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RE: 966번 글에 대한 답글 및 이 답글에 대한 답변글 964_ [성경_번역오류_약은집사] [성경해석] 782_

인쇄

. [122.128.44.*]

2010-10-10 ㅣ No.967

 
+ 찬미 예수님
 
 
요 며칠 사이에, 저의 번역 오류 지적의 글에 주신 ooo 형제님의 답글들의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듯이, 제가 루카 보음서 16,2의 "집사 일을 청산하게"라는 우리말 번역이 잘못 되었음을 분명한 근거 자료들의 제시와 함께 지적하였더니, 제 글을 제대로 읽지도 않으셨는 듯한 ooo 형제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누구나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어떤 종류의 개연성(蓋然性) 혹은 당위성(當爲性)만을 근거로 막연하게 주장하면서, 우리말 번역에 문제가 없다는 첫 주장을 하셨습니다:
 
-----
(ooo 형제님의 2010-10-07일자 답글에서 발췌)
이곳은 게시 내용처럼 회원 누구나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성경을 묻고 답하는 과정에도 어느 정도 룰은 있어야 합니다. 일부 평신도가 '성경 번역 오류'언급하면서 자신의 논리를 펴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는 생각을 접을 수가 없기에 제안합니다.

성경 번역은 어느 개인이 쉽게 하기엔 불가능한 엄청난 작업입니다. 국가 기관에 부합되는 곳에서 오랜 연구와 묵상으로 정말 오랜 과정을 거쳐 번역이 되었으리라 확신합니다. 하느님 말씀을 감히 어정쩡하게 다루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
 
2. 그래서 이 주장에 대하여,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답글을 제가 드렸더니, 다음과 같은 납득할 수 없는 답변을 주셨습니다:
 
-----
(ooo 형제님의 2010/10/08일자 한줄답변 전문) 
주교님의 교황님 알현은 같은 주교 입장에서 청산이니 업무 보고니 하는 확대 질문 사항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직책의 관점에서는 2번 사항의 설명 또는 보고의 행위는 일부 가미되리라 여겨집니다. 그러나 이것이 부자와 약은 집사간에 벌어지고 있는 청산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제가 이곳 담당 사제님께 요청한 4개의 내용에 대한 소순태님의 견해가 저의 묵상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
 
3. 그러나 매우 유감스럽고 실망스럽게도, 위의 각 문장이 ooo 형제님 고유의 개인적 추측/판단뿐이기에, 제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답변글을 정중하게 드렸더니, 매우 유감스럽게도, 자신의 애초의 주장인, 번역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데에 대한 아무런 근거 자료의 제시도 없는, 이 글의 마지막 부분에 첨부한, 상당히 긴글로 답글을 다시 주셨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답글들과 마찬가지로, (이 글의 아랫 부분에 복사하여 둔) 이번 글에서의 ooo 형제님의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려면, 최소한도의 근거 자료도 또한 함께 제시하셔야 한다는 생각이며, 그러지 않거나 못할 경우에는, 오히려 애초에 형제님께서 아래의 제 1] 항에 제시한 바와 같은 표현을 담은 주장을 왜 하셨는지에 대하여, 다들 의아하게 생각할 것입니다:
 
-----
(ooo 형제님의 2010-10-10일자 답글에서 발췌) (이 글의 아랫 부분에 복사하여 둠)
1] '집사 일을 청산하게.'라는 내용이 '출납 보고서 제출'의 번역 오류인가?

[집사 일 청산과 출납 보고서 제출은 집사가 재산을 낭비한다는 소문으로 부자가 집사를 내 쫓아내려는 마음을 가졌다는 측면에서는 같은 해석이라 판단되며, 이 복음에서의 주요 논쟁거리는 아님. 부자의 지시에 의해 집사가 속으로 스스로 말하는 내용으로 보면 집사 역시 쫓겨남을 인정한 상태임.]
-----

