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사람에게 있는 분노와 질투는 원죄의 결과들 1035_질투vs시기 [성경해석][_cupidity][성경용어_사랑] 773_love 782_ 792_

인쇄

작성중입니다 [175.115.222.*]

2012-01-21 ㅣ No.1153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이번 글에서는, 영어로 "cupidity" 로 번역되는 라틴어 단어 "cupiditas"의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전통적 의미 혹은 정의(definition)에 대하여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1-1. 우선적으로, 다음은, 여러 지역 언어본 (여기에는 라틴어 포함)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index.htm

라틴어본
2259 Scriptura, in narratione occisionis Abel per Cain fratrem eius, 169 revelat, inde ab historiae humanae initiis, praesentiam, in homine, irae et cupiditatis, quae peccati originalis sunt consequentiae. Homo sui paris factus est inimicus. Deus declarat huius fratricidii nequitiam: « Quid fecisti? Vox sanguinis fratris tui clamat ad me de agro. Nunc igitur maledictus eris procul ab agro, qui aperuit os suum et suscepit sanguinem fratris tui de manu tua! » (Gn 4,10-11).

이탈리아어본
2259 La Scrittura, nel racconto dell’uccisione di Abele da parte del 401
fratello Caino,34 rivela, fin dagli inizi della storia umana, la presenza
nell’uomo della collera e della cupidigia, conseguenze del peccato originale. L’uomo è diventato il nemico del suo simile. Dio dichiara la scelleratezza di questo fratricidio: « Che hai fatto? La voce del sangue di tuo fratello grida a me dal suolo! Ora sii maledetto lungi da quel suolo che per opera della tua mano ha bevuto il sangue di tuo fratello »
(Gn 4,10-11).

스페인어본
2259 La Escritura, en el relato de la muerte de Abel a manos de su hermano Caín (cf Gn 4, 8-12), revela, desde los comienzos de la historia humana, la presencia en el hombre de la ira y la codicia, consecuencias del pecado original. El hombre se convirtió en el enemigo de sus semejantes. Dios manifiesta la maldad de este fratricidio: “¿Qué has hecho? Se oye la sangre de tu hermano clamar a mí desde el suelo. Pues bien: maldito seas, lejos de este suelo que abrió su boca para recibir de tu mano la sangre de tu hermano” (Gn 4, 10-11).

포르투칼어본
2259. A Sagrada Escritura, na narrativa da morte de Abel pelo seu irmão Caim (34), revela, desde os primórdios da história humana, a presença no homem da cólera e da inveja, consequências do pecado original. O homem tornou-se inimigo do seu semelhante. Deus denuncia a perversidade deste fratricídio: «Que fizeste? A voz do sangue do teu irmão clama da terra por Mim. De futuro, serás maldito sobre a terra, que abriu a sua boca para beber, da tua mão, o sangue do teu irmão» (Gn 4, 10?11).

프랑스어본
2259 L’Écriture, dans le récit du meurtre d’Abel par son frère Caïn (cf. Gn 4, 8-12), révèle, dès les débuts de l’histoire humaine, la présence dans l’homme de la colère et de la convoitise, conséquences du péché originel. L’homme est devenu l’ennemi de son semblable. Dieu dit la scélératesse de ce fratricide : " Qu’as-tu fait ? La voix du sang de ton frère crie vers moi. Maintenant donc maudit sois-tu de par le sol qui a ouvert sa bouche pour prendre de ta main le sang de ton frère " (Gn 4, 10-11).

영어본
2259 In the account of Abel's murder by his brother Cain,
57 Scripture reveals the presence of anger and envy in man, consequences of original sin, from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Man has become the enemy of his fellow man. God declares the wickedness of this fratricide: "What have you done? the voice of your brother's blood is crying to me from the ground. and now you are cursed from the ground, which has opened its mouth to receive your brother's blood from your hand."58

중국어본 (주: 일부 한자가 깨어지는 문제 때문에 필자가 괄호 안에 질투를 삽입하였다)
2259. 在亞伯爾被他的哥哥加音殺害的?述裡,聖經揭示了,自人類有史之初,由於原罪的遺毒,忿怒和嫉?(질투)就盤據在人的心中。人成了他同類的仇敵。天主譴責這殺害兄弟的惡行說:「?作了甚??聽!?弟弟的血由地上向我喊?。?現在是地上所?罵的人,地張口由?手中接收了?弟弟的血」(創4:10-11)。

우리말본
2259 성경은 형 카인이 아벨을 살해한 이야기에서, 34) 인류 역사의 시초부터 원죄의 결과인 분노와 욕망이 인간 안에 내재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하느님께서 형제 살해의 악랄함을 보고 말씀하셨듯이, 인간이 인간의 원수가 되었다. “네가 무슨 짓을 저질렀느냐? 들어 보아라. 네 아우의 피가 땅바닥에서 나에게 울부짖고 있다. 이제 너는 저주를 받아, 입을 벌려 네 손에서 네 아우의 피를 받아 낸 그 땅에서 쫓겨날 것이다” (창세4,10`-11)

-----
34. 창세 4,8-12 참조.
-----

게시자 주: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에서 "cupiditas" 가 여러 나라 지역 언어로 번역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의 문맥 안에서 "嫉?(질투, envy)" 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2. 다른 한 편으로, 이 항에서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을 직접 발췌 인용하고 있는, 1995년 3월 25일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회칙 [제목: EVANGELIUM VITAE] 제8항의 여러 지역 언어본들을 비교/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holy_father/john_paul_ii/
encyclicals/index_fr.htm


라틴어본
8 ... Superant Domini admonitionem invidia et ira sicque Cain adgreditur fratrem et necat. Legimus ideo in “Catholicae Ecclesiae Catechismo”: “Scriptura, in narranda Abel occisione a fratre Cain perpetrata, inde ab exordio humanae historiae ostendit in homine irae et cupiditatis praesentiam, peccatum originale consecutarum. Homo paris sui factus est inimicus” (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n. 2259).

이탈리아어본
8. ... Sull'ammonimento del Signore hanno il sopravvento la gelosia e l'ira, e così Caino s'avventa sul proprio fratello e lo uccide. Come leggiamo nel Catechismo della Chiesa Cattolica, «la Scrittura, nel racconto dell'uccisione di Abele da parte del fratello Caino, rivela, fin dagli inizi della storia umana, la presenza nell'uomo della collera e della cupidigia, conseguenze del peccato originale. L'uomo è diventato il nemico del suo simile».

스페인어본
8 ... Los celos y la ira prevalecen sobre la advertencia del Señor, y así Caín se lanza contra su hermano y lo mata. Como leemos en el
Catecismo de la Iglesia Católica, « la Escritura, en el relato de la muerte de Abel a manos de su hermano Caín, revela, desde los comienzos de la historia humana, la presencia en el hombre de la ira y la codicia, consecuencia del pecado original. El hombre se convirtió en el enemigo de sus semejantes ».

포르투칼어본
8 ... Sobre a advertência feita pelo Senhor, porém, levam a melhor o ciúme e a ira, e Caim atira-se contra o próprio irmão e mata-o. Como lemos no Catecismo da Igreja Católica, « a Sagrada Escritura, na narrativa da morte de Abel por seu irmão Caim, revela, desde os primórdios da história humana, a presença no homem da cólera e da inveja, consequências do pecado original. O homem tornou-se inimigo do seu semelhante ». 10

프랑스어본
8 ... La jalousie et la colère l'emportent sur l'avertissement du Seigneur, et c'est pourquoi Caïn se jette sur son frère et le tue. Comme on le lit dans le Catéchisme de l'Eglise catholique, « l'Ecriture, dans le récit du meurtre d'Abel par son frère Caïn, révèle, dès les débuts de l'histoire humaine, la présence dans l'homme de la colère et de la convoitise, conséquences du péché originel. L'homme est devenu l'ennemi de son semblable ». 10

영어본
8 ...  Envy and anger have the upper hand over the Lord's warning, and so Cain attacks his own brother and kills him. As we read in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In the account of Abel's murder by his brother Cain, Scripture reveals the presence of anger and envy in man, consequences of original sin, from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Man has become the enemy of his fellow man".
10

우리말본 (번역 오류)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8 ...
욕망과 분노가 주님의 경고보다 우세하였고, 그래서 카인은 자기 형제를 덮쳐 그를 죽입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 에서 보듯이“성경은 형 카인이 아벨을 살해한 이야기에서, 인류 역사의 시초부터 원죄의 결과인 분노와 욕망이 인간안에 내재하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 인간은 인간의 원수가 되었습니다.”... 10)

게시자 주: 이 회칙 제8항에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을 직접 발췌 인용하면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직접 구체적으로 나열하신 두 개는, 특히 라틴어본 회칙에서, invidia(질투) et ira(분노) 임을 대단히 분명하게 명기하고 계심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즉, 무슨 말씀인고 하면, 창세기 제4장의 문맥 안에서, 카인이 가졌던 것이 바로 invidia(질투) et ira(분노) 였던 것이지, 욕망과 분노가 아니었던 것임을 분명하게 밝히고 계십니다.

1-3. (중간 결론 1) 따라서, 위의 제1-1항제1-2항에 제시한 여러 지역 언어본들과의 정밀한 비교/검토로부터 우리는, 예를 들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의 문맥 안에서 영어로 "envy" 로 번역된 용어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2259항의 문맥 안에서 "욕망"으로 차용 번역된 것은 번역 오류임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욕망(desire)" 이라는 용어는,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으로, 예를 들어, "질투(envy)" 처럼 하느님께는 사용할 수 없는, 오로지 나쁜 의미만을 지니는 용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에서 "cupiditas" 가 심지어 중국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에서도, 욕망아니라, 또한 "嫉?(질투)" 로 번역되었음에 주목하십시오.

