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월27일 성녀 안젤라 메리치 동정♬LA PAIX OUI LA PAIX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1-26 ㅣ No.1589

 

축일 : 1월 27일

성녀 안젤라 메리치 동정, Third Order Franciscan
Sant' Angela Merici Vergine, fondatrice
Desenzano sul Garda (Brescia), 21 marzo 1474 – Brescia, 27 gennaio 1540
Etimologia: Angela = messaggero, nunzio, dal greco
Emblema: Giglio
Saint Angela Merici 
St.Angela de’Merici, OSU V (RM)
Also known as : Angela of Merici, Angela de Marici
Born : 21 March 1474 at Desenzano, Lake Garda, Italy
Died : 24 January 1540 at Brescia, Italy
interred in the church of Saint Afra, Brescia, Italy
body incorrupt
Beatified : 30 April 1768 by Pope Clement XIII (cultus confirmation)
Canonized : 24 May 1807 by Pope Pius VII

Foundress: The Ursuline Sisters

 

 

 

   안젤라 메리치 성녀(1474-1540년)는  이탈리아의 작은 형제회 회원으로서 우르술라 동정회의 창설자로서 베네치아 공화국의 데즌차노에서 태어나 브레샤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녀는 1524년부터 이스라엘 성지를 순례하면서 큰 감동을 느껴, 1535년 팔레스타인에 우르술라 동정회를 창립하였다.
   이것은 가톨릭 교회 최초의 여자 교육 수도회였다. 사망 직후부터 브레샤 주민들은 안젤라 메리치를 성녀로 공경하였고,1768년 교황 클레멘스 13세가 시복하고, 1807년 비오 7세가 성인으로 선포하였다.

(가톨릭홈에서)

 

 

  성녀 안젤라 메리치는 이탈리아 북부의 가르다(Garda) 호수 남쪽 데센자노(Desenzano)에서 태어나 경건한 신앙인으로 교육받았다. 어려서부터 성인전을 즐겨 읽었고, 성인들의 금욕 생활에 감명을 받아 금욕을 하였다고 전해진다. 13세 때 첫영성체를 한 후 평생 동안 동정을 지킬 것을 결심하였는데, 쌍둥이같이 자라던 15세의 언니와 브레시아 시민이라는 귀족 작위와 넓은 땅을 가진 영주였던 아버지 조반니(Giovanni Merici)와 어머니를 연달아 여의고 외삼촌의 보살핌을 받으며 5년간 휴양지로 유명한 살로(Salo)에서 살게 되었다.  

   그 후 성녀 안젤라는 작은 형제회 재속회(3회)에 입회하여 기도와 가난, 극기의 생활을 철저히 실천하며 자신을 이웃을 위한 속죄의 제물로 하느님께 봉헌하였다. 부모처럼 돌보아주던 외삼촌의 사망 후 고향 데센자노로 돌아온 성녀 안젤라는 이웃에게 봉사하며 살았는데, 특히 주위의 가난한 아이들을 모아 기도와 신앙생활을 지도하였다. 1516년 안젤라는 두 아들을 잃고 슬퍼하는 브레시아의 귀족 파텐골라(Patengola) 가족을 위로하러 브레시아에 갔다가 그들의 청으로 그곳에 머물게 되었다. 이곳에서 성녀 안젤라는 죄인들의 영혼을 위하여 속죄와 금욕생활을 하는 한편 고향에서와 같이 청소년들에게 종교 교육을 실시하였다. 

   1524년 온갖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 성지를 순례하고, 다음 해 로마를 순례한 뒤 그녀는 교황 클레멘스 7세(Clemens VII)에게 동정녀들의 모임을 시작하고자 하는 뜻이 있음을 밝히고 허가를 받아 브레시아로 돌아왔다. 카알 5세와 프랑스와의 전쟁으로 1528년 브레시아가 점령당하자 크레모나(Cremona)로 피난을 간 그녀는 그곳에서 심한 병을 앓다가 다시 건강을 회복하였다. 1530년 전쟁이 끝나 브레시아로 돌아온 성녀 안젤라는 뜻을 같이 하는 12명의 동정녀들과 함께 이듬해 사랑의 공동체를 이루었다. 그리고 1535년 11월 25일 28명의 동정녀들은 브레시아의 성 아프라(Afra) 성당에서 영성체를 하고 성녀 안젤라가 만든 규칙에 따라 청빈, 정결, 순명을 지키는 회원이 될 것을 서명함으로써 '우르술라회'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고, 1537년 성녀 안젤라가 초대 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들은 특히 소녀들의 교육에 투신하고자 하였다. 가톨릭 여성 교육을 표방한 수녀회는 우르술라회가 첫 번째이다. 초기에 그들은 가족을 떠나지 않고 자신들의 삶의 자리에서 수도복이 아닌 단순한 복장으로 환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직접 방문하여 그들에게 봉사하였다. 성녀 안젤라는 1540년 1월 27일 사망하여 성 아프라 성당에 묻혔고, 1768년 교황 클레멘스 8세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1807년 5월 24일 교황 비오 7세(Pius VII)에 의해 시성되었다.
(가톨릭홈에서)

 

 

◆ 안젤라 메리치 ◆ 
원어명  Angela Merici  

    Angela Merici(1474∼1540). 성녀. 축일 1월 27일. 이탈리아의 프란치스코회 회원. 우르술라동정회 창설자. 베네치아공화국의 데즌차노(Desenzano)에서 태어나 브레샤(Brescia)에서 세상을 떠났다. 처음에 프란치스코회 제 3회에 소속되어 수년간 소녀교육과 여환자 간호에 헌신하고 있다가, 1524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팔레스타인 성지를 순례하면서 감동을 느껴, 1535년 팔레스타인에 우르술라동정회를 창립, 1537년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이것은 가톨릭 교회 최초의 여자교육수도회였따. 사망 직후부터 브레샤 주민들에 의해 성녀로 추앙받았고, 1768년 교황 글레멘스 13세에 의해 시복(諡福), 1807년 비오 7세에 의해 시성(諡聖)되었다.
(가톨릭대사전에서)  


 

   안젤라 메리치는 레이크 가르다에서 태어나 어릴 때 고아원에 맡겨졌다. 그녀가 성장한 후 프란치스꼬회(작은 형제회)  재속 3회원이 되었고 이 때부터 인근의 마을 어린이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기 시작했는데, 이 일이 크게 성공하여, 그녀는 1516년 브레쉬아로 초청되어 일을 계속하게 되었다. 성지와 로마를 순례한 뒤 그녀는 브레쉬아에서 계속 교리를 가르쳤고, 크레모나 전쟁 때까지 계속하였다. 1535년, 안젤라와 일단의 동료들이 브레쉬아의 성 아프라 성당에 모여 하느님께 자신들을 봉헌하여 봉사 활동을 하리라 다짐하였다. 그들은 특히 소녀들의 교육에 투신코자 하였다. 

   이것이 우르술라회의 출발인데, 여성 교육을 표방한 수녀회는 이 수녀회가 첫번째이다. 처음에는 공동체 생활이나 서원도 없었고 수녀복도 입지 않았다. 이런 현상은 안젤라의 사후 거의 4반세기까지 계속되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The painting shows Angela Merici

with Saint Anthony of Padua and Saint Luigi Gonzaga.  

Angela was beatified by the Church on the 30th April 1768.

church of Saint Afra (now Saint Angela’s sanctuary) in Brescia

 

   1470년경 브레시아 근처의 데센차노에서 태어났다. 성 프란치스꼬의 제3회 입회하고, 처녀들을 모아 그들에게 자선 사업에 대해 가르쳤다. 1535년 브레시아에서 성녀 우르술라의 이름을 지닌 수녀회를 창립했는데, 그 회의 목적은 가난한 소녀들을 교육시켜 그리스도인 생활로 이끄는 데에 있었다. 1540년 세상을 떠났다.

 

성녀 안젤라 메리치의 유언에서

 

그분은 만사를 은혜로이 대해 주셨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사랑하는 원장님들과 자매들이여, 여러분은 무엇보다 먼저 여러분의 자매들은 보살피고 다스릴 때 하느님의 도우심을 받아 오직 하느님께 대한 사랑과 영혼들의 구원에 대한 열성으로 이끌려지는 저항과 마음 상태를 얻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 이중의 사랑에다 기초를 두어야만 여러분의 보살핌과 다스림은 선한 열매를 맺을 것입니다. 우리 구세주께서는 복음서에서 "좋은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을 수 없다." 고 말씀하셨습니다. 좋은 나무, 즉 좋은 마음과 사랑으로 불타는 영혼은 선하고 좋은 일밖에 할 줄 모릅니다. 

   그래서 성 아우구스띠노는 말했습니다. " 사랑하십시오. 그리고 당신이 원하는 바를 하십시요." 즉, 사랑과 애덕을 지니십시오. 그리고 여러분이 원하는 바를 하십시오. 이 말은 분명히 "사랑은 죄를 범할수 없다."는 뜻입니다.

