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월28일 성 베드로 놀라스코♬Salve Regina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1-28 ㅣ No.1591

 

축일:1월28일

성 베드로 놀라스코

St. Pedro Nolascus

Saint Peter Nolasco

1182 at Mas-des-Saintes-Puelles, near Castelnaudary, Languedoc, France

- 25 December 1258

Canonized: 30 September 1628 by Pope Urban VIII

Founder : Order of Our Lady of Mercy

 

 

프랑스의 귀족 가문 태생으로서, 15세 때에 부친과 사별하면서 막대한 유산을 상속받았다.

그 후 그는 바르셀로나로 가서 막대한 그의 재산들을

무어인들에게 잡힌 크리스챤 포로 석방 대속금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던 중에 그는 어떤 환시를 보고, 그 지시에 따라 크리스챤 노예 해방을 위한 수도회 창설을 결정하였다.

그는 성 페냐포르트의 라이몬드의 도움으로

"속량의 성모회" (Order of Our Lady of Mercy.메르세다리오회)를 창설한 것이다.

 

이 수도회는 아라곤의 왕 야고보의 지지와 더불어, 1235년에는 그리고리오 9세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이 회원들은 노예 석방을 위한 일은 무엇이든 서슴치 않았다.

그런 과감한 행동을 하던 베드로도 한때 포로생활을 하였는데 1628년에 시성되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페냐포르트의 성 라이문도 사제

축일:1월7일.

St. Raymond of Penyafort

San Raimondo de Penafort Sacerdote

1175 at Penafort, Catalonia, Spain

- 6 January 1275 at Barcelona, Spain

Canonized:29 April 1601 by Pope Clement VIII

 

스페인 카탈로니아의 페냐포르트 태생인 라이문도는 1222년에 도미니칸이 되었는데,

이때는 이미 바르셀로나와 볼로냐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또 설교한 경험이 풍부하였다.

 

1230년, 그는 로마로 초빙되었는데, 여기서 그는 교황청의 회의와 칙서 등을 소장하는 업무를 맡았고,

이것의 결과로 "숨마까수움" (Summa Casuum)이 발간되었다.

 

1236년, 스페인으로 돌아 온 라이문도는 2년 동안 총장직을 역임한 뒤,

모슬렘과 유대인의 개종을 위하여 헌신 노력하였다.

 

이 즈음에 그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를 격려하여

 "숨마 꼰뜨라 젠띨레스" (Summa Contra Gentiles)를 쓰게 하였으며,

아라비아어와 히브리어를 가르치는 학교를 세웠다.

 

또한 그는 성 베드로 놀라스꼬와 함께 "메르체다리오회"의 창설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는 100살 가까이 살았다고 한다.(인창동성당게시판1556번)

 

* 성 베드로 놀라스코의 축일과 성 토마스 아퀴나스(게시판1590번) 축일은 1월28일로 같다.

 

 

회교를 신봉하는 사라센들이 7세기 중엽부터 사방을 침략하고 8세기초에는 스페인까지 점령해

코르도바에 서울을 두고 대단한 세력을 부린 것은 서양사에서 우리가 읽어 이미 아는 일이다.

이때 가장 비참한 이들은 정복당한 스페인 인들과 그리스도교 신자들이었는데,

포악한 사라센의 노예로 학대받으며 죽음보다 더한 고통을 받으면서도

자유를 빼앗긴 약자로서는 도저히 어찌할 수가 없었다.

 

그 뒤 10세기 부터 12세기에 걸쳐서 그리스도교 나라들은 총 궐기해

사라센들을 격퇴시키고 이들을 남방으로 쫓아냈다.

그러나 포로가 된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비참한 운명에는 몇 분을 보내셨으니,

지금 여기에서 말하려하는 성 베드로 놀라스코도 그 중의 한 사람이었다.

 

 

메르세데의 성모 마리아(Beata Vergine Maria della Mercede)

축일:9월24일.게시판1381번.

 

그는 1182년 프랑스 남쪽의 루마 쌩 프에르라는 읍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기사(騎士)였으므로 그도 어려서부터 검술(劍術)이나 창술(槍術)을 배웠고,

학문은 베르나르도 수도원에서 배웠기 때문에 자연히 수사들로부터 좋은 감화를 받고

신심생활에 힘쓰는 바가 있었다.

 

15세때에 부친과 사별하면서 막대한 유산을 상속받은 그는 같은 기사가 될 바에야

예수 그리스도의 기사가 되려고 결심하고,

그 당시 반란을 일으킨 알비파 이단 토벌(討伐)의 십자군, 몽포르의 시몬 공작(公爵)의 부하로서 종군했는데

공작은 그의 우수한 재주를 알게되어 자기가 아라곤 왕으로부터 의탁받은 왕자의 교육을

베드로에게 의탁하게되었다.

 

그 뒤부터 왕자와 베드로 사이에는 절친한 교제가 시작되어, 뒷날 왕자가 야고보 1세라는 이름으로

왕위에 오른 때에도 그는 가끔 왕궁에 출입하며 왕이 사치하고 호화스러운 생활을 하는 것을 보고

하느님의 뜻과 백성의 사정에 소홀히 하지 않도록 훈계했다고 한다.

 

베드로가 사라센의 노에가 되어 있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비참한 상태를 알게 된 것은 이때였다.

