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앞으로 올 도성을 찾고 있다? -히브리 13,14; 묵시록 21; 22 [성경용어_도성] [_천상예루살렘] [_영광의빛] [_성삼위의영광]

인쇄

[218.55.90.*]

2013-06-14 ㅣ No.1400


질문:

다음은 히브리서 13,14-16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14 사실 땅 위에는 우리를 위한 영원한 도성이 없습니다. 우리는 앞으로 올 도성을 찾고 있습니다.
15 그러므로 예수님을 통하여 언제나 하느님께 찬양 제물을 바칩시다. 그것은 그분의 이름을 찬미하는 입술의 열매입니다.
16 선행과 나눔을 소홀히 하지 마십시오. 이러한 것들이 하느님 마음에 드는 제물입니다.
(이상, 발췌 끝).

제14절에서 말하는 "앞으로 올 도성"은 무엇을 말하는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우선적으로, 히브리서 13,14-16는,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홀수해 연중 제4주간 토요일 제1독서(히브리 13,15-17.20-21)의 일부분으로 발췌되고 있고, 홀수해 연중 제4주간 금요일 제1독서히브리서 13,1-8이나, 그러나 히브리서 13,9-14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독서로 발췌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습니다.

2.
2-1.
히브리서 13,14에서 언급되고 있는 "앞으로 올 도성" 에 대한 주석은 "주석 성경"에 주어져 있지 않으며, 그리고 NAB의 주석에도 없습니다.

2-2.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히브리서 13,14-16에 대한 주석입니다:

출처: http://dhspriory.org/thomas/SSHebrews.htm#132

(발췌 시작)

750. – He adds the reason when he says: For here we have no lasting city, but we seek one that is to come. For a man willingly remains in his own place. For our end is not in the things of the Law or in temporal things: ‘Our end is Christ unto the salvation of all who believe’ (Rom. 10:4). Therefore, we have not here a lasting city, but where Christ is. Therefore, let us go to Him: ‘If you have risen with Christ, seek the things that are above, where Christ is sitting on the right hand of God’ (Col. 3:1); ‘Look upon Sion, the city of our solemnity’ (Is. 33:20); ‘He looked for a city that has foundations; whose builder and maker is God’ (supra 11:10). They also seek a better city, i.e., the heavenly one. For we strive to be transferred to it as to our place and altar. Therefore, let us go to it.

750. - 그는 자신이 다음과 같이 말할 때에 이유를 추가합니다: 사실 땅 위에는 우리를 위한 도성이 없습니다. 우리는 앞으로 올 도성을 찾고 있습니다. 이는 사람은 자신 고유의 장소에 기꺼이 머무르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우리의 목표가 율법에 기인하는 사물들 혹은 세속의 사물들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사실 그리스도는 율법의 끝[즉, 목표]이십니다. 믿는 이는 누구나 의로움을 얻게 하려는 것입니다' (로마 10,4). 그러므로 우리는 영속하는(lasting) 도성을 여기가 아니고, 그리스도께서 계시는 곳에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분께 가도록 합시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살아났으니, 저 위에 있는 것을 추구하십시오. 거기에는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의 오른쪽에 앉아 계십니다' (콜로새 3,1); '너는 시온을 바라보아라, 우리 축제의 도시를' (이사야 33,20); '하느님께서 설계자이시며 건축가로서 튼튼한 기초를 갖추어 주신 도성을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위에 11,10, 즉 히브리 11,10). 그들은 한 개의 더 나은 도성을, 즉 하늘에 있는 도성(the heavenly one)을 또한 찾습니다. 이는 우리의 장소와 제단(altar)에 관하여 우리가 거기로 옮기게 되고자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거기로 갑시다.

751. – Then when he says, By him them let us continually offer the sacrifice of praise to God, he presents the second conclusion, namely, that we should sacrifice upon the altar and offer certain kinds of sacrifice. For there are two kinds of sacrifice that we should offer upon Christ’s altar, namely, devotion to God and mercy towards our neighbor.

752. – In regard to the first he says that the sacrifices of the Law are not to be offered: ‘Sacrifice and oblation you did not desire’ (Ps. 59:7); therefore, by him, i.e., by Christ, let us offer the sacrifice of praise: ‘A sacrifice of praise will honor me’ (Ps. 49:25). But that sacrifice of praise is called the fruit of our lips, i.e., confession with the mouth. For God is praised better by the mouth than by the killing of animals; hence he says, the fruit of lips that acknowledge his name, for this is necessary: ‘With the heart we believe unto justice; but with the mouth, confession is made unto salvation’ (Rom. 10:10); ‘We will render the calves of our lips’ (Hos 14:3); ‘I created the fruit of the lips’ (Is. 57:19). But this sacrifice should be offered always, i.e., continually, as there was a continual sacrifice during the Law, as it says in Numbers (chap. 28): ‘I will bless the Lord at all times: his praise shall be always in my mouth’ (Ps. 33:2).