 

 

   여러분에게 또 권합니다. 여러분의 각 자매들이 지닌 특성을 참작하여 그들의 이름만이 아니라 그들의 성격과 마음 상태도 여러분의 마음속에 새겨 간직하십시오. 여러분이 그들은 참된 사랑으로 사랑한다면 이렇게 하는 것은 어렵지 않은 것입니다. 

   육신의 어머니들은 천 명의 자녀들을 갖고 있다 해도그 자녀 하나하나를 마음속에 새겨 그 중에 한 사람도 잊지 않습니다. 이것이 그들의 참된 사랑의 열매입니다. 또 자녀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들 각자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커집니다. 이보다 더 풍부한 모성을 지닌 영신의 어머니들은 이와 똑같이 할 수 있고 또 해야 합니다. 영적인 사랑은 혈육에서 솟아 나오는 사랑보다 더 강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사랑하는 원장님들이여, 여러분이 여러분의 자매들을 참되고도 생동적인 애덕으로 사랑한다면, 모든 자매들 하나하나가 여러분의 생각과 마음에 새겨져 있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나는 여러분에게 권고합니다. 오만과 거친 태도가 아닌 사랑과 겸손과 자비로 자매들을 이끌어 주어, 모든 이들을 예수 그리스도의 모범에 따라 기쁘게 대하십시오. 

   주님은 말씀하십니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에게서 배워라." 또 지혜서에 나오는 말씀에 의하면 하느님께서는 "모든 것을 은혜로이 대해 주셨습니다." 예수님은 또 말씀하십니다. "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 여러분은 또 모든 이들을 가능한 한 온유하게 대하도록 힘써야 합니다. 특히 강제력을 사용하여 목적을 이루려 하지 마십시오. 

   하느님께서는 각 사람에게 자유를 주시고 어느 누구에게도 강요하지 않으시며 오직 암시를 주시고 부르시고 권고하실 뿐입니다. 때로는 한층 더 엄격한 권위를 행사해야 할 때도 있겠지만, 상황의 중요성과 개개인의 필요와 성격을 고려하여 그렇게 해야 합니다. 그럴 때에도 우리는 다만 영혼에 대해 사랑과 열정으로 이끌려져야 합니다.

(가톨릭홈에서)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축일: 10월4일. 게시판676번, 1403번.

* 성 프란치스코의 거룩한 상흔 축일: 9월17일. 게시판644번, 1369번.

*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축일: 8월28일. 게시판607번, 1336번.

* 성녀 우르술라 동정 축일: 10월21일.게시판708번,1431번.

*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  축일: 6월13일. 게시판 1220번, 1813번.
*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 수도자 축일: 6월21일. 게시판1232번, 1830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안젤라 메리치는 자선의 면에서나 교육의 면에서 커다란 업적을 남긴 성녀로서 1474년 3월 21일 북 이탈리아의 덕망있는 부호 [메리치] 가문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신심이 두터웠던 그녀는, 당시 세력을 펼치고 있는 新 異敎主義에 대항하여 싸우기 위해서는 가족 단위의 신앙 유대가 견고히 서야만 함을 절감하고 장래 가정의 어머니가 될 같은 또래의 소녀들을 모아 [우술라] 회를 설립하게 되었다. 

   일반 신앙 도덕의 앙양과 소년 소녀의 교육을 목적으로 한 수도원 내에 기거를 같이하며 힘을 합하여 박애 육영 사업에 종사하기로 마음 먹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안젤라의 이상을 실현하려고 노력하는 [우술라] 수도원의 시초이다.

    소년 소녀의 문화적 정도를 성인의 수준까지 끌어 올리면서 안젤라 메리치는 가정의 정신에 새로운 혁신을 불러 일으켰으며 결혼한 신자의 가정에 사랑 안에서 더욱 친밀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정신적 기초를 확립하였다. 그러나 오늘 날까지 소년 소녀의 교육과 가정의 문제는 심각하게 남아 있는 것은 사실이다.

(성바오로딸수도회홈에서)

 

 

   안젤라 메리치 동정은 자선의 면에서나 교육의 면에 커다란 종적을 남긴 성녀로서 1473년 3월 21일 북 이탈리아의 덕망있는 부호 메리치 가문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아버지를 닮아 의지가 강하고 어머니를 닮아 신심이 두터웠고, 그 뿐 아니라 이 아이에게는 특별한 하느님의 성소와 보호가 있다는 것을 양친을 어느덧 알고 있었다. 그랬던 만큼 그녀가 겨우 13세에 동정의 종신 서원을 발했다는 것도 별로 놀랄 일이 아니다.

 

 

   수많은 성인 성녀의 예처럼 안젤라도 주님의 뜻에 의해 일찍부터 교통의 십자가를지지 않으면 안 되었다. 즉 15세 때 그리운 부모를 여의고 나서 또 가장 사랑하던 언니마저 세상을 떠나 아주 고독한 신세가 되었던 것이다. 

   어느 날이었다. 의탁할 데 없는 데다 적적함에 못 이겨 안젤라가 뜨거운 눈물을 흘리며 하느님께 기도를 바치고 있는데, 갑자기 성모 마리아께서 많은 천사들의 호위를 받아가며 발현하셨는데, 잘 보니 그 중에는 언니의 모습도 섞여 있었다. 

   그와 동시에 안젤라의 마음에는 “네가 걷기 시작한 길을 어디까지나 걸어야 한다. 그러면 너도 언젠가는 우리의 즐거운 단란 속에 낄 수 있을 것이다”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이를 듣자 이상하게도 지금까지의 마음의 적막한 감이나 슬픔은 감쪽같이 사라지고 명랑한 마음의 기쁨 그녀에게 충만해졌다고 한다. 

  그러나 곧 그보다 더 심하고 혹독한 시련이 안젤라에게 닥쳐왔다. 그것은 이제까지 천사와 같이 정결하던 그녀의 마음에 악마의 소행인지 더러운 생각이나 상상이 자꾸만 머리에 떠올라 밤이나 낮이나 그녀의 마음을 산란케 하고 번뇌와 고민에 허덕이게 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끝까지 하느님을 신뢰하고 그와 같은 악마의 공격에 굴하지 않았다.
   그녀는 열렬히 기도하고 자주 단식재를 지키고 엄중히 자신의 몸을 다스리며 필사적으로 지옥의 무리들과 싸웠다. 마침내 시련의 시기가 지나자 그녀의 마음에는 다시 깊은 천상의 평화가 충만하게 되었다.

 

 

   안젤라는 매일 영성체를 모시며 사랑하는 주 예수와 일치하는 생활을 하며, 또 수도원에는 들어가지 않았을 지라도 상속받은 재산을 모두 가난한 이들에게 희사하고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가 세운 제3회원이 되어 수녀처럼 검소한 극욕 극기의 생활을 했다. 그녀가 자신의 사명을 깨달은 것은 이때인데, 그 뒤 자신의 물건을 희사하기도 하는 등 자선 사업의 활동을 시작했다. 

   물론 이와 같은 탄복할만한 행위가 반향을 일으키지 않을 수 없었다. 곧 그녀에게는 같은 뜻을 가진 소녀 수명이 모여와서 그녀의 지도하에 숭고한 박애 사업에 종사하게 되었다.

 

 

   안젤라가 당시 살고 있던 곳은 고향의 마을이 아니라 브레쉬아 시였는데, 마침 독일에서 일어나 순식간에 전국에 퍼진 마르틴 루터의 이단은 급류와 같은 힘으로써 브레쉬아를 거쳐 이탈리아에도 침입하려고 했다. 

   하느님께서는 이 이단의 탁류를 막기 위해 안젤라 등의 사업을 한 방파제로 사용하셨다. 즉 그녀가 무죄한 아이들의 마음에 정성을 들여 심어준 그리스도교의 진리는 후에 자라서도 소멸되지 않고 이단의 함정에 빠지는 일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아 영성에 관해 교훈을 받으러 오는 이들 중에는 학식면으로는 훨씬 그녀보다 훌륭한 신학박사나 신분이 높은 귀족들도 있었다. 그녀의 감화력은 무척 위대해 그가 성녀라는 것을 느끼게 하고도 남음이 있었다. 

   브레쉬아 시의 백작 두 사람은 다년간 원수로 지내오며 어떠한 사람이 중개해도 화목하지 않기를 고집해 왔으나, 안젤라가 그들에게 십자가를 보이며 두 세 마디의 말을 하자 하느님의 은총을 받았음인지 두 사람은 서로 상대자를 포옹하고 눈물을 흘리며 서로 죄를 용서하며 그 후부터는 절친한 사이가 되었다고 하는데, 이를 보더라도 그녀의 감화력이 얼마나 컷던가를 가히 짐작할 수 있다.

 

 

   그 뒤 브레쉬아에 있는 안젤라의 동료는 점차 증가했으므로 그녀는 하느님의 뜻인 줄 알고 일반 신앙 도덕의 앙양과 소년 소녀의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우르술라회라는 수도원을 창립하기로 결정하고 1535년 11월 25일, 12명의 동료들과 더불어 새로이 수도 서원을 세워 규정한 회칙을 지킬 것을 맹세했다. 

