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전구(轉求, intercession)와 간구(懇求, invocation)의 차이점 외 [번역오류] 1293_evangelize

인쇄

. [218.55.90.*]

2015-03-03 ㅣ No.1620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내용 추가 일자: 2018년 11월 24일]

게시자 주: 1583년과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퍄견된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이 "interseccsion"에 대응하는 번역 용어로서 사용한 용어는 "轉求"이지, "傳求"아니었음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되어, 오늘 날짜로, 이 글의 제목과 본문 중에서 괄호 안에 병기하면서 잘못 표기된 "傳求"를 모두 "轉求"로 교체합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자세한 글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70.htm <----- 필독 권고

[이상, 2018년 11월 24일자 내용 추가 끝]

 

질문 1: 전구(轉求)간구(懇求)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 사이의 차이점이 무엇인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이들 용어들은 번역서들인 "새 번역 성경" 의 본문과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의 본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들이며, 따라서 오로지 한문 문화권에 속하는 세속의 국어 사전과 한자 자전들에 주어진 설명들만으로는 그 원 의미들을 올바르게 알 수 없으므로, 이들 차용(借用) 번역 용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의 정의(definitions)들 뿐만이 아니라, 이들 차용(借用) 번역 용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 사이의 차이점을 확실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질문 1에 대한 답변 시작) 

1-1. 그런데, 전구(轉求)간구(懇求)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들 둘 다는 통상적으로 형식을 갖춘 기도문(prayer)의 형태를 가지므로, 우선적으로, "기도하다(pray)" 라는 용어의 자구적 의미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제목: 기도하다(pray)로 번역되는 라틴어 단어의 의미에 대하여]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16.htm <----- 필독 권고

 

1-2. 성령 강림일부터 예수 재림 떄까지의 기간을 말하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교회의 시대에 있어, 기도의 형태(the forms of prayer)들에 대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서술들은 다음에 있습니다. 특히 청원 기도(prayer of petition)에 대한 서술은 제2629항부터 제2633항까지 주어져 있고, 그리고 전구 기도(prayer of intercession)에 대한 서술은 제2634항부터 제2626항까지 주어져 있습니다: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4s1c1a3.htm [영어본]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page=931 [우리말본]

 

1-2-1.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하면,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29항에서, "to invoke""호소(呼訴)하다"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 번역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리고 이 동사의 명사형인 "invocation" 이 청원 기도의 한 형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1-2-2.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하면, 영어본/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34항에 별도로 거명되고 있는 있는 "intercession(전구)" 가 기도하는 피조물인 당사자가 타인을 위하여 하느님께 바치는 청원 기도의 한 형태임을 알 수 있고, 그리고 특히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의 구분/나열 방식 그 자체에 의하여, "intercession(전구)" 라고 불리는 기도가, 제2629항에 별도로 구체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다른 이름의 여러 형태의 청원 기도들[주: 여기에 "invocation" 이 포함됨]로부터, 명확하게 구분됨을 알 수 있습니다.

 

2.  

2-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intercession"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 안의 삽입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한 것입니다. 첫 문장이 이 용어의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i/i227.htm

(발췌 시작)
INTERCESSION

 

Entreaty in favor of another person; hence mediation. In biblical language, "there is only one mediator between God and mankind, himself a man, Christ Jesus, who sacrificed himself as a ransom for them all" (I Timothy 2:5-6). The Blessed Virgin, Mediatrix of all graces, the angels, saints in heaven, souls in purgatory, and the faithful on earth intercede for mankind by their merits and prayers.

 

전구(轉求)(intercession)

 

다른 인격(another person)에 편을 드는 간청(entreaty)을, 그리하여 그 결과 중개(mediation)를 말합니다.(*) 성경 언어로, "하느님은 한 분이시고 하느님과 사람 사이에 중개자(mediator)도 한 분이시니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님이십니다. 당신 자신을 모든 사람의 몸값으로 내어 주신 분이십니다" (1티모테오 2,5-6). 온갖 은총들의 중개녀(Mediatrix of all graces)이신 복받으신 동정녀(the Blessed Virgin), 천사들, 하늘(heaven, 천당)에 있는 성인(saints)들, 연옥(purgatory)에 있는 영혼(souls)들, 그리고 지상에 있는 열심 신자(the faithful)들은 인류(mankind)를 위하여(for mankind), 자신들의 공로(merits)들과 기도들로써, [2차적 중개 행위로서, 하느님과 사람들 사이에 계신 유일한 중개자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께] 전구합니다(intercede).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3월 18일]

-----

(*) 번역자 주: 따라서, (i) 성자 예수 그리스도, (ii) 피조물인 나(I), 그리고 (iii) 피조물인 너(you), 이렇게 세 개의 말단(末端, terminations)들을 가지는 3자(three persons)들 사이의 한 관계(a trinitarian relation) 안에서(#) 피조물이 바치는 어떤 기도가 "전구 기도"일 필요충분 조건은, 모든 기도는 오로지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께 전달되므로 "예수님을 통하여 기도드린다" 면서 기도를 마무리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구(傳求)(intercession)라는 바로 이 용어의 정의(definition)에 의하여, 피조물인 나(I)가 피조물인 다른 이/집단(you)을 위하여 성자 예수 그리스도께 기도하는 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 게시자 주: 그리스도인들이 항상 지녀야 하는 바로 이 3자(three persons)들 사이의 한 관계[a trinitarian relation]에 대한 더 자세한 언급은 다음의 글의 제2항에 있으니, 또한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13_trinitarian_relation.htm

-----

[이상, 내용 추가 끝]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2: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영어로 "intercession" 으로 번역되는 용어를 "전구(轉求)" 로 번역한 것은, 예를 들어,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096항, 제2634항 등을 따른 것입니다.

 

2-2.

2-2-1. 굿뉴스 서버 제공의, Dictionary of the Liturgy (New York, 1989) (원저자: Jovian Peter Lang)을 우리말로 번역한, "전례 사전"(주비언 피터 랑 지음, 박요한 영식신부 옮김, 출판사: 가톨릭출판사)에 주어진, "전구(轉求, intercession)" 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8157

 

특히,

(i) 미사 중에 바치는 전구(轉求, intercession)[즉, 다른 이/단체를 위한 기도]"지향 기도" 라고 불리고,

(ii) 성직자 및 수도자들의 경우에 매일 바치도록 의무지워져 있는 성무일도[聖務日禱, 즉 시간경]의 전구(轉求, intercession)는 "청원 기도" 라고 불린다는

설명이 주어져 있습니다.

 

2-2-2. 그리고 굿뉴스 서버 제공의 이 전례사전에 주어진 "보편 지향 기도(General Intercession)"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7226

 

2-3. 그리고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intercession(전구, 轉求)" 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있으며, 입문에 주어진 설명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www.newadvent.org/cathen/08070a.htm

 

2-4. 교황님들께서, 예를 들어, "invoke the intercession of the Virgin Mary" 라는 표현을 사용한 용례들은 다음에 있습니다:

 

"invoke the intercession of" site:vatican.va <----- 클릭하여 확인하십시오.

