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2008년~2009년)

Re:10월의 마지막 날

인쇄

윤미섭 [klaray] 쪽지 캡슐

2008-11-01 ㅣ No.591

 

  잊혀진 계절 - 이용

 
우우우우 우우우우
우-우- 우우우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 밤을
뜻 모를 이야기만 남긴 채
우리는 헤어졌지요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나를 울려요

우우우우 우우우우 우-우- 우우우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나를 울려요

잊혀진 계절 / 이용

 

구월의 마지막 밤
일찍이 "영원의 디딤돌"이란 시집을 출간하고도
이름 앞에 '시인'이란 타이틀보다는
'작사가'로만 알려져 왔던 박건호씨.
그가 가사를 쓰고
이범희씨가 곡을 붙인 "잊혀진 계절"은
이용씨가 불러 오늘날까지 널리 사랑받고 있는 노래이다.
그는 어느 해 가을 9월 부슬비가 내리는 밤이었다. 
술을 마시지 못하는 체질인 그가
두홉짜리 소주 한병을 거의 다 비운 것은
그동안 만났던 여성 가운데
유일하게 대화가 통했던 그녀와
헤어지기로 속마음을 다지고 나온 터였기에
그날 밤의 비는 더욱 공허했다고 한다.
만나면 항상 버릇처럼 '쓸쓸한 표정'을 짓는 그녀가
부담스러워지기 시작할 무렵
그는 '오늘밤 그녀와 헤어지면 다시는 만나지 않으리라'고
다짐하면서 대취했다는 것이다.
"이분 흑석동 종점에 내리게 해주세요..."
그녀는 취한 박건호씨를 버스에 태우며
안내양에게 이렇게 당부하더란다.
그러나 그는 다음 정거장에서 바로 내려 버렸다.
"여긴 흑석동이 아니에요."
안내양의 제지를 뿌리치고
그는 버스가 오던 길로 내달렸다.
뭔가 '할말'이 있는 것 같았다.
 아니, 말도 하지 않고 헤어진다는 것에
뭔가 죄를 짓는 것 같은 자책감도 들었다.
동대문에서 창신동으로 꺾어지는 지점쯤에서
우산을 쓰고 걸어가는 그녀의 뒷모습이 보였다.
급하게 뛰어온 그는 숨도 고르지 않은 채
그녀 앞으로 달려가 '마라톤 항의 전령'처럼 외쳤다.
"정아씨! 사랑해요."
그 한마디를 던지고 오던 길로 다시 뛰었다.
왠지 쑥스러웠고, 그녀의 그 다음 말이 두려웠다.
그것이 마지막이었다.
아쉬운 이별...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 밤을..
뜻 모를 이야기만 남긴 채 우리는 헤어졌지요...."
1982년 초가을 무렵,
박건호 씨는 '그날의 느낌'을 새겨 넣은 가사를
이범희씨에게 넘겼다.
그가 이 가사를 쓸 무렵은 
마음이 몹시도 춥고 외로웠다고....
그에겐 차라리 '잊고 싶은 계절'이었다고....
젊음의 열병과 
泳岵?시련.
그리고 현실적인 장벽이
그의 섬세한 감성을 한없이 짓밟았던 것이다.
이 노래는 당시
무명의 신인 가수였던 이용씨가 취입해
그를 부동의 스타로 올라서게 했고,
작사가였던 그에게는
그 해 KBS 가요대상(작사부문)과
가톨릭 가요대상(작사),
MBC최고 인기상 등
상이란 상을 모두 휩쓰는 영광을 안겨주었다.
'시월의 마지막 밤'은 
사실 구월의 마지막 밤 상황을
레코드 발매 시기에 근접시키느라
그렇게 꾸민 것이라고 합니다.
시월의 마지막 밤...

아련했던 사랑의 추억을 그리며
들어보시길...^^
 

 



131 1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