   그러나 종전과 같이 회원의 마음대로 어린이를 모으고 병자를 간호하고 빈민을 돌보고 죄수들을 위로할 수 있도록 당분간은 각자 친척집에 이속하며 공동생활은 하지 않았으나 수도회가 크게 발전해 2년 동안 회원수가 76명이나 증가했으므로 드디어 한 수도원 내에 기거를 하며 힘을 합해 박애 육영사업에 종사하기로 했다. 이것이 안젤라의 이상을 실현하려고 노력한 우르술라 수도원의 시초이다.

 

 

   안젤라의 성덕은 임종시에 한층 더 빛났다. 그때 그녀는 겸손한 마음에서 성 프란치스코의 통회의 의복을 입고 한 묶음의 볏짚 위에 누워 “성부여, 내 영혼을 당신 손에 맡기나이다”라는 말을 최후로 숨을 거두어 영원한 복을 누리기 위해 천국으로 향했다. 때는 1540년 1월 27일이었다.

(대구대교구홈에서)

 

 

   안젤라 메리치는 최초의 교육 수녀회인 우르술라회를 조직한 사람이다. 그는 수녀회를 창립하면서 우르술라를 수호 성인으로 모시고, 수녀회의 이름도 그에게 헌정하였다. ’수호 성인’은 천상 은혜의 전구자요 보호자다. 

   가톨릭 교회는 개인은 물론 직업, 전문 분야, 의료 부분, 사회 제도, 국가 등 어디에나 수호 성인을 모시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배가 아플 때 도와 주는 성 에라스모에서부터 한국 교회의 수호자이신 성 요셉과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까지 수없이 많은 수호 성인들이 있다. 가톨릭 신자들은 세례성사나 견진성사를 받을 때 수호 성인을 정하고 그의 이름을 본명으로 받게 되는데, 이 수호 성인들은 각자의 삶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게 된다. 

   (이 책에서 만나게 되는)성인들 중 몇몇은 당신의 개인적인 친구나 수호 성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수호 성인은 영적 여정의 길잡이로서 우리가 도움을 요청하면 언제든지 우리에게 응답해 주신다. 

   성인들의 응답이 항상 우리가 바라는 때에 바라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소망이 하느님의 뜻 안에 있는 것이라면, 수호 성인은 언제나 우리를 위해 쉬지 않고 일하고 계시다는 것을 확신해도 좋다. 

   성인들과 계속 만나는 것은 신앙을 성숙하게 하며 우리를 사랑 안에서 자라게 해줄 것이다. 나의 수호 성인은 누구인가?만약 없다면 어느 성인을 택하고 싶은가? 수호 성인의 보호에 나를 맡기겠다.

(까리따스수녀회홈에서)

 

 

▶ 우르술라회  [영어]Ursulines
  
   1525년 메리치(St. Angela Merici)가 이탈리아의 브레스치아 (Brescia)에서 창립한 수도회로,
최초의 교육 수녀회다. 1544년 교황 바오로 3세는 각자 자기의 집에 살면서 가운데 종사하는 처녀들의 수도회로 이 회를 공인하였고, 1572년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보로메오(St. Charles Borromeo)의 요청에 따라 우르술라회원들이 공동생활을 하고 단식서원을 할 수 있게끔하였다, 1612년 이후 파리의 우르술라회는 성식서원을 하는 수도회로 바뀌었고, 성 아우구스티노 회칙을 수정한 생활규칙을 회칙으로 채택하였다.
   1900년 전세계 우르술라회가 로마에 모여 대회를 개최하고 다양한 우르술라회치 통일을 시도하였다. 이후 많은 수도회들이 로마수족(修族) 으로 통합되었다. 로마수족은 단식서원을 한다. 로마수족 이외에도 25개의 우르술라회가 있다. 이들 중에는 성식서원을 하는 수도회 들도 많다.

(가톨릭대사전에서)



[새로 보는 교회사 37] 새로운 형태의 여자 수도회 : 우르술라회

구본식
 
트리엔트 공의회에서는 여자 수도회의 쇄신을 위한 규정을 만들었다. 그 동안 중세사회의 관습과 사회혼란으로 생성된 폐단을 없애기 위한 규정이었다. 그 폐단 가운데 가장 큰 것이 수녀원의 봉쇄생활이 지켜지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장상들이 너무 젊은 것이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었다.
 
15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정치적으로 안정이 되고 교회 역시 일치해 가면서 쇄신의 길이 열리게 된다. 공의회는 기존의 수도회의 폐단을 막기 위해서 수녀들의 안전과 재산보호를 보장할 수 없는 시골보다는 도시에 정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봉쇄구역을 철저히 지키는 한편, 마흔 살 이전이나 대서원을 한 지 팔 년이 되지 않은 수녀는 장상에 취임하지 못하도록 하고, 어린 소녀가 수녀회에 입회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또한 주교나 그 대리인이 심사한 뒤에 첫서원을 하도록 하는 등의 규정을 만들었다. 여성 수도생활은 기존 수도회의 쇄신에서 비롯되기도 하였으나 새로운 형태의 수도생활이 탄생하면서 크게 바뀐다. 



 
환경의 변화
16세기로 접어들면서 사회에서 교회가 할 일이 다양해지고 여성의 소임도 필요해졌다. 이제 여성은 더 이상 중세 때처럼 사회에서 격리되거나 노예와 같은 존재가 아니었다. 문예부흥시대를 거치면서 여성관이 많이 변했고 여성의 사회지위도 크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경건한 여성들이 사회활동을 하기 시작한 것은 12세기 무렵이다. 여성 수도자들은 대부분 관상수도생활을 했지만 환자방문이나 병원 등에서 봉사하는 생활을 어느 정도 하고 있었다. 그러나 16세기에 들어서면서 여성의 사도직에 대한 비중이 더욱 커지면서 교육과 선교 그리고 자선활동에 여성들이 더욱 큰 몫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여성들도 봉쇄구역이나 남편이라는 보호막 없이도 활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리스도를 따르는 여성의 삶의 새로운 양식이 생겨난 것이다. 시대의 새로운 요구가 새로운 형태의 수도회가 탄생하는 바탕이 된 것이다. 


 
우르술라(Ursula)회
새로운 여자 수도회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우르술라(Ursula)회를 예로 들어보기로 한다. 우르술라회 창립자는 성녀 안젤라 메리치(Angela Merici, 1470-1540년)이다. 성녀 자신은 어떤 단체나 수도회를 세울 생각을 전연 가지지 않았지만 성녀의 활동으로 새로운 수도단체가 생성되는 결과를 가져왔던 것이다.
 
메리치 성녀가 활동한 지역은 이탈리아의 밀라노와 베로나 사이에 있는 브레시아(Brescia) 지방으로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벌인 전쟁의 여파가 심각하게 남아있던 곳이다. 사회기강은 무너졌고 성병인 매독이 젊은 여자들을 중심으로 사람들에게 무서운 속도로 확산되고 있었다. 우르술라회는 바로 이때 소녀들을 이 병에서 보호하기 위해 탄생했다.
 
메리치 성녀는 과부와 친구들과 함께 매독에 걸렸거나 다른 병에 걸린 여자들을 간호하기 위해 병원에 드나들고 있었다. 메리치 성녀 일행은 환자들을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그들의 가정도 방문할 필요성을 느꼈다. 가정을 방문하고는 더 어린 소녀들이 물질적으로나 윤리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 아이들이 사는 환경이 바뀌지 않으면 도로아미타불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1532년경부터 메리치 성녀는 친구와 함께 매독이 나은 아가씨들과 어린 소녀들이 함께 살 수 있는 집을 마련했다. 그러나 집을 마련하기가 무섭게 초만원을 이뤄 이 수용시설을 지탱하기가 어려워졌다. 그래서 생각해 낸 방법이 소녀들이 자기 집에 그대로 살면서 교육을 받도록 하는 방법으로, 동정녀 선생들이 이들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순결교육을 하는 것이었다.
 
메리치 성녀가 하는 이 일을 함께하면서 평생을 하느님께 봉헌하고자 하는 처녀들이 많이 몰려들었다. 이렇게 해서 1535년에 ‘성녀 우르술라의 동정녀회’라는 것이 만들어진다. 1536년에 브레시아의 주교가 인가하고 1544년에 교황 바오로 3세는 수녀회 설립을 인가하였다. 이 새로운 수녀회는 두 가지 방향으로 활동을 한다. 하나는 한 장소에서 봉사하는 일과 다른 하나는 가정에서 동정생활을 하는 형태였다.
 