753. – He mentions another sacrifice, when he says, Do not neglect to do good and to share what you have. As if to say: You formerly performed works of mercy; but now at least with the heart, if you cannot in deed. Therefore, he says, Do not neglect to do good, be liberal, in regard to the things you give: ‘In doing good, let us not fail’ (Gal. 6:9); ‘Do good to the humble, and give not to the ungodly’ (Sir. 12:6). Do not forget to share what you have, i.e., the things you have saved: ‘All they that believed were together, and had all things in common’ (Ac. 2:44); ‘Communicating to the necessities of the saints’ (Rom. 12:13). Or share, namely, by charity, through which all things are common.

754. – But why should we share that double benefit is shown when he says: for such sacrifices are pleasing to God, i.e., we can merit God by such sacrifices: ‘I am your protector and your reward exceeding great’ (Gen. 15:1); ‘Then you shall accept the sacrifice of justice, oblations and whole burnt offerings’ (Ps. 50:21); ‘They shall worship him with sacrifices and offerings; and they shall make vows to the Lord and perform them’ (Is. 19:21).

(이상, 발췌 끝)

2-3. 다음은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에 주어진 히브리서 13,14-15에 대한 주석입니다: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257.html

(발췌 시작)
Ver. 14-15. We have not a permanent city in this world, but are like pilgrims or banished men, seeking for our happy country of heaven; but in the mean time must offer to God a sacrifice of praise and thanksgiving, which is done chiefly in the holy sacrifice of the Eucharist, also by confessing his name, and praying to him with our lips and hearts; and by a kind of sacrifice of charity, by doing good to every one, and of communication to others; literally, of communion, or union with our neighbours. (Witham) --- When we read in the psalms, and in the old Scripture, of a sacrifice of praise, we may look upon it as a prophecy of the Christian Eucharist or sacrifice of praise, of which St. Augustine says: "What is a more holy sacrifice of praise, than that which consisteth in thanksgiving, which the faithful offer now in the sacrifice of the Church." (lib. 1. contra Advers. leg. and proph. chap. xviii.) And again in chap. xx., "The Church from the time of the apostles, by an uninterrupted succession of prelates, offers to God in the body of Christ the sacrifice of praise."

Ver. 14-15. 이 세상에 항구한 도성(permanent)을 우리가 가지고 있지 않으나, 그러나 우리는, 하늘(heaven)이라는 우리의 행복한 고향(country)을 추구하며, 그러나 그러는 동안에 하느님께 찬양(praise)과 감사(thanksgiving)로 이루어진 한 개의 제물을 봉헌하여야 하는, 도보 여행자(pilgrims, 나그네)들 혹은 추방을 당한 사람(banished men)인데, 이 봉헌은 성체(the Eucharist)라는 거룩한 제물로 주로(chiefly) 행하여지며, 또한 당신의 이름을 고백하고, 그리고 우리의 입술들 및 심장들과 함께 당신께 기도함으로써 행하여지고, 그리고 애덕(charity)이라는 제물의 한 종류에 의하여, 모든 이에게 선(good)을 행함으로써, 그리고 다른 이들에 이르도록 함께 나눔(communication)에 의하여, 그리고 글자 그대로, 친교(communion, 통공, 하나 됨), 혹은 우리의 이웃들과의 일치(union)에 의하여 행하여집니다. (Witham) --- 우리가 시편들에서, 그리고 구약 성경에서, 찬양의 제물에 대하여 읽을 때에, 우리는 이것을 그리스도교 성체성사 혹은 찬양의 제물에 대한 한 개의 예언으로서 간주하는데, 이 예언에 대하여 대하여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는 "열심 신자들이 지금 교회의 제물에서 봉헌하는, 감사(thanksgiving)를 주된 부분으로 가지는 바로 그것보다 무엇이 더 거룩한 찬양의 제물일까" (lib. 1. contra Advers. leg. and proph. chap. xviii.) 라고 말하고 그리고 또다시 제20장에서 "사도들의 시대부터 교회는, 고위 성직자들의 중단되지 않는 한 개의 계승에 의하여, 그리스도의 몸 안에 계신 하느님께 찬양의 제물을 봉헌한다" 라고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사실, "영광의 빛(lumen gliriae, the light of glory)"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대희년인 2000년 6월 28일자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제목: 천상 예루살렘에 있는 성삼위의 영광]은 그 시작 부분에서 히브리서 13,14를 발췌 인용하고 있는데, 바로 이 강론 말씀의 전후 문맥이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또한 제시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vatican/hf_jp-ii_aud_20000628_en.htm