2.
2-1.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302항 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_P81.HTM

(발췌 시작)
라틴어본
2302 Dominus noster, praeceptum commemorans: « Non occides » (Mt 5,21), cordis postulat pacem et irae interfectricis atque odii immoralitatem denuntiat:

 

Ira est vindictae optatum. « Appetere vindictam propter malum eius qui puniendus est, illicitum est »: sed est laudabile reparationem imponere « propter vitiorum correctionem et bonum iustitiae conservandum ». 201 Si ira usque ad deliberatum perveniat optatum proximum occidendi vel serio vulnerandi, graviter contra caritatem offendit; peccatum est mortale. Dominus dicit: « Omnis qui irascitur fratri suo, reus erit iudicio » (Mt 5,22).

 

영어본
2302 By recalling the commandment, "You shall not kill,"93 our Lord asked for peace of heart and denounced murderous anger and hatred as immoral.

 

Anger is a desire for revenge. "To desire vengeance in order to do evil to someone who should be punished is illicit," but it is praiseworthy to impose restitution "to correct vices and maintain justice."94 If anger reaches the point of a deliberate desire to kill or seriously wound a neighbor, it is gravely against charity; it is a mortal sin. the Lord says, "Everyone who is angry with his brother shall be liable to judgment."95

 

2302 “살인해서는 안 된다.”(마태 5,21)라는 계명을 상기함으로써 우리의 주님께서는 심장의 평화를 초청하셨으며 그리고 살의를 품고 있는 분노와 증오를 비윤리적인 것으로서 비난하셨습니다.

분노(anger)는 보복(revenge)을 하고자 하는 어떤 욕망(a desire)입니다. "벌을 받아야 하는 어떤 자에게 악(evil)을 행하기 위하여 복수(vengeance)를 욕망하는(desire) 것은 윤리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나," 그러나 "악덕(vices)들을 교정하기 위하여 그리하여 정의(justice)를 유지하기 위하여" 회복(restitution)을 부과하는 것은 칭찬할 만합니다. 66) 만약에 분노가 어떤 이웃을 살해하기 위한 하거나 혹은 심각하게 해치기 위한 어떤 고의적 욕망의 상태에 도달한다면, 이 분노는 애덕(charity)에 중대하게 반하며, 그리하여 그것은 한 개의 죽음에 이르는 죄입니다. 주님께서는 "자기 형제에게 성을 내는 자는 누구나 재판에 넘겨질 것이다." (마태오 5,22) 라고 말씀하십니다.

-----
66. 성 토마스 데 아퀴노, 「신학 대전」 ,  2-2,  q.  158,  a.  1,  ad  3: Ed. Leon. 10, 273.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1) 여기를 클릭하면,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302항을 읽을 수 있는데, 각주 66) 의 위치는, 현재의 위치가 아니라, 해당 문장의 맨 마지막에 위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신학 대전의 해당 본문을 확인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2-2,  q.  158,  a.  1 <----- 여기를 클릭한 후에, ad 3, 즉, Reply to Objection 3 를 읽도록 하십시오.

(2) 따라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302항에 주어진 "분노(anger)"정의(definition)에 의하면, 분노(anger)욕망(desire)포함됩니다.

2-2. 질문 1: 여러분들 생각에, 이렇게 욕망(desire)에 포함되는 분노(anger)를 두고서,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에서 "the presence of anger and envy in man" 로 번역된 표현을,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에서, 용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 사이에 포함 관계가 있지 않은 "... 분노질투 ..." 대신에, 용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 사이에 포함 관계가 있는 "... 분노욕망 ... " 으로 번역한 것이,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의 내용 전달을 제대로 하고 있는 번역으로 생각되는지요?

질문 1에 대한 답변: (중간 결론 2)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에서 "... 분노욕망 ... " 으로 번역한 것이, 다른 지역 언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과 동일하지 않은 내용을 전달하는 한, 명백한 번역 오류라는 생각입니다.

게시자 주: 이상으로, 이 글의 전반부를 끝냅니다.

====================

궁금증 한 개: 그런데, 완전히 다른 한편으로 위의 제1-1항을 정밀하게 들여다 보면, 예를 들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을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과 정밀하게 비교/검토해 보면, 라틴어 단어 "cupiditas" 에 대응하는 영어 단어 "cupidity" 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의 주소에 있는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색인을 들여다 보면 직접 확인할 수 있듯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어디에서도 영어 단어 "cupidity" 를 라틴어 단어 "cupiditas" 에 대응하는 번역 용어로서 사용하고 있지 않음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FA4.HTM

(발췌 시작)
   21 culture
   17 cultures
    2 cum
   18 cup
    1 cura
    1 curbed
    5 cure
(이상, 발췌 끝).

질문 2: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어디에서도 "cupidity" 라는 영어 단어가,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라틴어 단어"cupiditas"에 대응하는 번역 용어로서, 사용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요?

질문 2에 대한 답변: 이 글의 두 번째 주제를 다루는 이 글의 나머지 부분이 질문 2가 사실은 대단히 유의미함을 제시하고, 그리하여, 결국에,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시할 것입니다.

3.
3-1.
질문 2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위의 제1-1항에서, 라틴어 단어 "cupiditas"의 번역 용어로서 선정된 각 지역 언어에 있어서의 해당 단어의 의미를 다음의 주소에 있는 언어 사전을 사용하여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 특히, 스페인어 "codicia" 의 설명으로부터 다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http://www.wordreference.com/es/en/translation.asp?spen=codicia

(발췌 시작)
 'codicia' found in these entries
In the Spanish description:
avaricia
English:
greed - greediness - Mammon - naked greed - cupidity - envy - gluttony - lust - meanness - lust for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이로써, 라틴어 "cupiditas"의 번역 용어인 스페인어 "codicia"가 영어로 상당히 다양한 종류의 나쁜 의미(bas sense)를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였습니다.

 

3-2.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여기를 클릭하면 <----- 필히 클릭하여 확인하십시오

세속의 라틴어 사전에 주어진 "cupiditas" 단어의 설명을 읽을 수 있는데, 처음부터 설명 자체가, 
(1) 선한 의미로(In a good sense),
(2) 나쁜 의미로(In a bad sense),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무슨 말씀인고 하면, 예를 들어,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영어 "cupidity" 를 세속의 영한 사전에서 찾아보면 "탐욕" 등의 나쁜 의미를 가진 번역 용어를 제시하고 있는데, 그러나 이 설명이 세속의 영어 "cupitidy" 의 어원인 세속의 라틴어 단어 "cupiditas" 의 의미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내용 교정/추가 일자: 2016년 2월 1일]
3-3. 그러나, 교회의 라틴어 단어 "cupiditas" 의 경우에는 나쁜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톨릭 교회가 적어도 6세기의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84, a4 참조(*)] 이후부터 전통적으로 가르쳐온 칠죄종(the seven capital sins)들 중에 "cupiditas"가, "cupidity"로 번역되는 대신에, "covetousness" 라고 번역되어, 포함되어 있음에 주목하십시오.

 

-----
(*) 번역자 주:
(1) 여기서 라틴어 "cupiditas"가, 영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에 의하여 정의된 그 자구적 어의(literal sense)인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love)", 즉, "하느님이 사랑받게 되지 않는 사랑", 즉, "애덕이 아닌 사랑"(#) 을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프랑스어본 신학 대전에서처럼, 영어 단어 "cupidity"로 직역 번역되는 대신에, "covetousness"로 번역된 것은, 비록 이 영어 단어의 어원이 라틴어 "cupiditas"임에도 불구하고, 보통 수준의 독자들이 성 아우구스티노에 의하여 정의된 그 자구적 어의를 연상하는 것을 상당히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영어권에서 이로부터 파생되는 개념적 혼란을 이미 야기해 왔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 번역자 주: 다음의 글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37.htm

-----

[이상, 내용 추가 끝]

 
4.
이번 항에서는,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cupiditas"와 이 단어가 원형인 단어들이 등장하는 항들과 여러 지역 언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의 해당 항들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 이외의 문맥 안에서는, "envy"로 번역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1) 따라서, 우선적으로,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 이외의 항들에서 라틴어 "cupiditas" 가 여러 지역 언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제2259항 이외의 항들에서 어떻게 번역되고 있는지에 근거하여,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에서 "욕망"으로 번역하였다면, 번역 오류일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는 이야기입니다.

