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2월4일 레오네사의 성 요셉♬가난함을 주소서.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2-03 ㅣ No.1601

 

축일 2월4일
레오네사의 성 요셉, OFM cap.
San Giuseppe (Desideri) da Leonessa 
Leonessa, Rieti, 8 gennaio 1556 – Amatrice, 4 febbraio 1612
Saint Joseph of Leonessa 
Also known as Eufranio Desiderio, Joseph Desideri
Born : 8 January 1556 at Leonessa, Umbria, Italy as Eufranio Desiderio
Died : Saturday 4 February 1612 at Umbria, Italy of cancer and post-operative problems from surgery for that cancer
Name Meaning : whom the Lord adds (Joseph)
Beatified : 22 June 1737 by Pope Clement XII
Canonized : 29 June 1746 by Pope Benedict XIV


 
 

   움브리아의 레오네사 출신인 그는 18세 떄에 카프친회원으로 서약한 뒤, 요셉이란 수도명을 받았다. 그는 지극히 겸손하고 순종적이었으며 영웅적으로 극기생활을 하였으니, 한번은 3주간 동안이나 물도 빵도 없이 지낸적이 있었다. 

   그는 항상 손에 십자가를 들고 설교했고, 끓어오르는 열정을 폭발시키는 듯한 자세로 열변을 토하였다. 1587년, 그는 터키인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페라로 파견되어 수많은 배교자들을 회두시키고, 모슬렘인들을 상대로 설교하였으므로, 두차례나 투옥되었다. 두번째의 투옥에서 그는 잔인한 죽음을 당하여 순교하였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1556년 북 이탈리아의 밀라노 시에서 성 프란치스코의 정신을 계승하는 카푸친 수도원의 수사 페르토의 요셉이라고 하는 한 사제가 서거했다. 이사람은 유럽에 상당히 알려져 있는 40시간의 성체조배라는 신심을 처음 주창한 분으로서 유명하지만, 그것은 그 이름과 같이 신자가 성당을 방문해 40시간 낮이나 밤이나 그침없이 계속 제대 위에 모신 성체께 대해 기도를 바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마침 같은 해에 움브리아의 아시시에 가까운 레오니사라는 마을에 몇 년 후에 이 40시간의 성체조배의 신심을 성대하게 한성인이 태어났다는 것은 기이한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데시데디의 요한이라는 그다지 부유하지 못한 백작(伯爵)의 가정에서 태어나 세례 때에는 오이플라니오라는 본명으로 불렸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비델보 대학 교수인 백부의 슬하에서 교육을 받게 되었는데, 그의 천재적 두뇌는 오래지 않아 모든 사람에게 칭찬을 받게 되었다. 백부는 장래 어떤 귀족의 딸과 결혼시키려고 했지만, 본인은 학생 시대에 여러 가지의 위험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사히 보존해 온 정결한 마음 그대로 세속적 명예나 가정생활을 원하는 기색은 추호도 없으므로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가 창립한 카푸친 수도원에 들어가서 요셉이라는 수도명을 받고 남몰래 착복식까지 다 치렀던 것이다. 

   이 사실을 안 백부는 자기의 소망이 다 일그러진 것에 대해 대단히 분노해 폭력을 써서라도 그의 마음을 돌이키려고 했으나, 요셉은 시종일관 수도원에 끝까지 머물러 있으면서 완덕의 길을 걸을 결심을 하고 성 프란치스코의 모범을 본받아 자신을 희생함으로서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고행을 감행하고, 밤낮 제대앞에 부복해 열렬한 기도를 바치는 등 다만 하느님을 사랑하고 자기를 버리는 데 더욱 진력했다. 

   이와 같이 세라핌보다도 못지 않은 사랑을 지니고 있던 그는 신앙을 위해 생명을 바친다는 것은 본래부터 원하던 바이고, 1587년 커푸찬회 총장으로 부터 터키로 가라는 명령을 받자마자 기뻐하며 이교의 나라에 가서 콘스탄티노플에 노예가 되어 있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위로하며 구출해 주었을 뿐아니라, 회교에 빠져 있는 터키인들을 상대로 복음을 전하고, 특히 여러가지 환난에 못 이겨 배교한 신자들에게 주님의 사랑을 깨우쳐 주며 개종시키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

 

 

   요셉은 그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터키의 황제 멜렉 엘 가미르에게 복음을 전한 성 프란치스코를 모방하려고 어느 날 그 성을 방문했을때, 그는 즉시 수위병에게 체포되어 감옥에 갇히고 후에 무서운 형벌을 받기로 되어 있었다. 이 형벌은 날카로운 갈퀴로 그의 왼손과 오른 다리를 끼어서 공중에 매달고 40시간 동안이나 있게 하는 것이었다.

   그때 마침 33세였던 요셉은 예수께서 수난을 받으셨던 나이와 같은 나이에 주님과 같은 형벌을 받고 순교하게되는 영광을 즐거워하며 그러한 은혜를 내려 주신 하느님께 상처가 혹독히 아픈 중에서도 찬미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형리들은 보다 더 그를 괴롭히기 위해 그를 달아매고 그 밑에 불을 피워 놓고 그를 그을리기 시작했다. 검은 연기가 뭉클뭉클 올라올 때 성인의 호흡은 시시각각으로 가빠져서 이제는 최후라고 각오하고 있었으나 그때 황제는 사형을 면제하고 국외로 추방하기로 했다. 

   그 후 요셉은 고국에 돌아와서 이번에는 움브리아 지방을 순회하면서 불을 토할 듯한 열렬한 설교로 냉담했던 신자들의 마음을 다시 하느님께 대한 사랑으로 불타게 했다. 그 설교는 하루에 적어도 서너 번 씩 하고 어떤 때는 더 많이 했으므로 그로 말미암아 개종한 자의 수가 얼마나 되는 지 모를 정도이다. 이를 보더라도 그의 활동이 얼마나 눈부시고 또한 유효했던가를 알수가 있다.

 

   사람들을 냉담과 죄악에서 구출하기 위해 그가 40시간의 성체조배의 신심을 보급하는데 전력을 다한 것은 이때였다. 그는 자신이 40시간 형벌을 받은 몸이란 것을 잊지 않고, 그때 자기 마음에 타오른 것과 같은 예수께 대한 사랑과 희생의 정신을 신심으로써 격려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이탈리아에서 22년 동안이나 사도적 활동을 계속한 뒤, 요셉은 병상에서 신음하게 되어 수술 받게 되었는데, 수술 중간에 의사가 그의 몸의 움직임을 염려해, 줄로 그의 몸을 수술대에 묶으려고 할 적에 그는 손에 쥐고 있는 십자가를 내 보이면서 "줄보다 이분이 더 강하므로 걱정 없습니다"했다고 한다.