메리치 성녀의 이러한 생각은, 초대 공동체의 하느님께 바쳐진 삶의 형태라는 점에서 초대교회의 모습을 그대로 본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는 성녀가 봉쇄수도생활을 가볍게 여겨서라기보다는 바로 그 시대 그 장소가 요구하는 영적이며 사도적인 소임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전의 다른 수도회 역시 그 당시의 사회적이며 교회의 요청에 따라 세워졌던 것과 마찬가지로 우르술라회 역시 시대상황이 요구하는 여성의 소임에 따라 생겨난 새로운 형식의 수도생활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성녀는 이런 사도적 삶을 살기 위해서 복음삼덕을 강조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실천하도록 강조했다. 먼저 순결을 강조하는데, 동정으로 산다는 것은 그 높으신 분의 각시가 됨을 뜻한다는 것이다. 성녀는 동정성을 바로 완덕과 동일시했다. 따라서 사랑이 부족하거나 질투, 태만, 하느님의 아들이신 신랑에 대한 충성의 부족 등 어떤 결함도 다 동정성을 거스리는 일로 여겼다. 이런 이유로 창립 초기부터 동정성은 입회하는 데 가장 중요한 기본요건이 되었다. 따라서 입회하기 위해서는 동정성이 증명되어야만 하였다.
 
순명 역시 성스런 삶을 위해서 중요한 것이다. 순명은 하느님의 뜻에 동조하는 것으로 영혼의 빛과 같은 덕이라고 하였다. 또 하느님의 뜻은 하느님의 계명과 교회의 법과 그리고 수도회의 장상과 가정의 부모한테서 나타난다고 하였다. 심지어 일상사조차 하느님 뜻의 표현이므로 순명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다. 이 새로운 형태의 수도회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생각한 것이 바로 가난이다. 특히 정신적인 관점에서 강조되었다. 가난을 따르는 데는 가난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정신으로 실천하라는 것이다. 재산을 전적으로 포기하도록 형식으로 요구하지도 않았고 일을 하기 위해서 또 이웃을 돕기 위해서는 오히려 재산의 필요성을 인정하였다. 바오로 사도가 복음을 전파하면서 스스로 일을 하며 자신의 의식주를 해결했다는 사실을 가난의 정신의 본보기로 삼았다.


 
메리치 성녀의 영성과 삶의 특징은 사랑이다. 밤에는 신랑인 하느님과 일치하는 긴 시간의 기도로 하느님을 사랑하고 낮에는 소녀들을 교육하고 도와주는 이웃 사랑의 생활이었다. 이렇게 해서 기존의 수도회에서는 받아들이지 않던 소녀들이 우르술라회로 몰려들었고 나아가 이들이 가정의 소녀들을 교육함으로써 가정환경이 타락한 많은 가정들을 개선할 수 있었다.
 
우르술라회는 이렇게 가정에 남아있는 제자들을 보호하고 또 잘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브레시아 도시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명문가의 과부들을 각 지역의 책임자로 세웠다. 성녀는 위원회와 함께 각 지역의 활동을 지휘하였다. 그리고 남자 교육자와 보호자와 여자 교육생과는 아주 엄격한 경계선을 그어놓았다. 구역의 책임자들은 과부들이었지만 동정녀 선생들은 영적 지도를 담당했다. 처녀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규칙을 가르치는 일은 동정녀 선생들이 하였다. 또한 나이 지긋한 남자들도 있었다. 이들은 여러 가지 필요에 따른 논의를 함께하고 경제적인 일에 대해서는 상담을 했으며 가정에서 사는 젊은 동정녀들을 보호하는 일도 하였다.
 
처음에 이들은 다만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해서 가난과 순명과 영원한 동정을 지키며 살겠다고만 하였지 어떤 서원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신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들은 가정에 살고 있었지만 진정한 수도생활을 하는 사람들이었다. 실천적으로 하느님과 이웃에 봉사하기 위해서 동정으로 세상에서 사는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동정녀 선생들은 보름마다 소녀들의 가정을 방문하고 더욱이 축일 때는 꼭 방문을 함으로써 올바로 살아가도록 지도를 하였다.
 
우르술라회는 소녀들을 보호하고 교육하는 사도적 사업과 동정으로 봉헌된 삶을 사는 두 가지 형태를 가졌는데, 창립자가 죽고 난 후에 봉헌된 동정의 삶에 대해서는 큰 반대가 따랐고 심지어 이단으로 의심받기까지 하였다. 본당신부들의 불신이 있었고 가정에서는 부모들이 협조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반대였다. 이러한 주변의 편견에 대해서 옹호하는 책자를 내는 한편, 새 총장 로드로네(Lodrone) 수녀는 아무런 표시 없이 평상복으로 사는 회원에게 가죽띠라도 매게 하는 변화를 시도하였다. 그러자 메리치 성녀의 이상대로 살아야 한다는 사람들과 변화해야 한다는 사람들 사이에 갈등이 일어났다. 바깥에서는 공격을 받고 안에서는 분열이 일었다. 1544년에 수도회 인가칙령이 났지만 혼란이 계속되자 새 총장 수녀가 반대자들을 몰아내고 가죽띠를 착용하는 결단을 내림으로써 수도원의 형태를 띠게 된다.
 
1566년, 밀라노에 부임한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는 우르술라회를 창설하고 ‘밀라노 우르술라회의 규칙’을 만들었다. 우르술라회가 세워지던 당시의 밀라노는 우르술라회가 창립될 당시의 브레시아와 상황이 비슷하였다. 성 가롤로는 동정녀들의 우르술라회와 과부들의 안나회 두 회를 창설하여 사회에서 사도적인 일을 하게 하였다. 1580년에 성 가롤로가 사목감사 일로 브레시아에 갔을 때, 어렸던 동정녀들이 성인이 되어 있었다. 그럼으로써 장상의 일이 과부들한테서 이들 동정녀들한테로 넘어가면서 오늘날의 재속수도회와 비슷한 양상을 띠게 된다.
 
150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여성들의 사도적 활동이 크게 늘어났다. 여기저기서 자생적으로 생겨난 독자적인 모임은 메리치 성녀가 활동한 초기의 활동정신과 비슷한 것이다. 그러나 한 집에 모여 살기도 하였고 처음엔 모여 사는 사람이 적었지만 해가 거듭하면서 숫자가 불어났다. 결국 이제까지와는 다른 형태의 수도생활이, 복음삼덕을 따르고 회개와 기도의 삶을 살지만 장엄한 서원을 하지 않고 간단한 서원만 하고 여러 가지 사도직 활동을 위해서는 쉽게 봉쇄구역을 나갈 수 있는, 새로운 수도형태가 정착하게 된 것이다.
 
우르술라회는 세 가지 형태의 수도생활을 확산시켰다. 즉 재속단체나 교구소속 단체로서 재속회 같은 것이 그 하나이고, 수도회로 분류되는 단체생활을 하며 간단한 서원을 하는 형태가 그 두 번째이며, 세 번째 형태로서 아주 전형적인 수도생활을 하는 장엄서원을 하는 수도형태였다.

구본식 안드레아/ 신부 ‧ 대구 효성 가톨릭 대학교 교수
[경향잡지, 1997년 1월호]

 
 

 

[역사속의 그리스도인] 71. 여성편 (5) 안젤라 메리치
우르술라 수녀회 창립자인 안젤라 메리치는 청소년 교육, 특히 여성 교육에 헌신했다.

청소년과 여성 교육에 헌신
현명하고 자비로움으로 빛을 발하며
타락한 죄인들위해 속죄와 금욕생활
 

15세기 후반 16세기 초 이탈리아는 새롭게 일기 시작한 사조에 전통적인 종교적 삶도 문을 열만큼 격변의 시기였다. 고도의 문화와 예술이 발전하였고 귀족들은 이같은 흐름에 맞춰 학문과 예술을 지원했다.
알렉산더 6세 같은 교황도 뛰어난 건축물 건립에 많은 후원을 쏟았지만 한편 그런 관심들과는 반대로 신자들에 대한 영적지도나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일들은 멀어져 갔고 또 시민들의 윤리와 생활 방식도 느슨해지고 문란해져 가는 양상을 보였다.
뜻있는 평신도들은 교회가 어렵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에게 손을 뻗치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자발적으로 사람들을 돌보기 시작했는데 우르술라 수녀회 창립자인 안젤라 메리치(Angela Merici 1470/1474~1540)도 당시 사회 안에 뛰어들어 청소년 교육, 특히 여성 교육에 헌신했던 사람이다.
 

우르술라회 창립
1470년 1474년 사이 가르다 (Garda) 호수 서안 데센차노(Desenzano)의 지방 귀족 집안에서 태어난 안젤라 메리치는 유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녀의 아버지는 5살 무렵부터 안젤라에게 성인의 삶을 들려주는 등 신앙 교육을 시켰고 그녀 역시 성인전을 즐겨 읽으며 거기서 성인들의 생활에 많은 감명을 받았다.

안젤라 메리치의 복자품 심의 과정에서 나온 증언에서도 “그녀는 5살 되던 무렵에 그녀의 아버지가 자신에게 성인들의 삶에 대해 이야기해 주었을 때 벌써 그들과 같은 영적, 관상적 삶을 살고 싶어 했다”는 내용이 알려지고 있다.
13세 때 첫 영성체를 한 후 나름대로 평생 동정을 지킬 것을 서약했던 안젤라는 이후 부모님과 쌍둥이 언니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살로(Salo)에 사는 외삼촌 집으로 보내져 5년여 동안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삶을 경험하게 된다.

