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상징/표상/신조/신경(symbol) 과 이름 외 [교리용어_상징][_그리스도교상징들] [_표상] [_신조] [_신경] [_상징적표현][_미신]

인쇄

. [218.55.90.*]

2013-08-03 ㅣ No.1426


질문 1: 성경 본문에서 "하느님(God)" 이라는 단어는 상징어(象徵語)인지요?

게시자 주: 질문 1에 대한 답변은 아래의 제4항에 있습니다.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1.
1-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ymbol"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746

(발췌 시작)
SYMBOL

In general, any object that stands for or represents something else. More particularly, any conventional sign that functions as such because of an agreement, explicit or implicit, between its users. Religious symbols are also called emblems, insofar as they represent some sacred truth or mystery of the faith. (Etym. Greek symbolon, a token, pledge; a sign by which one infers a thing.)

상징(象徵)/신조(信條)/표상(表象)(symbol)

일반적으로, 다른 어떤 사물(something)을 표시하거나 혹은 나타내는 어떤 대상(any object)을 말합니다. 더 자세히, 그 사용자들 사이에서, 명백한 혹은 함축적인 어떤 동의 때문에 그러한 것으로서 역할을 하는(functions) 어떤 약정의 표시(any conventional sign)를 말합니다
. 경신덕적 상징(religious symbols)들은 또한, 그들이 다소의(some) 성스러운 진리(sacred truth) 혹은 신앙의 신비(the mystery of the faith)를 나타내는 한, "표상(表象, emblems)들" 이라고 불립니다. [어원. Greek symbolon, a token, pledge; a sign by which one infers a thing.]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1-2. 교회 초기 시절의 일부 영지주의자들과는 달리, 특히 성경 본문에 등장하는 "뱀(serpent)"과 관련하여, "지혜의 상징(symbol of wisdom)" 이라는 표현 자체를 그리스도교에서는 사용해 오지 않았음에 대한 글은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고

읽을 수 있습니다.

2.
2-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hristian symbols"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748

(발췌 시작)
SYMBOLS, CHRISTIAN

Signs or emblems of religious truth. They are sensibly perceptible means by which revelaed mysteries can be more or less understood. They can be written or spoken or expressed in graphic form. In a class by themselves are the sacraments, which not only symbolize a revealed truth but actually confer what they signify.


그리스도교 상징(象徵)/표상(表象)들(Christian symbols)


경신덕적 진리(religious truth)의 표시(signs)들 혹은 표상(emblems)들을 말합니다. 그들은, 그것들에 의하여 계시된 신비(revealed mysteries, 계시 진리)들이 어느 정도(more or less) 이해될 수 있는, 감각적으로(sensibly) 인지할 수 있는(perceptable) 수단(means)입니다. 그들은 서술되거나 혹은 말해지거나 혹은 그림의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그들 자체에 의하여 가장 뛰어난 것들에는 성사(the sacrements)들이 있는데, 이들은 어떤 계시 진리를 상징할(symbolize) 뿐만이 아니라 또한 현실태적으로(actually) 그들이 나타내는 바를 수여합니다(confer).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3-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ymbolism"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그리고 괄호 안의 번호는 이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항들의 번호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747

(발췌 시작)
SYMBOLISM

 

Investing outward things or actions with an inner meaning. Its effectiveness depends on the depth of personal commitment to the interior truth symbolized and the ability of a symbol to convey its inner meaning. Early Christian symbolism arose partially as a result of persecution. It was necessary to veil beliefs under emblems and figures. Another contributing factor was the instinctive religious desire to envelop the personal and collective life of the people in expressions and reminders of their faith. In time, every detail of Church art and architecture, of the liturgy and private devotion, acquired definable religious meaning. Symbolism is the universal language of every living religion. It is especially rich in Catholic Christianity because of the Church's encouragement, but mainly because the mysteries of the faith are too profound ever to fully understand. Symbols enable the mind to dwell on these mysteries with prayerful reflection and ever greater comprehension.