   그러나 모든 치료도 아무 효과를 보지 못해 1612년 2월 4일을 일기로 그는 평안히 세상을 떠나게 되었는데, 그 심한 병고 중에서도 항상 하느님께 대한 찬미를 그치지 않았다고 한다. 그 후 그의 전구로 인해 무수한 기적이 일어났기 때문에, 1746년 그 당시의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요셉 레오니사를 성인품에 올리게 되었다.

(대구대교구홈에서)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Umbria)의 레오니사 출신인 성 요셉(Josephus)은 18세 때에 카푸친 회원으로 서원하고 요셉이란 수도명을 받았다. 그는 지극히 겸손하고 순종적이었으며 영웅적으로 극기생활을 하였다. 한 번은 3주간 동안이나 물도 빵도 없이 지낸 때도 있었다. 그는 항상 손에 십자가를 들고 설교했고, 끓어오르는 열정을 폭발시키는 듯한 자세로 열변을 토하였다.
   1587년 그는 터키인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 부근의 페라(Pera)로 파견되어 수많은 배교자들을 회두시키고 모슬렘들을 상대로 설교하였다. 그 과정에서 두 차례나 투옥되었는데, 두 번째 투옥중에 그는 잔인한 형벌을 당한 후 간신히 사형을 면하고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 후 움브리아 지방에서 열정적으로 사목활동을 하며 40시간 성체조배 신심을 보급한 그는 1612년 2월 4일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1737년 6월 22일 교황 클레멘스 12세(Clemens XII)에 의해 시복되었고, 1746년 6월 29일 교황 베네딕투스 14세(Benedictus XIV)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다.
(가톨릭홈에서)



"동료 킬러"라고 불리던 "가시나무 수풀의 설교자", 레오네사의 성 요셉    
  

 

지칠 줄 몰랐던 복음 전파자
카푸친 동료 형제들은 어느 한 사람에게 "동료 킬러" 혹은 "가시나무 수풀의 설교자"라는 별명을 지어주었다. 복음을 전하는데 있어서 결코 쉴 줄 모르는 레오네사(Leonessa)의 요셉 형제가 바로 그 사람이다. 1746년, 베네딕토 14세 교황에 의해 시성된 요셉 형제는 1556년 1월 8일, 이탈리아 라치오(Lazio) 주에 있는 '레오네사(Leonessa)'라는 작은 고장에서 태어나 세례때에 '에우프라니오 데시데리(Desideri)'라는 이름을 받았다.


 

어릴 시절에도 고생의 쓴맛을 전혀 모르는 아이는 아니었다
아버지 '요한 데시데리'는 부유한 양모(양털) 상인이었고 어머니 '세라피나 파올리니(Paolini)'는 귀족 태생이었다. 여덟 아이의 부모였던 요한과 세라피나는 고결한 삶을 산 덕에 이웃의 존경을 받는 부부였다. 에우프라니오는 비록 어릴적 부유한 가정에서 성장했지만 고생의 쓴맛을 전혀 모르는 아이는 아니었다. 실은 겨우 12살 밖에 되지 않았을 때 그는 부모님을 모두 잃었고, 그 때문에 작은 아버지(세자요한 데시데리)로부터 양육을 받아야 했다. 그의 삼촌은 비테르보(Viterbo)에 살고 있었고 직업은 학교 선생님이었다. 삼촌은 젊은 조카, 에우프라니오가 귀족 가문으로 장가갈 것을 희망하고 있었지만 에우프라니오의 생각은 달랐다.


 

남몰래 집을 떠나 카푸친이 되다
에우프라니오는 어릴 때부터 신앙심이 뚜렷하여 작은 제단을 설치하고 그 제단 앞에서 오랫동안 기도하며 소꿉동무들을 모아 함께 기도했다고 한다. 십대 초반에는 그가 살았던 지역의 '카푸친 작은 형제들'을 알게 되었다. 특히 그때는 카푸친 형제단에 가입한 고향 출신의 어느 한 의사의 모범에 깊은 인상을 받은 때였다. 열여섯 살 때, 에우프라니오는 고열을 앓고 회복한 뒤, 중매결혼을 뿌리치고 카푸친 더욱 작은 형제들의 수도회에 입회하기로 최종적으로 결심했다. 1573년 1월 8일, 16살의 에우프라니오 데시데리는 친지들 모르게 아씨시 근처에 있는 '카르차렐레(Carcerelle)'라는 비좁은 카푸친 수련원에서 '요셉'이란 수도명을 받아 수련기의 과정을 밟았다. 그리고 1년 후 종신서약을 했다.
 

요셉 형제는 수도자로서 매우 금욕적이었다. 자신의 육신을 일컬어 이렇게 말하곤 하였다. "당나귀 형제, 준마에게 먹이를 주 듯 그대에게 먹일 필요는 없다네. 그대는 가난한 당나귀로 사는 것에 만족해야지." 그리고 그는 다가올 1600년의 대희년 대사를 받기 위해 1599년 일 년 내내 단식을 하기도 했다. 1580년, 요셉 형제는 사제서품을 받은 다음, 일 년 더 공부한 후 1581년에는 카푸친 총대리로부터 설교할 수 있는 특별한 허가를 받았다. 그는 남은 모든 생애를 설교 봉사에 헌신했는데, 이에 대해 그는 이렇게 기록했다. "관상생활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세상에 나가서 설교할 중대한 의무가 있다. 왜냐하면 세상의 사고방식은 매우 혼란스럽고 지구는 악으로 충만하기 때문이다."
 




요셉에게 설교의 성공 비결은 바로 기도였다
요셉 형제의 설교의 성공 비결은 다름 아닌 관상기도로부터 우러나온 그의 진솔한 언변 때문이었다. 미사를 통해 접하게 되는 주님의 거룩한 몸과 피의 신비는 요셉 형제의 사제직과 설교, 자선봉사에 영감과 의미가 되었다. 그리고 사랑의 성사인 성체성사를 통하여 참 사랑을 배웠다. 요셉 형제는 동시대의 수많은 다른 카푸친 형제들과 마찬가지로 '40시간의 성체조배' 신심을 장려했다. 그는 성체 안에 계신 예수님을 만나러 자주 성당으로 갔는데 왜 그러냐는 질문에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저는 저의 주님을 찾아갑니다. 그분이 어떻게 지내시는지, 무엇이 필요하신지 알아보려고 찾아갑니다. 궁전의 신하들은 밤낮으로 군주의 수족이 되어 일합니다. 하느님과 사람 사이의 중재자 될 부르심을 받는 우리도 아들이요, 종이요, 봉사자들로서 항상 주님 가까이 있어야 합니다. 지극히 거룩하신 성체께 해드리는 이러한 방문들로부터 많은 은혜들이 옵니다." 
 