외삼촌이 속한 비안코시 가문은 다소 하급 귀족이었고 그런 만큼 이전의 부모님 집에서와는 다른 형태의 삶이었다. 또 살로 지역은 유명한 휴양지였기 때문에 전반적인 분위기가 비도덕적이고 향락적이었다. 감수성이 예민했던 안젤라는 깊은 상처를 받았고 그들의 영혼을 위해 산에 올라가 조용히 기도하곤 했다.
또 프란치스코 재속회(3회)에 가입하여 기도와 가난 극기 생활을 철저히 실천하며 자신을 ‘이웃을 위한 속죄 제물’로 하느님께 봉헌했다.
 

1497~1498년경 안젤라는 ‘브루다초의 계시’(Vision di Brudazzo)라 불리는 놀라운 일을 겪었다. 어느날 브루다초의 들판에서 죽은 언니를 위해 기도하고 있던 메리치에게 아름다운 옷을 입고 머리를 장식한 동정녀들이 나타났는데 그들 중 죽은 언니나 친구로 여겨지는 한 처녀가 ‘브레시아에 선택받은 동정녀들의 모임을 만들라’는 하느님의 뜻을 전했다. 이 계시는 그녀의 마음에 강하게 각인되어졌고 앞으로의 삶을 결정짓는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20살이 되어 데센차노로 귀향한 메리치는 그곳에서 1516년까지 살았는데 프란치스코 수도회 장상들에 의해 브레시아 지방으로 보내지게 됐다. 당시 브레시아 지방은 신앙에 대해서도 무지했고 문란한 성생활을 하고 있었으며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된 상황이었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곤궁함을 벗어나지 못했고 그 자녀들은 거리에서 구걸을 하며 지냈다. 성직 수도자들조차 타락한 생활상을 보이고 있었다.
메리치는 이러한 모습을 보고 죄인들의 영혼을 위해 기도하는 한편 속죄와 금욕 생활을 하면서 청소년들에게는 종교 교육을 하였다. 또 교육만이 가정과 사회를 그리스도화 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한 그는 모든 계층의 소녀들에게 교육 받을 기회를 주었다.
일상적인 가사 노동 중에서도 기도와 속죄 생활로 내적 깊이를 더하고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부드러움, 현명함, 모성적인 자비로움을 보여 빛을 발했던 안젤라는 그곳 사람들에게 점차 존경과 사랑을 받게 됐고 ‘브레시아의 안젤라’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우르술라회’ 창설
그녀가 수도회 설립을 준비한 것은 50세가 넘어서였다. 1525년 교황 글레멘스 7세가 특별 성년을 선포하고 순례를 권장했는데 이때 로마를 방문한 안젤라는 동정녀들의 모임을 시작하고자 하는 뜻을 밝히며 교황의 허가를 청했다.
이후 1530년 메리치와 함께 뜻을 같이하는 12명의 동정녀들과 함께 사랑의 공동체를 결성했고 1532년 바랄로 산으로 성지 순례를 가서는 보리수나무 십자가 아래에서 자신들을 봉헌했다.
1535년 28명으로 늘어난 동정녀들은 브레시아의 성 아프라 성당에서 미사 참례를 하며 메리치가 만든 규칙에 따라 3대 서원을 함으로써 ‘우르술라회’를 공식 창설했으며 안젤라는 초대 원장으로 선출됐다.
초창기 회원들은 각자 살던 집에서 머물며 사도직을 수행해 갔다. 평범한 모습으로 환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방문하여 봉사했고 이웃 사랑에 헌신했다. 무엇보다 청소년들에게 종교적인 진리를 가르치며 올바르게 이끄는 일에 몰두했다.
우르술라회를 비롯 안젤라 메리치의 정신을 따르는 수녀회들은 계속해서 퍼져나갔고 오늘날까지 전 세계 교회 안에서 교육 문화 선교 사업에 종사하고 있다.
안젤라 메리치는 1540년 1월 27일 사망했으며 1807년 교황 비오 7세에 의해 시성됐다. 이때 ‘우르술라회의 창립자’라는 칭호가 부여됐다.
[가톨릭신문, 2005년 10월 30일, 이주연 기자]


 

[금주의 성인] 성녀 안젤라 메리치(St. Angela Merici, 1월 27일)
1474~1540, 이탈리아 데센짜노 출생, 우르술라회 설립
 
성 안젤라 메리치는 부유한 집에서 태어났지만 성인성녀들과 같은 금욕적이고 절제된 생활을 했습니다. 어린시절 성인전을 읽으며 성인성녀들 삶에 감동해 자신도 그와 같은 삶을 살겠다고 다짐했던 것입니다.
성인은 13살에 첫 영성체를 하면서 평생 동정을 지키며 자신을 온전히 하느님께 봉헌하기로 결심합니다. 성인은 10살 때 부모님을 여의었습니다. 외삼촌 집에서 언니와 함께 의지하며 살지만 언니도 급작스레 죽게 됩니다.
성인이 기대고 의지할 곳이라곤 오로지 하느님 뿐이었습니다. 성인은 더욱 기도생활에 매진합니다. 성인은 작은 형제회 재속회에 입회해 기도와 봉사, 청빈의 생활을 이어갑니다.
 
성인은 어린 아이들을 사랑했고 여자 아이들 교육에 각별히 신경썼습니다. 마을 아이들을 모아 놓고 하느님을 가르치며 신앙생활을 하도록 이끌었습니다.성인은 1524년 50살이 되던 해에 이스라엘 예루살렘으로 성지순례를 떠납니다. 성경의 땅에서 직접 하느님을 느끼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어쩐 일인지 예루살렘 순례 도중 성인은 시력을 잃게 됩니다. 그러나 성인은 손으로 더듬어 가며 마음의 눈으로 성지 순례를 마칩니다. 성지순례를 마치고 나자 어두워졌던 눈은 다시 밝아졌습니다.
성인은 고향 이탈리아로 돌아와 자신과 뜻을 같이하는 여성들과 함께 공동체를 만듭니다. 우르술라회입니다. 우르술라회 회원들은 여자아이들 교육에 헌신했습니다. 때문에 우르술라회는 가톨릭 최초로 여성 교육을 표방한 수녀회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은 1540년 선종했고 우르술라회를 결성했던 성아프라성당에 묻힙니다. 성인 유해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성당이 파괴되면서 유실됐습니다. 성인은 1807년 교황 비오 7세에 의해 시성됐습니다. 
[평화신문, 제1053호(2010년 1월 24일), 박수정 기자]























 

♬LA PAIX OUI LA PAIX(Francais) 성요한 수도회

 

 

 

 

 

 

 

 

 

 

 

 

 

 

 

 

 

 

 

 

 

 

 

 

 

 

 

 

 

 

 

 

 

 

 

 

 

 

 

 

 

 

 

 

 

 

        

 

 

 


Sant' Angela Merici Vergine, fondatrice
27 gennaio - Memoria Facoltativa 
Desenzano sul Garda (Brescia), 21 marzo 1474 – Brescia, 27 gennaio 1540

Angela Merici fondò nel 1535 la Compagnia di Sant'Orsola, congregazione le cui suore sono ovunque note come Orsoline. Le sua idea di aprire scuole per le ragazze era rivoluzionaria per un'epoca in cui l'educazione era privilegio quasi solo maschile. Nata nel 1474 a Desenzano del Garda (Brescia) in una povera famiglia contadina, entrò giovanissima tra le Terziarie francescane. Rimasta orfana di entrambi i genitori a 15 anni, partì per la Terra Santa. Qui avvenne un fatto insolito. Giunta per vedere i luoghi di Gesù, rimase colpita da cecità temporanea. Dentro di sé, però, vide una luce e una scala che saliva in cielo, dove la attendevano schiere di fanciulle. Capì allora la sua missione. Tornata in patria, diede vita alla nuova congregazione, le cui prime aderenti vestivano come le altre ragazze di campagna. La regola venne stampata dopo la morte, avvenuta a Brescia il 27 gennaio del 1540. E' santa dal 1807. (Avvenire)

Etimologia: Angela = messaggero, nunzio, dal greco
Emblema: Giglio

Martirologio Romano: Sant’Angela Merici, vergine, che dapprima prese l’abito del Terz’Ordine di San Francesco e radunò delle giovani da formare alle opere di carità; quindi, istituì sotto il nome di sant’Orsola un Ordine femminile, cui affidò il compito di cercare la perfezione di vita nel mondo e di educare le adolescenti nelle vie del Signore; infine, a Brescia rese l’anima a Dio.


