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부 게시판

제의에 그려져 있는 그림의 의미

인쇄

한경수 [handaechem] 쪽지 캡슐

2011-09-13 ㅣ No.37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1. 영대

 성직자가 자신의 성무 집행의 표시로 목에 걸쳐 무릎까지 늘어지게 매는 좁고 긴 띠. 고대 동방에서 사용되던 장식술이 달린 화려한 목도리에서 유래된 듯하다. 4세기에 처음으로 부제들이 명예를 표시하는 휘장으로 사용했고, 주교와 사제들이 목에 걸고 미사를 드렸다. 영대라는 공식 용어를 사용한 것은 6세기부터였다. 영대는 길이 2.5m, 넓이 9㎝ 정도로 제의와 같은 천으로 만들어지는데, 13세기 이후 넓이 4㎝정도로 좁아졌다. 부제는 왼편 어깨에서 오른편 허리 밑으로 매며, 사제와 주교는 가슴 앞에서 평행하게 내려 맨다. 고해성사 때는 보라색의 영대를, 성체강복과 병자성사 때는 흰색의 영대를 강론 때에는 그날에 해당하는 제의색과 같은색의 영대를 하게 된다. 영대는 성직자의 직책과 의무, 성덕의 상징으로, 사제는 영대를 착용할 때 친구하며 다음과 같이 기도할 수 있다. "주여, 주께 봉사하기에 합당치 못하오나 원죄의 타락으로 잃은 불사불멸의 영대를 내게 도로 주시어 주의 영원한 즐거움을 누리게 하소서"


2. 영대 문양

  - 십자가: 구원과 그리스도교 신앙인의 상징

  - 물고기, 밀이삭, 포도, 빵다섯개: 예수님의 최후 만찬을 상징하고 미사의 제물도 상징합니다.


3. 미사에서 전례복 의미

  - 제의: 십자가

  - 띠: 포승줄

  - 영대: 왕의 표시

  - 장백의: 예수님의 옷


4. 신부님마다 영대문양이 각기 다를수 있습니다.

 


163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