 

다른 한편으로, "evocation[죽은 사람의 영혼을 불러냄, 즉, 초혼(招魂)]" 라는 단어와  "invocation" 이라는 단어가 동일한 의미를 가지지 않음도 또한, "invocation" 이라는 용어에 대응하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선택시에, 고려하여야 할 것입니다.

 

2-5. 우리가, 예를 들어, 전구의 기도를 천상 교회에 계신 성모님께 청할 때에, 바로 위의 제2-4항에서 말씀드린 교황님들의 경우에서처럼성모님의 칭호/이름을 부름으로써(by invoking the title or name of Mary) 바로 이 분께 이 전구(轉求, intercession)를 청함을 밝히므로, 특히 "전구(轉求)의 기도를 간구(懇求)한다"는 표현을 그동안 국내 가톨릭계에서 사용해 왔다는 생각입니다.

 

이 지적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어, 다음의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마리아 공경"에 대한 설명의 첫 번째 문장을 참고하십시오. 바로 아래의 발췌문에서, [ ] 안의 표현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삽입한 것입니다:

 

출처: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858

(발췌 시작)

마리아공경 (devotion of Mary)

 

마리아의 탁월성에 대한 내면적 인식과 그 인식의 외면적 표현. 마리아 공경의 내용은 하느님의 어머니인 거룩한 동정녀를 존경하고 자녀다운 사랑을 드리며, 성자께 전구(轉求)하여 주시기를 [마리아께] 간구(懇求)하고 마리아의 덕행을 본받는 일이다. (이하, 발췌 생략)

(이상, 발췌 끝)

 

(중간 결론 1)

따라서, 위의 제2-4항제2-5항의 고찰로부터, 그동안 (i)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과 (ii) 우리나라 가톨릭계에서, "특정 성인의 칭호/이름을 부르면서 바치는 청원 기도인 "invocation" 을 "간구(懇求)" 로 번역해 왔음"을 확인하였습니다.

  

3.

3-1. 굿뉴스 서버 제공의 우리말 사전들에서는, 비록 "간구(懇求)" 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나 "간구(懇求)"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에 대한 설명이 주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3-2. 그리고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영어로 "invocation" 로 번역되는 용어가, "기도"(제1096항), "부르면서"(제1240항), "[이름을 부르는] 기도"(제2667, 2668, 2680항), "이름을 부르면서(pronouncing the invication of"(제1278, 2154항), "[성령] 정원 기도"(제694, 1105, 1333항), "탄원(제1481항), "간청"(제2807항), "비는 일"(제2117항)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고 있는데, 영어로 "invoke" 로 번역되는 대응하는 라틴어 용어가 칭호(title) 혹은 이름(name)을 부른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번역이 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그러나 또한, 가능한 한, 일관성 있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가 선택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3-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invocation"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문장이 이 용어의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i/i258.htm

(발췌 시작)

INVOCATION

 

A prayerful appeal to a higher power. It may be God, the angels or saints, or the souls in purgatory who are invoked. Invocation implies an attitude of humility in asking for supernatural assistance. When God is invoked, the appeal is to mercy and love.

 

간구(懇求)/호소(呼訴)/호구(呼求)(invocation)

 

어떤 고급의 힘(power) 쪽으로 어떤, 기도를 나타내는, 호소(呼訴)(a prayerful appeal)를 말합니다. 칭호/이름이 불리어지는[즉, 간구를 요청받게 되는] 자는(who is invoked)는 하느님, 천사들 혹은 성인(saints)들[의 영혼들], 혹은 연옥에 있는 영혼(souls)들일 수도 있습니다(may). 간구(invocation)초자연적 조력(supernatural assistance)을 얻고자 청함에 있어 겸손의 한 태도를 의미합니다. 하느님께서 칭호/이름이 불리어질 [즉, 간구를 요청받게 될] 때에, 이 호소(呼訴)자비(mercy)사랑(love) 쪽으로 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3-3 (1) 따라서, 우리들의 invocation를 요청받게 되는 분들에는 다음의 분들이 포함됨을 알 수 있습니다: (i) 하느님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ii) 우리들을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에게 전구(轉求)하시는(intercede)(*), 천상 교회에 계시는, 성모님과 성인들[의 영혼들].

 

-----

(*) 게시자 주: "전구(轉求, intercession)"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위의 제2항에 있다.

-----

  

(2) 그리고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懇求" 라는 한자어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text.org/dictionary.pl?if=en

 

(3) 그리고 다음의 구글 검색 결과 등에 의하면,  "懇求" 라는 한자어는, 일본에서는 그리 사용하지 않으나, 그러나 중국에서, 그리고 중국 가톨릭계에서 사용해 온 단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http://ejje.weblio.jp/content/%E6%87%87%E6%B1%82

"懇求" "invoke"

"懇求" site: peterpoon.idv.hk/resource

 

(4) "invoke" 라는 동사에 대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과거에 말씀드렸던 바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2008년 1월 31일자 글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52_kept.htm

 

특히,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한줄답변 중에서 필자에 의하여 안내되고 있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교황청 발 교령(Decree)The Enchiridion Of Indulgences 의 부록, Appendix: Pious Invocations 를 또한 참고하십시오:

http://www.2heartsnetwork.org/The.Enchiridion.of.Indulgences.pdf

 

또한, "invocation" 이라는 용어가 많이 등장하고 있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제목: 교황님의 역할 II]도 또한 참고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609.htm

(이상, 게시자 주 2-3 끝)

 

3-4.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invocation of Saints"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문장이 이 용어의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i/i259.htm

(발췌 시작)

INVOCATION OF SAINTS

 

Asking the saints for assistance in temporal or spiritual need. Its basis is the intimate communion that exists between the blessed in heaven and the faithful on earth. The saints are invoked in order to obtain their intercession before the throne of God, and this corresponds to the familiar practice on earth of asking people to pray for us. Since the more holy a person is, the more effective his prayers, the saints in heaven are extraordinarily powerful intercessors with God. It is a matter of divine faith, implicit in Sacred Scripture and explicit in Catholic tradition, that the faithful may profitably invoke the saints in heaven. According to the Second Vatican Council, "It is not merely by the title of example that we cherish the memory of those in heaven…It is most fitting that we love those friends and co-heirs of Jesus Christ who are also our brothers and outstanding benefactors, and that we give due thanks to God for them, humbly invoking them, and having recourse to their prayers, their aid and help in obtaining from God through His Son, Jesus Christ, Our Lord, our only Redeemer and Savior, the benefits we need" (Constitution on the Church, VII, 50).