그에게 있어서 그리스도는 인생의 모든 문제들을 해결해주시는 분이셨기에 그는 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과 하나가 되어 살기를 갈망했다. 시성 자료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하느님을 더욱 더 잘 음미하기 위해 그는 제 영혼의 모든 힘을 주의 깊게 추스르곤 했다. 지정된 기도 시간뿐만 아니라 모든 시간에도 그러했다. 그는 십자고상을 손에 쥐고 길을 걸으며 그리스도의 오상을 묵상하곤 했다. 묵상하는 동안 그 얼굴의 표정이 다양한 신비들에 따라 달라지곤 했다. 때때로 핼쑥하고 초췌해 보였으나 이내 곧 타오르는 불을 자기 안에 품는 것처럼 새빨개지곤 했다. 설교할 때에도 똑같은 현상이 일어났다." 그때 요셉 형제가 손에 쥐고 있었던 십자고상은 레오네사에서 아직까지도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요셉 형제는 성모님께 대한 신심이 깊었다. 그가 즐겨하는 기도는 "Sancta Maria, succurre miseris(거룩하신 마리아님, 불쌍한 이들을 도와주소서.)"라는 짧은 기도였는데, 그는 죽을 때까지 이 기도를 잊지 않고 매일 매일 수 없이 되풀이했다. 이렇게 성 요셉과 같은 카푸친 설교자들에게 있어서 기도란 설교의 고갈되지 않는 샘터와 설교 후의 평온한 쉼터가 되었다.


 


터키에서 갤리선을 젓는 그리스도인 노예들에게 봉사하다
1587년, 요셉 형제는 수도회의 총대리에 의해 그 도시의 억류된 그리스도인들에게 봉사하기 위해 콘스탄티노플(현 터키, 이스탄불)로 파견되었다. 그 도시에 도착하자 요셉과 동료 형제들은 갈라타(Galata)라는 동네에 있는 버려진 집에서 기거했다. 가난한 카푸친들의 삶에 이끌린 많은 터키인들이 새 선교사들을 구경하려고 무리지어 그들의 집을 찾아오곤 했다. 요셉 형제는 그리스도인이지만 갤리선(고대, 중세에 지중해에서 쓰던 배)을 젖는 노예들을 위해 정성껏 봉사했다. 그리고 매일 시내에 나가서 설교를 했는데, 결국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지만, 얼마 안 있어 베네치아 대사의 중제로 석방되었다.



간신히 죽음의 문턱에서 구해져서 귀국
이에 굴하지 않고 더욱 더 열성적으로 설교하기 위해 끝에는 (오스만 제국의 군주였던) 무라드 3세 술탄이 사는 궁전 앞에까지 접근하였다. 하지만 들어가자마자 체포되었고 사형을 언도 받았다. 그때 요셉 형제는 3일 동안에 사그라지지 않는 불 위에 세워진 교수대에서 오른 발과 오른 손이 갈고리에 뚫린 채 매달리는 극형에 처했지만 기적적으로 풀려나 귀향하였다는 설이 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는 것을 선택하다
이탈리아로 귀향할 때, 요셉 형제는 배교한 어느 그리스 주교를 로마로 데리고 와서 교회와 화해하게끔 했다. 그의 다음 사명은 고향 신자들을 위해 설교를 하는 것이었다. 때로는 하루에 여섯, 일곱 번이나 강론할 정도로 열성적이었다. 그리고 요셉 형제는 아씨시 주교의 요청으로 주교좌성당에서 피정지도를 맡게 되었는데, 이미 준(準)순교자로 유명해져 있는 그의 설교를 들으려고 큰 무리의 신자들이 참석했다. 그러한 정황을 본 카푸친 지역 형제회의 수호자는 요셉 형제의 명성을 이용해 카푸친 수도회를 키워보려 했지만, 요셉 형제는 오히려 큰 도시들보다는 이탈리아 중부 지방의 작은 마을들과 산촌들에서 설교할 허락을 청하여 받아냈다.


그에게는 극복하지 못한 장애가 없었다
사명을 다하기 위해서 요셉 형제는 그 어떠한 위험도 고생도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걸어서 가지 못할 곳이라면 무릎으로 기어 다닐 정도로 어디에서든 굴하지 않고 기꺼이 설교할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오히려 다른 설교자가 가기를 꺼려하는 산골의 방치된 외딴 마을들을 즐겨 다녔다. 강물이나 시냇물을 만나면 멈추지 않고 뛰어들어 그 물줄기를 건넜으며 숲속 산길도 항상 맨발로 다녔다. 가시밭길을 만나면 예사로 그냥 맨발로 밟고 지나갔고 그것을 아무렇지 않게 여기곤 했다. 그 시절 카푸친 설교자들은 보통 한두 명의 동반자들과 함께 돌아다니곤 했는데, 동반자들은 지쳐서 그런 그와 보조를 맞추지 못했다. 그래서 그들은 요셉 형제에게 "동료 킬러"라고 일컬었으며 또는"가시나무 수풀의 설교자"라고들 했다. 

요셉 형제의 설교는 대중문화에 맞추어진 복음적 설교였다. 그는 마을 주민들에게 간단명료한 말로 신앙의 핵심 교리를 전했고, 주모경과 같은 기본 기도들을 가르쳤다. 특히 어린이들을 위해서 그는 기꺼이 교리를 가르쳤다.
 

 
 

 

사회 정의의 용감한 투사
그리고 회개하는 사람들에게 고해성사를 준 다음, 바로 다음 마을로 나서곤 했다. 그리고 그는 늘 하느님의 정의와 사회 정의에도 전념했는데, 빈민 가운데 특히 빈곤한 여성들을 돕기 위해 곳곳에 신용 조합들(Monti di Pietà)과 곡창과 급식 조합(Monti fumentari)을 세워 몸소 그 곡창을 채우려고 곡물을 구걸하러 다니곤 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매춘을 강요당할 위험에 처한 수많은 빈곤층 여자들을 곤경에서 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그는 늘 설교를 통해서 상호용서와 화해와 평화를 촉진했으나 특히 불공평한 판사들과 세금업자들을 단도직입적으로 호되게 질책했다. 하루는 요셉 형제가 레오네사에서 몬테레알레(Monterreale)로 가는 길에 두 폭력배들 간의 몸싸움을 목격했다. 용감한 요셉 형제는 여행용 십자고상을 들어 올려 그들 한가운데로 걸어 들어가 기도한 다음 설교했다. 그의 성인다운 설교의 설득력뿐만 아니라 그의 용감한 행동에도 놀란 폭력배들은 요셉 형제와 함께 성당에 가서 고해성사를 받았다.

1600년 대희년, 그는 오르티콜리(Oritcoli) 읍에서 사순절 본당피정을 지도하고 있었는데, 오르티콜리는 로마로 가는 수많은 순례자들이 지나가야 하는 곳이었다. 그들 중에 많은 사람들이 매우 가난했다. 요셉 형제는 그들에게 음식을 공급해주었고, 그들의 옷을 빨아주었으며 그들의 머리도 깎아주었다. 토디(Todi)에서 그는 손수 채소밭을 부쳤고 농산물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었다. 그리고 그는 또한 가난한 병자들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작은 병원들을 곳곳에 설립했다.