그리고 대단히 죄송한 말씀이지만, 지금 바로 위에 발췌한 부분 이외의 형제님의 (이 글의 아랫 부분에 복사하여 둔) 이번 글은, 현재의 새 번역 성서 루카 16,2의 "집사 일을 청산하게"라고 번역된 표현을 제가 번역 오류라고 지적한 부분에 관한 글이 전혀 아니므로, 제가 읽어 보아야 할 이유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더 나아가, 지금 바로 위에 발췌한 부분 이외의 (이 글의 아랫 부분에 복사하여 둔) 형제님의 글은,현재의 새 번역 성서 루카 16,2의 "집사 일을 청산하게"라고 번역된 표현에 번역상 하자가 없다는 형제님의 주장이 정당함과도 논리적으로 아무런 관련이 없으므로, 제가 굳이 읽어 보아야 할 이유도 또한 없다는 생각입니다. [무슨 이유로 쓴 글인지, 그리고 도대체 누구를 위하여 쓴 글인지 알 수 없는 글은, 되도록 읽지 않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그리고 위의 제 1] 항에서 주신 ooo 형제님의 판단/견해에 대하여 저의 소견을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3-1.
[(ooo 형제님의 2010-10-10일자 답글에서 발췌) (이 글의 아랫 부분에 복사하여 둠)
 집사 일 청산과 출납 보고서 제출은 집사가 재산을 낭비한다는 소문으로 부자가 집사를 내 쫓아내려는 마음을 가졌다는 측면에서는 같은 해석이라 판단되며, 이 복음에서의 주요 논쟁거리는 아님. ]
 
<----- 이런 주장을 아직도 하시는 것으로 보아,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글에서 이미 말씀드린,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의 의미, 그리고 교회의 핵심 문헌들에 있어 왜 직역 번역이 중요한지도 모르시는 분이라는 생각입니다. 

이미 이전의 글에서 말씀드렸지만, 성경의 번역에 있어 직역 번역이 중요한 이유는, 간단하게 말씀드려, 성경 해석에 있어 3가지의 영성적 의미(spiritual meanings)들의 근거가 되는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를, 자국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번역자의 과오로 잃지 않기 위함에 있는 것인데, 아무리 분명한 자료 제시를 하면서 구체적이 예들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을 해 드려도, 우리말 번역에 문제가 없다는 자신의 판단/주장만을 되풀이하면서, 무조건 거부하는 분임을 이제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비유에 있어, 집사를 움직이게 한 바로 그 첫 동기들이 루카 복음서 16,2에 고스란히 주어져 있기에, "약은 집사의 비유"로 불리는 예수님의 비유의 내용을 논리적인 인과 관계 안에서 제대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루카 복음서 16,2의 자구적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먼저, 우선적으로 꼭 필요한데 [참고: 이 점은, 제가 여러분들에게 말씀드리지 아니한, 다른 영문 자료들에서도 명백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0년 10월 12일자로 추가한 아래의 두 개의 해설/묵상 글들을 읽어 보도록 하십시오], 매우 유감스럽게도, 이것을 통째로 부인하시는군요.
 
 
 
--------------------
 
[추가일자: 2010년 10월 12일]
 
다해 연중 제25주일 복음 말씀인 루카 복음서 16,1-13에 대한 다음의 두 개의 해설/묵상 글들을 읽어 보도록 하십시오:
 
-----
 
By Patricia Datchuck Sánchez
 
http://www.celebrationpublications.org/archives/sanchez/author.htm
(저자인 Patricia Datchuck Sánchez 에 대한 학력/경력 소개글)

Luke 16:1-13.

Often described as a controversial and difficult parable, Luke’s story of the rich man and his clever manager is more easily understood against the background of ancient Palestinian economics and usury laws. (졸번역: 이 부자와 그의 영리한 집사에 대한 루카의 이야기는 고대 팔레스티나 지역의 경제 및 고리 대금업을 배경으로 더 쉽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ccording to the parable proper (vv. 1-8a) the manager had been caught in the act of swindling his master (probably by embezzlement) and was given notice of his termination. Given the known history of the times, the rich man may have been an absentee land owner who had entrusted his business affairs to a manager. The manager (agent, steward, in other translations) was a trained and trusted employee, who had the authority to represent his master in all business transactions. In that capacity, the manager could make loans, rent or lease property, collect debts and fees, etc.