(발췌 시작)

JOHN PAUL II

GENERAL AUDIENCE

Wednesday 28 June 2000

 

Glory of the Trinity in the heavenly Jerusalem

천상 예루살렘에 있는 성삼위의 영광

1. "The Church on earth, like a pilgrim in a foreign land away from the Lord, sees herself as an exile. She seeks and is concerned about those things which are above, where Christ is seated at the right hand of God, where the life of the Church is hidden with Christ in God, until she appears in glory with her Spouse" (Lumen gentium, n. 6). These word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describe the journey of the Church, which knows that she has "here no lasting city", but "seeks the city which is to come" (Heb 13: 14), the heavenly Jerusalem, "the city of the living God" (ibid., 12: 22).

1. "주님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국 땅에 있는 한 명의 도보 여행자(a pilgrime, 나그네)처럼, 지상의 교회(the Church on earth)는 자기 자신을 한 명의 추방자(an exile)로서 봅니다. 교회는, 교회가 자신의 정배(Spouse)(*)와 함께 영광 안에서 나타날 때까지, 교회의 생명이 하느님 안에 그리스도와 함께 감추어진 곳에 있는,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의 오른편에 앉아 계시는 곳에 있는, 위에 있는, 사물(things)들을 추구하고 그리고 그것들에 관심을 가집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 제6항, 마지막 문장](**).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바로 이러한 표현들은 교회의 도정(道程, journey)을 묘사하는데, 교회가 "영속하는(lasting) 도성을 여기에 가지고 있는 것이 전혀 아니고", 오로지 "살아계신 하느님의 도성" (히브리 12,22)인, 천상 예루살렘(the heavenly Jerusalem)인, "장차(將次) 오게 될 도성을 찾고 있음" (히브리 13,14)을 교회는 알고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예수 그리스도를 말한다.

(**) 번역자 주: 그리고 "인류의 빛" 제6항의 뒤에서부터 두 번째 단락의 마지막 문장은 다음과 같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va1964lg.htm

(발췌 시작)
John contemplates this holy city coming down from heaven at the renewal of the world as a bride made ready and adorned for her husband (Rev 21,16).

요한(John) 세상 일신의 때에(at the renewal of the world)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바로 이 거룩한 도성을 자신의 신랑을 위하여 이미 준비가 된 그리고 꾸며진 신부로서(as) 관상합니다(contemplates)(요한 묵시록 21,16).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그리고 바로 이 발췌문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56항에서 또한 발췌 인용되고 있다.
-----

2. When we reach that final destination of history, as St Paul tells us, we will no longer "see in a mirror dimly, but face to face.... then I shall understand fully, even as I have been fully understood" (1 Cor 13: 12). And John tells us again that "when [God] appears we shall be like him, for we shall see him as he is" (1 Jn 3: 2).

2. 우리가 역사의 바로 그 최후의 도착지(destination)에 도달할 때에, 성 바오로(St. Paul)가 우리에게 말하듯이, 우리는 "지금은 거울에 비친 모습처럼 어렴풋이 보지만 그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마주 볼 것입니다. 내가 지금은 부분적으로 알지만(*) 그때에는 하느님께서 나를 온전히 아시듯 나도 온전히 알게 될 것입니다.(**)" (1코린토 13,12). 그리고 요한(John)은 우리에게 또다시 "그분께서 나타나시면 우리도 그분처럼 되리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분을 있는 그대로 뵙게 될 [즉, 직관(直觀)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1요한 3,2) 라고 말합니다.

-----
(*) 번역자 주: 이것을 두고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는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180 에서 "완미한지 않은 관상(imperfect contemplation)" 이라고 말한다.