Ascolta da RadioVaticana:
   Ascolta da RadioRai:
   Ascolta da RadioMaria:  
 


Il suo tempo
Sant’Angela Merici visse in quel sofferto e nel contempo magnifico periodo storico, conosciuto come “Rinascimento”; periodo che va dalla fine del XIV a tutto il XVI secolo, e che fu l’inizio della civiltà moderna.
E se da un lato vi erano agitazioni e guerre, come quelle dell’imperatore Carlo V (1500-1568), che squassavano l’Europa e che portarono al tristemente famoso ‘Sacco di Roma’ del 6-17 maggio 1527, ad opera dei Lanzichenecchi, soldataglia agli ordini di Carlo V; dall’altro vi era tutto un fiorire di arte, con i più grandi artisti delle varie specialità, come Michelangelo, Raffaello Sanzio, Masaccio, Donatello, Brunelleschi, ecc.
Ma in quel felice periodo, in cui si manifestava l’umanesimo con la necessità della scoperta del mondo e dell’uomo, in seno alla cristianità ci fu un desiderio di riforma interiore e di rinascita, con il sorgere di numerose congregazioni religiose.
Come i Gesuiti nel 1534 ad opera di s. Ignazio di Loyola; i Fatebenefratelli fondati nel 1540 da s. Giovanni di Dio; i Somaschi nel 1528 fondati da s. Girolamo Emiliani; i Filippini o Preti dell’Oratorio di s. Filippo Neri (1515-1595), ecc. e sfociando, dopo lo sconquasso creato dalla Riforma Protestante di Martin Lutero († 1545), nel grande e basilare Concilio Ecumenico di Trento (1545-1563).
In questo quadro di grande movimento educativo e spirituale, per lo più rivolto però alla formazione della parte maschile della società del tempo, s’inserì l’opera di Angela Merici, che si prefiggeva un impegno particolare per la formazione sistematica delle ragazze; nel campo morale, integrando l’educazione ricevuta nelle famiglie, nel campo spirituale, alimentando quella già ricevuta nei monasteri, ma specialmente in campo intellettuale.

Origini, adolescenza
Angela Merici nacque il 21 marzo 1474 a Desenzano sul Garda (Brescia), allora territorio della Repubblica di Venezia, suo padre Giovanni Merici e la madre, appartenente alla distinta famiglia dei Biancosi di Salò, ricavavano il necessario per il sostentamento della famiglia, che comprendeva oltre Angela, una sorella più grande e sembra uno o più fratelli, dall’allevamento del bestiame e dalla coltivazione di qualche terreno.
Il padre Giovanni, “cittadino bresciano”, alquanto istruito, amava leggere alla moglie ed ai figli i primi libri di devozione stampati a Venezia; probabilmente la “Legenda aurea”, celebre raccolta di vite di santi e martiri, scritta dal domenicano Jacopo da Varazze (1220-1298).
E fu in quelle serate, trascorse ad ascoltare la detta lettura, che Angela conobbe e cominciò ad amare due sante martiri, che divennero i suoi punti di riferimento, santa Caterina d’Alessandria e sant’Orsola con le compagne.
Verso i 15 anni, dopo aver perso prematuramente la sorella, le morirono entrambi i genitori, pertanto Angela si trasferì nella vicina Salò, accolta nella casa di uno zio materno, uomo di un certo prestigio.
Gli anni trascorsi a Salò furono preziosi per Angela, perse quell’aria di contadinella ritrosa incantata dalla visione del lago di Garda, ma frequentando le giovani della città, acquistò la naturalezza nell’agire, che le consentirà in futuro di stare alla pari con le dame della borghesia e della nobiltà.
Disapprovava la rilassatezza dei costumi esistente anche a Salò e fu forse in questo periodo che divenne Terziaria Francescana, per avere una vita più austera e penitenziale, secondo i suoi desideri.
A 20 anni, dopo una permanenza di circa cinque anni a Salò, le morì lo zio e quindi ritornò a Desenzano sul Garda, alla cascina delle “Grezze”, impegnata nelle faccende domestiche, dedicandosi alle opere di misericordia spirituali e corporali secondo le necessità e circostanze e vivendo la sua spiritualità evangelica.

La giovinezza – Le visioni della “scala celeste”
Nella cascina partecipò anche ai lavori dei campi, e fu in questa occupazione solitaria, che Angela ebbe la consolazione di una visione celestiale.
Il primo a raccontarla, fu padre Francesco Landini in una sua lettera del 1566; era il primo pomeriggio di un caldo giorno d’estate, ed Angela, che come al solito durante l’intervallo che si faceva in attesa di una calura più sopportabile, si ritirava in disparte a pregare; si sentì improvvisamente rapita in Dio e vide il cielo aprirsi con una processione di angeli e vergini a coppie alternate, gli angeli suonavano, le vergini cantavano; nella sfilata vide la sorella defunta, che le preannunciava che sarebbe stata la fondatrice di una Compagnia di vergini.
L’iconografia della santa, ha rappresentato la visione come una scala fra terra e cielo, simile a quella di Giacobbe, con la processione delle vergini e degli angeli che la percorreva.
Nel 1516 i superiori francescani da cui Angela dipendeva come Terziaria, le proposero di trasferirsi a Brescia, per assistere la vedova Caterina Patendola, rimasta anche senza figli. Angela Merici obbedì docilmente, certa che il Signore in qualche modo le avrebbe indicato la sua futura strada.
Intanto la tradizione popolare indica, che una seconda visione avvenne in località Brudazzo, sulle colline fra Desenzano e Padenghe, e anche qui vi fu una lunga teoria di angeli e vergini, fra le quali Angela riconobbe una sua amica da poco morta in giovane età. La voce misteriosa questa volta precisava che la Compagnia sarebbe dovuta sorgere a Brescia, ordinandole di farlo “prima di morire”; infatti Angela Merici indugerà fino ai sessant’anni prima di fondare la Compagnia, impresa di cui avvertiva tutte le difficoltà.
Nella casa ospitale di Caterina Patendola, in cui portò la sua parola calda, vibrante, confortevole, riuscì a placare l’immenso dolore della vedova che aveva perso anche i due figli; qui conobbe anche Girolamo, nipote dei Patendola, che sarà il futuro fondatore dell’Ospedale degli Incurabili di Brescia, inoltre Giacomo Chizzola e Agostino Gallo, anch’essi impegnati nell’organizzazione dello stesso ospedale.
Angela instaurò con loro un’amicizia che durerà tutta la vita; diventando l’animatrice spirituale di un laicato impegnato in opere e iniziative di carità, a cui lei apporterà il contributo della sensibilità femminile.

I primi gruppi femminili - I suoi viaggi e pellegrinaggi
Suor Angela, come si faceva chiamare indossando l’abito del Terz’Ordine francescano, dopo qualche mese lasciò la casa dei Patendola e man mano fu ospitata in altre case private di Brescia, fra cui quella di Antonio Romano in via S. Agata.
Si guadagnava da vivere con il proprio lavoro di cucito e di filatura e con i servizi domestici; lavori umili tali da non essere stati annotati da testimoni diretti, perché usuali per le donne di modesta condizione del tempo.
A Brescia poteva frequentare più assiduamente le chiese, accostarsi di più ai Sacramenti, coltivare il numero sempre crescente di amicizie femminili; intorno a lei ormai si radunavano gentildonne e popolane, attratte dalla sua saggezza e disposte a collaborare alle opere di bene, specie a favore della gioventù femminile.
È di questo periodo, la parentesi dei suoi viaggi e dei pellegrinaggi fatti a piedi o con i mezzi precari del tempo, l’iconografia più diffusa la ritrae infatti con l’abito e il bastone da pellegrina.
Il primo fu quello compiuto a Mantova nel 1522, per venerare la tomba della beata Osanna Andreasi da lei molto ammirata; poi salì una prima volta al Sacro Monte di Varallo; nel 1524 in compagnia del signor Romano che l’ospitava e di un cugino, raggiunse Venezia e qui s’imbarcò per la Terra Santa, meta indispensabile per quanti, desiderosi d’intraprendere una strada di perfezione e carità, volevano attingere forza ed emozioni, alle sorgenti del Cristianesimo.
Ma in quell’occasione si verificò un fatto straordinario, Angela Merici mentre la nave si approssimava alla meta, fu colpita da una malattia agli occhi che le fece perdere improvvisamente la vista.
Poté vedere il Paese di Gesù solo con gli occhi dell’anima, infatti riacquisterà la vista soltanto nel viaggio di ritorno, davanti ad un crocifisso a Creta; Angela prese questa malattia che l’aveva impedita di vedere i Luoghi Santi, per i quali aveva intrapreso il lungo e disagevole viaggio, come un segno della Provvidenza che conduce le anime per vie imperscrutabili.
Sbarcata a Venezia preceduta dalla sua fama, si voleva trattenerla per il bene degli ospedali e orfanotrofi della Serenissima, ma lei intenzionata più che mai a realizzare a Brescia il comando celeste ricevuto nelle visioni, quasi se ne scappò per ritornare nella città d’origine.
Anche nel 1525, quando si recò a Roma per il Giubileo e fu ricevuta da papa Clemente VII che voleva trattenerla a Roma, suor Angela dovette ritornarsene in tutta fretta per evitare l’ordine del pontefice.
Nel 1529 si trasferì momentaneamente a Cremona, ospite della famiglia Gallo, che l’aveva invitata per sfuggire all’eventuale assedio delle truppe di Carlo V, che due anni prima avevano devastato Roma; nel 1533, ritornata a Brescia, trovò ospitalità in una casetta di proprietà dei Canonici Lateranensi, presso la Chiesa di Sant’Afra; nello stesso 1533 compì un secondo pellegrinaggio al Sacro Monte di Varallo, concludendo la serie dei suoi viaggi.