 

상징(象徵)/표상(表象)들을 사용하는 예술 혹은 관습(symbolism)(*)

외면적(outward) 사물들 혹은 행위들에 어떤 내면의 의미(inner meaning)를 입히는 것(ionvesting)을 말합니다. 이 행위들의 효능성(effectiveness)은 상징되는 내면적(interior) 진리에 대한 인격적 헌신(personal commitment)에 그리고 그 내면의 의미를 전달하는 어떤 상징물(a symbol)의 능력(ability)에 달려있습니다(depends on). 초기의 그리스도교의 상징적 표현은 박해(persecution)의 한 결과로서 부분적으로 일어났습니다. 믿음(beliefs)들을 표상(表象, emblems)들 혹은 표상(表象)/화상(畵像)(figures)들 아래에 숨기는 것(veil)은 필요하였습니다. 또다른 기여한 요인은 사람들의 인격적(personal) 및 총체적(collective) 삶을 자신들의 믿음(faith, 신앙)에 대한 표현들과 상기(想起)시키는 것(reminders)들로 덮어싸고자(envelop) 하는 본능적인 경신덕적 욕망(the instinctive religious desire)이었습니다. 시간 안에서, 교회 예술과 조각의, 전례(liturgy)와 사적 신심(private devotion)의 각 세부 사항은 정의할 수 있는(definable) 경신덕적 의미를 획득하였습니다. 상징적 표현은 각 살아있는 종교의 보편적 언어입니다. 이것은, 교회의 장려 때문에, 그러나 주되게 신앙의 신비들이 너무나 깊어(profound) 지금까지(ever) 충분하게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특별히 가톨릭 그리스도교 안에 풍부합니다. 상징들은 마음(the mind)이 이들 신비들을, 신앙심 깊은 반성(prayerful reflection) 및 더 커다란 이해(comprehension)와 함께, 깊이 생각하는 것(dwell on)을 가능하게 합니다(CCC 375, 694, 695, 696, 701, 1177, 1202, 1220, 1293, 확인 방법: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 번역자 주: "symbolism" 을, "상징주의"로 번역하는 대신에, "상징/표상들을 사용하는 예술(art) 혹은 관습(pactice)" 으로 번역한 것은 다음의 Merriam-Webster 사전에 주어진 설명을 따른 것이다:

출처: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symbolism

(발췌 시작)
symbolism 1: the art or practice of using symbols especially by investing things with a symbolic meaning or by expressing the invisible or intangible by means of visible or sensuous representations: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uperstition(미신)"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정의(definition)이며, 괄호 안의 번호는 이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항들의 번호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723

(발췌 시작)
SUPERSTITION

미신(迷信, superstition)

 

The unseemly or irreverent worship of God, or giving to a creature the worship that belongs to God. Rendering unbecoming worship to God may stem either from false devotion or from a tendency toward magic. Giving divine worship to a creature is either idolatry, divination, or vain observance. The term "superstition" more commonly means unbecoming worship to God.

하느님에 대한 부적당한(unseemly) 혹은 불경한(irreverent) 예배/경배, 혹은 어떤 피조물에게 하느님께 속하는 예배/경배를 바치는 것을 말합니다. 하느님께 어울리지 않는(unbecoming) 예배/경배를 드리는 것은 잘못된 신심(false devotion) 혹은 마술(magic)로 기울어지는 어떤 경향 이들 둘 중의 하나로부터 유래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피조물에게 하느님에 대한 경배/예배를 바치는 행위는 우상 숭배(idolatary), 점을 치는 행위(, divination)(*) 혹은 허무한 준수(vain observance) 이들 셋 중의 하나입니다. "미신(迷信)"이라는 용어는 하느님에 대한 어울리지 않는 예배/경배를 통상적으로 더 의미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20년 12월 31일]

-----

(*)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미신인 꿈(dreams)들에 의한 점을 치는 행위(占, divination)를 또한 다루는, "성경은 잠자면서 더러 꾸게되는 일상의 꿈들에 임의의 중요성을 부착하는 행위를 금지한다 (신명기 18,10)

" 제목의 글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45.htm <----- 필독 권고

-----

[이상, 2020년 12월 31일자 내용 추가 끝]


When supersitition arises from false devotion, it is really superfluous worship of God, which may take on a variety of forms. Their common denominator is an excessive concern that unless certain external practices, such as multiplication of prayers, are performed God will be displeased.