On each business transaction, the manager, like the tax collector, was to recoup his master’s money in full. In the process he was free to earn for himself on each transaction a commission that took the form of interest added on to the principal. (졸번역: 그 과정에서 그는 각 처리마다 원금에 더해지는 이자의 형태를 가졌던 수수료를 자기 자신을 위하여 자유롭게 벌었습니다). According to the law (Exodus 22:25, Leviticus 25:36, Deuteronomy 23:19ff), it was forbidden to take interest on loans to fellow Israelites. But, as W.J. Harrington points out, ways had been found of evading the law. It was argued that the law applied only to the destitute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exploitation. If it could be proven that the intended borrower had at least some of the commodity he wished to borrow and was under no compulsion, a loan could be permitted. “In this way commercial transactions were concluded by a legal fiction, without infringing on the letter of the law” (W.J. Harrington). Wheat and oil, the commodities mentioned in the parable, were especially liable to this kind of legal maneuvering because most people had at least the minimum of both materials. Therefore the manager’s action of exacting interest on the wheat and oil (his own commission ) and then of reducing that interest on his own volition was an accepted legal procedure.

Seeing that his employment was soon to be terminated due to his past dishonesty, the manager realized he could “not dig ditches” (v. 3). According to the literal translation of v. 3, the manager was “physically incapable” of such manual work. In addition to this physical limitation, he had the psychological burden of being ashamed to beg. Therefore, aware of his capacities and incapacities, the manager set about making provisions for his future so that, when he was fired, he would have friends to support him and to welcome him into their homes. To that end, he called his master’s debtors and reduced their debts by 50 and 20 per cent respectively. In actual fact, he had done his master no injustice; he had not acted dishonestly. He had merely surrendered his own commission, viz., the interest he as manager had added to the principal owed his master. (졸번역: 사실상, 그는 자신의 주인에게 어떠한 불의(injustice)도 행하지 않았으며, 그리고 그는 정직하지 않게 행동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자신 고유의 수수료(his own commision)를, 즉 자신의 주인에게 빚진 원금에 그가 집사로서 이미 추가하였던 이자를, 단순히 포기하였던 것입니다). For this prudent act his master praised the manager for “being enterprising” (v. 8a).

With this understanding of the Palestinian economic situation, the parable need no longer perplex the interpreter. (졸번역: 팔레스티나 지역의 경제 상황에 대한 이러한 이해와 함께, 이 비유는 성경 해설자들을 더 이상 혼란스럽게 할 필요가 없습니다).  Consequently the point of the parable, expressed in v. 8b seems clear. Faced with a crisis, the manager (one of the worldly) acted swiftly and employed even radical means in order to deal with his situation. In its original context the parable described for its hearers their own situation, i.e., Jesus’ preaching of the kingdom was the crisis to be dealt with. In response to that crisis, radical choices had to be made and swift action had to be taken lest the summons to salvation be forfeited (by the other worldly).

Attached to the parable (vv. 1-8a) and its primary meaning (v. 8b) is a string of sayings that represent other, later interpretations, added by the evangelist and the first century church. All the sayings are linked by a complex network of catchwords, the connection of which is lost in translation. In the first interpretation (v. 8), Jesus’ disciples were exhorted to make good use of this world’s goods so as to reap an eternal reward (“a lasting reception”). If the cunning manager could provide so well for his future by using material things, Jesus’ followers should be capable of equal prudence and wisdom. Given the general Lucan attitude toward material possessions, it would seem that the evangelist was referring to the giving of alms, sharing in common, etc. By prudent use of material goods, the hardships of the poor could be lessened and the cause of the kingdom would be furthered.

In its second interpretative comment (vv. 10-12), the scene shifts from the eschatological aspect of the kingdom to the daily preparation for it. By proving themselves worthy in: (1) little things, (2) elusive wealth, and (3) someone else’s money, the would-be stewards of God’s people can become worthy of (1 ) greater trust, (2) lasting wealth, (3) his/her own reward. The third and final interpretation (v. 13) has no real connection to the parable but describes that quality of total dedication Jesus expected from his disciples. One could not serve both God and money. Money or “mammon” (from the root ’amen: to be firm) meant “that in which one puts one’s trust.” Jesus’ disciples were to faithfully serve and trust in God alone while making wise use of money for the sake of others. As C. Talbert has expressed it, wealth or mammon is to be used sacramentally, as a means of expressing love of God by helping others. This ideal of the wise management of wealth was reflected in the life-style of the early community (Acts 2:44-45, 4:32, 34, 6: 1 ff). Today’s Christians are called to the same ideal of responsible and caring stewardship.

