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암동성당 게시판

사회복지관장 36%,무자격 비전문가

인쇄

이미선 [exceptional] 쪽지 캡슐

2001-10-18 ㅣ No.2014

서울시내 사회복지관 관장의 36%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없는 이른바 `복지 비전문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시정개발연구원 김경혜 선임연구위원이 18일 시의회가 마련한  `서울시 사회복지관 운영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으로 시내 84개 사회복지관 가운데 35.7%인  30개의 복지관 관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지않았다.

 

특히 규모가 작은 복지관 관장의 경우 66.7%가 자격증을 갖고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총직원수 대비 전문가수가 80% 이상으로 제대로  전문성을  갖췄다고 볼 수 있는 복지관은 전체의 23%에 불과했으며 전문가 비율이 60% 이하인 경우도 18%에 달했다.

 

김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관장의 역량에 따라 복지관 운영에 큰 차이가  있으므로 관장의 사회복지분야 전문성은 매우 중요하다"며 전문자격증이 없어도 운영을 위탁받은 법인이 임의로 관장을 임명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은 매우 애매하고  악용의 소지가 있으므로 관장 등 책임자 임용 규정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날 토론회에서는 사회복지관이 지역적으로 고르게 설치돼 있지 않고  심한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사회환경 변화에 따라 기능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시의회 보건사회위 강영원(한나라당) 의원은 "종로구에는 복지관이 1개도  없고 중구, 구로, 영등포, 도봉, 마포 등 11개구는 1∼2개에 불과한 반면 송파구 7개, 노원구 9개, 강서구 10개 등으로 지역별로 복지관수가 들쭉날쭉"이라며 "지역적  형평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김현숙 관장은 "최근 복지관은 양적으로 급속히 늘어났으나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한 `잡화상식 운영’으로 역할의 특성화가 없다"며  "사회적 변화를 고려하는 동시에 다른 유사기관과의 차별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2001-10-18, 김영섭 기자>

 

 



24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