미신이 잘못된 신심에서 일어날 때에, 그것은 실제로(really), 형식들에 있어 어떤 다양성을 취할 수도 있는, 하느님에 대한 과잉의 예배/경배입니다. 그들의 공통 분모는, 만약에 기도(prayers)들의 증가와 같은 구체적인 외면적 실천들이 수행되지 않는다면, 하느님께서 만족하지 않으실 것이라는 어떤 과도한 관심/걱정(concern)입니다.


When superstition stems from a tendency toward magic, it reflects a false mentality that may or may not be the root of false devotion. Behind the false mentality is the notion that certain ritual practices, such as chain prayers or veneration of unapproved objects, carry with them an efficacy that is contrary to sound reason or the teaching of the Church.

미신이 마술(magic)로 향하는 경향에서 유래할 때에, 이것은 잘못된 신심(false devotion)의 뿌리일 수도 혹은 뿌리가 아닐 수도 있는 어떤 잘못된 심리(a false mentality)를 반향합니다(reflects). 잘못된 심리 뒤에는 연쇄 기도(chain prayers)들 혹은 승인되지 않은 대상들에 대한 공경(veneration) 등과 같은 특정한 의식적 실천(ritual practices)들이, 이 실천들과 함께, 건전한 이성(sound reason) 혹은 교회의 가르침에 상반되는 어떤 효능(an efficacy)을 운반한다는(carry) 생각(notion)이 있습니다 (CCC 제2110, 2111, 2138항. 확인 방법: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따라서,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자이라면, 예를 들어, 성변화(transubstantion)가 현존케 되는 성찬례 예식을, "미신(superstition)" 운운하면서, 잘못 이해하여 왜곡/음해하는 행위는 결코 없어야 할 것입니다.

3-3.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상징어(象徵語)"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124.137.201.223/search/View.jsp

(발췌 시작)
상징어(象徵語)

「명사」『언어』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필연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단어. 의성어와 의태어로, ‘멍멍’, ‘탕탕’, ‘아장아장’, ‘엉금엉금’ 따위가 있다.
(이상, 발췌 끝).

4. (질문 1에 대한 답변)
그러므로, 엄연히 현실태적으로 현존하시는 바로 그 분이신, "있는 나" (탈출기 3,14) 를 나타내는 거룩한 단어인 "하느님(God)" 을, 심지어 무엇을 "상징"하는지도 전혀 말하지 않으면서, 바로 아래에 발췌한 것처럼, 단순히 "상징어(象徵語)" 라고 주장하는 것은 분명히 "한 분이신 하느님"에 대한 심각한 조롱이기에, 경신덕(religion)에 상반되는 악덕(vice)인 불경신(不敬神, irreligion)에 해당할 것입니다:

(발췌 시작)
"'질투'뿐만이 아니라 '하느님'도 상징어입니다."
(이상, 발췌 끝).

아니, 엄연히 현실태적으로 현존하시는 "하느님" 을, 다른 사물들과 구분하여, 지칭하는/나타내는/식별하는 이름(name)인 바로 이 거룩한 단어가, 위의 "표준한글대사전"에 설명되어 있듯이, 무슨 ‘멍멍’, ‘탕탕’, ‘아장아장’, ‘엉금엉금’등과 같은, 의성어(擬聲語) 혹은 의태어(擬態語)라는 것입니까???

