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원동성당 게시판

성령 특은을... - 3 (그리고, 멍멍!)

인쇄

신제식 [uni3one] 쪽지 캡슐

2000-10-04 ㅣ No.1424

+찬미예수님

 영광 받으세요!

 

견진성사로 성령의 특은을 받기 위에 열심히 준비하시고 참여하시는 모든 형제 자매님께

은총을 간구드립니다.

 

**<<<견진 성사>>>**

 

2. 견진성사와 하느님의 백성

 

. 그리스도 예언직의 참여

 

   세례성사로 받은 은혜는 견진성사를 받으므로 더욱 굳게,  힘 있게 나타납니다.

      초대교회의 사도들이 성령을 받고 그리스도의 복음을 온세상에 전파했듯이 견진을

  받음으로써 그리스도의 진리를 모든 이에게 전할 수 있는 힘과 용기를 얻습니다.

      그러므로 견진성사를 받은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진리를 잘 알아듣고 이웃에 대한

  사랑을 향하며 그 진리를 전해야 할 의무를 지닙니다.

     그것은 그리스도를 증거할 수 있는 생활과 모범으로 이웃에게 그리스도를 보여주는

  삶을 살아야 의무를 다할 수 있는 것입니다.

    주님의 가장 큰 계명인 사랑은 모든 교우들로 하여금 하느님 나라를 확장하여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 하는데 있으므로 성령의 은혜로 굳은 신앙을 갖춘 사람은

  비록 피의 순교로 신앙을 지키는 시대에 살고 있지는 않지만 땀의 순교(발로 뛰는

  전교)로써 용감히 그리스도의 복음과 진리를 증거하고 선조의 순교 신앙을 본받고

  교구의 목표와 본당의 사목지침에 앞장서 자신을 봉헌할 줄 일아야 할 것입니다.      

                 (계속)

 

. 그리스도 사제직의 참여

. 그리스도 왕직의 참여

. 성령의 은혜(7, 특은 등)

 

3. 견진 전례

.

.

.

.

다시 이어지는 멍!  멍멍!

 

 

바둑이와 함께 노는 둘째마당 -  1

 

..........................................이제부터는 실전을 통해 공부합니다.

 

[4]  실전의 요령

 

        

                 *바둑판을 구분하면 귀, , 중앙(세력)으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림 15)

 

  1. 용어 해설(Ⅰ)

 

   가. 귀

           바둑은 대체로 4귀에서부터 시작한다. 귀 쪽은 가운데보다 집짓기가 쉽기 때문이다.

 

   나. 화점과 천원

          바둑판에는 361의 교차점에 짙게 표시한 9개의 점이 있다. 이 점들을 화점(花點   )                        

          이라 하고, 특히 중앙의 점을 천원(天元     )이라 한다.    

           ※ 바둑알 : 흑돌 - 181개,  백돌 - 180개

 

   다. 귀, 변, 중앙(세력)

          ※ (그림 15) 참조

 

   라. 화점, 소목, 고목. 외목. 3 ×三(삼삼)

 

        

 

                                                (그림 16)  - kibo(poseok2)

 

         * (그림 16) 은 어느 프로 기사의 초반 포석단계의 기보입니다.

           바둑판의 교차점의 짙게 표시되어 있는 점이 화점이고 한가운데 있는 화점을 특히

     천원이라 합니다. 흑이 먼저 우상귀(1) 삼삼에  백은 좌하귀 화점(2),  흑이 우하귀(3)

     소목에 이어서 백이 좌상귀(4) 소목에 두었음을 봅니다.  바둑판을 바라보면 흑을 둔

     사람은 판의 아랫쪽에, 백을 쥔 사람은 윗쪽에 앉아 있어서 맨 먼저 흑을 둔사람은

     팔을 쭉 뻗어 우상귀에 두고 백은 자기 앉은 자리의 우하귀(그림에서는 좌상귀)

     두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그림과 같이 좌하귀에 두는 예외도 있으나 크게 잘못된것은

     아니다.  다만 흑과 백의 첫점만은 상대의 우하귀(흑은 3, 5가 포진한 위치,  백은 4, 6

     포진한 위치의 귀)에 두는 것은 예의가 아닙니다.

           소목은 화점 한칸 아래의 점,  각 화점에 두점씩 있겠지요?  

     삼삼은 화점의 귀쪽으로 대각선 아래 점,

           고목은 화점의 변쪽으로 옆의 점(10),   외목은 화점의 변쪽으로 대각선 아래점(5)으로

     각각 두점이 있습니다.  바둑은 화점을 기준으로 설명되니 그 기본도 화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해가 안되시더라도 앞으로 자주 얘기하게 되므로 알게 됩니다.

        

          번호 순서대로 바둑판위에 놓아 보세요!

         

   마. 굳히기, 걸치기, 벌리기. 뛰기

 

        

 

                                                       (그림 17) - kibo(poseok1)

 

          * (5)와 같은 점을 굳히기(귀에서 날일자 굳힘),  (6, 7)과 같은 점을 상대 진영에

     걸쳐가는 걸치기(소목에 날일자 걸치기),  (10, 11)과 같은 점을 변으로 벌리기,

            (11)(8)에 대한 공격적인 협공의 의미도 있슴.   ( 9, 12) 등은 뛰기의 예입니다.

 

  바. 실리, 세력

 

        

 

                                                        (그림 18) - kibo3

 

      * 바둑을 두며 중앙쪽을 중시하는 바둑을 세력바둑(대체로 흑쪽),   귀나 변을 중시하며

    집을 위주로 하는 바둑을 실리 바둑(대체로 백) 이라 함,   이는 바둑 두는 사람의

    취향입니다.  바둑은 집짓기 게임이므로 집을 짓는데는 실리 바둑이 유리하나 바둑두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전투가 벌어 지며 이 싸움을 유리하게 이끄는데는 세력바둑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매우 어렵지만 세력 바둑이 집으로 만들 수 있다면 엄청난 집이

    중앙에 지어 질 수 있겠지요.     많은 저항이 따르지만...

         

        순서대로 지금 놓아 보세요!           두어보지 않으면 소용없습니다.!

      두어본 순서는 욀 수 있다면 더욱 좋겠지요.

 

 

 2. 바둑 잘 두는 방법

 

    가. 되도록 많이 두어 본다.

    나. 잘 두는 바둑을 많이 관전한다.

    다. 두고 난 후 복기를 해본다.

    라. 이론을 알면 더 강할 수 있다.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책등을 통해 보완해 간다.

 

 

>>>>>>>>>>>>>>>>>>>>>>>>>>>>> 계속

 

 

 

 

 

 

 

 

 



68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