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월12일 꼬를레오네의 성 베르나르도♬2.Genuit Puerpera Regem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1-09 ㅣ No.1564

 

축일 1월12일
꼬를레오네의 성 베르나르도, OFM Cap.
San Bernardo da Corleone Religioso 
Corleone, Palermo, 16 febbraio 1605 - Palermo, 12 gennaio 1667
Etimologia: Bernardo = ardito come orso, dal tedesco(dared like bear, from the German)
Saint Bernard of Corleone 
Also known as : Bernardo de Corleone, Filippo Latino, Philipi Latini
Born : 6 February 1605 at Corleone, Palermo, Sicily as Filippo Latino
Died : 12 January 1667 at Palermo, Sicily
Venerated : 2 February 1762 by Pope Clement XIII (decree of heroic virtues)
Beatified : 15 May 1768 by Pope Clement XIII
Canonized : 10 June 2001 by Pope John Paul II


 

   필립보 라띠니라는 어느 청년은 꼬를레오네에서 신기료 장수를 하던 사람인데, 그 후에는 시실리 최고의 검객이 되었다고 한다. 그는 어떤 정치적인 분쟁에 뛰어들었다가 쫓기는 몸이 되자, 성당의 성소로 은신하여 목숨을 건졌다.그러나 밖으로 나갈 입장이 못되어서 성당에 머물다가 이런 생활을 계속하면 자기 영혼을 잃어버릴 것으로 단정하고, 1631년애 27세의 나이로 까푸친회에 입회하고, 베르나르도라고 하였다. 

   이때부터 그는 훌륭한 검객답게 수도 생활에서도 그 능력을 발휘하여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다. 그의 단식과 세상을 가볍게 여기는 자세는 특히 뛰어났으나, 가끔 난폭한 검객의 기질 때문에 큰 고생을 하였다고 한다. 그는 차츰차츰 탈혼에 빠졌고, 공중에 들어 올려지는 체험을 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날, 그는 병든 동물을 치유했는데, 이때부터 동물들을 지극히 사랑하였으며,가끔 동물들을 위하여 주의 기도를 함께 하였다. 그분만큼 동물 애호가는 없을 것이라고 한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필리포 라티노(Filippo Latino)란 한 청년은 시칠리아(Sicilia) 섬의 코를레오네에서 신기료장수를 하던 사람인데, 그 후에는 시칠리아 최고의 검객이 되었다고 한다. 그는 어떤 정치적인 분쟁에 뛰어들었다가 쫓기는 몸이 되자 성당의 성소로 은신하여 목숨을 건졌다. 그러나 밖으로 나갈 입장이 못 되어서 성당에 머물다가 이런 생활을 계속하면 자기 영혼을 잃어버릴 것으로 단정하고, 1631년에 27세의 나이로 카푸친회에 입회하여 베르나르두스(Bernardus, 또는 베르나르도)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그때부터 그는 훌륭한 검객답게 수도생활에서도 그 능력을 발휘하여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다. 그는 단식과 세상을 가볍게 여기는 자세에서 특별히 뛰어났으나, 가끔 난폭한 검객의 기질 때문에 큰 고생을 하였다고 한다. 그는 차츰차츰 탈혼에 빠졌고, 공중에 떠오르는 체험을 하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병든 동물을 치유했는데, 그때부터 동물들을 지극히 사랑하였으며 가끔 동물들을 위하여 주님의 기도를 함께 하기도 하였다. 성 베르나르두스 만큼 동물애호가는 없을 것이라고 한다. 팔레르모(Palermo)에서 사망한 그는 1768년 교황 클레멘스 13세(Clemens XIII)에 의해 시복되었고, 2001년 6월 10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다.
(가톨릭홈에서)
 

 

꼴레오네의 성 베르나르도

   필립 라티니(Philip Latini)는 1605년 2월 6일에 이태리의 시칠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신발을 만드는 사람이었고 그의 아들에게는 장사를 가르쳤다. 그의 마을과 그의 섬의 전설(전통)에 순수했던 그 젊은이는 격정적이며 공격적이었다. 

   가톨릭 신앙과 그안의 좋은 교육위에서 양육되었슴에도 불구하고 그는 군인이 되는 것과 검술연마에 온 시간을 보내는 것과 시칠리에서 최고의 검투사로서 명성을 얻는일에 더 흥미있어 했다. 그는 강한 체격이었고 겨루기 위해서는 누구에게나 기꺼이 도전했다. 하지만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그는 불의에 무방비한 노인들을 보호하기위해 애썼고, 존경심을 보였고 심지어 돌봐주기까지 했다. 