 

성인들의 호칭(呼稱) 기도(invocation of Saints)

 

일시적인 혹은 영적인 필요에 있어 조력(assistance)을 [하늘(heaven, 천당)에 있는] 성인(the saints)들에게 요청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그 근거는 하늘(heaven, 천당)에 있는 복받은 자(the blessed)들과 땅 위에 있는 열심 신자(the faithful)들 사이에 존재하는(exists) 친밀한 통공(communion)입니다. 성인(the saints)들은, 하느님의 옥좌(throne) 앞에서 그들의 전구(intercession)를 획득하기 위하여, 불리어지고(are invoked), 그리고 이것은 땅 위에서 백성에게 우리를 위하여 기도할 것을 요청하는 친숙한 관습(practice)에 대응합니다. 한 인격(a person)이 더욱 더 거룩할 수록 그의 기도들이 더 효능이 있기 때문에, 하늘에 있는 성인들은 하느님을 대(對)하는(with) 비상하게 힘이 있는 전구자(intercessors)들 입니다. 열심 신자들이 하늘에 있는 성인들을 유익하게(profitably) 부를 수도(may invoke) 있는 것은, 성경 본문에 암시적이고(implicit) 그리고 가톨릭 전승(Catholic tradition)에 명백한(explicit), 신성(神性)의 믿음[divine faith, 즉, 하느님께서 이미 드러내신 바에 대한 마음(the mind)의 동의, 즉, Credere Deo(信賴天主, 하느님을 신뢰한다)](*)에 관한 문제입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따르면, "우리가 하늘에 있는 자들의 기억을 품는 것은 단지 모범의 칭호(the title of example) 때문에(by)가 아니고, ... 우리가, 또한 우리의 형제들이고 그리고 뛰어난 은인(benefactors)들인, 예수 그리스도의 동료(friends)들 및 공동의 상속자(co-heirs)들을 우리가 사랑하는(love) 것은, 그리고 우리가, 그들을 겸손하게 부름(invoking)으로써, 그들을 위하여 하느님께 정당한 감사들을 드리는 것은, 그리고 우리가 필요로 하는 혜택(benefits)들을, 우리의 유일한 구속주이시고 구원자이신, 우리의 주님이신, 당신의 아드님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으로부터 획득함에 있어 그들의 기도들에, 그들의 조력(aid) 및 도움(help)에 의지하는 것은, 대단히 적절합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Constitution on the Church), 인류의 빛(Lumen Gentium), VII, 50].

 

-----

(*) 번역자 주: 괄호 안의 추가 설명은 다음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divine faith"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과 다음의 글들에 주어진 바를 따른 것이다.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d/d230.htm [MCD]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48.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49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4.

4-1. 다음은, 위의 제1-2항에 제시된 출처로부터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29항부터 제2636항까지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4s1c1a3.htm [영어본]

(발췌 시작)

II. PRAYER OF PETITION

II. 청원 기도 

 

2629 The vocabulary of supplication in the New Testament is rich in shades of meaning: ask, beseech, plead, invoke, entreat, cry out, even "struggle in prayer."102 Its most usual form, because the most spontaneous, is petition: by prayer of petition we express awareness of our relationship with God. We are creatures who are not our own beginning, not the masters of adversity, not our own last end. We are sinners who as Christians know that we have turned away from our Father. Our petition is already a turning back to him.

 

2629 신약 성경에서 탄원(supplication)의 어휘(語彙)는 다음과 같이 의미의 미묘한 차이들로 풍부합니다: 청하다(ask), 애원하다(beseech), 항변하다(plead), [칭호/이름을 부르면서] 간구(懇求)하다(invoke)/호소(呼訴)하다, 간청하다(entreat), 절규하다(cry out), 심지어 "기도에 있어 싸우다"102.(*) 이것의 가장 통상적 형태는, 가장 무의식적이기(spontaneous) 때문에, 다음과 같은, 청원(petition)입니다: 청원 기도(prayer of petition)에 의하여 우리는 하느님과 우리의 관계에 대한 알아차림을 표출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고유한 시작(beginning)이 아닌, 역경의 정복자들이 아닌, 우리의 고유한 마지막 끝(end)이 아닌, 피조물들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우리의 성부로부터 떨어져 돌아서버렸음을 그리스도인들로서 아는, 죄인들입니다. 우리의 청원은 이미 그분 쪽으로 어떤 되돌아감입니다.

 

-----

102 Cf. 로마 15:30; 콜로새 4:12.

 

(*) 번역자 주: 특히 이들 동사들 중에서 오로지 "invoke" 그 자구적 어의/의미(its literal sense)가 "칭호 혹은 이름을 구체적으로 부르면서 겸손하게 청원함"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동사라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는 알고 있다.

-----

 

2630 The New Testament contains scarcely any prayers of lamentation, so frequent in the Old Testament. In the risen Christ the Church's petition is buoyed by hope, even if we still wait in a state of expectation and must be converted anew every day. Christian petition, what St. Paul calls {"groaning," arises from another depth, that of creation "in labor pains" and that of ourselves "as we wait for the redemption of our bodies. For in this hope we were saved."103 In the end, however, "with sighs too deep for words" the Holy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for we do not know how to pray as we ought,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with sighs too deep for words."104

 

2631 The first movement of the prayer of petition is asking forgiveness, like the tax collector in the parable: "God, be merciful to me a sinner!"105 It is a prerequisite for righteous and pure prayer. A trusting humility brings us back into the light of communion between the Father and his Son Jesus Christ and with one another, so that "we receive from him whatever we ask."106 Asking forgiveness is the prerequisite for both the Eucharistic liturgy and personal prayer.

 

2631. 청원 기도의 첫 번째 움직임은, 다음과 같은 비유에 있어 세리처럼, 용서를 청하는 행위입니다: "오 하느님! 이 죄인을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루카 18,13). 이 기도는 올바른 그리고 순수한 기도를 위한 한 개의 선행 요건(a prerequisite)입니다. 어떤 신뢰하는 겸손(humility)은 성부와 당신의 아드님이신 예수 그리스도 사이에 있는, 그리고 서로 함께 가지는, 통공(communion)의 빛 안쪽으로 우리를 되돌리며, 그리하여 그 결과 "우리가 청하는 것은 다 그분에게서 받게 됩니다" (1요한 3,22). 용서를 청하는 행위는 성찬 전례와 개별 기도 둘 다를 위한 선행 요건입니다.

 

2632 Christian petition is centered on the desire and search for the Kingdom to come, in keeping with the teaching of Christ.107 There is a hierarchy in these petitions: we pray first for the Kingdom, then for what is necessary to welcome it and cooperate with its coming. This collaboration with the mission of Christ and the Holy Spirit, which is now that of the Church, is the object of the prayer of the apostolic community.108 It is the prayer of Paul, the apostle par excellence, which reveals to us how the divine solicitude for all the churches ought to inspire Christian prayer.109 By prayer every baptized person works for the coming of the Kingdom.

 

2632 그리스도인들의 청원(petition)은,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일치하여, 오고 있는 하느님의 나라/통치(the Kingdom to come)에 대한 욕망(desire)과 추구(search)에 중심을 두게 됩니다.107(*) 이들 청원들에 있어 다음과 같은 어떤 계층 구조가 있습니다: 우리는 첫 번째 이 나라를 위하여, 그러고 나서 이 나라를 환영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 나라의 도래(its coming)(*)와 협력하기 위하여 필요한 바를 위하여, 기도합니다. 이제 교회의 사명인, 그리스도 및 성령의 사명/임무(mission)와 바로 이러한 협동은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공동체(the apostolic community)의 기도의 대상(object)입니다.108  모든 교회들을 위한 신성한 갈망(solicitude)이 어떻게 마땅히 그리스도인들의 기도를 고무시켜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드러내는 기도는 바로, 탁월한 사도인, 바오로(Paul)의 기도입니다.109 기도로써 각각의 세례받은 인격은 이 나라의 도래(the coming of the Kingdom)(*)를 위하여 일합니다.