(2) (중간 결론) 그리고 가톨릭 교회 용어인 라틴어 단어 "cupiditas"가, 여러 지역 언어들로 다양하게 번역되는, 어떤 단일의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일 수도 있음귀납적으로 추론(inductively reasoning)할 수 있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라틴어본 CCC 1607 cupiditatis
1607 Secundum fidem, haec inordinatio, quam modo doloroso percipimus, e viri et mulieris non provenit natura neque ex natura relationum eorum, sed ex peccato. Primum peccatum, abruptio a Deo, tamquam primam habet consequentiam abruptionem originalis communionis viri et mulieris. Eorum necessitudines mutuis detorquentur obiurgationibus; 243 eorum mutua attractio, proprium Creatoris donum, 244 in dominationis et cupiditatis mutatur relationes; 245 pulchra vocatio viri et mulieris ut fecundi sint, multiplicentur et terram subiiciant, 246 poenis gravatur partus et laboris ad panem obtinendum. 247

스페인어본 CCC 1607
1607 Según la fe, este desorden que constatamos dolorosamente, no se origina en la naturaleza del hombre y de la mujer, ni en la naturaleza de sus relaciones, sino en el pecado. El primer pecado, ruptura con Dios, tiene como consecuencia primera la ruptura de la comunión original entre el hombre y la mujer. Sus relaciones quedan distorsionadas por agravios recíprocos (cf Gn 3,12); su atractivo mutuo, don propio del creador (cf Gn 2,22), se cambia en relaciones de dominio y de concupiscencia (cf Gn 3,16); la hermosa vocación del hombre y de la mujer de ser fecundos, de multiplicarse y someter la tierra (cf Gn 1,28) queda sometida a los dolores del parto y los esfuerzos de ganar el pan (cf Gn 3,16-19).

이탈리아어본 CCC 1607
1607 Secondo la fede, questo disordine che noi constatiamo con dolore, non deriva dalla natura dell’uomo e della donna, né dalla natura delle loro relazioni, ma dal peccato. Rottura con Dio, il primo peccato ha come prima conseguenza la rottura della comunione originale dell’uomo e della donna. Le loro relazioni sono distorte da accuse reciproche; la loro mutua attrattiva, dono proprio del Creatore, si cambia in rapporti di dominio e di bramosia; la splendida vocazione dell’uomo e della donna ad essere fecondi, a moltiplicarsi e a soggiogare la terra è gravata dai dolori del parto e dalle fatiche del lavoro.

프랑스어본 CCC 1607
1607 Selon la foi, ce désordre que nous constatons douloureusement, ne vient pas de la naturede l’homme et de la femme, ni de la nature de leurs relations, mais du péché. Rupture avec Dieu, le premier péché a comme première conséquence la rupture de la communion originelle de l’homme et de la femme. Leurs relations sont distordues par des griefs réciproques (cf. Gn 3, 12) ; leur attrait mutuel, don propre du créateur (cf. Gn 2, 22), se change en rapports de domination et de convoitise (cf. Gn 3, 16 b) ; la belle vocation de l’homme et de la femme d’être féconds, de se multiplier et de soumettre la terre (cf. Gn 1, 28) est grevée des peines de l’enfantement et du gagne-pain (cf. Gn 3, 16-19).

영어본 CCC 1607
1607 According to faith the disorder we notice so painfully does not stem from the nature of man and woman, nor from the nature of their relations, but from sin. As a break with God, the first sin had for its first consequence the rupture of the original communion between man and woman. Their relations were distorted by mutual recriminations;96 their mutual attraction, the Creator's own gift, changed into a relationship of domination and lust;97 and the beautiful vocation of man and woman to be fruitful, multiply, and subdue the earth was burdened by the pain of childbirth and the toil of work.98
-----

라틴어본 CCC 2351 cupiditas
2351 Luxuria est inordinata cupiditas vel intemperans delectatio voluptatis venereae. Voluptas sexualis moraliter est inordinata, cum per se ipsam quaeritur, a procreationis et unionis dissociata finibus.

스페인어본 CCC 2351
2351 La lujuria es un deseo o un goce desordenados del placer venéreo. El placer sexual es moralmente desordenado cuando es buscado por sí mismo, separado de las finalidades de procreación y de unión.

이탈리아어본 CCC 2351
2351 La lussuria è un desiderio disordinato o una fruizione sregolata
del piacere venereo. Il piacere sessuale è moralmente disordinato quando
è ricercato per se stesso, al di fuori delle finalità di procreazione e
di unione.

프랑스어본 CCC 2351
2351 La luxure est un désir désordonné ou une jouissance déréglée du plaisir vénérien. Le plaisir sexuel est moralement désordonnée, quand il est recherché pour lui-même, isolé des finalités de procréation et d’union.

영어본 CCC 2351
2351 Lust is disordered desire for or inordinate enjoyment of sexual pleasure. Sexual pleasure is morally disordered when sought for itself, isolated from its procreative and unitive purposes.

게시자 주:
(1)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351항에서 "Luxuria est inordinata cupiditas[음욕은
과도(過度)한(inordinata) cupiditas] ..." 라는 표현이, 여러 지역 언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351항에서, "음욕(lust)은 과도(過度)욕망(disordered desire) ..." 이라고 번역되고 있음에 주목하십시오.

(2) (중간 결론) 따라서,
(i) 라틴어 단어 "cupiditas" 가, 세속에서 윤리적 악[즉, 죄(sin)]의 의미로(in a morally evil sense), 과도(過度)한 욕망(inordinate/disordered desires)들을 포함하는 어떤 단일의 개념을 나타냄을, 귀납적으로 추론(inductively reasoning)할 수 있습니다.
(ii) 그리고, 세속에서 윤리적 선의 의미로(in a morally good sense) 질서 바른 욕망(ordinate/ordered desires)들이 "cupitidas"에 포함될 수 없음라틴어본 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으로부터 알 수 있습니다.
-----

라틴어본 CCC 2391 cupiditatum
2391 Plures hodie speciem quamdam « iuris ad experimentum » tunc postulant, cum intentio habetur matrimonium contrahendi. Quaecumque est propositi firmitas eorum qui se his praematuris vinciuntur relationibus sexualibus, « hae iunctiones non sinunt, ut sinceritas ac fidelitas mutuae necessitudinis inter viri et mulieris personas in tuto ponantur, nec praesertim ut haec necessitudo a cupiditatum et arbitrii mobilitate protegatur ». 278 Unio carnalis moraliter est solummodo legitima, cum vitae definitivae inter virum et mulierem instaurata est communitas. Amor humanus « experimentum » non tolerat. Totale et definitivum exigit donum personarum inter se. 279

스페인어본 CCC 2391
2391 No pocos postulan hoy una especie de “unión a prueba” cuando existe intención de casarse. Cualquiera que sea la firmeza del propósito de los que se comprometen en relaciones sexuales prematuras, éstas “no garantizan que la sinceridad y la fidelidad de la relación interpersonal entre un hombre y una mujer queden aseguradas, y sobre todo protegidas, contra los vaivenes y las veleidades de las pasiones” (Congregación para la Doctrina de la Fe, Decl. Persona humana, 7). La unión carnal sólo es moralmente legítima cuando se ha instaurado una comunidad de vida definitiva entre el hombre y la mujer. El amor humano no tolera la “prueba”. Exige un don total y definitivo de las personas entre sí (cf FC 80).

이탈리아어본 CCC 2391
2391 Molti attualmente reclamano una specie di « diritto alla prova »
quando c’è intenzione di sposarsi. Qualunque sia la fermezza del proposito di coloro che si impegnano in rapporti sessuali prematuri, tali rapporti « non consentono di assicurare, nella sua sincerità e fedeltà, la relazione interpersonale di un uomo e di una donna, e specialmente di
proteggerla dalle fantasie e dai capricci ».143 L’unione carnale è moralmente legittima solo quando tra l’uomo e la donna si sia instaurata una comunità di vita definitiva. L’amore umano non ammette la « prova ».
Esige un dono totale e definitivo delle persone tra loro.

프랑스어본 CCC 2391
2391 Plusieurs réclament aujourd’hui une sorte de " droit à l’essai ", là où il existe une intention de se marier. Quelle que soit la fermeté du propos de ceux qui s’engagent dans des rapports sexuels prématurés, " ceux-ci ne permettent pas d’assurer dans sa sincérité et sa fidélité la relation interpersonnelle d’un homme et d’une femme, et notamment de les protéger contre les fantaisies et les caprices " (CDF, décl. " Persona humana " 7). L’union charnelle n’est moralement légitime que lorsque s’est instaurée une communauté de vie définitive entre l’homme et la femme. L’amour humain ne tolère pas l’ "essai ". Il exige un don total et définitif des personnes entre elles (cf. FC 80).

영어본 CCC 2391
2391 Some today claim a "right to a trial marriage" where there is an intention of getting married later. However firm the purpose of those who engage in premature sexual relations may be, "the fact is that such liaisons can scarcely ensure mutual sincerity and fidelity in a relationship between a man and a woman, nor, especially, can they protect it from inconstancy of desires or whim."183 Carnal union is morally legitimate only when a definitive community of life between a man and woman has been established. Human love does not tolerate "trial marriages." It demands a total and definitive gift of persons to one another.184
-----

라틴어본 CCC 2514 cupiditatis
2514 Sanctus Ioannes tres cupiditatis seu concupiscentiae distinguit species: concupiscentiam carnis, concupiscentiam oculorum et superbiam vitae. 388 Secundum catholicam catecheticam traditionem, nonum praeceptum concupiscentiam vetat carnalem; decimum concupiscentiam prohibet boni alieni.

스페인어본 CCC 2514
2514 San Juan distingue tres especies de codicia o concupiscencia: la concupiscencia de la carne, la concupiscencia de los ojos y la soberbia de la vida (cf 1 Jn 2, 16 [Vulgata]). Siguiendo la tradición catequética católica, el noveno mandamiento prohíbe la concupiscencia de la carne; el décimo prohíbe la codicia del bien ajeno.

이탈리아어본 CCC 2514
2514 San Giovanni distingue tre tipi di smodato desiderio o concupiscenza: la concupiscenza della carne, la concupiscenza degli occhi e la superbia della vita. Secondo la tradizione catechistica cattolica, il nono
comandamento proibisce la concupiscenza carnale; il decimo la concupiscenza dei beni altrui.