   그는 성 프란치스꼬에게 기도했고 기도하기위해 성당(성인의 유골/유물이 모셔진 성당)을 방문하곤 했다. 하루는 한 어리석은 사나이가 칼로 승부를 겨루기위해 도전을 해왔다. 그 사나이는 심사숙고도, 충분한 수련도 없었기에 필립으로부터 손이 잘리는 심한 상처를 입었다. 그를 죽일뻔 했었다고(죽였었다고) 생각한 그는 성역인 카푸친 수도원으로 피하였다. 그가 저지른 일들의 반동(반작용)으로 그는 큰 후회를 하였고 인생 행로를 바꾸기로 결심했다. 

   1632년 12월 13일에 그는 카푸친 수련소에 받아들여졌고 베르나르도라는 이름을 받게되었다. 그는 그의 죄많음을 알고 그의 공격성을 거꾸로 돌렸다. 그는 거의 영구히 빵과 물만으로 수도생활을 하였고, 나무토막 베개를 베고 판자위에서 3시간만 잤으며, 하루에 7시간씩 피를 흘릴 때 까지 자신을 채찍질(편태)하였다. 

   만약 그에게 그 어떤 달콤하고 맛있는 음식이 주어지더라도 그는 먹지 않고 조금만 맛만 보곤 옆으로 떨어져서 그 안락함을 멀리하였다. 그는 그 어떤 새 의복도 입지 않으려 했고(않곤 했고) 그의 방에 그 어떤 새 가구도 들여놓지 않으려 했다(않곤 했다). 오랜시간 동안 그는 병을 돌봤으며(병자들을 돌봤으며), 시간의 흐름과 함께 그는 온화하고 친절해졌다. 

   하느님께선 기도안에서 그에게 기적들이라는 은총과 4개월 앞서 임종날짜를 알려주시는 선물을 포함한 큰 은총들을 베푸셨다. 그는 1667년 1월 12일에 시칠리의 팔레르모에서 임종했고, 1768년 5월 15일에 교황 클레멘스 13세에 의해 시복(諡福)되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2001년 6월 10일에 그를 시성(諡聖)하였다. 

*출처 : THE BULLETIN-NEWSMAGAZINE OF THE IRISH CAPUCHIN PROVINCE  p.16-17, 2001년 3월호




검투사가 카푸친 되다! 코를레오네의 성 베르나르도




다혈질 성질을 가진 경건한 젊은 제화공
제화공의 아들, 필립보 라티니(Lattini)는 시칠리아의 최고의 검객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탈리아의 남해안 코를레오네(Corleone)라는 섬마을에서 태어났는데, 그는 그 지역 혈통 출신답게 싸움을 잘하는 능력을 물려받은 사나이 중에 한 사람이었다. '대부'라는 영화 시리즈를 좋아하는 팬이면, 영화 속 마피아 집안의 출신지가 바로 이 '코를레오네'였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오늘날에도 코를레오네 지역이 자주 뉴스에 등장 하는데, 그 이유가 바로 체포되는 수많은 마피아의 대부들이 바로 이 마을의 출신이기 때문이다.

필립보가 살던 그 당시에도 코를레오네는 여전히 부패와 폭력의 온상이었다. 비록 필립보 자신은 부패한 사람이 아니었지만 자라온 환경으로 인해 폭력의 맛을 몸으로 잘 알고 있었다. 아버지로부터 제화의 기술을 배우며 자라면서, 자기방어의 차원에서 스스로 검술을 익히긴 했지만 비위를 건드리면 거침없이 칼을 휘두를 다혈질 성질을 가진 그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칠리아인들이 그렇듯이 필립보는 또한 경건하고 너그러운 면이 많은 청년이었다. 자주 거룩한 십자가의 성지에 가서 기도를 하곤 했고, 또한 토요일에는 성모님의 성상 앞에 등불을 봉헌하기도 했다 겨울에는 시내에서 아무 부끄러움 없이 빈곤한 죄수들을 위해 필수품을 구호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점은 그의 너그러움을 잘 드러내 주었다. 

성 프란치스코에 대한 깊은 신심을 품었던 필립보였기에 차후에 그가 가지게 될 카푸친 프란치스코회 성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보고 있지만, 정작 필립보가 성 프란치스코를 따르기로 결심하게 했던 결정적인 동기는 그가 가진 경건함이나 너그러움이 아니라 그의 손에 쥐어진 피 묻은 칼날이었다.