그는 측은한 마음으로 그들을 구제하려고 결심하고,

그 일을 위해서는 자기의 재산은 물론 생명까지도 바치기를 사양치 않기로 결심했다.

 

그 뿐 아니라 베드로는 확실히 그 일에 관해 하늘로부터 명령을 받았다.

1218년 8월 1일, 성모께서 그에게 발현하시어

회교도의 노예가 된 그리스도교를 구출하는 수도원을 창설하라고 분부하셨다.

 

 

다음 날 그가 야고보 왕에게 가서 그 사실을 말하니 왕도 똑같이 그러한 성모의 명령을 받았다고 했다.

또한 조금전 부터 페냐포르트의 라이문도라는 성인도

왕에게 초대를 받아 아라곤에 와 있었는데 그분도 성모 마리아로 부터 같은 말씀을 받았다고 한다.

일이 이렇게 된 세 사람은 대단히 놀라며 바르셀로나의 주교 베렌가리오를 방문해 자세한 말씀을 여쭙고,

8월 15일을 기해 ’메르세데의 성모 마리아회’라는 새 수도원을 창립했다.

 

이보다 벌써 20년 전에 바르셀로나에서 기사 여러명이 역시 같은 목적을 위해 한 신심회를 세운 일이 있었는데

베드로 등은 그 회의 규율을 기초로 새로운 회칙을 작성하고 즉각 13인의 동료들을 얻을 수가 있었다.

이 수도원이 교황 그레고리오 9세의 인가를 얻은 해는 1235년이었다.

 

1212년 사라센들은 유명한 톨로사의 격전에서 패배해

거의 스페인에서 소탕 당하고 겨우 남쪽에 있는 그라나다를 지키고 있을 뿐이었다.

베드로는 수도원 창립 후 즉시 그 지방에 가서

불쌍한 노예 400명을 위해 대금을 내고 그들을 자유의 몸으로 풀어 주었다.

 

          Order of Our Lady of Mercy

 

그는 또한 "노예인 신자들에게 자유를 줘야 할 때,

만일 필요하다면 자신을 인질(人質)로 바칠 각오를 가져야 한다."라는

회칙의 제4서원에 따라 북부 아프리카에서 노예를 대신해 쇠사슬에 결박되어 투옥 당한 일도 있었다.

 

그때 사라센들은 그를 죽이려고 돛대도 키도 없는 작은 배에 태워 바다로 띄워 보냈다.

그러나 그는 다행히 하느님의 도우심으로 무사히 스페인의 발렌시아에 도착할 수가 있었다.

 

베드로는 그러한 고난과 피로와 노령으로 매우 몸이 허약해져서

수도원 총장직을 후임자에게 넘기고 수년간의 여생을 오로지 하느님께 대한 봉사와 보속으로 지냈다.

이와같이 세상에서 많은 공적을 세운 성인은 1256년,

마침 성탄절 밤에 세상을 떠나 천국에 들어가 영원한 행복을 누리게 되었다.

그는 1628년에 시성되었다.(대구대교구홈에서)

 

 

 

 

 

♬Canto Gregoriano-Salve Regina[Solemne]

 

 

 

 

 

 

 

 

 

 

 

 

 

 

 

 

 

 

 

 

 

 

 

 

 

 

 

 

 

 

 

 

PETER NOLASCO

 

Memorial

28 January; formerly 31 January

Profile

French nobility. Pious youth. His father died when Peter was fifteen, and he inherited a substantial fortune. When he came of age, he gave away his possessions and moved to Barcelona to avoid the Albigensian heretics. He later took part in the crusades against the Albigensians in southern France. Tutor to King James I of Aragon. Settled in Barcelona, Spain. Friend of Saint Raymond Penyafort. He used his large inheritence to ransom Christians held prisoner by the Moors. Founded the Order of Our Lady of Mercy (Mercedarians) beginning in 1218, an order devoted to ransoming Christians; the Order received papal approval in 1230. Peter twice served as a captive in Africa, winning the release of over 400 captives. In 1249, Peter retired from the Order to spend his remaining days in quiet prayer.

Born

1182 at Mas-des-Saintes-Puelles, near Castelnaudary, Languedoc, France

Died

25 December 1258

Canonized

30 September 1628 by Pope Urban VIII

 

 

 

Feast of Our Lady of Mercy

 

Also known as

Our Lady of Ransom

Memorial

24 September

Profile

Commemorates the foundation of the Mercedarian Order and the apparition of Our Lady of Ransom In this appearance she carried two bags of coins for use in ransoming Christians imprisoned by Moors. On 10 August 1218, the Mercedarian Order was legally constituted at Barcelona by King James of Aragon, and was approved by Pope Gregory IX on 17 January 1235. The Mercedarians celebrated their institution on the Sunday nearest to 1 August because it was on 1 August 1218 that the Blessed Virgin showed Saint Peter Nolasco the white habit of the Order. This custom was approved by the Congregation of Rites on 4 April 1615. On 22 February 1696 it was extended to the entire Latin Church, and the date changed to 24 September.

Patronage

Barcelona Spain, people named Clemency, Mercedes, Mercedez or Mercy

 

Order of Our Lady of Mercy

 

Also known as

Mercedarians; Mercedarian Friars

Founded

10 August 1218 at Barcelona, Spain

Founder

Saint Peter Nolasco

Description

Instituted to ransom Christian captives from the Moors of the Barbary Coast in the 13th century.



328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