프랑스어본 CCC 2514
2514 S. Jean distingue trois espèces de convoitise ou de concupiscence : la convoitise de la chair, la convoitise des yeux et l’orgueil de la vie (cf. 1 Jn 2, 16 [Vulg.]). Suivant la tradition catéchétique catholique, le neuvième commandement proscrit la concupiscence charnelle ; le dixième interdit la convoitise du bien d’autrui.

영어본 CCC 2514
2514 St. John distinguishes three kinds of covetousness or concupiscence: lust of the flesh, lust of the eyes, and pride of life.300 In the Catholic catechetical tradition, the ninth commandment forbids carnal concupiscence; the tenth forbids coveting another's goods.

게시자 주:
(1) 라틴어본 및 여러 지역 언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514항에서, 라틴어 단어 "cupiditas"윤리적 악[즉, 죄(sin)]의 의미로(in a morally evil sense) 사용될 떄에 영어 단어
"covetousness[탐욕]" 으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중간 결론) 따라서, 우리는 교회 라틴어 단어인 "cupiditas" 가, 세속에서윤리적 악[즉, 죄(sin)]의 의미(a morally evil sense)를 포함하는 어떤 단일의 개념을 나태내는 단어임을 귀납적으로 추론(inductively reasoning)할 수 있습니다.
-----

라틴어본 CCC 2529 cupiditatem
2529 Nonum praeceptum contra cupiditatem seu concupiscentiam carnalem ad vigilantiam excitat.

스페인어본 CCC 2529
2529 El noveno mandamiento pone en guardia contra el desorden o concupiscencia de la carne.

이탈리아어본 CCC 2529
2529 Il nono comandamento mette in guardia dal desiderio smodato o
concupiscenza carnale.

프랑스어본 CCC 2529
2529 Le neuvième commandement met en garde contre la convoitise ou concupiscence charnelle.

영어본 CCC 2529
2529 The ninth commandment warns against lust or carnal concupiscence.
-----

라틴어본 CCC 2534 cupiditatem
2534 Decimum praeceptum explicat et complet nonum, quod ad carnis refertur concupiscentiam. Hoc boni alieni prohibet cupiditatem, radicem furti, rapinae et fraudis, quae septimum vetat praeceptum. « Concupiscentia oculorum » (1 Io 2,16) ad violentiam ducit et ad iniustitiam a quinto praecepto vetitas. 402 Cupiditas, sicut fornicatio, suam invenit originem in idololatria tribus primis praescriptionibus Legis prohibita. 403 Decimum praeceptum ad intentionem refertur cordis; ipsum, cum nono, omnia Legis praecepta compendiat.

스페인어본 CCC 2534
2534 El décimo mandamiento desdobla y completa el noveno, que versa sobre la concupiscencia de la carne. Prohíbe la codicia del bien ajeno, raíz del robo, de la rapiña y del fraude, prohibidos por el séptimo mandamiento. La “concupiscencia de los ojos” (cf 1 Jn 2, 16) lleva a la violencia y la injusticia prohibidas por el quinto precepto (cf Mi 2, 2). La codicia tiene su origen, como la fornicación, en la idolatría condenada en las tres primeras prescripciones de la ley (cf Sb 14, 12). El décimo mandamiento se refiere a la intención del corazón; resume, con el noveno, todos los preceptos de la Ley.

이탈리아어본 CCC 2534
2534 Il decimo comandamento sdoppia e completa il nono, che verte sulla concupiscenza della carne. Il decimo proibisce la cupidigia dei beni
altrui, che è la radice del furto, della rapina e della frode, vietati dal
settimo comandamento. « La concupiscenza degli occhi » (1 Gv 2,16)
porta alla violenza e all’ingiustizia, proibite dal quinto comandamento.
La bramosia, come la fornicazione, trova origine nell’idolatria vietata
nelle prime tre prescrizioni della Legge.268 Il decimo comandamento
riguarda l’intenzione del cuore; insieme con il nono riassume tutti i precetti della Legge.

프랑스어본 CCC 2534
2534 Le dixième commandement dédouble et complète le neuvième, qui porte sur la concupiscence de la chair. Il interdit la convoitise du bien d’autrui, racine du vol, de la rapine et de la fraude, que proscrit le septième commandement. La " convoitise des yeux " (cf. 1 Jn 2, 16) conduit à la violence et à l’injustice défendues par le cinquième précepte (cf. Mi 2, 2). La cupidité trouve son origine, comme la fornication, dans l’idolâtrie prohibée dans les trois premières prescriptions de la loi (cf. Sg 14, 12). Le dixième commandement porte sur l’intention du cœur ; il résume, avec le neuvième, tous les préceptes de la Loi.

영어본 CCC 2534
2534 The tenth commandment unfolds and completes the ninth, which is concerned with concupiscence of the flesh. It forbids coveting the goods of another, as the root of theft, robbery, and fraud, which the seventh commandment forbids. "Lust of the eyes" leads to the violence and injustice forbidden by the fifth commandment.318 Avarice, like fornication, originates in the idolatry prohibited by the first three prescriptions of the Law.319 The tenth commandment concerns the intentions of the heart; with the ninth, it summarizes all the precepts of the Law.
-----

라틴어본 CCC 2534 cupiditas

1. Cupiditatum inordinatio = The Disorder of Covetous Desires

스페인어본 CCC 2534


-----

라틴어본 CCC 2535 cupiendum
2535 Appetitus sensibilis nos ducit ad gratas desiderandas res, quas non habemus. Sic desiderare edere, cum quis fame laborat vel calefieri, cum quis alget. Haec desideria in se ipsis sunt bona; attamen saepe rationis non servant moderationem nosque impellunt ad iniuste cupiendum quod nobis non correspondet quodque ad alios pertinet vel eis debetur.

스페인어본 CCC 2535
2535 El apetito sensible nos impulsa a desear las cosas agradables que no poseemos. Así, desear comer cuando se tiene hambre, o calentarse cuando se tiene frío. Estos deseos son buenos en sí mismos; pero con frecuencia no guardan la medida de la razón y nos empujan a codiciar injustamente lo que no es nuestro y pertenece o es debido a otra persona.

이탈리아어본 CCC 2535
2535 L’appetito sensibile ci porta a desiderare le cose piacevoli che
non abbiamo. Così, quando si ha fame si desidera mangiare, quando si
ha freddo si desidera riscaldarsi. Tali desideri, in se stessi, sono buoni; ma spesso non restano nei limiti della ragione e ci spingono a bramare ingiustamente ciò che non ci spetta e appartiene, o è dovuto ad altri.

프랑스어본 CCC 2535
2535 L’appétit sensible nous porte à désirer les choses agréables que nous n’avons pas. Ainsi désirer manger quand on a faim, ou se chauffer quand on a froid. Ces désirs sont bons en eux-mêmes ; mais souvent ils ne gardent pas la mesure de la raison et nous poussent à convoiter injustement ce qui ne nous revient pas et appartient, ou est dû, à autrui.

영어본 CCC 2535
2535 The sensitive appetite leads us to desire pleasant things we do not have, e.g., the desire to eat when we are hungry or to warm ourselves when we are cold. These desires are good in themselves; but often they exceed the limits of reason and drive us to covet unjustly what is not ours and belongs to another or is owed to him.
-----

라틴어본 CCC 2536 cupiditatem

스페인어본 CCC 2536

-----

라틴어본 CCC 2536 cupiditatis
2536 Decimum praeceptum aviditatem vetat et desiderium appropriationis bonorum terrestrium sine mensura; inordinatam prohibet cupiditatem natam ab immoderata passione divitiarum earumque potentiae. Etiam desiderium interdicit committendi iniustitiam per quam proximo damnum in eius bonis inferretur temporalibus:

« Cum Lege ita caveatur: Non concupisces, haec verba ad eum sensum referuntur, ut nostras cupiditates a rebus alienis cohibeamus. Alienarum enim rerum cupiditatis sitis immensa est atque infinita, neque unquam satiatur, ut scriptum est: Avarus non implebitur pecunia (Eccle 5,9) ». 

스페인어본 CCC 2536
2536 El décimo mandamiento prohíbe la avaricia y el deseo de una apropiación inmoderada de los bienes terrenos. Prohíbe el deseo desordenado nacido de la pasión inmoderada de las riquezas y de su poder. Prohíbe también el deseo de cometer una injusticia mediante la cual se dañaría al prójimo en sus bienes temporales:

«Cuando la Ley nos dice: No codiciarás, nos dice, en otros términos, que apartemos nuestros deseos de todo lo que no nos pertenece. Porque la sed codiciosa de los bienes del prójimo es inmensa, infinita y jamás saciada, como está escrito: El ojo del avaro no se satisface con su suerte (Qo 14, 9)» (Catecismo Romano, 3, 10, 13).

이탈리아어본 CCC 2536
2536 Il decimo comandamento proibisce l’avidità e il desiderio di
2445 appropriarsi senza misura dei beni terreni; vieta la cupidigia sregolata, generata dalla smodata brama delle ricchezze e del potere in esse insito. Proibisce anche il desiderio di commettere un’ingiustizia, con la quale si danneggerebbe il prossimo nei suoi beni temporali:

     « La formula: Non desiderare è come un avvertimento generale che ci
     spinge a moderare il desiderio e l’avidità delle cose altrui.
     C’è infatti in noi una latente sete di cupidigia per tutto ciò che
     non è nostro; sete mai sazia, di cui la Sacra Scrittura scrive:
     L’avaro non sarà mai sazio del suo denaro (Qo 5,9) ».