교만하지 아니하다면, 심지어 언어(言語)로 구사하는 수사학(修辭學)적 유희(遊戱)에 있어서도 그 정도(程度)에 대하여 마땅히 고려하였을 것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8월 5일]

5.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name(이름)"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5039

(발췌 시작)
NAME

 

In biblical usage, not only the title by which a person is called but the term by which the person is identified. The expressions: to profane (Amos 2:7), sanctify (Isaiah 29:23), praise (Isaiah 25:1), and love (Psalm 5:12), the name Yahweh, all refer to God himself. In the New Testament this concept is further deepened and refined. The name of Jesus identifies his mission (Matthew 1:21), which is to redeem (Acts 10:43), to save (Acts 4:12), to confer the fullness of supernatural life (Colossians 3:17). Prayer in the name of Jesus, according to his intentions, is always heard (John 15:16), those who invoke his name will be saved (Romans 10:13), those who believe in his name form the Church (I Corinthians 1:2), so that they can be called Christians (Acts 11:26). They are consequently to pray that the name of God, who became man in the person of Christ, be sanctified (Matthew 6:9), which means honored and glorified.

이름(name)

성경에 있어서의 사용에 있어, 바로 그것에 의하여 한 인격(a person)이 불리게 되는(is called) 
칭호(稱, title)일 뿐만이 아니라 바로 그것에 의하여 해당 인격이 식별되는(is identified) 용어(用語, term)를 말합니다. (아모스 2,7)을 더럽힌다, (이사야 29,23)을 거룩하게 하리라, (이사야 25,1)를 찬송하리니, 그리고 (시편 5,12) 사랑하는, 야훼(Yahweh) 라는 이름, 등의 표현들 모두는 하느님 당신 자신에 대한 언급입니다. 신약 성경에 있어 바로 이러한 개념은 더욱 더 깊어지고 그리고 세밀하게 구분됩니다. 예수(Jesus)라는 이름은, 속량하는 것 (사도행전 10,43), 구하는 것 (사도행전 4,12), 초자연적 생명의 충만함을 부여하는 것(콜로새 3,17)을 말하는, 당신의 사명을 식별합니다(identify) (마태오 복음서 1,21). 예수님의 의향에 따라 예수님의 이름으로 바치는 기도는 항상 들어주시며 (요한 15,16), 당신의 이름을 부르는 자들은 구함을 받을 것이고 (로마 10,13), 당신의 이름 쪽으로 믿는(believe in) 자들은 교회를 형성하며 (1코린토 1,2), 그리하여 그 결과 그들은 그리스도인들이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사도행전 11,26). 그들은 결과적으로, 그리스도의 위격으로 사람이 되셨던 하느님의 이름이, 영예를 받고(honored) 영광을 받게 됨(glorified)을 의미하는, 거룩해지도록(be sanctified) (마태오 복음서 6,9) 기도하여야 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8월 6일]

6.
질문 2: 어떤 동일한 대상(object)에 대하여,

(i) 그 이름(name),
(ii) 그 칭호(title), 그리고
(iii) 그 상징(symbol)이

서로 다른 구체적인 예가 있는지요?

질문 2에 대한 답변: 예,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출처들에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691-701항들이, 이들 (i), (ii), 그리고 (iii) 에 따라 구분되어 포함되어 있는, 소제목들을 잘 읽어 보십시오:

출처 1: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_P21.HTM (영어본 CCC)
출처 2: http://ch.catholic.or.kr/pundang/4/c691.htm (우리말본 CCC)

(이상, 질문 2에 대한 답변 끝) 

     따라서, 상징(symbol)이란 용어를 사용할 때에, 이 용어를 굳이 사용하는 당사자는, 항상 그리고 우선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object)이 있음을 망각하여서는 아니 될 것입니다.

그리고, 예를 들어,

(1) 어떤 특정한 대상(object) 그 자체를, 다른 대상과 구분하고자, 식별하고자, 사용하게 되는 "이름(name)"

(2) 어떤 특정한 대상을 상징(symbol)하는, 그리고 (1)에 의하여 "이름(name)"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사물(thing)"을,

심지어 사고/생각의 첫 단계에서부터, 제대로 구분하여야 할 것입니다.

게시자 주: 그런데, 다음과 같은 언급이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691항에 주어져 있습니다. 또한 참고하십시오:

(발췌 시작)
On the other hand, "Spirit" and "Holy" are divine attributes common to the three divine persons.

다른 한편으로, "영(靈)""성(聖)" 은 세 분의, 하느님의, 위격들에 공통인 하느님의 속성들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9시간



1,214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