 

-----

107 Cf. 마태오 6:10,33; 루카 11:2,13.
108 Cf. 사도행전 6:6; 13:3.
109 Cf. 로마 10:1; 에페소 1:16-23; 필레몬 1:9-11; 콜로새 1:3-6; 4:3-4,12.

 

(*)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32항은 또한 제2816항 및 제2818항 등과 반드시 함께 읽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제2632항에서 언급되고 있는 "하느님의 나라/통치" 아직 이 땅 위에 오지 않은 것이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을 반드시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72.htm <----- 필독 권고
-----

 

2633 When we share in God's saving love, we understand that every need can become the object of petition. Christ, who assumed all things in order to redeem all things, is glorified by what we ask the Father in his name.110 It is with this confidence that St. James and St. Paul exhort us to pray at all times.111

 

III. PRAYER OF INTERCESSION

III. 전구 기도 

 

2634 Intercession is a prayer of petition which leads us to pray as Jesus did. He is the one intercessor with the Father on behalf of all men, especially sinners.112 He is "able for all time to save those who draw near to God through him, since he always lives to make intercession for them."113 The Holy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 . . and intercedes for the saints according to the will of God."114

 

2634 전구(intercession)는, 우리를 예수님께서 하셨듯이 기도하도록 인도하는, 한 개의 청원 기도입니다. 당신께서는 모든 사람들을, 특별히 죄인들을 대신하여 성부를 대(對)하시는(with) 유일한 전구자(intercessor)이십니다.112 당신께서는 "당신을 통하여 하느님 쪽으로 가까이 다가가는 자들을, 왜냐하면 당신께서 그들을 위하여 전구를 하시고자(make intercession for) 항상 살아계시기(lives) 때문에, 영원히(for all time) 구할(save) 능력이 있으신" (히브리 7,25) 분이십니다. 성령께서는 "몸소 우리를 위하여 전구하시고(intercedes) ... 그리고 하느님의 의지에 따라 성도(the saints)들을 위하여 전구하십니다(intercedes)" (로마 8,26-27).

 

2635 Since Abraham, intercession - asking on behalf of another has been characteristic of a heart attuned to God's mercy. In the age of the Church, Christian intercession participates in Christ's, as an expression of the communion of saints. In intercession, he who prays looks "not only to his own interests, but also to the interests of others," even to the point of praying for those who do him harm.115

 

2636 The first Christian communities lived this form of fellowship intensely.116 Thus the Apostle Paul gives them a share in his ministry of preaching the Gospel117 but also intercedes for them.118 The intercession of Christians recognizes no boundaries: "for all men, for kings and all who are in high positions," for persecutors, for the salvation of those who reject the Gospel.119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4-2. (중간 결론 1)

이상, 위의 제2항에서 전달해드린 용례들과 위의 제1항부터 제4항까지 고찰한 바를 함께 고려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는,

 

"invoke the intercession of the Virgin Mary" 를 "동정 마리아의 [칭호/이름을 부르면서] 전구(轉求)간구(懇求)하다(즉, 간절히 바라다)/호소(呼訴)하다"

 

로 번역하고, 그리고 "invocation""간구(傳求)"/"호소(呼訴)"로 번역하였습니다. 

 

특히, 위의 제2-4항제2-5항에서, "to invoke the intercession of ...", 즉, "...의 [칭호/이름을 부르면서] 전구(轉求)를 간구(懇求)/호소(呼訴)하다" 라는 표현은,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과 우리나라라는 지역 교회에서 그동안 사용해온 교회의 용어임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음을 또한 상기하도록 하십시오.

 

게시자 주 4-2:

(1) "invocation"자구적 어의/의미(literal sense)에 충실한 차용(借用) 번역 용어는, "간구(懇求)" 보다는, 상대방의 칭호 혹은 이름을 부른다는 의미의 "呼" 글자를 사용하고 있는 "호소(呼訴)" 일 것이나, 그러나 국내 가톨릭계에서 그동안 사용해온  "invocation" 에 대응하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는, "호소(呼訴)" 가 아니고, "간구(懇求)" 였음을 이번에 이 글에서 확인하였다는 생각입니다.

 

(2)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基督宗敎外語漢語神學詞典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에서는 "呼求""invocation" 에 대응하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서 첫 번째로 제시하고 있는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呼求(호구)" = "호소(呼訴)" + "간구(懇求)"

 

인 것 같습니다:

http://www.chinacath.com/book/html/162/9625.html

 

(3) 그런데, "호구(呼求)"라는 한자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이 되어 있지 않으나, 그러나 다음의 Chinese Text Project 제공의 한자 사전 제공의 용례들에 의하면, 중국 문화권의 여러 고전 문헌들에서 "호구(呼求)"라는 한자어가 중국의 漢 나라 이전 시기부터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http://ctext.org/dictionary.pl?if=en&char=%E5%91%BC%E6%B1%82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1%BC%E6%B1%82

 

(4) (권고 사항 한 개) 이상 고찰한 바로부터, "invocation" 에 대응하는 우리말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서, "간구(懇求)" 보다는, 중국에서처럼 "呼求(호구)" 를 선택하는 것이, 그 자구적 어의/의미(literal sense)가 훼손됨 없이 잘 전달되는, 더 나은 용어 번역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상, 게시자 주 4-2 끝)

 

4-3. (중간 결론 2)

그리고 위의 제1항부터 제4항까지 고찰한 바로부터, 우리는 연역적 추론(deductive reasoning)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한 개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전구(轉求)없다면 아무도 호구(呼求)/간구(懇求)(invocation)하지 않을 것이다.

즉,

호구(呼求)/간구(懇求)(invocation)하지 않는 자들 중에서만 [본인 탓에 의하여] 오로지

전구(轉求, intercession)라는 도움을 받지 못하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이상, 질문 1에 대한 답변 끝) 

 

5.

이번 항에서는, "간구" 혹은 "간구하다"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새 번역 성경" 본문과, 그리고 이 본문을 성경 근거로서 인용하고 있는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의 항들을, 사용되고 있는 대응하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들의 일치 혹은 불일치 여부에 대하여,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게시자 주 5: 아무리 바쁘더라도, 아래의 제5-2-9항반드시 읽도록 하십시오.

 

5-1. "새 번역 성경" 의 구약 및 신약 본문에서 "간구" 라는 차용 번역 용어가 사용된 절들은 다음의 주소들을 각각 클릭하면 직접 확인할 수 있는데,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old2&prindex=0&Keyword=간구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new2&prindex=0&Keyword=간구

 

이 차용 번역 용어가 구약 본문에서 총 4번, 그리고 신약 본문에서 총 12번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2. 아래의 나열에서, 영어 단어는 NAB(New American Bible)의 동일한 절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고, 이 영어 단어에 이어지는 우리말 단어는 "새 번역 성경"의 동일한 절에서 사용되고 있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입니다.

 

(나열 시작)

5-2-1.

