano eccessivo zelo nel servizio del Signore. Della sua carita beneficiarono soprattutto i poveri. Della sua opera di pacificatone trassero vantaggio non solo i battaglieri comuni toscani, ma anche la citta di Bologna, dove il papa Urbano V lo mando a mettere pace tra i cittadini, sobillati dai Visconti, e che lo compensarono anche con il carcere. Mori il 6 gennaio 1373 e il suo corpo venne seppellito nella fiorentina chiesa del Carmine. Fu canonizzato nel 1629.

 

 



276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