 


그의 인생을 영원히 바꾸어 놓았던, 치명에 가까운 칼싸움
1626년, 그가 21살이 되던 해, 필립보는 '비토 카니노(Vito Canino)'라는 청부 살인자의 결투 신청을 받아들여 싸움을 하게 되었다. 그 결과 비토 카니노에게 큰 부상을 입히게 되었다. 복수하려는 무리들이 필립보를 뒤쫓자 그는 몸을 피하기 위해 카푸친 형제회 성당에 숨어들게 되었다. 필립보는 나중에 그 청부 살인자와 화해를 했지만 그 사건을 계기로 필립보는 지난날의 자신의 생활을 반성하고, 자기가 저지른 모든 폭력을 속죄하기 위해 카푸친 작은 형제회의 평형제가 되기로 결심했다. 그는 1631년 말, 칼타니세타(Caltanissetta)의 카푸친 수련소에 입회하여 '베르나르도'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자기 자신에게는 엄했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다정했던 카푸친 회개자
그때부터 '코를레오네의 베르나르도 형제'로 알려진 필립보는 남는 36년의 인생을 요리사나 보조 요리사로서 시칠리아의 여러 군대의 형제회에서 봉사하는 삶을 살았다. 

같이 사는 형제들이나 가난한 방문객들을 모두 다 배불리 먹이면서도 정작 자신은 거의 일 년 내내 빵과 쓰디쓴 허브가 섞인 물만 먹으며 맛있는 음식을 입에 대는 일은 극히 드물었다. 베르나르도 형제는 과거의 죄에 대한 회개와 절제의 미덕을 기르기 위해 단식으로뿐만 아니라 수많은 다른 고행과 보속 행위로 제 몸을 괴롭혔다. 베르나르도의 그림을 보면 여러 개의 끈을 단 ('디시필리나 - discliplina'라는) 채찍을 손에 든 채로 그려져 있는 것이 많은데, 증인들에 의하면 그는 피가 날 때까지 채찍으로 몸을 징벌하는 것을 좀처럼 멈추지 않았다고 한다. 다른 사람에 대하여 안 좋게 말한 적이 거의 없었지만, 혹시나 자신도 모르게 자기변명의 소리가 입에서 나오면 그는 즉시 화로에서 꺼낸 뜨거운 석탄 한 조각을 입술에 스치곤 했다. 

밤에는 나무토막을 베게로 삼아 잠을 청했고, 딱딱한 나무판이 그의 침대였으며 그나마 3시간 이상 잠을 자는 일이 없었다. 아예 잠을 자지 않은 적도 있는데 그럴 때는 다른 형제들이 잠자는 사이에 경당 안 감실 앞에 가서 홀로 계신 예수님을 바라보며 밤새워 기도했다.



"그는 기도로, 그리고 하느님과의 일치를 이룸으로 호화롭게 배불리곤 했다"
자신의 생활양식을 개선하려는 베르나르도에게 기도는 보속만큼이나 큰 도움이 되었다. 증인들은 그의 기도에 대해 다음과 같은 표현을 쓰곤 했다. "그는 항상 기도에 전념했다.... 성당에 갔을 때에 그는 기도로, 그리고 하느님과의 일치를 이룸으로 호화롭게 배불리곤 했다."

재난이나 역병이 일어났을 때, 성체 앞에서의 그의 기도는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동포들을 위해서도 하느님의 자비를 간곡히 간구하는 기도였다. 그는 이렇게 기도했다. "부드럽게, 주님! 부드럽게! 저희에게 자비심을 보여주소서. 주님, 저는 이 은혜를 받고 싶사옵니다. 이것을 받고 싶사옵니다."


 

베르나르도는 십자가에 못박히신 그리스도를 무척 사랑했고, 십자가에서 우리를 위하여 하신 예수님의 충만한 희생과 사랑을 자주 묵상하곤 했다. 베르나르도 형제는 매우 아름다운 휴대용 십자고상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그의 가장 소중한 보물이었다. 그는 다음과 같이 형제들에게 직접 말하곤 했다. "신심을 일으키는 아름다운 십자고상이 집에 있으면 더 이상 바랄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누군가 문맹인 베르나르도 형제에게 읽고 쓰는 법을 배우도록 권고했을 때에 성인은 "우리가 공부해야 하는 것은 우리 구원자 그리스도의 상처들 뿐" 이라는 말로 대답했다. 베르나르도 형제는 그리스도를 이렇게 사랑함으로써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을 더욱 더 존경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영광송을 듣기만 해도 언제나 어디서나 엎드려 바닥에 입을 맞추곤 했다.