 


자신의 지상 고향에 눈물어린 마지막 작별을 고한 요셉
죽음에 임박한 요셉 형제는 사랑하는 고향을 떠나게 되었는데, 눈물을 흘리며 다음과 같은 마지막 강복의 말을 했다. "오, 나의 사랑하는 고향 레오네사여, 이제 당신을 마지막으로 보게 되었으니 당신에게 나의 마지막 강복을 줍니다. 당신에게 강복합니다. 당신의 주민과 그 주민들의 후손들은 물론이고 당신의 성벽들과 당신의 집들, 당신의 밭들과 양떼들에게, 당신 안에 있는 모든 것들에도 강복합니다. 하느님께서 언제나 당신과 함께 있기를 빕니다. 그리고 그분께서 모든 일에 있어서 당신에게 번영을 베푸시기를 빕니다. 또한 가톨릭 신앙과 종교적 관행에 있어서 당신을 지켜주기를 빕니다." 요셉 형제는 남는 여생을 아마트리체(Amatrice)의 카푸친 지역형제회에서 보냈다. 1612년 2월 4일 그곳에서, 만 56세가 된 레오네사의 요셉 형제는 'Sanct Maria, succurre miseris'를 기도하며 죽음 자매님을 만났다.

 



육신의 죽음을 통해 영원한 영광에 이르다
그의 시신은 아마트리체에 묻혔다. 하지만 지진으로 인해 도시가 파괴되자 레오네사의 사람들은 밤중에 몰래 시신을 훔쳐 고향으로 옮겼다. 때문에 오늘날까지 그의 시신은 레오네사의 성 요셉에게 봉헌된 시내 성당에 안치되어 있다. 1737년, 레오네사의 요셉 형제는 클레멘스 12세 교황에 의해 시복을 받았고, 9년 후에 베네딕토 14세 교황에 의해 시성되었다.


 

"오! 지극히 거룩한 십자가시여, 우리가 당신을 완전히 닮을 수 있도록 변모시켜 주소서. 우리 발에는 당신의 뿌리로, 우리 팔에는 당신의 가지들로, 우리 머리에는 당신의 정상으로 우리를 심오하게 해주소서. 그리고 우리도 완전히 십자가가 될 수 있도록 우리의 발에 못을 박아 당신 안에 굳게 서게 해주시고, 우리 손을 묶어 당신 안에서 일 할 수 밖에 없도록 해주시고, 또 우리의 옆구리를 여시고 가슴에 상처를 주시어 우리의 마음을 당신께 대한 사랑으로 감동시켜 주소서. 그리스도께서 당신 위에 머무르셨던 것처럼 당신도 우리 안에 머물러 주소서. 비오니, 우리의 눈으로 하여금 당신 외에는 아무것도 못 보게 해주시고, 우리의 귀로 하여금 당신 외에는 아무것도 못 듣게 하시고, 우리의 콧구멍으로 당신 외에는 아무 냄새도 못 맡게 하소. 당신에게 매달리신 그 분께서 영원하신 아버지께 그 분 자신을 맡기셨듯이 우리도 그분께 우리 자신을 맡기게 하소서. 오! 달콤한 십자가시여! 오! 사랑스러운 십자가시여, 우리의 방어력와 우리의 버팀목이 되어 주소서." - 레오네사의 성 요셉
(카푸친작은형제회홈에서)
 
* 참고:

 

 
◆ 성체 ◆    한자  聖體 
라틴어  Eucharistia  영어  Eucharist  [관련단어] 성체성사   

   빵과 포도주의 외적인 형상 속에 실제로, 본질적으로 현존(現存)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말한다. 어원적으로는 희랍어 '유카리스티아'(eucharisti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의 본래의 뜻은 '감사하다'는 것이다. 이는 하느님이 인간에게 주신 최고의 은혜에 감사함을 의미한다. 구약성서에는 성체에 대한 많은 예표(豫表)들이 나오는데 창세기 14장 18절의 '떡과 술'의 표현이 그 한 예이다. 또한 예수는 스스로 "나는 하늘에서 내려 온 살아 있는 빵이다. 이 빵을 먹는 사람은 누구든지 영원히 살 것이다"(요한 6:51)라고 하셨으며, 최후만찬 때 하신 말씀(마태 26:26-28, 마르 14:22-24, 루가 22:19-20, 1고린 11:23-25)을 통하여 성체성사(聖體聖事)를 설정하신 것이다. 따라서 성체에 대한 확신은 예수의 강력한 말씀에 근거하므로 성체에 대한 믿음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성체는 미사 중 성찬의 전례 부분에서 축성되어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해져 한 가지 신비를 세 가지 측면에서 보여준다. 우선 성체는 세상 끝날까지 인간과 함께 계시기 위한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비롯된 '실재적'이며 '신체적'인 현존이다. 또한 성체는 인간을 구원하기 위한 그리스도의 희생이다. 즉, 미사성제를 통해 이 희생이 계속됨으로써 그리스도는 모든 인류를 구원하시는 것이다. 그리고 성체는 사랑의 일치를 보여준다. 즉 신자들은 성체를 받아 모심으로써 하느님과의 일치라는 영혼의 초자연적 생명을 기르게 되는 것이다. (⇒) 성체성사
(가톨릭대사전에서)

 

 ◆ 성체조배 ◆    한자  聖體朝拜 
라틴어  Visitatio SSmi Sacramenti   영어  Visit to the Blessed Sacrament 

   성체 앞에서 특별한 존경을 바치는 신심행위. 가톨릭 교회는 신자들이 가끔 성당에 와서 감실에 모셔진 성체 앞에 무릎을 꿇고 성체조배를 함으로써 성체에 현존하는 그리스도께 흠숭(欽崇)과 사랑을 표현하고 성체의 신비를 더욱 깊이 깨달을 수 있기를 권장하고 있다.