프랑스어본 CCC 2536 
2536 Le dixième commandement proscrit l’avidité et le désir d’une appropriation sans mesure des biens terrestres ; il défend la cupidité déréglée née de la passion immodérée des richesses et de leur puissance. Il interdit encore le désir de commettre une injustice par laquelle on nuirait au prochain dans ses biens temporels :

Quand la Loi nous dit : " Vous ne convoiterez point ", elle nous dit, en d’autres termes, d’éloigner nos désirs de tout ce qui ne nous appartient pas. Car la soif du bien du prochain est immense, infinie et jamais rassasiée, ainsi qu’il est écrit : " L’avare ne sera jamais rassasié d’argent " (Si 5, 9) (Catech. R. 3, 37).

영어본 CCC 2536

2536 The tenth commandment forbids greed and the desire to amass earthly goods without limit. It forbids avarice arising from a passion for riches and their attendant power. It also forbids the desire to commit injustice by harming our neighbor in his temporal goods:
 
When the Law says, "You shall not covet," these words mean that we should banish our desires for whatever does not belong to us. Our thirst for another's goods is immense, infinite, never quenched. Thus it is written: "He who loves money never has money enough."

-----

라틴어본 CCC 2537 cupiditatis
2537 Hoc praeceptum non violatur desiderando res obtinere quae ad proximum pertinent, dummodo id iustis sit mediis. Traditionalis catechesis cum sensu realitatis indicat illos « qui prae ceteris hoc cupiditatis vitio laborant » et quos proinde oportet « ad colendum hoc praeceptum diligentius cohortari »:

« illi sunt [...] mercatores [...], qui rerum penuriam annonaeque caritatem expetunt, atque id aegre ferunt, ut alii praeter ipsos sint qui vendant aut emant, quo carius vendere aut vilius emere ipsi possint; qua in re item peccant, qui alios egere cupiunt, ut aut vendendo aut emendo ipsi lucrentur. [...] Medici item qui morbos desiderant; iure consulti qui causarum litiumque vim copiamque concupiscunt... ».

스페인어본 CCC  2537
2537 No se quebranta este mandamiento deseando obtener cosas que pertenecen al prójimo siempre que sea por medios justos. La catequesis tradicional señala con realismo “quiénes son los que más deben luchar contra sus codicias pecaminosas” y a los que, por tanto, es preciso “exhortar más a observar este precepto”:

«Hay [...] comerciantes [...] que desean la escasez y la carestía de las mercancías, y no soportan que otros, además de ellos, compren y vendan, porque ellos podrían comprar más barato y vender más caro; también pecan aquellos que desean que sus semejantes estén en la miseria para ellos enriquecerse comprando y vendiendo [...]. También hay médicos que desean que haya enfermos; y abogados que anhelan causas y procesos numerosos y sustanciosos...» (Catecismo Romano, 3, 10, 23).

이탈리아어본 CCC 2537
2537 Non si trasgredisce questo comandamento desiderando ottenere
cose che appartengono al prossimo, purché ciò avvenga con giusti mezzi.
La catechesi tradizionale indica con realismo « coloro che maggiormente
devono lottare contro le cupidigie peccaminose » e che, dunque,
« devono con più insistenza essere esortati ad osservare questo comandamento»:

     « Sono, cioè, quei commercianti e quegli approvvigionatori di
     mercati che aspettano la scarsità delle merci e la carestia per 
     trarne un profitto con accaparramenti e speculazioni; [...] quei
     medici che aspettano con ansia le malattie; quegli avvocati e
     magistrati desiderosi di cause e di liti... ».

프랑스어본 CCC 2537
2537 Ce n’est pas violer ce commandement que de désirer obtenir des choses qui appartiennent au prochain, pourvu que ce soit par de justes moyens. La catéchèse traditionnelle indique avec réalisme " ceux qui ont le plus à lutter contre leurs convoitises criminelles " et qu’il faut donc " le plus exhorter à observer ce précepte " :

Ce sont ... les marchands qui désirent la disette ou la cherté des marchandises, qui voient avec chagrin qu’ils ne sont pas les seuls pour acheter et pour vendre, ce qui leur permettrait de vendre plus cher et d’acheter à plus bas prix ; ceux qui souhaitent que leurs semblables soient dans la misère, afin de réaliser du profit, soit en leur vendant, soit en leur achetant ... Les médecins qui désirent des malades ; les hommes de loi qui réclament des causes et des procès importants et nombreux ... (Catech. R. 3, 37).

영어본 CCC 2537

2537 It is not a violation of this commandment to desire to obtain things that belong to one's neighbor, provided this is done by just means. Traditional catechesis realistically mentions "those who have a harder struggle against their criminal desires" and so who "must be urged the more to keep this commandment":
 
. . . merchants who desire scarcity and rising prices, who cannot bear not to be the only ones buying and selling so that they themselves can sell more dearly and buy more cheaply; those who hope that their peers will be impoverished, in order to realize a profit either by selling to them or buying from them . . . physicians who wish disease to spread; lawyers who are eager for many important cases and trials.

-----

라틴어본 CCC 2552 cupiditatem
2552 Decimum praeceptum inordinatam prohibet cupiditatem, ab immoderata passione divitiarum earumque potentiae natam.

스페인어본 CCC 2552
2552 El décimo mandamiento prohíbe el deseo desordenado, nacido de la pasión inmoderada de las riquezas y del poder. 

 

이탈리아어본 CCC 2552
2552 Il decimo comandamento proibisce la sfrenata cupidigia, generata
dalla brama smodata delle ricchezze e del potere insito in esse.

프랑스어본 CCC 2552
2552 Le dixième commandement défend la cupidité déréglée, née de la passion immodérée des richesses et de leur puissance.

영어본 CCC 2552
2552 The tenth commandment forbids avarice arising from a passion for riches and their attendant power.
----------

5.
5-1.
위의 제4항에서 고찰한 바로부터, 우리는 다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cupiditas" 와 그 격 변화형들이, 여러 지역 언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해당 항에 있어서의 전후 문맥에 따라, "envy", "lust", "avarice", "covetousness", "disordered desire" 등으로 번역되었습니다.

5-2. 따라서, 우리는 교회 라틴어 "cupiditas""envy", "lust", "avarice", "covetousness", "disordered desire"등의 의미를 포함하는,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에 있어서의 한 개의 개념(a concept)을 나타내는 용어임을, 귀납적으로 추론하여(inductively reason), 결론 내립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6년 2월 1일]

"cupiditas(탐욕, cupidity, covetousness)는 모든 윤리적 악(즉, 죄)의 뿌리(the root of all sins)"라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다음에 있는, 신학 대전 Ia, IIae, a84에서 가르치고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5.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6.
이제 남은 것은, 위의 제5-2항에서의 귀납적 추론의 결과의 진위 여부이며, 이번 항부터 이에 대하여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위의 제5-2항에 나열된 용어들의 의미들과 그리고 이들 의미들 사이의 차이점들에 대하여 이번 항에서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6-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upidity" (라틴어 "cupiditas"에 대응하는 영어 단어)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게시자 주: 이 설명은, 비록 두 번째 문장에서 그 무엇을 말하고 있기는 하나, 그러나 위의 제5-2항에서 귀납적으로 도출한 결론의 진위를 밝히는 데에 여전히 별로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2908

(발췌 시작)
CUPIDITY

Avarice or greed. It stresses the intensity and compelling nature of the desire for wealth or possessions. (Etym. Latin cupiditas, greediness, desire, covetousness; Cupid, god of love.) 

 

탐욕(avarice) 혹은 큰 욕심(greed)를 말합니다. 이 욕망은 부(wealth) 혹은 소유물(possessions)들에 대한 전념(intensity) 및 강요하는 본성(compelling nature)을 강조합니다 [어원. Latin cupiditas, greediness, desire, covetousness; Cupid, god of love.]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varic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2046

(발췌 시작)
AVARICE

An excessive or insatiable desire for money or material things. In its strict sense, avarice is the inordinate holding on to possessions or riches instead of using these material things for some worthwhile purpose. Reluctance to let go of what a person owns is also avarice.

 

탐욕(avarice)

 

금전 혹은 물질적인 사물들에 대한 과도한 혹은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desire)을 말합니다. 그 엄밀한 의미에 있어, 탐욕(avarice)은 소유물들 혹은 재물(riches)들에, 이들 물질적 사물들을 어떤 가치있는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 대신에, 과도(過度)하게 매달리는 것(the inordinate holding on)을 말합니다. 한 인격이 소유하고 있는 바를 놓아주는 것을 꺼리는 것도 또한 탐욕입니다.

Of itself, avarice is venially sinful. But it may become mortal when a person is ready to use gravely unlawful means to acquire or hold on to his possessions, or when because of his cupidity he seriously violates his duty of justice or charity. (Etym. Latin avaritia, greediness, covetousness, avarice.)