1. Dishonest dealings in the business place makes weekend worship a lie (Amos).

2. If politicians received as much prayerful support as financial backing, who knows what the impact might be (1 Timothy) ?

3. Naiveté with regard to worldly affairs is a detriment to true discipleship (Luke).

-----

By Don Schwager

http://www.rc.net/wcc/readings/dksbio.htm
(저자 Don Schwager에 대한 학력/경력 소개글)

Scripture: Luke 16:1-13

Meditation: What kind of future are you investing in? Jesus seemed to praise a clever manager who used underhanded means to secure a profitable and happy future for himself. What's the point of this perplexing parable? The steward was responsible for managing his wealthy landowner's property. He very likely overcharged his master's tenants for their use of the land and kept more than his fair share of the commission. (졸번역: 집사는 부유한 자신의 지주의 재산을 관리할 책임이 있었습니다. 그가 자신의 주인의 소작인들이 토지를 사용하는 데에 대하여 과잉 청구를 하였으며 그리고 이 수수료(the commission)에 대한 온당한(fair) 자신의 몫보다 더 많이 가져갔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When the landowner discovers the steward's dishonest practice he immediately removes him from his job, leaving him penniless and ashamed to beg or do manual work. Before news of his dismissal becomes public knowledge, the shrewd steward strikes a deal with his master's debtors. In discounting their debts he probably was giving up his generous commission. (졸번역: 그들의 빚들을 할인함에 있어 그는 아마도 자신의 넉넉한 수수료(commission)를 포기하였을 것입니다). Such a deal won him great favor with the debtors. Since he acted as the landowner's personal agent, such a deal made his master look very generous and forgiving towards those who owed him money. Surely everyone would praise such a generous landowner as the town hero! Since the master could not undo the steward's cancellation of the debts without losing face and making his debtors resent him, he praises the steward for outwitting him as a generous and forgiving landowner.

Jesus obviously thought that the example of a very clever manager who took thought for his future well-being would be a perfect illustration for anyone seriously interested in securing their future in God's kingdom. What lesson can we learn from this parable? The dishonest steward is commended for his shrewdness. The original meaning of "shrewdness" is "practical wisdom" or "prudence". It is the ability to deal with a given situation, to see what needs to be done and to do it. A shrewd person exercises foresight, discernment, and judgment (the ability to see through and understand a situation and what will likely happen if he doesn't take appropriate action). Three other parables where Jesus commends this kind of practical wisdom are the parables of the wise builder who built his house on a rock (Matthew 24:7), the wise steward who orders his household well  (Matthew 24:45; Luke 12:42), and the wise virgins who remembered the oil for their lamps (Matthew 25:2-9).

Jesus commends his listeners to be wise and prudent not just in the exercise of their material and financial resources, but more importantly in how they use these resouces for advancing God's kingdom and the work of the gospel. What we invest our time, money, and material resources in shows what we treasure or value the most. Some invest solely for their own personal advancement, comfort, and security. Some invest for the future well-being of others, such as loved ones or individuals they want to support or help in some way. Jesus warns us to invest in and not neglect what is most important and crucial – that which lasts forever. When we invest in God's kingdom – his kingdom of righteousness, peace, and joy (Romans 14:17) – we are not only securing our relationship with God for all eternity, we are also promoting the spread of the Gospel and the advancement of God's kingdom on earth. How we invest our lives and resources today has consequences not just for tomorrow or for the rest of our earthly lives but for eternity as well. How invested are you in the kingdom of God and in the things that last for eternity?

Jesus encourages us to be like the shrewd steward who used money generously to make friends and win for himself a secure and happy future. Generous giving is connected with almsgiving – giving financial assistance to those in need (sell your possessions and give alms -Luke 12:33). Those who receive alms become your friends because you are merciful to them in their time of need, just as God is merciful to you in your need for his forgiveness and help. Ambrose, a 4th century bishop said: The bosoms of the poor, the houses of widows, the mouths of children are the barns which last forever. True wealth consists not in what we keep but in what we give away. What is the enemy of generosity? It's greed, the excessive desire for personal gain and security. True generosity does not impoverish the giver, but enriches that person a hundredfold! Generosity expands the soul; greed contracts it. God is generous and superabundant in lavishing his gifts upon us. We can never outgive God. He shares all that he has with us. Do you know the joy and freedom of a generous heart and liberal giving to others?