(**) 번역자 주: 이것을 두고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는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180 에서 바로 이러한 "완미한 관상(perfect contemplation)"은, 지상에서는 가능하지 않고, 하늘(heaven, 천당, 천국)에서만 하게 된다고 가르친다.
-----

Beyond the frontiers of history, then, the full, shining epiphany of the Trinity awaits us. In the new creation God will give us the intimate, perfect communion with him that the fourth Gospel calls "eternal life", the source of a "knowledge" which in biblical language is precisely a communion of love:  "This is eternal life, that they know you, the only true God, and Jesus Christ whom you have sent" (Jn 17: 3).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then), 역사의 변경(邊境, frontiers)들을 넘어서 성삼위의 충만하고, 빛나는 공현(epiphany)은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새 창조(new creation)(*) 안에서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과 친밀하고, 완미한(perfect) 친교(하나 됨, 통공, communion)를 장차(將次) 제공하실 것인데, 이것을 네 번째 복음서는 "영원한 생명(eternal life)" 이라고, 즉, 다음과 같이 성경 언어에 있어 정확하게 사랑의 하나 됨(친교, 통공)(a communion of love)을 말하는, "지식(knowledge)" 의 원천(the source of a "knowledge") 이라고 부릅니다: "영원한 생명이란 홀로 참하느님이신 아버지를 알고 아버지께서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입니다." (요한 복음서 17,3).(**)

-----
(*) 번역자 주: "새 창조(new creation)"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함께 개시되었음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38.htm <----- 필독 권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new_Adam.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new_Eve.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recapitulation_
of_St_Irenaeus.htm


(**) 번역자 주: 요한 복음서 17,3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q12, a6, "우리는 어떻게 하느님을 볼 수 있는가" 에서 "영원한 생명(eternal life)하느님에 대한 직관(直觀)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다"고 가르칠 떄에, 발췌 인용되고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66.htm
-----

3. Christ's Resurrection opens this horizon of light, which the First Testament had already extolled as a kingdom of peace and joy, in which "the Lord will wipe away the tears from all faces" (Is 25: 8). Then, at last, "kindness and truth shall meet; justice and peace shall kiss" (Ps 85: 11). But it is especially the last pages of the Bible, that is, the final glorious vision of Revelation, which reveal to us the city that is the ultimate goal of our pilgrimage, the heavenly Jerusalem.

3. 그리스도의 부활은, 첫 번째 계약(the First Testament, 즉 구약 성경)이, 그 안에서 "주 하느님께서는 모든 사람의 얼굴에서 눈물을 닦아 내시는" (이사야 25,8)평화와 기쁨의 나라(a kingdom of peace and joy)(*)로서 이미 크게 찬양하였던, 빛의 지평선(horizon of light)를 엽니다(opens).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then), 드디어, "자애와 진실이 서로 만나고 정의와 평화가 입 맞추리라" (시편 85,11)(**). 그러나 우리에게 우리의 도보 여행(pilgrimage, 순례)의 궁극적 목표인 이 도성, 즉 이 천상 예루살렘(the heavenly Jerusalem)을 드러내는 것은 특별히 성경의 마지막 페이지들인, 거룩한 계시(Revelation)에 대한 최후의 장려한 환시(the final glorious vision)입니다.

-----
(*) 번역자 주:
(1)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에 의한 "평화(peace)"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02.htm

(2)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에 주어진 "기쁨(joy)"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04.htm

(**) 번역자 주: 시편 85에 대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해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vatican/hf_jp-ii_aud_20020925_en.htm
-----

First of all we will meet the Father, "the Alpha and the Omega,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all creation (Rv 21: 6). He will be fully manifest as Emmanuel, the God who dwells with humanity, wiping away tears and mourning, and making all things new (cf. Rv 21: 3-5). But the Lamb, Christ, to whom the Church is joined in marriage, will also rise up in the midst of the city. From him she will receive the light of glory; with him she will no longer be intimately joined through a temple but in a direct and total way (cf. Rv 21: 9, 22, 23). The Holy Spirit spurs us towards that city. It is he who sustains the loving dialogue between the elect and Christ:  "The Spirit and the Bride say, "Come'" (Rv 22: 17).