신명기 3,23 - besought 간구하였다

2역대기 6,21 - petitions 간구

2마카베오 14,15 - prayed 간구하였다

바룩 2,14 - prayer of supplication 기도와 간구

 

게시자 주 5-2-1: 이와 같이, 영어로 "beseach", "pray", "petition", "supplication" 등으로 번역되는 표현들을 동일하게 "간구하다" 혹은 "간구" 로 힉일적으로 번역하는 것은,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전후의 문맥 안에서 이들 단어들이 나타내는 미묘한 차이점들을 훼손하는 축소 번역이므로, 번역 오류일 것입니다.

 

5-2-2.

사도행전 7,46 - asked,  간구하였다

사도행전 8,22 - pray, 간구하다

사도행전 8,24 - pray, 간구하다

 

게시자 주 5-2-2: 이와 같이, 영어로 "ask", "pray" 등으로 번역되는 표현들을 동일하게 "간구하다" 획일적으로 번역하는 것은,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전후의 문맥 안에서 이들 단어들이 나타내는 미묘한 차이점들을 훼손하는 축소 번역이므로, 번역 오류일 것입니다.

 

5-2-3. 

CCC 741 (로마 8,26 intercedes,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하다)(#1) (번역 미숙)

 

-----

(#1) 게시자 주:

(1) 다음은 영어본 및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41항 전문인데, 영어로 "intercedes" 로 번역되는 동사기, "전구하십니다" 로 번역이 되는 대신에,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해 주십니다" 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1s2c3a8.htm#741

(발췌 시작)

741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for we do not know how to pray as we ought,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with sighs too deep for words."134 The Holy Spirit, the artisan of God's works, is the master of prayer. (This will be the topic of Part Four.)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
&page=319

(발췌 시작)
741 “성령께서도 나약한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우리는 올바른 방식으로 기도할 줄 모르지만, 성령께서 몸소 말로 다 할 수 없이 탄식하시며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해 주십니다(로마 8,26). 하느님의 일꾼이신 성령께서는 기도의 스승이시다(이것이 이 교리서 제4편의 주제이다)

(이상, 발췌 끝)

 

(2) "새 번역 성경" 로마서 8,26에 있는 지금의 번역 표현은,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여러 영어본 성경들[주: 여기에는 개신교용 영어본 성경들도 포함됨]과는 달리가톨릭 교회의 교의(dogma)인 "성인들 사이의 통공(communion)"을, 더 구체적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 교육의 최종 목표(definitive aim)인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와 통공(communion)을 이루게 하는 것"[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79년 교황 권고[제목: Catechesi Tradendae(현대의 교리교육)], 제5항 마지막 문장](*)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말로의 용어 번역 과정에서, "intercede" 라는 용어에 등가로 대응하는 "전구하다"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선택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대신에, "간구하다" 라는 용어를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 의도적으로 선택하였을 수도 있다고 추정되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국내의 개신교측 성경들에서의 번역들과 동일한 번역입니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GAE&readInfo=
%uB86C%208%3A26&cVersion=SAE^SAENEW^&fontString=12px&fontSize=1#focus

 

-----

(*) 게시자 주: 우리말 번역문과 출처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62_definitive_aim_of_catechesis.htm [우리말 번역문]

http://w2.vatican.va/content/john-paul-ii/en/apost_exhortations/documents/
hf_jp-ii_exh_16101979_catechesi-tradendae.html
 [영어본]

-----

(이상 (#1) 게시자 주 끝)

 

5-2-4. 

로마서 8,27 intercedes for the holy ones, 성도들을 위하여 간구하시기)(#2) (번역 미숙)

 

-----

(#2) 게시자 주: 

(1) 다음은 NAB새 번역 성경로마서 8,27 전문인데, 영어로 "intercedes for the holy ones" 로 번역된 표현을 "성도들을 위하여 전구하십니다" 라고 번역이 되는 대신에, "성도들을 위하여 간구하십니다" 라고 번역된 것은 번역 미숙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839/_PYW.HTM#HM

(발췌 시작)

And the one who searches hearts knows what is the intention of the Spirit, because it intercedes for the holy ones according to God's will.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info.catholic.or.kr/bible/bbl_read_sori.asp?gubun=new2&code=152&JangNo
=8&JangSum=16

(발췌 시작)

마음속까지 살펴보시는 분께서는 이러한 성령의 생각이 무엇인지 아십니다. 성령께서 하느님의 뜻에 따라 성도들을 위하여 간구하시기 때문입니다.

(이상, 발췌 끝)

 

(2) "새 번역 성경" 로마서 8,27에 있는 지금의 번역 표현은,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여러 영어본 성경들[주: 여기에는 개신교용 영어본 성경들도 포함됨]과는 달리,, 가톨릭 교회의 교의(dogma)인 "성인들의 통공(communion)"을, 더 구체적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 교육의 최종 목표(definitive aim)인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와 통공(communion)을 이루게 하는 것"[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79년 교황 권고[제목: Catechesi Tradendae(현대의 교리교육)], 제5항 마지막 문장](*)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말로의 용어 번역 과정에서, "intercede" 라는 용어에 등가로 대응하는 "전구하다"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선택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대신에, "간구하다" 라는 용어를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 의도적으로 선택하였을 수도 있다고 추정되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국내의 개신교측의 성경들에서의 번역들과 동일한 번역입니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GAE&readInfo=
%uB86C%208%3A27&cVersion=SAE^SAENEW^&fontString=12px&fontSize=1#focus

 

-----

(*) 게시자 주: 우리말 번역문과 출처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62_definitive_aim_of_catechesis.htm [우리말 번역문]

http://w2.vatican.va/content/john-paul-ii/en/apost_exhortations/documents/
hf_jp-ii_exh_16101979_catechesi-tradendae.html
 [영어본]

-----

(이상, (#2) 게시자 주 끝)

 

5-2-5.

CCC 1100 (번역 오류)

CCC 1109 ask 간구한다

CCC 1341 intercession 간구 (번역 오류)

 

5-2-6.

CCC 1373 (로마 8,34 intercedes for us,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다) (#3) (번역 오류)

 

-----

(#3) 게시자 주:

(1) 다음은 영어본 및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373항 전문인데, 영어로 "intercedes for us" 로 번역되는 표현이, "우리를 위하여 전구하시는" 로 번역이 되는 대신에, "우리를 위하여 간구해 주시는" 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구하다" 라는 용어의 사용을 애써 회피한 것 같은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로서는 그 이유를 알 수 없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2s2c1a3.htm#1373

(발췌 시작)

1373 "Christ Jesus, who died, yes, who was raised from the dead, who is at the right hand of God, who indeed intercedes for us," is present in many ways to his Church:197 in his word, in his Church's prayer, "where two or three are gathered in my name,"199 in the poor, the sick, and the imprisoned,199 in the sacraments of which he is the author, in the sacrifice of the Mass, and in the person of the minister. But "he is present . . . most especially in the Eucharistic species."200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
page=537

(발췌 시작)