 

그 자체로, 탐욕(avarice)는 소죄적으로 죄가 있습니다(venially sinful). 그러나 이 욕망은, 한 인격이 자신의 소유물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혹은 자신의 소유물들에 매달리기 위하여 중대하게 불법적인 수단을 기꺼이 사용하고자 할 때에, 혹은 자신의 cupidity 때문에 당사자가 정의(justice, 의덕) 혹은 애덕(charity, 사랑)에 대한 자신의 의무를 심각하게 위반할 때에, 죽음에 이르는 죄(대죄)가 될 수도 있습니다. [어원. Latin avaritia, greediness, covetousness, avarice.]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greed"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3817

(발췌 시작)
GREED

 

Avarice or cupidity. It implies a controlling passion for wealth or possessions and suggests not so much a strong as an inordinate desire and is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lust for power.

 

큰 욕심(greed)

[비 원초적] 탐욕(avarice) 혹은 [원초적] 탐욕(cupidity)을 말합니다.
이 욕망은 부(wealth) 혹은 소유물(possessions)들에 대한 어떤 통제하는 정(情)(a controlling passion)을 뜻하며 그리고 어떤 과도(過度)한 욕망(an inordinate desire)처럼 그리 강렬한 욕망을 암시하지는 않으며 그리고 이 욕망은 권력에 대한 갈망(lust)과 통상적으로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4.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ovetousness"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2854
(발췌 시작)
COVETOUSNESS

 

A strong desire for possessions, especially material possessions. It implies that the desire is inordinate, with allusion to the prohibition in the Ten Commandments not to covet what belongs to someone else. Often synonymous with avarice, although referring more to the wrongfulness of the desire for possession and less (as in avarice) to its eagerness or intensity.

 

탐욕(covetousness)

소유물(possessions)들, 특별히 물질적 소유물들을 얻기 위한 어떤 강한 욕망(a strong desire for)을 말합니다.
이 욕망은, 다른 이에게 속하는 바를 탐내지 말라는 십계명의 열 번째 계명에 있는 금지에 대한 암시(allusion)와 함께, 이 욕망이 과도(過度)하다는(inordinate) 것을 뜻합니다. [이 욕망이], 비록 소유물에 대한 욕망(desire)의 위법성(wrongfulness)에 대한 더 많은 언급이고 그리고 [탐욕(avarice)에서처럼] 그 열망(eagerness) 혹은 전념(intensity)에 대한 더 적은 언급임에도 불구하고, 자주 탐욕(avarice)과 동의어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5.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lust"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4672

(발췌 시작)
LUST

An inordinate desire for or enjoyment of sexual pleasure. The desires or acts are inordinate when they do not conform to the divinely ordained purpose of sexual pleasure, which is to foster the mutual love of husband and wife and, according to the dispositions of providence, to procreate and educate their children. (Etym. Anglo-Saxon lut, pleasure.)

 

음욕(lust)

성적 즐거움에 대한 과도(過度)한(inordinate) 욕망(desire) 혹은 성적 즐거움의 과도(過度)한(inordinate) 향유(enjoyment)를 말합니다. 욕망들 혹은 행위들은 그들이 하느님에 의하여 명해진 성적 즐거움의 목적에 합치하지 않을 때에 과도(過度)한 것인데, 이 목적은 남편과 아내의 상호 사랑을 육성하여, 그리하여, 섭리의 성향들에 따라, 그들의 자녀들을 낳고 그리고 교육하는 것입니다. [어원. Anglo-Saxon lut, pleasure.]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5. 특히,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covetousness"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의 첫 부분에서 발췌한 것인데, 상당히 유의미하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4462a.htm

(발췌 시작)
Covetousness

Generally, an unreasonable desire for what we do not possess. In this sense, it differs from concupiscence only in the implied notion of non-possession, and thus may cover all things which are sought after inordinately. Classified under this general head, we may have covetousness of honours, or pride; of the flesh, or concupiscence properly so called; of riches, or covetousness proper (Latin avaritia), or avarice.

탐욕(covetousness, cupiditas, cupidity)

일반적으로, 우리가 지니지 못한 바에 대한 어떤 이성적이 아닌 욕망(an unreasonable desire)을 말합니다.
바로 이러한 의미에 있어, 이 욕망은 소유권의 결여(non-possession)라는 암시된 개념(implied notion)에 있어만 오로지 사욕편정(欲偏情)(사욕, concupiscence)과 서로 다르며, 그리하여 그 결과 과도(過度)하게(inordiately) 추구하게 되는 사물들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일반적인 표제 아래에서 분류되어, 우리는 명예(honours)들에 대한 탐욕, 혹은 교만(pride); 그리고 육(the flesh)에 대한 탐욕, 혹은 그렇게 고유하게 불리는 사욕편정(欲偏情)(concupiscence properly so called); 그리고 재물(riches)에 대한 탐욕, 혹은 고유한 탐욕(covetousness proper) (라틴어 avaritia), 혹은 탐욕(avarice)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6년 2월 2일]

(*) 번역자 주: "교만(pride)"은 "모든 죄들의 시작"이므로(집회 10,13(15), 여기서 말하는 "교만"은 ["교만"의 한 형상(a form)인] "허영(vainglory)"를 말할 것입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있는 신학 대전 Ia, IIae, a84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5.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기왕에, 위의 제6-2항부터 제6-5항에 걸쳐, 위의 제5-2항에서 나열되었던 용어들의 의미들과 이들 의미들의 차이점들 등에 대하여 함께 고찰하였습니다.

7.
질문 3:
만약에 위의 제6항에서 설명되고 있는 개념들 모두를 포함하는 한 개의 개념이 라틴어 "cupiditas"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이라고 한다면, 이 개념의 정의(definition)는 그것은 무엇인지요?

질문 3에 대한 답변 시작: 필자가 그동안 들여다본 결과에 의하면,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지금까지 이 글에서 언급된 신뢰할 수 있는 최근의 문헌들 어디에도 없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이 질문 3에 대한 답변은,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참 진리들인 신앙의 유산(the deposit of faith)을 보존하여 전달하는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의 핵심 문헌들 중의 하나인 Denzinger에서, 비로소 필자가 오로지 찾아낼 수가 있었다는 생각이며, 기나긴 세월 속에서도 변함없이 그 역할에 충실해 온 가톨릭 보편 교회의 교도권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지금부터, 시간적으로 거꾸로 올라가면서, Denzinger에 기록되어 있는 "cupiditas" 라는 라틴어 단어가 등장하는 교도권의 가르침들을 함께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7-1. 1713년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pt/f4i.htm
Clément XI, Const. 'Unigenitus Dei Filius', 8 septembre 1713;
Errores iansenistici Paschasii Quesnel

DS 2445 1395 45. Amore Dei in corde peccatorum non amplius regnante necesse est, ut in eo carnalis regnet cupiditas omnesque actiones eius corrumpat. - Lc 15, 13: ed. 1693.

DS 2446 1396 46. Cupiditas aut caritas usum sensuum bonum vel malum faciunt. - Mt 5, 28.
(이상, 라틴어본)
-----
(이하, 영어본)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dmb.htm#kw
CLEMENT XI 1700-1721
[Condemned in the dogmatic Constitution, "Unigenitus," * Sept. 8, 1713]

DS 1395 45. When love of God no longer reigns in the heart of sinners, it needs must be that carnal desire reign in it and corrupt all of its actions.

DS 1395 45. 하느님의 사랑(love of God)이 죄인들의 심장 안에서 더 이상 통치하지 않을 때에, 그 안에서 육적인 욕망(carnal desire)이 통치하며 그리고 그 행위들 모두를 타락시킨다. (얀센주의자들의 주장인 단죄 받은 오류)

 

DS 1396 46. Cupidity or charity makes the use of the senses good or evil.

DS 1396 46. Cupidity 혹은 애덕(charity)은 감각 기관(the senses)들의 사용을 선 혹은 악으로 만든다. (얀센주의자들의 주장인 단죄 받은 오류)

7-2. 1567년
http://www.catho.org/9.php?d=bx5#chn
Saint Pie V, Bulla 'Ex omnibus afflictionibus', 1 octobre 1567;
Errores Michaelis Baii de hominis natura et de gratia

DS 1938 1038 38. Omnis amor creaturae rationalis aut vitiosa est cupiditas, qua mundus diligitur, quae a Iohanne prohibetur, aut laudabilis illa caritas, qua 'per Spiritum Sanctum in corde diffusa' (Rom 5,5) Deus amatur.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dl5.htm
ST. PIUS V 1566-1572
Errors of Michael du Bay (BAII) *
[Condemned in the Bull "Ex omnibus afflictionibus," Oct. 1, 1567]
(이상, 라틴어본)
-----


(이하, 영어본)
DS 1038 [라틴어본 DS 1938] 38. All love of a rational creature is either vicious cupidity, by which the world is loved, which is prohibited by John; or that praiseworthy charity by which "when poured forth" by the Holy Spirit in our heart (Rm 5,5), God is loved.

DS 1038[라틴어본 DS 1938] 38 어떤 이성적 피조물의 사랑(love) 모두는, 그것에 의하여 세상(the world)이 사랑받게 되는, 요한(John)에 의하여 금지된, 악덕인 것인(vicious) cupidity[즉, coveteousness, 탐욕], 혹은 그것에 의하여 우리의 심장 안에 성령에 의하여 "쏟아부어졌을 때에" 하느님(God)께서 사랑받게 되는(로마 5,5) 바로 그 칭찬할 만한 것인(praisworthy) 애덕(charity, 사랑), 이들 둘 중의 하나입니다. (단죄 받은 오류)
(이상, 우리말 번역 끝).