무엇보다도 먼저 우리는 모든 피조물의 "알파이며 오메가이고 시작이며 마침인" (요한 묵시록 21,6), 성부(the Father)를 장차(將次) 만날 것입니다(meet). 당신께서는, 눈물들과 슬픔을 닦아 주시고, 그리하여 모든 사물들을 새롭게 만드시면서, 인류와 함께 거처하시는 하느님이신 (요한 묵시록 21,3-5 참조),(*) 임마누엘(Emmanuel)로서 장차(將次) 충만하게 분명히 나타나실 것입니다. 그러나 혼인으로 교회가 그분께 결합된, 어린양(the Lamb)인 그리스도께서는 이 도성의 한 가운데에서 또한 장차(將次) 일어나실 것입니다(rise up). 그분으로부터 교회는 영광의 빛(the light of glory)(**)장차(將次) 받을 것이며, 그리하여 그분과 함께 교회는 장차(將次), 한 개의 성전(a temple)을 통하여 더 이상 친밀하게 결함될 것이 아니라, 어떤 직접적이고(direct) 그리고 전체적(total) 방식으로, 친밀하게 결합될 것입니다 (요한 묵시록 21,9.22.23 참조).(***) 성령께서는 바로 이 도성을 향하여 우리를 격려하십니다(spurs). 선택된 자들과 그리스도 사이의 애정 있는 대화(the loving dialogue)를 유효한 것으로서 허락하시는(sustains) 분은 다음과 같이 바로 성령이십니다: "성령과 신부가 '오십시오' 하고 말씀하십니다." (요한 묵시록 22,17).(****)

-----
(*)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해 부활 제5주일 제2독서요한 묵시록 21,1-5ㄱ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east_5.htm <----- 필독 권유

(**) 번역자 주: "영광의 빛(the light of glory)" 이라는 표현은, 다음에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q12, "우리는 어떻게 하느님을 볼 수 있는가" 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현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66.htm

(***)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해 부활 제6주일 제2독서인 요한 묵시록 21,10-14.22-23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east_6.htm

(****)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해 부활 제7주일 제2독서인 요한 묵시록 22,12-14.16-17.20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east_7.htm
-----

4. Our gaze turns to this full manifestation of the Trinity's glory, looking beyond the limits of our human condition, beyond the weight of misery and guilt that pervade our human existence. For this meeting we pray each day for the grace of continual purification, knowing that "nothing unclean shall enter" the heavenly Jerusalem, "nor anyone who practises falsehood, but only those who are written in the Lamb's book of life" (Rv 21: 27). As the Second Vatican Council teaches, the liturgy we celebrate in the course of our days is a "taste" as it were of that light, of that contemplation, of that perfect love:  "In the earthly liturgy we take part in a foretaste of that heavenly liturgy which is celebrated in the Holy City of Jerusalem towards which we journey as pilgrims, where Christ is sitting at the right hand of God, minister of the sanctuary and of the true tabernacle" (Sacrosanctum Concilium, n. 8).

4. 우리의 응시(gaze)는 성삼위의 영광(the Trinity's glory)의 바로 이 충만한 드러냄쪽으로 향하며, 그리하여 우리의 인간 조건(human condition)의 한계들을 넘어서, 우리의 인간 존재(human existence)에 베어든(pervade) 고통(misery)와 죄의식(guilt)의 무게를 넘어서, [우리는] 바라봅니다. 바로 이러한 만남을 위하여, 이 천상 예루살렘(the heavenly Jerusalem)에 "부정한 것은 그 무엇도, 역겨운 짓과 거짓을 일삼는 자는 그 누구도 들어가지 못하고 오직 어린양의 생명의 책에 기록된 이들만 들어갈 수 있음" (요한 묵시록 21,27)을 알면서, 우리는 날마다 지속적인 정화의 은총(the grace of continual purification)을 얻고자 기도합니다(pray for).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다음과 같이 가르치듯이, 우리의 날들의 과정에 있어 우리가 경축하는 전례는 말하자면 바로 이 빛(light)에 대한, 바로 이 [완미한(perfect)] 관상(contemplation)에 대한, 바로 이 완미한 사랑(perfect love)에 대한 어떤 "맛봄(taste)" 입니다: "지상에서의 전례 안에서 우리는, 예루살렘의 거룩한 도성(the Holy City of Jerusalem)에서 경축되는 천상 전례(the heavenly liturgy)에 대한 어떤 미리 맛봄(a foretaste)에 참여하는데, 이 도성 안에서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의 오른쪽에 앉아 계시면서, 이 성소의 그리고 이 참된 성막(the true tabernacle)의 집전자(minister)이십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 "거룩한 공의회(Sacrosanctum Concilium), 제8항].

Therefore, we already turn to Christ so that through the Holy Spirit he will help us to stand pure before the Father. This is what Simeon Metaphrastes asks us to do in a prayer which the liturgy of the Eastern Churches offers the faithful:  "You, who by the descent of the Consoler Spirit made your holy disciples vessels of honour, make me a worthy dwelling for his coming. You, who will come again to judge the world in justice, allow me also to come before you, my Judge and my Creator, with all your saints, to praise you and sing to you eternally, with your eternal Father and with your all-holy, good and life-giving Spirit, now and forever" (Communion Prayer).