◆ 성체강복 ◆   한자  聖體降福 
라틴어  Benedictio Sanctissimi Sacramenti  영어  Benediction of the Blessed Sacrament 
 
   라틴전례의 가톨릭 교회에 있어서 성체에 대한 신심의 표현으로, 성체를 현시(顯示)하여 신자들이 조배(朝拜)하게 하고 사제가 성체로써 강복해 주는 것을 말한다. 전통적으로 사제는 중백의(中白衣)를 입고 영대(領帶)를 두르고 깝바를 어깨에 걸친다. 성체를 성광(聖光)에 모셔 제대 위에 놓고 향을 피운다. 이 때 찬미가가 불려지고 조배와 묵상이 뒤따른다. 두 번째로 향을 피우면서 사제는 어깨보(humerale)로 두 손을 감싸고 성체 현시대를 높이 받들고 십자(十字)의 형태로 신자들에게 강복한다. 이 때 신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작은 종을 울린다. 사제와 신자들에 의해 성체 찬미가가 불려지면서 성체는 다시 강보에 모셔지고 이로써 의식은 끝이 난다. 성체강복은 주요 축일(祝日)과 일요일, 사순절, 피정(避靜), 40시간의 성체조배 중에 행해지며, 각 주교들이 지정하는 다른 날에도 행해진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에 전통적 의식이 단순화되었고 신자들이 좀 더 주의깊게 성체를 조배할 수 일도록 기도와 성가, 낭독 등의 다양한 방법 등이 허용되었다. 또한 사제가 없는 가운데서도 수도자나 평신도들에 의해 성체가 현시되는 것이 허용되었다. 단 강복은 사제만이 할 수 있다
출처 : [가톨릭대사전]

 

 

 

*카푸친작은형제회 성인들 Capuchin Franciscans:

비테르보의 성 크리스피노(축일:5월21일(19일),게시판1773번.1891번)
단순성과 기쁨.칸탈리체의 성 펠릭스 (1587년.축일:5월18일.게시판1770번.1166번)
만디츠의 성 레오폴드 사제(축일:5월12일,게시판1759번,1890번)
라코니의 성 이냐시오 수도자(축일:5월11일.게시판1757번)
신앙을 수호하다 순교한 식마린겐의 성 피델리스 사제(축일:4월24일.게시판1727번,1119번)
빠르잠의 성 곤라도 수도자(축일:4월21일.게시판1722번)
성 요셉 레오네사(축일:2월4일.게시판1601번)
꼬를레오네의 성베르나르도 수도자(축일:1월12일(19일),게시판1564번)
아크리의 복자 안젤로(축일:10월30일.게시판1444번)
성 세라피노(축일:10월12일.게시판1417번,691번)
캄포로쏘의 성 프란치스코 마리아(축일:9월20일(25일)게시판1384번)
오상의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축일:9월23일.게시판1379번)
복자 오피다의 베르나르도(축일:8월26일(23일)게시판1334번)
복자 아가탄젤로와 카시아노 동료순교자(축일:8월7일.게시판1305번)
브린디시의 성 라우렌시오 사제 학자(축일:7월21일.게시판1283번)

니코시아의 성펠릭스 수도자(축일:6월2일.게시판1794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가난함을 주소서-임석수 작사.작곡

 

 

 

 

 

 

 

 

 

 

 

 

 

 

 

 

 

 

 

 

 

 

 

 

 

 

 

 

 

 

 

 

 

 

 

 

 

 
San Giuseppe (Desideri) da Leonessa
4 febbraio 
Leonessa, Rieti, 8 gennaio 1556 – Amatrice, 4 febbraio 1612

Nasce a Leonessa, nel Reatino, l'8 gennaio 1556. Eufranio rimane orfano da piccolo e a sedici entra entra nel convento dei cappuccini di Assisi e a diciassette anni pronuncia i voti e prende il nome di Giuseppe. Ordinato sacerdote nel 1580 si dedica alla predicazione. Ma il suo sogno è la missione, sogno che si avvera quando, a trentun'anni, viene mandato a Costantinopoli dove i vescovi cattolici sono stati allontanati e i fedeli rimasti sono emarginati: a costoro i cappuccini danno assistenza. Ma Giuseppe si spinge oltre, cerca di parlare al sultano Murad III, prova a penetrare nel suo palazzo ma viene arrestato: Dopo essere stato legato ad una trave sotto la quale arde un fuoco per tre giorni, viene espulso dal Paese. Torna in Italia e riprende a fare il predicatore. In ogni paese che attraversa lascia un segno indelebile: a tal punto che nascono molte confraternite intitolate al suo nome. Muore ad Amatrice il 4 febbraio 1612 a seguito di una dolorosa malattia. È stato proclamato santo da Benedetto XIV nel 1746. (Avvenire)

Martirologio Romano: Ad Amatrice nel Lazio, san Giuseppe da Leonessa, sacerdote dell’Ordine dei Frati Minori Cappuccini, che a Costantinopoli aiutò i prigionieri cristiani e, dopo aver duramente patito per aver predicato il Vangelo fin nel palazzo del Sultano, tornato in patria rifulse nella cura dei poveri.


Ascolta da RadioVaticana:

Al battesimo gli danno un nome insolito, Eufranio, che non sembra avere molti precedenti (più noto è Eufronio, nome di due santi del V e VI secolo). Famiglia importante, ma sfortunata: i genitori, Giovanni Desideri e Francesca Paolini, muoiono in breve tempo quando lui è ancora piccolo. Studia sotto la guida dello zio paterno Battista a Viterbo, poi si ammala e ritorna a Leonessa. Qui viene in contatto con i frati cappuccini e decide di prendere anche lui il saio.
Eufranio entra sedicenne nel loro convento di Assisi, fa il noviziato, a 17 anni già pronuncia i voti e prende il nome di fra Giuseppe. Prosegue negli studi teologici fino al sacerdozio (1580) e fa le sue prime esperienze di predicatore nelle campagne dell’Italia centrale.
Il suo sogno, però, è la missione. E si realizza per lui a 31 anni, quando il suo Ordine lo manda con altri a Costantinopoli, l’antica capitale dell’Impero romano d’Oriente, che da un secolo è capitale dell’Impero turco (l’ha conquistata nel 1453 il sultano Maometto II sconfiggendo Costantino XI, l’ultimo imperatore, caduto in combattimento con gli ultimi difensori: greci, genovesi e veneziani). I turchi hanno lasciato al loro posto il patriarca e i vescovi “orientali”, cioè separati dalla Chiesa di Roma in seguito allo scisma nel 1094. I vescovi cattolici sono stati invece colpiti e allontanati. Tra i fedeli, molti vivono in schiavitù, e altri sono isolati e dispersi intorno a chiese in rovina.
I missionari cappuccini hanno un loro programma graduale nella metropoli d’Oriente: assistenza ai cattolici in prigionia, ai malati, collegamento con i gruppi cattolici occidentali che sono a Costantinopoli per lavoro e commercio. E così fa lui, fra Giuseppe. Ma il suo temperamentolo spinge a fare di più, e subito: pensa di annunciare il Vangelo anche ai turchi, di rivolgersi personalmente al sultano Murad III. Anzi, tenta di infilarsi nel suo palazzo. E così lo arrestano come sovversivo, poi lo tengono per tre giorni appeso per una mano e un piede a un’alta trave, sotto la quale è acceso un fuoco. Infine, espulso, torna in Italia a fare il predicatore itinerante, accompagnato da qualche confratello; e sempre a piedi, nello stile cappuccino (così può vedere il mondo con gli occhi di coloro che a piedi vivono e muoiono). Si impone ritmi quasi incredibili, che sfiancano i suoi compagni di missione: anche sei-sette prediche in un giorno; e pochissimo riposo, perché è importantissimo anche il colloquio con la persona singola, la famiglia singola. O con chi è condannato a morte e lo vuole accanto a sé nel carcere, per le ultime ore di vita. Per i malati, si sforza di far sorgere piccoli ospedali e ricoveri; a volte ci lavora anche con le braccia. E combatte l’usura che dissangua le famiglie, facendo nascere Monti di Pietà e Monti frumentari, per il piccolo credito a tasso sopportabile.
Così, per i paesi e le cittadine che attraversa e scuote, questo cappuccino diventa un portavoce, una bandiera. Nasceranno confraternite intitolate al suo nome, dopo la morte tra i cappuccini di Amatrice, a 56 anni, per una malattia molto dolorosa. Fra Giuseppe viene sepoltolì, nella chiesa conventuale. Nel1639 il corpo è poi trasportato a Leonessa, dove tuttora si trova, nel santuario a lui dedicato. Papa Benedetto XIV lo proclama santo nel 1746.