7-3.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24, a3에서 발췌] 

출처: http://www.newadvent.org/summa/3186.htm#article3

(발췌 시작)
On the contrary, Gregory says (Moral. viii, 26): "There are some of the righteous who bracing themselves up to lay hold of the very height of perfection, while they aim at higher objects within, abandon all things without." Now, as stated above, (1 and 2), it belongs properly to religious to brace themselves up in order to lay hold of the very height of perfection. Therefore it belongs to them to abandon all outward things by voluntary poverty.

 

I answer that, As stated above (Article 2), the religious state is an exercise and a school for attaining to the perfection of charity. For this it is necessary that a man wholly withdraw his affections from worldly things; since Augustine says (Confess. x, 29), speaking to God: "Too little doth he love Thee, who loves anything with Thee, which he loveth not for Thee." Wherefore he says (QQ. lxxxiii, qu. 36) that "greater charity means less cupidity, perfect charity means no cupidity." Now the possession of worldly things draws a man's mind to the love of them: hence Augustine says (Ep. xxxi ad Paulin. et Theras.) that "we are more firmly attached to earthly things when we have them than when we desire them: since why did that young man go away sad, save because he had great wealth? For it is one thing not to wish to lay hold of what one has not, and another to renounce what one already has; the former are rejected as foreign to us, the latter are cut off as a limb." And Chrysostom says (Hom. lxiii in Matth.) that "the possession of wealth kindles a greater flame and the desire for it becomes stronger."

 

Hence it is that in the attainment of the perfection of charity the first foundation is voluntary poverty, whereby a man lives without property of his own, according to the saying of our Lord (Matthew 19:21), "If thou wilt be perfect, go, sell all [Vulgate: 'what'] thou hast, and give to the poor . . . and come, follow Me."
(이상, 게시자 주 끝).

7-4. 529년 (반 벨라지우스 이단을 단죄한 오랑주 공의회 II)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de/enk.htm
Concile d'Orange II, commencé le 3 juillet 529

DS 387 190 Can. 17. 'De fortitudine christiana. Fortitudinem Gentilium mundana cupiditas, fortitudinem autem Christianorum Dei caritas facit, quae diffusa est in cordibus nostris', non per voluntatis arbitrium, quod est a nobis, sed 'per Spiritum Sanctum, qui datus est nobis' (Rom 5, 5)'.
(이상, 라틴어본)
-----
(이하, 영어본)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dls.htm#c3
COUNCIL OF ORANGE II 529 *
Confirmed by Boniface II (against the Semipelagians)
Original Sin, Grace, Predestination *

DS 190 Can. 17. "Worldly desire creates the fortitude of the Gentiles, but the charity of God, which is diffused in our hearts, not by free will, which is from us, but by the Holy Spirit, which is given to us (Rom. ) produces the fortitude of the Christians" [St. Prosper].*


190 Can 17. "세속적인 욕망(worldly desire)은 이방인(Gentiles)들의 굳셈(strength)을 창조하나, 그러나, 우리로부터 유래하는 자유 의지에 의하여서가 아니라 성령에 의하여 우리에게 주어지는, 우리의 심장들에 펴져 있는 하느님의 애덕(사랑)(the charity of God)(로마 5,5)은 그리스도인들의 굳셈을 산출합니다" [성 프로스페르(St. Prosper)(*)].

(*) 번역자 주:
(1) 아키텐의 성 프로스페르(St. Prosper of Aquitaine, 390-455년경)가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of Hippo, 354-430년)의 제자임에 주목하라.

(2) 로마서 5,5와 이 구절에 근거한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는, 그의 제자인 아키텐의 성 프로스페르의 바로 이 가르침이 다음의 게시자 주 7-4-1에 제시된 이성적 피조물들(즉, 천사들 및 사람들)의 사랑(love of rational creatures)의 정의(definition)의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근거라는 생각이다.
(이상, 번역자 주 끝).


게시자 주 7-4-1: 바로 위에 있는 문장이, 가톨릭 보편 교회의 교도권에 의하여 수용된, 이성적 피조물들의 사랑(love)의 정의(definition)입니다. 즉,

질문 3에 대한 답변: 이성적 피조물들의 사랑(love)은,

(i)
 하느님이 사랑받게 되는 "애덕(charity)"이라는 사랑(love),


(ii) 애덕이 아닌 사랑(love), 즉 "cupiditas", 즉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love)[(내용 추가 일자: 2016년 2월 2일) 즉, 나머지 3개: 자연적/본성적 amor(형이하학적 사랑), amicitia(우의), directio(선호)(이상, 내용 추가 끝)]

이렇게 논리적으로 서로 배타적으로 구분되는, 두 종류의 사랑(love)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사랑(love) 이들 두 종류의 사랑들로 구성되어 있음의 성경 근거는 1요한 2,15이니, 1요한 2,15를 꼭 필독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원죄(the original sin)를 범하였던 아담(Adam)과 하와(Eve)의 후손들인 우리들은, 원죄의 결과들로서, 분노(anger)와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as, cupidity), 즉,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love)을 가지게 되었으며(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 그리고 "cupiditas" 라는 용어에 대한 바로 이 정의(definition)의 즉각적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따름 정리들을 가집니다:

따름 정리 1: "윤리적 악(moral evil)", 즉 "죄(sin)"는 오로지 애덕(charity)이 아닌 사랑(love), 즉 "cupiditas" 에만 가능할 수 있습니다. 

따름 정리 2:
따라서, 예를 들어, 질투(envy) 등을 포함하는 칠죄종(七罪宗, the seven capical sins)들"cupiditas"에 포함되는 죄들입니다.

따름 정리 3: 악으로 기울어지는 경항인 사욕편정(欲偏情, concupiscience)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세상을 향하는 욕망(worldly desires)들은 오로지 "cupiditas" 에만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름 정리 4그리고 비록 하느님 보실 때에 부족하고 미흡하기는 하나, 신약(the new covenant) 이전에 인류들이 이미 알고 있었던, "자연법적으로 윤리적 선(moral good in natural law)"인, 십계명들을 포함하는 모세 율법의 준수 그리고 황금률(the golden rule), 즉, 충서(忠恕)의 준수 등의, 세상을 향하는 욕망(worldly desires)들은 자연덕(natural virtues)들로서 "애덕(charity)"에 포함됩니다.


8.
이번 항에서는, 위의 게시자 주 7-4-1에서 말씀드린 "cupiditas"정의(definition)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 다른 자료들을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8-1.
출처: http://www.purduecal.edu/engphil/fewer/self1.pdf

(발췌 시작)
The following passages from Augustine illustrate the basic ideas behind narcissism or cupidity that we see represented in the Narcissus episode of Roman de la rose. In the medieval imagination, all sin is ultimately self-love, and Narcissus makes a good metaphor for this.

     Augustine, De doctrina Christiana III.10.16. I mean by caritas 
     that affection of the mind which aims at the enjoyment of God
     for His own sake, and the enjoyment of one's self and one's
     neighbor in subordination to God; by cupiditas I mean that
     affection of the mind which aims at enjoying one's self and
     one's neighbor, and other corporeal things, without reference
     to God. Again, what cupiditas, when unsubdued, does towards  
     corrupting one's own soul and body is called vice; but what
     it does to injure another is called crime. And these are the
     two classes into which all sins may be divided.

(이상, 발췌 끝)

8-2. 다음은 제8-1항에 제시한 성 아우구스티노의 저술, On Christian Doctrine (De doctrina Christiana), III, Chapter10, 16 의 또다른 영문본입니다. 라틴어 "cupiditas" 를 영어로, "cupidity" 대신에, "lust" 로 번역하고 있는데, 이것은 명백한 번역 오류입니다. 그래서 필자가 괄호 안에 "cupiditas"를 삽입하였습니다. 그리고 위의 제8-1항에 발췌된 문장에 이어지는 문장에서 현명(prudence)자비(benevolence)의 역할에 대한 언급이 주어져 있길래 또한 발췌하였습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fathers/12023.htm

(발췌 시작)
On Christian Doctrine (De doctrina Christiana), III, Chapter10, 16 전문

 

16. I mean by charity that affection of the mind which aims at the enjoyment of God for His own sake, and the enjoyment of one's self and one's neighbor in subordination to God; by lust I mean that affection of the mind which aims at enjoying one's self and one's neighbor, and other corporeal things, without reference to God. Again, what lust, when unsubdued, does towards corrupting one's own soul and body, is called vice; but what it does to injure another is called crime. And these are the two classes into which all sins may be divided. But the vices come first; for when these have exhausted the soul, and reduced it to a kind of poverty, it easily slides into crimes, in order to remove hindrances to, or to find assistance in, its vices. In the same way, what charity does with a view to one's own advantage is prudence; but what it does with a view to a neighbor's advantage is called benevolence. And here prudence comes first; because no one can confer an advantage on another which he does not himself possess. Now in proportion as the dominion of lust is pulled down, in the same proportion is that of charity built up.