La fondazione della ‘Compagnia’
Dopo tante riflessioni, ormai era giunto per lei il tempo di operare, già nel 1532 Angela di Salò, come si firmava, chiedeva alla Santa Sede di essere esonerata dalla sepoltura in una chiesa francescana come tutte le Terziarie, optando per quella di Sant’Afra martire.
Non era un rinnegare l’appartenenza al Terz’Ordine francescano, tanto che ne porterà l’abito fino alla morte e con esso verrà sepolta, ma volle prendere per sé e soprattutto per le sue figlie spirituali che l’affiancavano, una certa distanza, in prospettiva di una futura vita consacrata organizzata autonomamente, che sentiva ormai di costituire per il gruppo.
Angela aveva colto nei suoi tanti incontri, un’esigenza particolare delle giovani, che aspiravano ad una totale consacrazione, ma fuori dello schema del tradizionale chiostro, e il Terz’Ordine Francescano, non contemplava l’impegno della verginità a vita, né poteva tutelarle dalle pressioni dei parenti che volevano maritarle, né dei padroni presso i quali molte di loro lavoravano.
Occorreva allora una “Compagnia”, nome in uso a quel tempo, indicante qualsiasi associazione religiosa di laici o laiche e anche di sacerdoti, che senza entrare in un Ordine religioso, si univano tra loro, impegnandosi a vivere integralmente il Vangelo e a servire il prossimo in particolari opere di carità.
Così nello stesso anno 1533, Angela Merici a quasi 60 anni, costituì la “Compagnia delle dimesse di Sant’Orsola”; si dicevano “dimesse” perché non vestivano l’antico e nobile abito delle monache; e “di Sant’Orsola”, perché, non avendo esse la protezione delle mura di un convento, dovevano vivere nel mondo e restare fedeli a Cristo, proprio come la giovane principessa della Britannia, uccisa dai pagani insieme alle numerose compagne e il cui culto era molto vivo anche a Brescia.
Così Angela e le prime dodici collaboratrici, Simona, Laura, Peregrina, Barbara, Chiara, ecc. presero a riunirsi nell’oratorio fatto restaurare e messo a disposizione da Elisabetta Prato, nella sua casa vicino al Duomo di Brescia.
Angela dal canto suo continuò a condurre una vita di penitenza, dormiva per terra su una stuoia, che di giorno conservava arrotolata in un angolo, usando un pezzo di legno per guanciale; si nutriva di legumi e frutta, mangiava il pane due volte la settimana, mai la carne, beveva un po’ di vino solo a Natale e Pasqua.
La sua fama di santità cresceva enormemente e a lei per consigli e spiegazioni sul Vecchio e Nuovo Testamento, si rivolgevano sacerdoti, religiosi, predicatori e teologi.
Il 25 novembre 1535, festa di un’altra santa da lei amata fin dall’infanzia, s. Caterina d’Alessandria, le prime 28 giovani, furono ammesse nella “Compagnia delle dimesse di Sant’Orsola”, la cui Regola scritta da Angela Merici, fu approvata dal vicario generale del vescovo di Verona l’8 agosto 1536.
Successivamente nel 1544 papa Paolo III ne approvava la Regola, elevando la Compagnia a Istituto di diritto pontificio, permettendola così di uscire dai confini diocesani.
Nel 1537, la Compagnia aveva eletto, prima superiora a vita, maestra e tesoriera, la fondatrice Angela Merici, la quale oltre la Regola, aveva dettato al fedele Gabriele Cozzano, cancelliere della Compagnia, altre due brevi opere, i “Ricordi” per le ‘colonnelle’ cioè per le superiore di quartiere e il “Testamento” per le nobili matrone, dette anche ‘governatrici’, che avevano la funzione di amministrare e proteggere l’Istituto.

La sua morte – L’eredità spirituale
Nel 1539 Angela fu colpita da una malattia, che fra alti e bassi la condusse alla morte il 27 gennaio 1540; per trenta giorni, i canonici di Sant’Afra e quelli del Duomo, si contesero l’onore di seppellire nella propria chiesa, l’ex contadinella di Desenzano; la spuntarono quelli di sant’Afra e oggi la chiesa, dove riposano le sue spoglie, si chiama Santuario di Sant’Angela, meta di continui pellegrinaggi provenienti specialmente dal mondo orsolinico; la chiesa, distrutta in gran parte dai bombardamenti del 1945, è stata ricostruita nel 1953.
Nel testamento spirituale, Angela tratteggiò le linee essenziali del suo metodo educativo, basato tutto nel rapporto di sincero amore tra educatore ed educando e sul pieno rispetto delle libertà altrui.
Così lasciò scritto alle sue Orsoline: “Vi supplico di voler ricordare e tenere scolpite nella mente e nel cuore, tutte le vostre figliole ad una ad una; e non solo i loro nomi, ma ancora la condizione e indole e stato e ogni cosa loro. Il che non vi sarà difficile, se le abbracciate con viva carità… Impegnatevi a tirarle su con amore e con mano soave e dolce, è non imperiosamente e con asprezza, ma in tutto vogliate essere piacevoli.
Soprattutto guardatevi dal voler ottenere alcuna cosa per forza; perché Dio ha dato a ognuno il libero arbitrio e non vuole costringere nessuno, ma solamente propone, invita e consiglia…”.

Sugli altari
Nel 1568 furono raccolte le deposizioni di quattro testimoni che avevano conosciuto Angela, ma dovettero trascorrere altri due secoli, prima che un’orsolina claustrale di Roma, si facesse postulatrice della causa di beatificazione, ottenendo il decreto di conferma del culto come Beata, il 30 aprile 1768, da parte di papa Clemente XIII.
Il 24 maggio 1807, Angela Merici fu proclamata Santa da papa Pio VII e papa Pio IX nel 1861, ne estese il culto a tutta la Chiesa universale.
Una statua scolpita nel 1866 dallo scultore Pietro Galli, la ricorda nella Basilica di S. Pietro in Vaticano. Nella liturgia ebbe varie date di celebrazione, prima il 31 maggio, poi dal 1955 il 10 giugno e infine il 27 gennaio, giorno della sua morte.

La Congregazione delle Orsoline
La “Compagnia delle dimesse di sant’Orsola”, prima congregazione secolare femminile sorta nella Chiesa, con la sua Regola fu l’origine di varie congregazioni religiose.
Già in vita, Angela vedendo aumentare attorno a sé una famiglia così numerosa e avendo un desiderio grande di servire Cristo in ogni bisognoso, fondò ben 24 rami di Orsoline, dette poi anche ‘Angeline’, che dopo la sua morte furono raggruppate in tre soli settori: le “Orsoline secolari” che vivono nelle famiglie proprie e si dedicano ad ogni opera di misericordia nelle parrocchie in cui vivono; le “Orsoline collegiali” che conducono vita comune e si dedicano all’istruzione della gioventù, gestendo appunto dei collegi; le “Orsoline claustrali” che sono di vita contemplativa.
Tra le Congregazioni sorte sull’esempio della Compagnia di Sant’Orsola, ma con abiti e costumi diversi, ne ricordiamo alcune: Orsoline di San Carlo, sorte a Milano nel 1566; Orsoline di Sant’Orsola, più rami fondati in Francia tra il 1612 e 1632; Orsoline di Maria Immacolata, fondate a Piacenza nel 1649; Orsoline di Gesù o Figlie dell’Incarnazione, fondate in Vandea nel 1802; Orsoline Gerosolimitane di Maria Immacolata, sorte a Bergamo nel 1818; Orsoline Figlie di Maria Immacolata, sorte presso Acqui nel 1854; Orsoline del Sacro Cuore di Gesù Agonizzante fondate nel 1920; Orsoline del Sacro Cuore fondate a Parma nel 1575; Orsoline dell’Unione Romana sorte nel 1878; e tante altre anche di più recente fondazione.

Autore: Antonio Borrelli

Spunti bibliografici su Santa Angela Merici a cura di LibreriadelSanto.it

Mazzonis Querciolo, Spiritualità genere e identità nel..., Franco Angeli, 2007 - 224 pagine
Mariani Luciana, Rio M. Benedicte, Al soffio dello spirito. Angela Merici, Ancora, 2002 - 160 pagine
Merici Angela (santa), Regola ricordi legati. Testo antico e testo..., Queriniana Edizioni, 1976 - XXXVI-120 pagine
Altri suggeriment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06-06-06

 

 

 


Saint Angela Merici 
Also known as
Angela of Merici
Angela de Marici


Memorial
27 January
formerly 1 June
formerly 31 May


Profile

Franciscan tertiary at age 15. She received a vision telling her she would inspire devout women in their vocation.