Autore: Domenico Agasso (Famiglia Cristiana)

--------------------------------------------------------------------------------

In Leonessa (Rieti) ebbe i natali l’8 gennaio 1556 Eufranio Desideri da Giovanni e Francesca Paolini, di famiglia ricca e appartenente alla nobiltà del paese. Il fanciullo perdette, a poca distanza l’uno dall’altro, i genitori e fu accolto dallo zio paterno, Battista, “maestro di umanità” a Viterbo, sotto la cui guida si poté formare un’educazione religiosa e una notevole cultura. Ornato di eccellenti doti, non gli mancarono le prospettive di un ambito matrimonio, ma egli dimostrò di avere altre aspirazioni e costantemente rifiutò le proposte caldeggiate dai parenti. Colpito da grave malattia, fu consigliato di ritornare al paese natale dove cominciò a frequentare il convento dei Cappuccini e, in occasione di una visita del provinciale dell’Umbria, chiese di essere accolto in religione. Fece il suo noviziato alle Carcerelle di Assisi, vestendo l’abito nel gennaio 1572 e mutando il nome di Eufranio in quello di G. I famigliari cercarono invano di strapparlo al convento, adducendo la necessità di assistenza che avevano le quattro sorelle, ma Giuseppe ai richiami del sangue, preferì la voce di Dio e, trascorso nel fervore l’anno di prova, fu avviato allo studio della filosofia e della teologia. Cominciò inoltre a distinguersi in modo particolare per lo spirito di penitenza.
Ordinato sacerdote e nominato predicatore, subito si dedicò con entusiasmo a tale ministero, accarezzando in cuor suo il desiderio di andare nelle missioni tra gli infedeli. Proprio in quegli anni, infatti, si profilava una possibile evangelizzazione dei musulmani: due cappuccini erano riusciti a penetrare a Costantinopoli fin dal 1551, seguiti, nel 1583, da alcuni gesuiti. Nel 1587, al capitolo generale dell’Ordine fu trattato il problema delle missioni e il nuovo ministro generale, Girolamo da Polizzi, decise una spedizione per Costantinopoli, che la S. Sede voleva affidata ai Cappuccini. Giuseppe che aveva presentato da anni la domanda non era tra i prescelti; se non che, poté improvvisamente entrare a far parte del gruppo, dovendo sostituire Egidio di S. Maria, che all’ultimo momento non era più in grado di partire. A Costantinopoli i missionari trovarono alloggio nel quartiere di Pera, ripararono una cadente chiesa e, prima di tutto, cominciarono a svolgere il loro ministero tra gli occidentali colà residenti. A Giuseppe fu affidata, in modo particolare, la cura dei numerosi cristiani tenuti prigionieri dai Turchi e ad essi egli dedicò tutto se stesso. Spinto però dal suo fervore egli avrebbe voluto affrontare direttamente gli infedeli e, con un’audacia a noi oggi incomprensibile, ma spiegabile per quei tempi, con vari stratagemmi cercò di penetrare nel palazzo stesso del sultano Murad III per parlargli. In uno di questi tentativi fu arrestato, imprigionato e condannato alla pena del gancio. Per tre giorni rimase sospeso, con un uncino alla mano destra e uno al piede, ad una trave alta su di un fuoco acceso sopportando anche i dileggi e gli insulti della folla. Indi venne liberato e espulso.
Rientrato in Italia, riprese con rinnovato fervore il ministero della predicazione, accompagnandolo con costanti ed eroici esercizi di penitenza. Si nutriva con pochi legumi, o un po’ di pane macerato nell’acqua; dormiva su due sassi e un sacco di paglia, e continuava nella sua attività instancabile, arrivando a tenere anche otto prediche la giorno in luoghi diversi e distanti.
Alla sua predicazione diede un carattere popolare, favorendo la pacificazione degli animi e il sollievo dei poveri, istituendo Monti di Pietà e Monti Frumentari, erigendo e riparando ospedali. Dagli Atti del processo di beatificazione risulta che Iddio lo favorì del dono dei miracoli, della scrutazione dei cuori, e di particolari grazie di orazione. Nella comunità ebbe l’ufficio di superiore locale e di segretario provinciale.
Dio, che gli aveva risparmiato il martirio, gli riservò per purificazione una grave malattia che richiese un dolorosissimo quanto inefficace intervento. Trasferito nel convento di Amatrice, dove era superiore un suo nipote, Giuseppe si preparò serenamente alla morte che sopraggiunse, accompagnata da miracoli, il 4 febbraio 1612; aveva cinquantasette anni. Il suo venerato corpo, per volontà dei maggiorenti della città, fu sottoposto ad uno speciale intervento di conservazione e venne inumato nella chiesa conventuale di Amatrice, da dove, nel 1639, fu trasferito alla sua città natale, dove tuttora si venera.
Fu beatificato da Clemente XII nel 1737 e canonizzato da Benedetto XIV il 29 giugno 1746; la festa liturgica è celebrata dal suo Ordine il 4 febbraio. Si conservano di lui lettere e prediche di cui alcune edite. Iconograficamente, è rappresentato sospeso sul patibolo o nell’atto di predicare.
Autore: Cassiano da Langasco
Fonte: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05-01-28

 



Saint Joseph of Leonessa 
Also known as
Eufranio Desiderio
Joseph Desideri


Memorial
4 February


Profile

Third of eight children born to John Desideri, a wool merchant, and Serafina Paolini. His parents died when the boy was 12 years old, and he was raised and educated by his uncle Battista Desideri, a teacher in Viterbo, Italy. Desideri arranged a marriage for Eufranio with a local noble family, but the young man felt a call to religious life. Worry over his vocation, and fear of hurting his uncle, made Eufranio sick; he returned to Leonessa, Italy to recover. There he met, and was greatly impressed by, a group of Capuchin monks. When Eufranio told his uncle of his desire to join them, Desideri insisted that he continue his studies.