 

16. 저는, 애덕(charity)으로써, 하느님을 위하여 하느님의 향유를, 그리고 하느님께 복종 안에서 당사자 자신과 당사자의 이웃의 향유를 목표로 하는 바로 그러한 마음의 정의(情意)(the affection of the mind)을 의미하며, 그리고,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as)으로써, 저는, 하느님에 관계 없이(without reference to), 당사자 자신과 당사자의 이웃, 그리고 다른 유형의 사물들을 향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바로 그러한 마음의 애정을 의미합니다. 한 번 더,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as)이, [하느님께] 복종시켜지지 않았을 때에(unsubdued), 당사자 고유의 영혼과 몸을 타락시킴을 향하여 행하는 바는 악덕(vice)이라고 불리고, 그러나 이 사랑이 다른 이를 향하여 해치는 바는 범죄(crime)라고 불립니다. 그리고 이들은 그 안쪽으로 모든 죄들이 할당될 수도 있는 두 개의 부류(classes)들 입니다. 그러나 악덕들이 먼저 오는데, 이는 이들이 영혼을 이미 소진하였을(have exhausted) 때에, 그리고 영혼을 빈곤(poverty)의 한 종류로 이미 격하시켰을(reduced) 때에, 그 악덕들에 대한 방해물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혹은 그 악덕들에 있어 도움을 발견하기 위하여, 영혼은 범죄들에 쉽게 빠지기 때문입니다. 동일한 방식으로, 애덕(charity)이 당사자 고유의 이득(advantage)의 목적/희망으로 행하는 바는 현명(prudence)이나, 그러나 애덕이 이웃의 이득의 목적/희망으로 행하는 바는 자비(benevolence)라고 불립니다. 그리고 여기서 현명이 첫 번째로 오는데, 왜냐하면 아무도 자신 스스로 소유하지 못한 어떤 이득을 다른 이에게 수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제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as)의 지배가 끌어내려지는(is pulled down) 데에 비례하여, 동일한 비례로 애덕(charity)의 지배는 증진됩니다(is built up).
(이상, 발췌 끝).

8-3. 다음은, 중세의 성경 해석에 있어 애덕이라는 교리에 대한 논문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1: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출처 2: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The Doctrine of Charity in Mediaeval Literary Gardens: A Topical Approach Through Symbolism and Allegory

By D. W. Robertson, JR.

At the heart of mediaeval Christianity is the doctrine of Charity, the New Law which Christ brought to fulfill the Old Law so that mankind might be saved. Since this doctrine has extremely broad implications, it cannot be expressed satisfactorily in a few words, but for convenience we may use the classic formulation included in the De doctrina Christiana of St. Augustine: 'Charitatem voco motum animi ad fruendum Deo propter ipsum, et se atque proximo propter Deum: cupiditatem autem, motum animi ad fruendum se et proximo et quolibet corpore non propter Deum.'1 The opposite of Charity, as St. Augustine describes it, is cupidity, the love of any creature, including one's self, for its own sake. These two loves, Charity and cupidity, are the two poles of the mediaeval Christian scale of values. For St. Augustine and for his successor among mediaeval exegetes, the whole aim of Scripture is to promote Charity and to condemn cupitidy: 'Non autem praecipit Scriptura nisi charitatem, nec culpat nisi cupiditatem.'2 Where this aim is not apparent in the letter of the Bible, one must seek it in the spirit beneath the veil of the letter. In the De doctrina there is developed a theory of literary interpretation by means of which one may remove the veil and effect the necessary discovery. 

중세 그리스도교의 심장에, 새 법인, 애덕(Charity)이라는 교리가 있는데, 이 법은 그리스도께서 인류가 구조받을(be saved) 수 있도록 옛 법을 구현하고자 가져오셨습니다. 바로 이 교리가 극단적으로 넓은 의미들을 가지고 있기에, 몇 마디의 표현들로 이 교리는 만족스럽게 표현될 수 없으나, 그러나 편의를 위하여 우리는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그리스도교 교리(De doctrina Christiana)에 포함되어 있는 다음과 같은 고전적 공식(formulation)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Charitatem voco motum animi ad fruendum Deo propter ipsum, et se atque proximo propter Deum: cupiditatem autem, motum animi ad fruendum se et proximo et quolibet corpore non propter Deum.'1 애덕의 반대는, 성 아우구스티노가 그것을 서술하듯이, [하느님이 아닌] 자신을 위한, 당사자를 포함하여, 임의의 피조물에 대한 사랑인,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y)[즉, 세상이 사랑받는 사랑(love)]입니다. 애덕(Charity)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as)이라는 이들 두 사랑(two loves)들은 가치들에 대한 중세 그리스도교 저울(scale)의 두 개의 정반대(poles)들입니다. 성 아우구스티노의 경우에 그리고 중세 성경 해석자들 중에서 그의 후계자들의 경우에, 성경 본문의 전체 목표는 다음과 같이 애덕(Charity)을 증진하고(promote) 그리고 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as)을 비난하는(condemn) 것이었습니다: 'Non autem praecipit Scriptura nisi charitatem, nec culpat nisi cupiditatem.'2 성경의 글자에 있어 이러한 목표가 분명하지 않은 곳에서, 우리는 글자의 장막(veil) 아래에 있는 정신(spirit)에 있어 이것을 추구하여야 합니다. 그리스도교 교리(De doctrina)에, 그것에 의하여 우리가 이 장막을 제거할 수도 있고 그리하여 필연적인 발견을 달성할 수도 있는, 문헌 해석(literary interpretation)의 한 이론(a theory)이 전개되어 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게시자 주: 영어가 가능한 분들께, 다음의 참고 자료들의 필독을 강력하게 권고드립니다:

참고 자료 1: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Augustine" "cupidity" "charity"]
참고 자료 2: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꼭 필독 권고)
참고 자료 3: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9.

게시자 주:
(1) 이 글의 제3항부터 제7항에 이르기까지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에 의하여 글이 작성되었으며, 그리고 바로 이 귀납적 추론에 의하여 게시자 주 7-4-1에서 찾아낸 "cupiditas(cupidity, 애덕이 아닌 사랑)" 라는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용어의 정의(definition)가 참(true)임은, 이 글의 제8항에서 또한 충분하게 고찰되었다는 생각입니다.

 

(2) 따라서, 논리적으로, 제일 먼저 제8항을 읽은 후에, 제7항, 제6항, ..., 제3항까지 거꾸로 읽어 올라가면, 이번에는, 연역적 추론(deductive reasoning)에 의거하여 이 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 글이 작성되었음에 또한 주목하십시오.

 

9-1. "cupiditas(cupidity, 애덕이 아닌 사랑)" , 즉,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love)" 은, 아담(Adam)과 하와(Eve)의 원죄(original sin)의 결과로서, 분노(anger)와 함께, 사람 안에 존재하고 있는데(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 이 사랑은 아담과 하와가 원죄를 범하기 이전에 "원 은총(original grace)"의 상태에서 향유하였던, 덕(virtues)들의 뿌리인(에페소 3,17), "애덕(charity, caritas)" 의 결여/부재(absence) 라고 또한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에 의하여 논리적 등가(logical equivalence)로서 정의되는(is defined), [모든] [윤리적] 악(evil)[즉, 죄(sin)]의 뿌리(Radix malorum est cupiditas, 1티모테오 6,10)를  말합니다.

 

9-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고

 

이성적 피조물들에 있어 이들 두 종류의 서로 배타적인 사랑(love)들이, 스페인 출신인 예수회 소속의 신부로서 마테오 리치와 함께 중국에 와서 선교하였던 판토하 신부가 1618년에 저술한 "칠극"의 "평투" 편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9-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가해 사순 제3주일 제2독서(로마 5,1-2.5-8)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비록 "cupiditas(cupidity)"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으나, 향주삼덕들 중의 하나인 "애덕(caritas, charity)" 에 대한 좋은 설명이 주어져 있기에, 또한 안내해 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lent_3.htm <----- 필독 권고

 

9-3. 지금까지 고찰한 바로부터 우리는 다음을 알 수 있습니다:

 

"charity" 와 "cupiditas" 로 구분되는 사랑(love)의 두 종류들은 중세까지 그리스도교 교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그러나, 예를 들어, "cupiditas" 로 불리는 사랑(love)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적어도 영어 문화권에서, 사라져 버렸다.

 

질문 4: 언제쯤에 "cupiditas" 로 불리는 사랑(love)의 개념이 위의 문화권에서 상실되었는지요?

 

질문 4에 대한 답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이 영어로 번역되기 이전인 19세기 말경에 이르면 이 개념의 상실이 이미 발생하였다는 생각입니다. 이에 대하여 필자가 확인한 바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작성 중입니다.

 

질문 5: 그렇다면,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에서 "invidia"라는 라틴어 단어를 사용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문맥 안에서 왜 굳이 "cupiditas"라는 라틴어 단어를 사용하였는지요?

 

질문 5에 대한 답변: "caritas(charity, 애덕)" 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한 과정으로서, 위의 질문 4에 대한 답변에서 이미 말씀드린, 19세기 말경에 이르면 그 의미의 상실이 이미 발생하였던, 논리적으로 "caritas(charity, 애덕)" 의 complement 인"cupiditas(cupidity)" 라는 용어가 나타내는,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가 이미 정의하였던(had defined), 원래의 개념의 회복을 위하여서일 것입니다.

 

작성 중입니다.

 

-----------------------------------

참고 자료들:


Article 10. the Tenth Commandment

I. Cupiditatum inordinatio = The Disorder of Covetous Desires


Rm 5,5
http://www.vatican.va/archive/catechism_lt/index_lt.htm

----------


-----
신명기 29,19 진노와 질투 <----- 번역 오류
주님의 진노와 질투 <------> the Lord's wrath and jealousy
-----

집회서 30,24
집회서 40,5
에제키엘서 16,38 번역 오류 <----- 번역 오류
에제키엘서 35,11
CCC 2539 번역 오류
CCC 2553 번역 오류
CCC 2737 번역 오류
----------

http://www.quodlibet.net/articles/benzoni-love.shtml

"cupiditas" "caritas" "augustine" "original sin"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524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