In Crete, during a pilgrimage to Holy Land, she was struck blind. Her friends wanted to return home, but she insisted on going on, visiting the shrines with as much devotion and enthusiasm as if she had her sight. On the way home, while praying before a crucifix, her sight was restored at the same place where it had been lost.

In 1535 she gathered a group of girl students and began what would become the Institute of Saint Ursula (Ursuline Sisters), founded to teach children, beginning with religion and later expanding into secular topics; her first schools were in the Italian cities of Desenazno and Brescia.

Born
21 March 1474 at Desenzano, Lake Garda, Italy
Died
24 January 1540 at Brescia, Italy
interred in the church of Saint Afra, Brescia, Italy
body incorrupt
Beatified
30 April 1768 by Pope Clement XIII (cultus confirmation)
Canonized
24 May 1807 by Pope Pius VII


Patronage
against bodily ills
against illness
against sickness
against the death of parents
disabled people
handicapped people
physically challenged people
sick people


Representation
cloak
ladder


Additional Information
Book of Saints, by the Monks of Ramsgate
Catholic Encyclopedia, by Michael Ott
Catholic Online
For All The Saints, by Katherine Rabenstein
Hagiography Circle
Miniature Stories of the Saints, by Father Daniel A Lord, SJ
New Catholic Dictionary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by Matthew Bunson, Margaret Bunson, and Stephen Bunson
Patron Saints for Girls
The Saints: A concise Biographical Dictionary, by John Coulson
Wikipedia


Writings
Spiritual Testament


Readings

Disorder in society is the result of disorder in the family. - Saint Angela Merici

We must give alms. Charity wins souls and draws them to virtue. - Saint Angela Merici

As our Savior says: “A good tree is not able to produce bad fruit.” He says: A good tree, that is, a good heart as well as a soul on fire with charity, can do nothing but good and holy works. For this reason Saint Augustine said: “Love, and do what you will,” namely, possess love and charity and then do what you will. It is as if he had said: Charity is not able to sin. Mothers of children, even if they have a thousand, carry each and every one fixed in their hearts, and because of the strength of their love they do not forget any of them. In fact, it seems that the more children they have the more their love and care for each one is increased. Be sincerely kind to every one according to the words of our Lord: “Learn of me, for I am meek and humble of heart.” Thus you are imitating God, of whom it is said: “He has disposed all things pleasantly.” And again Jesus said: “My yoke is easy and my burden light.” - from Spiritual Testament by Saint Angela Merici

If according to times and needs you should be obliged to make fresh rules and change current things, do it with prudence and good advice. - Saint Angela Merici

MLA Citation

“Saint Angela Merici”. Saints.SQPN.com. 6 May 2012. Web. {today’s date}.

 

 


January 27
St. Angela Merici
1470-1540
Angela Merici was born in the year 1470 at Decenzano, northern Italy, on the banks of Lake Garda. Even as a child she served God very fervently. She so loved modesty and purity of heart that she was quite generally venerated as a little saint in her native town.

When she was in her 13th year she entered the Third Order of St. Francis, and soon afterward took the vow of perpetual chastity, renounced all her possessions, and wished to live only on alms. Along with this she practiced great austerities, slept on the bare earth, and fasted continuously on bread and water. Sometimes holy Communion was her only food over a period of several days.

When she was 23 years old, Angela was praying one day in a secluded place, and there she had a vision of a friend who had died a short while before. Her friend prophesied that Angela would be the foundress of a religious institute which would be devoted to the education of youth, and destined to do an unlimited amount of good for the kingdom of God. That proved to be a great incentive for Angela, not only to lead a life of contemplation, but also to serve her fellowmen in active work.

 She gathered about her a group of young women, and together they went out to give religious instruction to little children, to help the poor, and to care for the sick. Often there were great sinners among those to whom she ministered, and in such cases she did not cease instructing, entreating, and encouraging them until they were reconciled with God and began to lead a new life.

Her saintly conduct and the profound knowledge she had, concerning even the most difficult questions of theology, caused her to be greatly respected by high and low and to be regarded as a saint. In order to escape such honour, Angela left her native town of Decenzano in 1516, and went to Brescia, where a wealthy but pious merchant offered her a house. There she lived absorbed in God until the year 1524.

At that time Angela was seized with an ardent desire to visit the Holy Land, just as our holy Father St. Francis once was. She visited

 
 Jerusalem, Mt. Calvary, and the other holy places with uncommon devotion. She returned by way of Rome, in order to pray at the tombs of the apostles, and this gain the great jubilee indulgence. Pope Clement VII, who was not unaware of her sanctity, wished to detain her in Rome, and did not permit her to return to Brescia until he understood by divine inspiration that in Brescia lay the field of labour for which God had destined her.

Due to disturbances caused by war, Angela could not undertake her appointed work until 1531. On November 25, 1535, her pious society was founded as the religious congregation of St. Ursula, who was the special patron of their work. The congregation, known also as Ursulines, spread rapidly and is active in many countries, also in America, where its institutions for the Christian education of Feminine youth are blessed with much success. When Angela reached the age of 70, the day and hour of her death were revealed to her. She received the last sacraments with great fervour, and was rapt in ecstasy. While pronouncing the holy name of Jesus, she departed this life on January 27, 1540, in the very hour that had been foretold to her. She was laid out in the habit of the Third Order, holding in her hand the pilgrim’s staff she had used in the Holy Land. Thus she reposes in a side chapel of the parish church of St. Afa in Brescia. Pope Clement XIII beatified her, and on March 24, 1807, Pope Pius VII canonized her in St. Peter’s Church, Rome.
 

ON THE CONVERSION OF SINNERS
Consider that St. Angela, whose pure soul would have preferred to devote itself exclusively to the instruction of youth, did not disdain to interest herself for love of God in depraved human beings and great sinners, in order to convert them. As a matter of fact, there can be nothing more pleasing to God than to lead a sinner back to Him. Really, the reason why our heavenly Father sent His only-begotten Son into the world was, that no one should be lost, but that also should have eternal life through Him (John 3:16). The Son of God Himself declares: “I came not to call the just” --they do not need it-- “but sinners to penance” (Luke 5:32). If you can look with indifference on the ruination of sinners and not concern yourself at all with their conversion, then you do not truly love God, and you are not a good Christian, no matter how numerous are your pious practices.
Consider the great personal benefit you derive from interesting yourself in the conversion of sinners. First of all you will then have discharged your duty, especially if you have any responsibility in this matter, because the Prophet, writing of superiors, says: “But if you tell the wicked man that he may be converted from his wicked ways, and he be not converted from his way, he shall die in his iniquity, but you have delivered your soul!” (Ezech. 33:9). But if, by the grace of God, you have succeeded in converting a sinner, then you have acquired invaluable treasures for yourself, for St. James (5:20) writes: :He who causes a sinner to be converted from the error of his way, shall save his soul from death, and shall cover a multitude of sins.” -- What an incentive, especially for those who themselves have once walked the road of sin!
Consider by what means the sinner is converted. Not by corrections, sermons, and reproaches can one hope to achieve this end. If it is tried with bitterness and abusive words, it will serve only to make the sinner more set. A hearty, kind, and gentle word generally does more good than severity. St. Francis de Sales used to say: “One can catch more flies with a drop a honey than with a cask of vinegar.” But it is also necessary to pray fervently to God, “who inclines hearts as the divisions of waters” (Prov 21:1), and to invoke Mary’s intercession for the conversion of the soul. Mary is the Refuge of Sinners and the Mother of Mercy. Appeals to her most pure heart have resulted in the most astounding conversions. You will also find grace taking effect in a remarkable way if you aim to appease the divine justice for the sinner by means of works of penance. St. Francis Xavier used to do that. But the most effective appeal to the heart of the sinner is the example of a holy and perfect life, of love, patience, faithful performance of duty, and sincere piety, which we give him. In this way St. Angela converted sinners, St. Monica converted her husband and her son Augustine, and in the same way the sisters in hospitals, like real angels of mercy, still convert numerous souls to God. -- May St. Angela help us arrive ay the joys of heaven in this way ourselves and be instrumental in helping others get there too.
 

PRAYER OF THE CHURCH
O God, who through Blessed Angela didst cause a new company of holy virgins to grow up within Thy Church, grant us through her intercession to lead angelic lives, so that, renouncing all earthly joys, we may deserve to enjoy those that are eternal. Through Christ our Lord. Amen. .  
 

 

 

Angela de’Merici, OSU V (RM)

(also known as Angela of Brescia)

Born in Desenzano (near Lake Garda and Brescia), Lombardy, Italy, March 21, 1470 or 1474; died in Brescia, Italy, January 27, 1540; canonized 1807; feast day formerly on May 31.

 

"If any person, because of his state in life, cannot do without wealth and position, let him at least keep his heart empty of the love of them." --Saint Angela Merici.

 

 



741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