Jesus concludes his parable with a lesson on what controls or rules our lives (Luke 16:10-13). Who is the master (or ruler) in charge of your life? Our master is that which governs our thought-life, shapes our ideals, controls the desires of the heart and the values we choose to live by. We can be ruled by many different things – the love of money or possessions, the power of position, the glamor of wealth and prestige, the driving force of unruly passions and addictions. Ultimately the choice boils down to two: God and mammon. What is mammon? Mammon stands for material wealth or possessions or whatever tends to control our appetites and desires. There is one Master alone who has the power to set us free from the slavery of sin and addiction. That Master is the Lord Jesus Christ.

Possessions and material resources are a great responsibility. The Lord expects us to use them honestly and responsibly and to put them at his service and the service of others. We are God's servants and all that we have belongs to him. He expects us to make a good return on what he gives us. God loves generosity and he gives liberally to those who share his gifts with others. Love of money and wealth crowd out love of God and love of neighbor. Jesus makes clear that our hearts must either be possessed by God's love or our hearts will be possessed by the love of something else. Where is your treasure?

"Lord Jesus, all that I have is a gift from you. May I love you freely and generously with all that I possess. Help me to be a wise and faithful steward of the resources you put at my disposal, including the use of my time, money, and possessions."

Psalm 113:1-8

1 Praise the LORD! Praise, O servants of the LORD, praise the name of the LORD!
2 Blessed be the name of the LORD from this time forth and for evermore!
3 From the rising of the sun to its setting the name of the LORD is to be praised!
4 The LORD is high above all nations, and his glory above the heavens!
5 Who is like the LORD our God, who is seated on high,
6 who looks far down upon the heavens and the earth?
7 He raises the poor from the dust, and lifts the needy from the ash heap,
8 to make them sit with princes, with the princes of his people.

[이상, 2010년 10월 12일자 추가 끝].

--------------------

 
특히 우리말 번역이 잘못된 것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 자료들과, 심지어 번역 오류가 분명함을 확연하게 보여주는 "사도좌 정기방문" 관련 모순의 예(examples of contradiction)들을 제시해 드렸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개인적 판단만을 내세우면서 자신의 주장을 계속 펼치는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3-2.
[(ooo 형제님의 2010-10-10일자 답글에서 발췌) (이 글의 아랫 부분에 복사하여 둠)
부자의 지시에 의해 집사가 속으로 스스로 말하는 내용으로 보면 집사 역시 쫓겨남을 인정한 상태임.]

<----- 주인이 "집사 일에 대한 출납 보고서를 제출하라"는 명령을 내리자, 집사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상의 선택을 함으로써 자신의 장래을 대비하여야 하므로, 당연히, 최악의 상황인 쫓겨날 것을 전제로 하고, 이런 어려운 상황에 대응하여야 하는 자신에게 그러한 말을 하였을 것이므로,이 집사의 독백이, 독백 이상의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집사와 같은 실직이 눈 앞에 보이는 그러한 상황에 빠지면, 비록 정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나, 이 세상의 죄인들 누구나 "집사의 심리와 유사한 심리"를 가지게 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
 
 
4.
이상, 이번의 저의 번역 오류 지적와 관련하여 ooo 형제님께서 주셨던 답글들의 발전 과정을 살펴 보았는데, 처음 글부터 마지막 글까지 아무런 내용없는, 오로지 자신의 추측에 근거한 극히 개인적인 주장만 하셨다는 생각입니다. 특히 성경 전문가가 아니면서도 이러한 태도로 일관하는 것은 상당히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대화를 하였을 때에 그래도 무엇인가 얻는 것이 있어야 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는 것 조차 없는 "시간이 아까운 대화"였다는 생각입니다.
 
 
이번 대화의 끝으로, 대단히 죄송하지만, 한 말씀만 드리고자 합니다.
 