그러므로, 우리는 이미 그리스도를 향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성령을 통하여 당신께서는 우리들이 성부 앞에 순결한 상태로 서는(stand pure) 것을 장차(將次) 도와주실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Simeon Metaphrastes 가, 동방 교회(the Eastern Churches)들의 전례가 열심 신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제공하는, 한 개의 기도 안에서 우리가 행할 것을 요청하는 바입니다: "위로자(the Consoler)이신 성령의 강림에 의하여 당신의 거룩한 제자들을 영예의 사람들(the vessels of honour)로 만드셨던 당신께서는 저를 당신의 오심을 위한 가치로운 거처로 만드소서. 정의(justice)로 세상을 심판하기 위하여 다시 오실 분이신 당신께서는, 이제와 영원히, 당신의 영원한 성부와 함께 계시는 그리고 당신의 전적으로 거룩하시고(all-holy), 선하신(good) 그리고 생명을 주시는 성령과 함께 계시는, 당신을 찬양하고 그리고 당신을 영원히 노래하기 위하여, 당신의 성인(saints)들 모두와 함께, 저의 심판관이시며 저의 창조주이신, 당신 앞에 출두하는 것을 또한 허락하소서." [통공 기도문(communion Prayer)].

God has promised us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새 하늘과 새 땅을 이미 약속하셨습니다

5. Together with us, "the whole created world eagerly awaits the revelation of the sons of God.... not without hope, because the world itself will be freed from its slavery to corruption and share in the glorious freedom of the children of God" (Rom 8: 19-21). The Book of Revelation proclaims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because the first heaven and the first earth will pass away (cf. Rv 21: 1). And in his Second Letter, Peter uses traditional apocalyptic images to stress the same idea:  "The heavens will be kindled and dissolved, and the elements will melt with fire! But according to his promise we wait for new heavens and a new earth in which righteousness dwells" (2 Pt 3: 12-13).

5. 우리와 함께, "사실 피조물은 하느님의 자녀들이 나타나기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습니다. ... 희망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피조물도 멸망의 종살이에서 해방되어, 하느님의 자녀들이 누리는 영광의 자유를 얻을 것입니다." (로마 8,19-21). 요한 묵시록은 "새 하늘과 새 땅"을 선포하는데, 왜냐하면 첫 번째 하늘과 첫 번째 땅은 사라질 것이기 때문입니다(요한 묵시록 21,1 참조). 그리고 자신의 두 번째 서신에서, 베드로(Peter)는 이 동일한 개념을 강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전통적인 묵시적/종말론적 모습(apocalyptic images)들을 사용합니다: "하느님의 날이 오기를 기다리고 그날을 앞당기도록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날이 오면 하늘은 불길에 싸여 스러지고 원소들은 불에 타 녹아 버릴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분의 언약에 따라, 의로움이 깃든 새 하늘과 새 땅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2베드로 3,12-13).

In expectation of this harmony and full praise, all creation must now sing with mankind a song of joy and hope. Let us do so as well in the words of a third-century hymn discovered in Egypt:  "Together let none of God's marvellous creatures keep silent either morning or evening! Let none of the shining stars or the high mountains or the depths of the seas or the springs of the swift rivers keep silent as we sing our hymns to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Let all the angels of heaven respond:  Amen! Amen! Amen!" (text published by A. Gastoné in La Tribune de saint Gervais, September-October 1922).

바로 이러한 조화와 충만한 찬양 안에서, 모든 피조물은 이제 인류와 함께 기쁨(joy)과 희망의 노래를 불러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이집트에서 발견된 한 개의 3세기 찬미가의 표현들로 우리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노래하도록 합시다: "함께 하느님의 경이로운 피조물들 어느 누구도 아침 혹은 저녁에 침묵을 계속하지 않게 합시다! 성부, 성자 그리고 성령께 우리의 찬미를 우리가 노래할 때에 빛나는 별들 혹은 높은 산들 혹은 바다들의 심연들 혹은 빠른 강들의 샘들 어느 것도 침묵을 계속하지 않게 합시다. 하늘의 천사들 모두가 다음과 같이 화답하게 합시다: 아멘! 아멘! 아멘!" [A. Gastoné 에 의하여 출판된 La Tribune de saint Gervais 에 있는 본문, 9월-10월, 1922년].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작: 약8시간.



1,212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