1373 “돌아가셨다가 참으로 되살아나셔서 하느님 오른쪽에 앉아 우리를 위하여 간구해 주시는 그리스도 예수님” (로마 8,34)께서는 다양하게 교회에 현존하신다. 200) 그리스도께서는 당신 말씀 안에, 교회의 기도 안에,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인 곳” (마태 18,20) 에, 가난한 사람들, 병자들, 감옥에 갇힌 사람들 안에, 201) 몸소 세우신 성사들 안에, 미사성제와 사제의 인격 안에 계신다. 그리고“특별히 성체의 형상 안에 현존하신다.” 202)

(이상, 발췌 끝)

 

(2) "새 번역 성경" 로마서 8,34에 있는 지금의 번역 표현은,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여러 영어본 성경들[주: 여기에는 개신교용 영어본 성경들도 포함됨]과는 달리,, 가톨릭 교회의 교의(dogma)"성인들의 통공(communion)"을, 더 구체적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 교육의 최종 목표(definitive aim)인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와 통공(communion)을 이루게 하는 것"[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79년 교황 권고[제목: Catechesi Tradendae(현대의 교리교육)], 제5항 마지막 문장](*)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말로의 용어 번역 과정에서, "intercede" 라는 용어에 등가로 대응하는 "전구하다"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선택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대신에, "간구하다" 라는 용어를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 의도적으로 선택하였을 수도 있다고 추정되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국내의 개신교측 성경들에서의 번역들과 동일한 번역이며, 이 번역 표현은 명백한 번역 오류입니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GAE&readInfo=
%uB86C%208%3A34&cVersion=SAE^SAENEW^&fontString=12px&fontSize=1#focus

 

-----

(*) 게시자 주: 우리말 번역문과 출처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62_definitive_aim_of_catechesis.htm [우리말 번역문]

http://w2.vatican.va/content/john-paul-ii/en/apost_exhortations/documents/
hf_jp-ii_exh_16101979_catechesi-tradendae.html
 [영어본]

-----

(이상, (#3) 게시자 주 끝)

 

5-2-7.

CCC 2569 invocation 간구

CCC 2588 간구 (불필요한 추가)

 

5-2-8.

CCC 2630 (로마 8,26 intercedes,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하다) (#4) (번역 미숙) 

 

-----

(#4) 게시자 주:

(1) 다음은 영어본 및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30항 전문인데, 영어로 "intercedes for us" 로 번역되는 표현이, "우리를 위하여 전구하다" 로 번역이 되는 대신에,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하다" 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의 우리말본에서, 대응하는 우리말 차용 번역 용어에 바로 이어지는 괄호 안에 대응하는 영어 번역 용어를 삽입한 것은 필자가 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4s1c1a3.htm#2630

(발췌 시작)

2630 The New Testament contains scarcely any prayers of lamentation, so frequent in the Old Testament. In the risen Christ the Church's petition is buoyed by hope, even if we still wait in a state of expectation and must be converted anew every day. Christian petition, what St. Paul calls {"groaning," arises from another depth, that of creation "in labor pains" and that of ourselves "as we wait for the redemption of our bodies. For in this hope we were saved."103 In the end, however, "with sighs too deep for words" the Holy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for we do not know how to pray as we ought,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with sighs too deep for words."104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
page=931

(발췌 시작)

2630 신약 성경에는 구약 성경에 자주 나오는 비탄(lamentation)의 기도가 거의 없다. 우리가 비록 아직은 기다림 중에 있고 날마다 회개해야(must be converted) 하지만, 부활하신 그리스도 안에서 교회의 청원(petition)은 희망으로 지탱된다. 비탄보다 훨씬 더 깊은 데서 솟아나는 그리스도교 청원(petition)을 바오로 사도는 탄식(groaning)이라고 부른다. 이 탄식은 “함께 탄식하며 진통을 겪고 있는” (로마 8,22) 모든 피조물의 탄식이기도 하며, 우리의 탄식이기도 하다. 우리는 “우리의 몸이 속량되기를 기다리며 속으로 탄식하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는 희망으로 구원을 받았습니다” (로마 8,23-24). 끝으로, 이 탄식은 바로 “나약한 우리를 도와주시고, 우리는 올바른 방식으로 기도할 줄 모르지만, 몸소 말로 다 할 수 없이 탄식하시며(with sighs)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해 주시는(intercedes for us)(로마 8,26) 성령의 탄식이다(with sighs).

(이상, 발췌 끝)

 

(2) "새 번역 성경" 로마서 8,26에 있는 지금의 번역 표현은,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여러 영어본 성경들[주: 여기에는 개신교용 성경들도 포함됨]과는 달리,, 가톨릭 교회의 교의(dogma)인 "성인들의 통공(communion)"을, 더 구체적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 교육의 최종 목표(definitive aim)인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와 통공(communion)을 이루게 하는 것"[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79년 교황 권고[제목: Catechesi Tradendae(현대의 교리교육)], 제5항 마지막 문장](*)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말로의 용어 번역 과정에서, "intercede" 라는 용어에 등가로 대응하는 "전구하다"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선택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대신에, "간구하다" 라는 용어를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 의도적으로 선택하였을 수도 있다고 추정되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국내의 개신교측 성경들에서의 번역들과 동일한 번역입니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GAE&readInfo=
%uB86C%208%3A26&cVersion=SAE^SAENEW^&fontString=12px&fontSize=1#focus

 

-----

(*) 게시자 주: 우리말 번역문과 출처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62_definitive_aim_of_catechesis.htm [우리말 번역문]

http://w2.vatican.va/content/john-paul-ii/en/apost_exhortations/documents/
hf_jp-ii_exh_16101979_catechesi-tradendae.html
 [영어본]

-----

(이상, (#4) 게시자 주 끝)

 

5-2-9.

CCC 2634 (로마 8,34; 로마 8,26; "주석 성경"히브리 7,25 각주 필독(#5) (번역 오류)

 

-----

(#5) 게시자 주: 

(1) 다음은 영어본 및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34항 전문인데,

(i) 이 교리서 본문에서는 "intercession""전구(轉求)" 로, 그리고 "intercessor""전구자(轉求者)" 로 올바르게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어 있으나, 그러나

(ii) 이어지는 성경 본문의 인용들에서는, 바로 앞에 있는 교리서 본문에서의 내용과 일치를 하지 않는, 번역 오류들이 있습니다. 즉,

(iii) NAB 히브리서 7,25에서 "make intercession for them" 으로 번역되는 표현이, "그들을 위하여 전구하다"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는 대신에, "그들을 위하여 빌어 주십니다" 로 번역되었는데, 이것은 명백한 번역 오류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바로 아래의 제(3)항을 또한 꼭 읽도록 하십시오그리고

(iv) NAB 로마서 8,26에서 영어로 "intercedes for us" 로 번역되는 표현이, "우리를 위하여 전구하다" 로 번역이 되는 대신에,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하다" 로 번역되었는데, 이것은  번역 미숙랴 아니할 수 없습니다.