새 번역 성경의 루카 복음서 16,2의 "집사 일을 청산하게"라고 번역된 표현이 번역 오류임을 지적하고자 마련된 저의 글에서 제가 그동안 제시하였던 근거 자료들은,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 및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을 포함하여) 모두 성경의 전문가들에 의하여 마련된 것으로, 형제님께서 이들 전문가들의 가르침에 대하여, 지금까지 아무런 근거 자료/문헌의 제시도 못하면서, 그러나 오로지 자신 고유의 판단만 거듭 내세우면서 제가 지적한 번역 오류에 대하여 무작정 계속 무시/거부하여서는 안된다는 생각입니다. 이는 교회의 전문가 집단들의 가르침에 대하여 인색하여도 좋다는 허락을 예수님으로부터 받은 자는 아무도 없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믿고 싶지 않은 것은 절대로 믿지 않겠다는 신념(belief)은,
특히 신앙(faith)과 관련하여 매우 곤란하지 않을까요?
 
 
제가 바쁜 시간 중에도,오로지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이, 우리말 번역 과정에서의 언어 장벽, 문화 장벽 때문에 잘못 전달되고 있는 것이 너무 안타까워, 총 작업 시간을 거의 100시간을 들여, 신뢰할 수 있는 근거 자료들을 제대로 찾아서, 이들 자료들에 근거하여, 이번의 번역 오류 지적의 글을 작성하여 올렸던 것인데, ooo 형제님과 같은 태도를 가지고 계신 분들께는 무슨 소용이 있겠는지요? 


인간적으로 또 다시 사람에 대하여 크게 실망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그래도 가진 자가 없는 자를 위해 자선을!
 
작성자    번  호   4491
 
작성일   2010-10-10 오후 1:09:44 조회수   8 추천수   0
 

지금 많은 관심거리로 여겨지는 '약은 집사의 비유'에 관해 저는 성경의 구조를 정말 잘 모릅니다. 그렇지만 제가 느끼기로는 루카 복음 15장은 자비, 16장은 자선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복음사가는 자선을 강조하시기 위해, 약은 집사의 비유[루카 16.1-8], 재물을 올바르게 이용하여라.[9-12] 하느님이냐, 재물이냐?[13],돈을 좋아하는 바리사이들의 참모습[루카16.14-15]을 차례대로 기술하였습니다. 이 내용을 제 나름대로 묵상한 것을 요약해 보면, 

1. 약은 집사의 비유[루카 16.1-8]

가. 성경 내용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도 말씀하셨다. “어떤 부자가 집사를 두었는데, 이 집사가 자기의 재산을 낭비한다는 말을 듣고, 그를 불러 말하였다. ‘자네 소문이 들리는데 무슨 소린가? 집사 일을 청산하게. 자네는 더 이상 집사 노릇을 할 수 없네.’ 그러자 집사는 속으로 말하였다. ‘주인이 내게서 집사 자리를 빼앗으려고 하니 어떻게 하지? 땅을 파자니 힘에 부치고 빌어먹자니 창피한 노릇이다. 옳지, 이렇게 하자. 내가 집사 자리에서 밀려나면 사람들이 나를 저희 집으로 맞아들이게 해야지.’ 그래서 그는 주인에게 빚진 사람들을 하나씩 불러 첫 사람에게 물었다. ‘내 주인에게 얼마를 빚졌소?’ 그가 ‘기름 백 항아리요.’ 하자, 집사가 그에게 ‘당신의 빚 문서를 받으시오. 그리고 얼른 앉아 쉰이라고 적으시오.’ 하고 말하였다. 이어서 다른 사람에게 ‘당신은 얼마를 빚졌소?’ 하고 물었다. 그가 ‘밀 백 섬이오.’ 하자, 집사가 그에게 ‘당신의 빚 문서를 받아 여든이라고 적으시오.’ 하고 말하였다. 주인은 그 불의한 집사를 칭찬하였다. 그가 영리하게 대처하였기 때문이다. 사실 이 세상의 자녀들이 저희끼리 거래하는 데에는 빛의 자녀들보다 영리하다.”

나. 주요 묵상거리

1]'집사 일을 청산하게.'라는 내용이 '출납 보고서 제출'의 번역 오류인가?

