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마태오 12,14-21 [성경공부] #<연중15토복음>

인쇄

[39.118.118.*]

2012-12-03 ㅣ No.1306


질문:

마태오 복음서 12,15-21에 대한 해석을 부탁드립니다.

--------------------

답변:

+ 찬미 예수님!

1. 마태오 복음서 12,15-21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음의 매년 연중 제15주간 토요일 복음 말씀(마태오 12,14-21)에 포함됩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14 바리사이들은 나가서 예수님을 어떻게 없앨까 모의를 하였다.
주님의 종 예수님
15 예수님께서는 그 일을 아시고 그곳에서 물러가셨다. 그런데도 많은 군중이 그분을 따랐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모두 고쳐 주시면서도,
16 당신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지 말라고 엄중히 이르셨다.
17 이사야 예언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그리된 것이다.
18 “보아라, 내가 선택한 나의 종
내가 사랑하는 이, 내 마음에 드는 이다.
내가 그에게 내 영을 주리니
그는 민족들에게 올바름을 선포하리라.
19 그는 다투지도 않고 소리치지도 않으리니
거리에서 아무도 그의 소리를 듣지 못하리라.
20 그는 올바름을 승리로 이끌 때까지
부러진 갈대를 꺾지 않고
연기 나는 심지를 끄지 않으리니
21 민족들이 그의 이름에 희망을 걸리라.”


2.
2-1. 여기를 클릭하면, 매년 연중 제15주간 토요일 복음 말씀인 마태오 복음서 12,14-21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2-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마태오 복음서 12,18-21에서 인용하고 있는, 그리고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가해 주님 세례 축일 제1독서(이사야 42,1-4.6-7)에 포함되는, 이사야서 42,1-4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3. 그리고 마태오 복음서 12,18-21은, 다음에 발췌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713항에서 인용되고 있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_P22.HTM

(발췌 시작)
713 The Messiah's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above all in the "Servant songs."82 These songs proclaim the meaning of Jesus' Passion and show how he will pour out the Holy Spirit to give life to the many: not as an outsider, but by embracing our "form as slave."83 Taking our death upon himself, he can communicate to us his own Spirit of life.

713. 메시아의 특성들은 무엇보다도 먼저 "거룩한 종 노래들(Servant songs)" 안에서 드러내어지게 됩니다.82 이들 노래들은 예수님의 수난의 의미를 선포하며 그리고 그분께서 많은 이들에게 생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 명의 문외한(門外漢)(an outsider)으로서가 아니라 우리의 "종으로서의 형태"를 받아들임으로써, 어떻게 성령을 쏟아 내실 것인지에 대하여 보여줍니다.83 우리의 죽음을 당신 자신 위에 짊어지심으로써, 그분께서 당신 고유의 생명의 영(Spitir of life)을 우리에게 나누어 주시는(communicate to us)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can).

-----
82. 이사야 42:1-9 참조; 마태오 12:18-21; 요한 1:32-34 참조; 그러고 나서 이사야 49:1-6 참조; 마태오 3:17; Lk 2:32 참조; 최종적으로 이사야 50:4-10 그리고 Isa 52:13-53:12 참조.
83. 필리피 2,7.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1) 바로 아래의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13항에서,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outsider"로 번역되는 표현을, 예를 들어, "문외한(門外漢)"으로 번역하는 대신에, "외적인 것"으로 번역한 것은 번역 오류일 것이다.

(2)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communicate to us"로 번역되는 표현을 "나누어 주다"로 번역한 것은 다음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ommunicate" 라는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따른 것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95.htm <----- 필독 권유
----------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713.htm

713 메시아의 모습은 특히“주님의 종” 의 노래에서 드러난다.75) 이 노래들은 예수 수난의 의미를 예고하며, 예수님께서 많은 사람들을 살리시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성령을 널리 주실 것인지를 알려 준다. 그 방식은 외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와 같은“종의 모습” (필리 2,7) 을 취하시는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우
리의 죽음을 몸소 짊어지심으로써 당신 생명의 영을 우리에게 주실 수 있게 된다.

-----
75. 이사 42,1-9; 마태 12,18-21; 요한 1,32-34; 이사 49,16; 마태 3,17;
루카 2,32; 이사 50,4-10; 52,13-15; 53,12 참조.
-----

게시자 주: 바쁘지 않으신 분들께서는 바로 위의 출처를 클릭한 후에, 전후 문맥 안에서 위에 발췌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13항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702-718항을 읽고 묵상하시기 바랍니다. 끝으로,

여기를 클릭하면,

베네딕토 16세 교황님께서 다해인 올해(2013년)를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학습하는 "신앙의 해"로 선포하셨음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5시간 (자료 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1,235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