 

"전구하다" 라는 용어의 사용을 애써 회피한 것 같은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로서는 그 이유를 알 수 없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4s1c1a3.htm#2634

(발췌 시작)

2634 Intercession is a prayer of petition which leads us to pray as Jesus did. He is the one intercessor with the Father on behalf of all men, especially sinners.112 He is "able for all time to save those who draw near to God through him, since he always lives to make intercession for them."113 The Holy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 . . and intercedes for the saints according to the will of God."114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
page=933

(발췌 시작)

2634 전구(轉求)는 우리의 기도를 예수님의 기도와 매우 흡사하게 해 주는 청원 기도의 하나이다. 예수님께서는 모든 사람을 위해, 특히 죄인들을 위해, 하느님께 기도드리는 구자이시다.(*) 107) “따라서 그분께서는 당신을 통하여 하느님께 나아가는 사람들을 언제나 구원하실 수 있습니다. 그분께서는 늘 살아 계시어 그들을 위하여 빌어 주십니다(히브 7,25). 성령께서도 친히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해 주십니다(로마 8,26-27).

(이상, 발췌 끝)

 

-----

(*) 게시자 주: "예수님께서는, ..., 하느님께 기도드리는 전구자이시다." 라는 우리말 번역문은 명백한 번역 오류라 아니할 수 없다. "He is, ..., the one intercessor with the Father." 로 번역되는 표현은 "예수님께서는, ..., 성부를 대(對)하시는(with) 유일한(one) 전구자이시다." 라고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어야 할 것이다.

-----

 

(2) "새 번역 성경" 로마서 8,34에 있는 지금의 번역 표현은,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여러 영어본 성경들[주: 여기에는 개신교용 성경들도 포함됨]과는 달리가톨릭 교회의 교의(dogma)"성인들의 통공(communion)"을, 더 구체적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 교육의 최종 목표(definitive aim)인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와 통공(communion)을 이루게 하는 것"[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79년 교황 권고[제목: Catechesi Tradendae(현대의 교리교육)], 제5항 마지막 문장](*)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말로의 용어 번역 과정에서, "intercede" 라는 용어에 등가로 대응하는 "전구하다"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선택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대신에, "간구하다" 라는 용어를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 의도적으로 선택하였을 수도 있다고 추정되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국내의 개신교측 성경들에서의 번역들과 동일한 번역이며, 이 번역 표현은 명백한 번역 오류입니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GAE&readInfo=
%uB86C%208%3A34&cVersion=SAE^SAENEW^&fontString=12px&fontSize=1#focus

 

-----

(*) 게시자 주: 우리말 번역문과 출처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62_definitive_aim_of_catechesis.htm [우리말 번역문]

http://w2.vatican.va/content/john-paul-ii/en/apost_exhortations/documents/
hf_jp-ii_exh_16101979_catechesi-tradendae.html
 [영어본]

-----

 

(3) 다음은, NAB 히브리서 7,25 전문, 그리고 "새 번역 성경" 히브리서 7,25 전문과 이에 대한 "주석 성경" 의 주석 전문인데, 영어로 "make intercession for them" 로 번역되는 표현이,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여러 영어본 성경들[주: 여기에는 개신교용 성경들도 포함됨]과는 달리, "그들을 위하여 전구하다"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는 대신에, "그들을 위하여 빌어 주십니다" 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명백한 번역 오류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전구하다" 라는 용어의 사용을 애써 회피한 것 같은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로서는 그 이유를 알 수 없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839/__P11M.HTM

(발췌 시작)

Therefore, he is always able to save those who approach God through him, since he lives forever to make intercession for them.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info.catholic.or.kr/bible/bbl_read_sori.asp?gubun=new2&code=165&JangNo=7&
JangSum=13

(발췌 시작)

따라서 그분께서는 당신을 통하여 하느님께 나아가는 사람들을 언제나 구원하실 수 있습니다. 그분께서는 늘 살아 계시어 그들을 위하여 빌어 주십니다.25)(#)

 

-----
25) 여기서 '비는 것' 은 더 이상,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계실 때" (5,7) 바치신 공손한 간청이 아니다. 이 절이 말하는 '중개' 는 전적인 권한을 위임받고(3,2 참조), 모든 권능을 쥐신 분께 자기자 책임을 맡은 사람들을 위하여 청탁하는 것이다. 영광을 누리시는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께 청탁을 하기에 가장 좋은 위치에 계신다. 하느님 오른쪽에 영원히 좌정하고 계시기 때문이다(9,24; 로마 8,34;1요한 2,1 참조).

 

(#) 게시자 주: 이 우리말 번역 또한, 가톨릭 교회의 교의(dogma)"성인들의 통공(communion)"을, 더 구체적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 교육의 최종 목표(definitive aim)인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와 통공(communion)을 이루게 하는 것"[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79년 교황 권고[제목: Catechesi Tradendae(현대의 교리교육)], 제5항 마지막 문장](*)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말로의 용어 번역 과정에서, "make intercession for them" 이라는 용어에 등가로 대응하는 "그들을 위하여 전구하다"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선택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대신에, "그들을 위하여 간구하다" 라는 용어를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 의도적으로 선택하였을 수도 있다고 추정되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국내의 개신교측 성경들에서의 번역들과 등가인 번역이며, 이 번역 표현은 명백한 번역 오류입니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GAE&readInfo=
%uD788%207%3A25&cVersion=SAE^SAENEW^&fontString=12px&fontSize=1#focus

 

-----

(*) 게시자 주: 우리말 번역문과 출처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62_definitive_aim_of_catechesis.htm [우리말 번역문]

http://w2.vatican.va/content/john-paul-ii/en/apost_exhortations/documents/
hf_jp-ii_exh_16101979_catechesi-tradendae.html
 [영어본]

-----

-----

(이상, 발췌 끝)

-----

 

(4)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나해 연중 제31주일 제2독서(히브리서 7,23-28)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은 다음에 있는데, 히브리서 7,25에 대한 해설이 대단히 훌륭하다고 판단되어, 또한 안내해 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b_ot_31.htm <----- 필독 권고

[아론의 대사직 품계보다 월등히 높은/뛰어난 멜키체덱의 대사제직 품계의 영원한 대사제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대사제직의 역할에 대하여 가르치는, 히브리서 제7장의 끝 부분에 있는 히브리서 7,25를 인용하는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강론 말씀과 이어지는 해설]  

(이상, (#5) 게시자 주 끝)

 

5-2-10.

CCC 2636 마지막 문장에서, 간구한다 (불필요한 추가)

 

5-2-11.

CCC 2766 (로마 8,27 intercedes for the holy ones, 성도들을 위하여 간구하다) (#6) (번역 오류)

 

-----

(#6) 게시자 주: "새 번역 성경" 로마서 8,27에 있는 지금의 번역 표현은,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여러 영어본 성경들[주: 여기에는 개신교용 성경들도 포함됨]과는 달리가톨릭 교회의 교의(dogma)인 "성인들의 통공(communion)"을, 더 구체적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 교육의 최종 목표(definitive aim)인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와 통공(communion)을 이루게 하는 것"[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79년 교황 권고[제목: Catechesi Tradendae(현대의 교리교육)], 제5항 마지막 문장](*)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말로의 용어 번역 과정에서, "intercede" 라는 용어에 등가로 대응하는 "전구하다"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의 선택을 의도적으로 회피하고, 대신에, "간구하다" 라는 용어를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 의도적으로 선택하였을 수도 있다고 추정되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국내의 개신교측 성경들에서의 번역들과 동일한 번역입니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GAE&readInfo=
%uB86C%208%3A27&cVersion=SAE^SAENEW^&fontString=12px&fontSize=1#focus

 

-----

(*) 게시자 주: 우리말 번역문과 출처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62_definitive_aim_of_catechesis.htm [우리말 번역문]

http://w2.vatican.va/content/john-paul-ii/en/apost_exhortations/documents/
hf_jp-ii_exh_16101979_catechesi-tradendae.html
 [영어본]

-----

 

5-2-12.