[집사 일 청산과 출납 보고서 제출은 집사가 재산을 낭비한다는 소문으로 부자가 집사를 내 쫓아내려는 마음을 가졌다는 측면에서는 같은 해석이라 판단되며, 이 복음에서의 주요 논쟁거리는 아님. 부자의 지시에 의해 집사가 속으로 스스로 말하는 내용으로 보면 집사 역시 쫓겨남을 인정한 상태임.]

2]집사가 부자의 재산을 어떻게 낭비했기에 '집사 일을 청산하게.'되었는가?

가]부자의 빚 문서에 부자의 것과 집사의 것을 통합하여 같이 기록해 두었기에.

나]부자의 빚 문서에 부자의 것 중 일부만 기록하고 남은 것은 집사의 비밀 장부에 빼돌렸기에.

다]부자의 것은 그대로 기록하고, 집사의 직분을 이용, 집사 개인으로 과다 착취 또는 뇌물을 받았기에.

['가' 는 아닌 것으로 판단 됨. 그 첫째 이유는 이는 부자가 오히려 반길 내용이며, 둘째는 이 경우 자기의 몫을 이미 집사가 알고 있었다면 탕감해 주는 몫만큼은 자기에게 바치라는 언질을 줄 사항임. 따라서 집사는 '나' 또는 '다'의 부자의 것에만 집사의 직분을 마감하는 측면에서 일방적으로 탕감해 줌. 그 이유는 집사가 스스로 이야기하는 내용에서도 짐작이 됨. : '옳지, 이렇게 하자. 내가 집사 자리에서 밀려나면 사람들이 나를 저희 집으로 맞아들이게 해야지.']

3]"주인은 그 불의한 집사를 칭찬하였다. 그가 영리하게 대처하였기 때문이다. 사실 이 세상의 자녀들이 저희끼리 거래하는 데에는 빛의 자녀들보다 영리하다."에서 영리하게 대처한 이유와 '세상의 자녀들이 빛의 자녀보다 영리하게 대처하였다.'고 예수님께서 이야기한 이유는?

가]부자입장에서 자기가 해야 할 내키지 않는 자선이지만, 집사가 대신 자기의 이름으로 해 주었기에.

나]세상의 자녀[부자, 집사, 채무자]들은 민첩하게 대처한 것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부자도 자선을 스스로 행했다고 인정받을 수 있고, 집사도 채무자에게 자선을 베푼 것으로 되어 후일 자기의 몫을 은근히 기대할 수 있고, 채무자는 자기의 채무 일부를 탕감 받았기에 예수님께서는 세상의 자녀들이 이렇게 영리하게 대처하였다고 말씀하신 것으로 판단됨. 

2. 재물을 올바르게 이용하여라.[루카 16.9-12]

가. 성경 내용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불의한 재물로 친구들을 만들어라. 그래서 재물이 없어질 때에 그들이 너희를 영원한 거처로 맞아들이게 하여라. 아주 작은 일에 성실한 사람은 큰일에도 성실하고, 아주 작은 일에 불의한 사람은 큰일에도 불의하다. 그러니 너희가 불의한 재물을 다루는 데에 성실하지 못하면, 누가 너희에게 참된 것을 맡기겠느냐? 또 너희가 남의 것을 다루는 데에 성실하지 못하면, 누가 너희에게 너희의 몫을 내주겠느냐?”

나. 주요 묵상거리

1]불의한 재물로 친구들을 만들어라. 그래서 재물이 없어질 때에 그들이 너희를 영원한 거처로 맞아들이게 하여라.

사실 부[돈, 부동산 귀금속 등]에는 일부분 부정직한 것이 있다. 그래서 예수님은 이 '부'를 '불의한 재물'로 비유하셨고, 그것으로 '친구들을 만들어라.'라고 하셨다. 소위 그것이라도 서로 나눔으로서 '자선'을 해라는 것이다. 그 자선을 행하면 일부남아 후일에 도움을 준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또는 착한 일을 하였기에 '하느님 나라/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지 않느냐는 뜻이다.

2]아주 작은 일에 성실한 사람은 큰일에도 성실하고, 아주 작은 일에 불의한 사람은 큰일에도 불의하다. 그러니 너희가 불의한 재물을 다루는 데에 성실하지 못하면, 누가 너희에게 참된 것을 맡기겠느냐? 또 너희가 남의 것을 다루는 데에 성실하지 못하면, 누가 너희에게 너희의 몫을 내주겠느냐?”