Eufranio agreed, and moved to Spoleto, Italy to do so, but kept in contact with the monks. Following a novitiate year in which the monks did everything to test and dissuade the young man, he joined the Capuchin Franciscans on 8 January 1573 at age 18, taking the religious name Joseph. Suffered through several self-imposed austerities including fasting three days a week and sleeping on bare boards. Ordained at Amelia, Italy on 24 September 1580. Preacher throughout the regions of Umbria, Lazio and Abruzzi regions of Italy. Father Joseph once converted an entire band of 50 highway bandits, who then showed up as a group for his Lent sermons.

Missionary to Muslim Pera near Constantinople (modern Istanbul, Turkey), receiving his commision on 1 August 1587. Chaplain for 4,000 Christian galley slaves. He often offered to take the place of some slave who was being worked to death, but the authorities never accepted. Ministering to prisoners in a remote camp, he once got home late, and was forced to sleep outside the walls of his assigned area; he was charged with being a spy for being in the wrong place, and spent a month in jail. He preached to any who would listen, brought lapsed Christians back to the Church and converted Muslims. Worked with prisoners during a plague outbreak.

Joseph repeatedly sought an audience with the Sultan; he planned to ask for a decree of religious freedom. His forceful methods led to his being arrested and condemned to death for trespassing on royal property. Hung by hooks over a smoky fire for three days, he was freed (legend says by an angel), and returned to Italy, in autumn 1589.

There he resumed his vocation of wandering preacher to small villages throughout the country. Preached to and for the poor, and spread the teachings of the Council of Trent. Helped establish hospitals, homeless shelters, and food banks. Ministered in prisons, to the sick, and the poor. With his crucifix in hand, he would wade into gang fights and brawls, praying, and preaching peace and good sense.


Born
8 January 1556 at Leonessa, Umbria, Italy as Eufranio Desiderio
Died
Saturday 4 February 1612 at Umbria, Italy of cancer and post-operative problems from surgery for that cancer
Name Meaning
whom the Lord adds (Joseph)
Beatified
22 June 1737 by Pope Clement XII
Canonized
29 June 1746 by Pope Benedict XIV
 

Patronage
Leonessa, Italy

Representation
with Saint Fidelis of Sigmaringen

Additional Information
Book of Saints, by the Monks of Ramsgate
Catholic Encyclopedia, by F Cuthbert
Catholic Online
For All The Saints, by Katherine Rabenstein
Friars Minor Capuchin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by Matthew Bunson, Margaret Bunson, and Stephen Bunson
Wikipedia

Readings
Every Christian must be a living book wherein one can read the teaching of the gospel. This is what Saint Paul says to the Corinthians, ‘Clearly you are a letter of Christ which I have delivered, a letter written not with ink, but by the Spirit of the living God, not on tablets of stone but on tablets of flesh in the heart’ (2 Corinthians 3:3). Our heart is the parchment; through my ministry the Holy Spirit is the writer because ‘my tongue is nimble as the pen of a skillful scribe’(Psalms 45:2). - from a sermon by Saint Joseph of Leonissa

MLA Citation
“Saint Joseph of Leonessa”. Saints.SQPN.com. 12 August 2010. Web. {today’s date}.

 

 

 


February 4
St. Joseph of Leonissa
1556-1612
In the year 1556, at Leonissa in the Abruzzi in the kingdom of Naples, the devout couple John Desiderius and Frances Paulina were blessed with a son, to whom they gave the name Euphranius at baptism. Under their faithful guidance the little boy made such progress in piety that at a very tender age he resolved upon certain feast days, and took the greatest pleasure in practices of piety.

Later on, pursuing his studies at Viterbo, he attracted the attention and admiration of everyone by his industry and virtuous life to such a degree that a nobleman in that city offered him his daughter in marriage together with a large dowry. But the Euphranius has already made a nobler choice. He left school and entered the Franciscan order among the Capuchins at Leonissa, in the year 1573, under the name of Joseph. Here he found happiness and peace in things which an effeminate age abhors most: mortification and penance.

 
His dwelling was a poor cell, so small and narrow that he could hardly stand, sit, or lie down in it. His bed was the bare earth, a block of wood was his pillow. He ate by preference food which the others could not or would not eat, such as stale beans and mouldy bread. In spite of the great strain associated with a life of preaching, he persevered in doing such penance even after he had been entrusted with the task. With works of penance he strove to win over those souls to God that he could not move with words.

In the year 1587, his zeal for souls urged him to go to Constantinople. He could not long conceal from the fanatical Turks the

good that he was doing, especially among the Christian captives on the galleys. They seized him, pierced his right hand and right foot with sharp hooks, and hung him up on a high gibbet, then kindled a weak fire under him in order to roast him alive slowly. and gradually to suffocate him. He suffered untold tortures for three days. On the fourth day he was miraculously freed by an angel and received the command to return to Italy to preach the Gospel to the poor.  From now on he traveled untiringly through all the villages and country towns of Umbria. He strongly denounced evils of that day, such as frivolous dances and plays. In his associations with the people, however, he resembled a lamb in his meekness and charity. His very bearing won for him the affection of the people, and effected the most remarkable reconciliations between persons who had been living in enmity for years, and between families and communities that had been at variance with each other.

Often while at work or at prayer he would be rapt in ecstasy. He wrought many miracles, and was vouchsafed the gift of prophesy and of reading human hearts. He also foretold the day of his death. It was February 4, 1612, when he entered into the joy of his Lord in the convent at Amatrice. His body was taken to his native town of Leonissa, and reposes there, glorified by many miracles.

Pope Clement XII beatified Joseph, and Pope Benedict XIV canonized him in the year 1745.
 

ON MORTIFYING THE APPETITE
1.      Consider how at a very tender age St, Joseph of Leonissa mortified his appetite by voluntary fasting, and later went so far as to seek his necessary nourishment by preference only in food that was repugnant to the natural taste and might even have injured his health, if the Divine Spirit who urged him to do it had not protected him. Thus he proved himself a true son of St. Francis, of whom St. Bonaventure writes: “When he was well, he seldom ate cooked foods and when he was obliged to eat them, he would mix ashes and water with the food. He did not only abstain from wine, but never even desired to drink water.” Our Seraphic Father did this because he had considered the words of the Apostle: “They that are Christ’s have crucified their flesh” (Gal 5:24). -- According to their rule, Tertiaries are also required to be temperate in eating and drinking. In this matter, have you proved yourself a true child of St. Francis?

2.      Consider how easily and in how many ways we can indulge the appetite: by eating too much, by eating too often, by eating too greedily, by eating too daintily. Many who guard against the first three instances, are caught in the meshes of the last. God has ordained that our food should naturally have a pleasing taste in order that it may be conducive to good health, and it is no fault if we relish our food. But fondness for delicacies serves merely to satisfy an inordinate desire for food and drink; as St. Chrysostom says, some people seem to live in order to eat instead of eating in order to live. -- Do you belong to this class?