에페소서 6,18; 6,19 - supplication 간구

필리피서 4,6 - petition 간구

1티모테오 5,5 - supplications 간구

1베드로 3,12 - prayer 간구

1요한 5,16 - pray 간구하다

 

게시자 주 5-2-12: 이와 같이, 영어로 "pray", "prayer", "petition", "supplication" 등으로 번역되는 표현들을 동일하게 "간구하다" 혹은 "간구" 로 힉일적으로 번역하는 것은,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전후의 문맥 안에서 이들 단어들이 나타내는 미묘한 차이점들을 훼손하는 축소 번역이므로, 번역 오류일 것입니다.

(이상, 나열 끝)

 

지금까지 함께 고찰한 바로부터 우리는 다음의 결론을 도출합니다:

 

(중간 결론 3)

"새 번역 성경" 본문에서 사용 중인 차용(借用) 번역 용어 "간구" 혹은 "간구하다" 는, 위의 제4-1항에 발췌된 "영문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29항"에 비추어 볼 때에, 대단히 무분별적으로 남용(濫用)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남용은,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잘교리적으로 잘못된 개념 동일시 혹은 개념 축소 등의 원인(cause)을 제공하기 때문에, 번역 오류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6.

"새 번역 성경" 본문 전체에 걸쳐 단 한번 차용 번역 용어 "전구"1티메테오 2,1에서 사용되었음은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하면 쉼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old2&prindex=0&Keyword=전구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new2&prindex=0&Keyword=전구

 

1티모테오 2,1 petitions, 전구 

 

게시자 주:

(1) "새 번역 성경" 1티모테오 2,1에 있는 지금의 차용 번역 용어 "전구" 는, "200주년 기념 신약성서"에서 선택된 차용 번역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데, 다음의 주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 차용 번역 용어에 대응하는 그리스어 단어는 여러 영어 성경들에서 "intercession(s)(전구)" 로 번역되고 있습니다:

http://biblehub.com/1_timothy/2-1.htm

 

(2) "공동번역성서", "200주년 기념 신약성서", 그리고 "새 번역 성경"들의 본문 전체에 걸쳐, "전구"라는 차용 번역 용어는, 200주년 기념 신약성서과 새 번역 성경 본문 전체에 걸쳐 1티모테오 2,1에서만 오직 단 한 번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상당히 아니다라는 생각입니다.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NAB(New American Bible)의 용어 색인에서 발췌한 "intercede" 라는 동사의 파생어들입니다. 이들 각각을 클릭하여, 각 파생어와 "새 번역 성경" 의 해당 경전의 절들에 대응하는 우리말 차용 번역 용어와 정밀하게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10 intercede
    4 interceded
    3 intercedes
   10 intercession
    6 intercessor
    2 intercessors
    1 intercessory 

 

다음은, 위의 용어들 각각에 대한 더 정밀한 비교/검토이며, 괄호 안에 있는 표현은 "새 번역 성경"에서 선택된 대응하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입니다. 이들 중에서, "전구", "전구하다/중재하다" 로 번역되지 않은 경우들에서 번역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10 intercede
창세기 20,7(기도하면); 23,8(간청하여);

1사무엘기 2,25(두 번)(중재하여 주시지만, 빌어 주겠느냐);

1열왕기 13,6(기도해 주시오);

에스더 4,8(사정하라는);

예레미야서 7,16(기도하지); 11,14(기도하지); 14,11(행복을 빌지); 27,18(간청해야)

 

    4 interceded
창세기 20,17(기도하자);

토빗기 1,22(간청을 드려);

예레미야서 15,11(간청하게);(*)

루카 복음서 4,38(청하였다) 

 

-----

(*) 게시자 주: NAB 본문에 대응하는 "새 번역 성경"의 본문 자체가 현격하게 다름.

-----

 

    3 intercedes
로마서 8,26; 8,27; 8,34 <----- 위의 제5-2항을 보라.

 

   10 intercession
욥기 42,9(기도);

히브리서 7,25 <----- 위의 제5-2-9항 (#5) 게시자 주 (3)을 보라.

 

    6 intercessor [주: NAB 본문 중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주석들에서 여섯 번 사용됨].

    2 intercessors [주: NAB 본문 중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주석들에서 두 번 사용됨].
    1 intercessory [주: NAB 본문 중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토빗기 입문에서 한 번 사용됨].

 

(3) 다른 한편으로, 1티모테오 2,1에서의 이 그리스어 단어는 NAB에서 "petitions" 로 번역되었는데, 이것은 다음의 주소들에 있는 "대중 라틴말(Vulgate)" 성경과 1979년에 초판 발행된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에서의 라틴어 번역 표현인 "postulationes"을 그대로 따르고 있습니다:

http://www.newadvent.org/bible/1ti002.htm

http://www.vatican.va/archive/bible/nova_vulgata/documents/
nova-vulgata_nt_epist-i-timotheum_lt.html#2

 

(4) 그리고 공동번역성서 1티모테오 2,1에서는 "간청"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4월 23일]

7.

질문 2: 국내에서 대표적인 "민간의(일반 백성/평민들 사이의),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충실(popular piety)"이라는 한 개의 윤리덕(a moral virtue)실천(實踐, practice)의 예(example)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요?

 

질문 2에 대한 답변 시작: 국내에서, 예를 들어, 전구(intercession)의 기도인 연도(연령기도)를 들 수 있을 것입니다.

 

7-1. 2005년 9월 2일에 작성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연도의 대상은?" 제목의 글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551.htm

 

7-2. 2005년 9월 25일에 작성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가톨릭 신자로서 앞으로 부모상을 당할 분들을 위하여.." 제목의 글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555.htm

(이상, 질문 2에 대한 답변 끝)

[이상, 2015년 4월 23일자 내용 추가 끝]

 

[내용 추가 일자: 2018년 12월 2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 글의 연속으로서 마련된, "기도(祈禱), 기구(祈求), 전기(轉祈), 전구(轉求), 간구(懇求) 등의 번역 용어들의 출처와 기원에 대하여" 제목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70.htm <----- 필독 권고  

 

특히, 바로 위에 안내된 주소에 접속하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2017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 기간 동안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따라서 그 저작권(著作權, Copyright)이 필자에게 있는, Data Mining 기법을 적용한, "AI 기반, 한시(漢詩) 표준 해석법 [A Standard Method of Interpretation of Chinese Poems(漢詩),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에 의존하여, 아무리 늦더라도 1628년 경에 이르면, "한문 문화권" 천주교회 안에서, 기도와 관련된, 이들 다섯 개의 번역 용어들 모두가 이미 사용되고 있었음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내용도 읽을 수 있습니다.

[이상, 2018년 12월 2일자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24시간 (자료 조사/분석 포함)

 



3,581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