착한 사람은 언제나 성실하지만, 부를 축적하는 데는 일부 부정직하고 그 도를 넘는 불의한 쪽으로 갈 수도 있다. 그렇지만 그것도 나눔이라는 자선을 베풀어야 함을 강조하셨다. '아무리 불의한 것도 자선을 하라.'라는 것이다. 그러면 하늘나라도 너희에게 참된 것을 맡길 것이고 너희의 몫을 준다는 것이다.

3. 하느님이냐, 재물이냐! [루카 16.13]

가. 성경 내용

“어떠한 종도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다. 한쪽은 미워하고 다른 쪽은 사랑하며, 한쪽은 떠받들고 다른 쪽은 업신여기게 된다. 너희는 하느님과 재물을 함께 섬길 수 없다.”

나. 주요 묵상거리

1]그러시고는 이 '약은 집사의 비유'위 결론으로 "어떠한 종도 '하느님과 재물'의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다."[루가 16.13]라고 말씀하셨다. 한 쪽을 선택하는 믿음의 생활을 하라는 것이다. 예수님도 분명히 언급하셨다. 우리 인간은 이 한 쪽의 선택이 불가능임을 아신다.

2]그래서 덧붙이신다. "한쪽은 미워하고 다른 쪽은 사랑하며, 한쪽은 떠받들고 다른 쪽은 업신여기게 된다."[루가 16.13] 아니 어쩌면 우리네 믿음의 사람은 둘 다 섬기려 한다. 그래서 예수님은 과정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자선'을 행하라는 것이다.

4. 돈을 좋아하는 바리사이들의 참모습[루카 16.14-15]

가. 성경 내용

돈을 좋아하는 바리사이들이 이 모든 말씀을 듣고 예수님을 비웃었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너희는 사람들 앞에서 스스로 의롭다고 하는 자들이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너희 마음을 아신다. 사실 사람들에게 높이 평가되는 것이 하느님 앞에서는 혐오스러운 것이다.”

나. 주요 묵상거리

1]우리네 믿음의 사람을 연상시킨다.

2]'약은 집사의 비유'는 우리 신앙인은 그래도 불우한 이웃을 향해 자선을 행하라는 것을 강조하신 복음이라고 이해된다. 인간적인 보상을 생각하는 일이 있더라도, 아무리 부정직한 돈이라도 '자선을 베풀어라.'라는 것으로 이해된다. 불의한 것이라도 나눔으로 우리는 믿음의 세계에 더 다가갈 수 있다.  

5. 결론

루카 복음 15장은 자비, 16장은 자선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돈을 좋아하는 바리사이들의 참모습[루카 16.14-15]이 우리 세상 사람들[부자, 집사, 채무자]의 모습으로 보인다. 복음사가는 15장에서는 하느님은 세상의 자녀에게 자비를 베풀지만 16장에서는 너희들은 자선을 베풀라고 강조한다. 비단 다소 불의한 것일지라도 말이다. 이 불의한 것으로 선을 행하면 큰 불의를 막을 수 있고, 선을 행하면 행할수록 하느님께서는 몫을 계속 주시겠다고 말씀하신다.[루카 16.11-12] '약은 집사의 비유'를 통해서 자기의 후일을 생각하는 다소의 불의가 있을지라도 선심용으로 탕감해 주는 자선이 그래도 좋다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 복음은 지금 우리가 추구하려는 공정한 사회에서, 그래도 가진 자가 없는 자를 위해 나눔을 강조하는 복음이라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제가 드리고자 하는 이야기는 부자가 집사에게 말한 그 내용[집사일의 청산, 회계 출납부의 제출 요구 등]은 크게 묵상거리의 본질은 아닐 수 있다. 문제될 것은 예수님께서 이 비유를 이야기 한 이유를 찾는 것이다. 부자의 생각 나름이겠지만, 다만 집사의 말로 추측하건데 쫓겨남을 짐작할 수는 있을 것이다. 이 복음의 결론은 예수님은 우리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어떤 상황이건 간에 자선을 베풀라는 것 아닐까! 감사합니다.



1,220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