3.      Consider the means to overcome the inordinate desire for eating and drinking. It is related of St. Adelgundis that upon reflecting how difficult it is to satisfy the needs of the body without yielding to sensual pleasure, she asked God to deprive her of all pleasure in eating and drinking. Then St. Peter appeared to her and gave her a piece of bread from heaven. Thereafter no earthly food could again rouse her appetite. If we, too, partake of heavenly food, that is, if in the frequent contemplation of the joys of heaven we gain a foretaste of their sweetness, and if we recall that it was through eating of forbidden fruit that heaven was closed to be reopened only when Christ drank the bitter chalice of His Passion and the nauseous gall, then perhaps earthly food will tempt us less than before. We will be glad daily to offer a sacrifice to God by mortifying our appetite as did St. Joseph of Leonissa, so that we may grow in the relish of pious practices and hereafter be made partakers of heavenly sweetness.

PRAYER OF THE CHURCH
O God, Thou rewarder of faithful servants, who didst make of blessed Joseph an extraordinary labourer in preaching the Gospel, mercifully grant us through his intercession that we may never cease to serve Thee in a pleasing manner here on earth, and may finally receive from Thee the full reward in heaven. Through Christ our Lord. Amen.
 

 

 

JOSEPH OF LEONISSA - CAPUCHIN

Joseph was born into a humble and holy family. We are told that he fasted regularly and that he was drawn to a life of penance. For this reason he was one of the early Capuchins at Assisi in 1573, when he was seventeen, with the primary aim to do penance for the sinners of the world.

 

His greatest victories were, we are told, over his tongue, his eyes and his imagination. He spoke little and to the point. God enlightened his mind by giving him great humility and a hunger for perfection. Joseph saw that his vocation to religious life was a generous and gratuitous gift of God. Filled with humble gratitude Joseph wanted to show God his love by spreading the faith among the infidels. First, however, obedience was to try him.

 

His attraction to the contemplative life of the Capuchin satisfied him as a student and a young priest. In obedience he became a preacher and finally was appointed Guardian (Superior) at the friary in Assisi. Joseph slept on boards, wore poor clothes, kept his body in almost continual pain and prayed day and night. Desiring martyrdom Joseph asked and obtained permission to go to Constantinople in 1587 with three companions. The work of these three men among the Christian slaves of the Turks was heroic. Joseph preached to them daily, bound their wounds and changed their attitudes to their suffering. The guards became suspicious of Joseph and thinking him a spy threw him in a dungeon.

 

After being released Joseph tried to preach to the Sultan, but was arrested, beaten and condemned to die on the gibbet. He was suspended by his right hand and left foot by hooks for three days. A slow fire below him almost choked him. As a large crowd gathered Joseph forgot his torment and preached to them of Christ, but on the third day, apparently quite miraculously he was freed. The saint returned to Italy where he was renowned for his work in the confessional. He became famous as a peacemaker. He continued to do penance and spend long hours in the confessional, despite the cold and heat and preach as many as six sermons a day.

 

Prayer and penance made Joseph a Capuchin apostle and the Church canonised this in 1745. His feast is celebrated on February 4th.

 

 

 

 

Joseph of Leonissa, OFM Cap. (RM)

Born in Leonissa near Otricoli in 1556; died in Italy in February 4, 1612; beatified in 1737 by Clement XII; canonized by Benedict XIV in 1745. At age 18, Eufranius professed himself as a Capuchin and took the name Joseph. He was always mild, humble, chaste, charitable, obedient, patient, and penitential to a heroic degree. With the utmost fervor and on the most perfect motive he endeavored to glorify God in all his actions.

Three days each week he fasted on bread and water and passed entire Lenten seasons in the same manner. His bed was hard boards, with the trunk of a vine as his pillow. He found joy in chastisement and humiliations, identifying himself with the sufferings of Jesus. He looked upon himself as the basest of sinners, and said that God indeed, by His infinite mercy, had preserved him from grievous crimes, but that by his sloth, ingratitude, and infidelity to the divine grace, he deserved to have been abandoned by God. The sufferings of Christ were his favorite meditations. He usually preached with a crucifix in his hands and the fire of the Holy Spirit in his words.

 

In 1587, he was sent to Turkey as a missioner, primarily to tend to the Christian galley-slaves. He contracted the pestilence but recovered. He converted many apostates, one of whom was a pasha. By preaching the faith to the Islamics, he incurred the wrath of the Turkish law and was twice imprisoned and tortured. The second time he was condemned to death. He did not die, so he was banished instead.

 

Upon his return to Italy, he continued to preach. To complete his sacrifice, he suffered much at the end of his life from a painful cancer. He underwent two operations (without anesthesia) without the least groan or complaint, except the repetition of, "Holy Mary, pray for us miserable, afflicted sinners." When someone said before the operation that he ought to be restrained, he pointed to the crucifix in his hand and said, "This is the strongest band; this will hold me unmoved better than any cords could do." The operation was unsuccessful and he died at age 58. Many miracles were reported in the acts of his beatification (Benedictines, Husenbeth).

 

In art, Saint Joseph is always shown with Saint Fidelis of Sigmaringen, OFM Cap. Both are old Capuchins who were canonized on the same day. Saint Fidelis tramples on Heresy and an angel carries the palm of martyrdom (Roeder).

 

 

 

 

FIDELIS of Sigmaringen

 

Also known as

the poor man’s lawyer; Mark Rey

Memorial

24 April

Profile

Lawyer and philosophy teacher. Disgusted by the greed, corruption, and lack of interest in justice by his fellow lawyers, Mark Rey abandoned the law, became a priest, became a Franciscan friar with his brother George, changed his name to Fidelis, and gave away his wordly wealth to poor people in general and poor seminarians in particular. He was served his friary as guardian, and worked in epidemics, especially healing soldiers. He led a group of Capuchins to preach to Calvinists and Zwinglians in Switzerland. The success of this work, and lack of violence suffered by mission was attributed to Fidelis spending his nights in prayer. He was, however, eventually martyred for his preaching.

Born

1577 at Sigmaringen, Hohenzollern, Germany as Mark Rey

Died

24 April 1622 at Grusch, Grisons, Switzerland

Beatified

24 March 1729 by Pope Benedict XIII

Canonized

29 June 1746 by Pope Benedict XIV

Representation

with a club set with spikes; with a whirlbat; heretics; with Saint Joseph of Leonissa; trampling on the word heresy; with an angel carrying a palm of martyrdom; the Morning Star

Translate

espanol | francais | deutsch | italiano | portugues

Readings

Woe to me if I should prove myself but a halfhearted soldier in the service of my thorn-crowned Captain.

 

-Saint Fidelis 

 

 

 



273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