 

베르나르도 형제는 그리스도의 복되신 어머니에 대해서도 다정한 사랑을 품었다. 성모님을 늘 '어머니'라고 부르고, 일을 시작하기 전에 성모송을 바침으로써 그 어머니의 강복을 항상 구하곤 했다. 자기 독방에서도, 일터인 부엌에서도 성모님께 봉헌된 제단을 세워두고 자유시간이 되면 기도하기 위해 그 제단 앞으로 다가가곤 했다. 그리고 방에 세운 제단에는 매일 신선한 꽃다발과 향초다발을 성모상 앞에 바치곤 했다. 성모님께서도 베르나르도의 지극한 그 사랑에 보답하셨는데, 여러 번 그에게 나타나 아기 예수님을 베르나르도에게 안겨 주셨다고들 한다. 또 베르나르도 자신의 말에 의하면, 성모님 당신 축일을 맞을 때에는 맛있는 우유도 직접 마련해 주시기도 하셨다고 한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자주 권고하곤 했다. "우리 모든 필요에 있어서 복되신 우리의 어머니께 기도해드립시다."

그리고 초기 카푸친들의 은둔생활에 매료된 베르나르도 형제는 기도하기 위해 자주 리미티(Rimita) 근처의 숲에 있는 작은 성모 경당으로 빠져나가곤 했다. 진정한 관상자들이 ‘영과 진리 안에서 아버지께 예배를’ 드린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그는 수도자가 창조주 하느님과 일치를 이루게 되면 "세상에 있는 모든 곳은 성당이요, 기도실이 됩니다." 라고 주장했다.
 

베르나르도 형제는 성 요셉과 성 미카엘 대천사, 사도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성 프란치스코에게도 자주 정성껏 기도드리곤 했다.




형제회 안팎의 모든 이를 아우르는 형제적 사랑
천상의 성인들에게 돌려드린 이런 모든 사랑은 지상에서 함께 살고 있는 성도들에게도 흘러넘치는 사랑이 되었다. 형제회 안에서 자기 자신의 의무를 충실히 맡는 것 외에 그는 다른 형제들의 일도 치다꺼리하곤 했다. 때로 의기소침한 동료형제들을 따뜻한 포옹으로 위로해주기도 했다. 섬기는 자세로 드러난 베르나르도 형제의 사랑은 요리와 형제회 안에서의 봉사뿐만 아니라, 병자를 간호하고, 빈민을 돌보며, 그들에게 음식을 나눠 주고, 동물들의 병들도 고치기 위하여 약을 만드는 등 여러 방면으로 발했다. 그리고 젊은 부부들을 격려 했고, 그 사람들의 아기가 무사히 태어나기를 기도하곤 했다. 태어날 아기의 성별을 미리 알려 주기도 했으며, 아기에게 맞은 이름을 추천한 적도 있었다.

이리하여 코를레오네 출신의 거칠고 성급한 이 검객은 하느님과 그분의 성인들, 또 동료 형제들과 도움을 청하는 모든 사람들, 아니 가축들조차도 다정하게 사랑함으로써 나이와 더불어 점차 마음씨가 온화한 거인이 되었다.




프란치스코처럼 하느님의 모든 피조물을, 심지어 닭들까지도, 사랑했던 분
그의 사랑은 하등 피조물들에게까지 미쳐 그 어떠한 생물도 등한시하지 아니했다. 베르나르도 형제는 약초를 이용해서 직접 약을 제조하기도 했는데, 그 약으로 말이나 당나귀 같은 가축들의 병을 고치곤 했다. 그럴 때는 늘 예수님의 이름을 부르거나 주님의 기도를 바치곤 했다. 보통은 약물치료만으로 동물들의 병을 자연스럽게 낫게 했지만 때로는 기적적인 치유도 일어났다.

그 중에서 가장 신기한 기적은 어느 암탉을 되살린 기적이었다. 그 기적 때문에 닭의 주인은 그 닭을 베르나르도의 이름을 따서 '베르나르다'라고 부르곤 했다. 그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카스트로누오보(Castronuovo) 형제회의 수호자가 많이 아팠던 어느 하루, 베르나르도 형제가 때마침 그곳에서 요리와 간호 임무를 맡고 있었다. 그는 맛있는 닭곰탕으로 수호자의 건강을 빨리 회복시키고자 형제회의 한 은인으로부터 살찐 암탉 한 마리를 얻어왔다.  닭의 털을 뽑고 내장을 빼낸 다음 끓는 물에 넣을 찰나, 때마침 수호자가 나타나 베르나르도를 대게 혼내며 닭요리를 하지 못하게 했다, 그리고 당장 주인에게 돌아가서 그 닭을 되돌려주라고 명령했다. 당황한 베르나르도 형제는 얼른 그 생닭을 싸서 망토 밑에 숨기고 은인의 집으로 다시 갔다.  하지만 포장지를 풀었을 때, 자! 이 암탉을 보라! 깃털이 새로 난 채 되살아나서 방안을 몇 바퀴나 날아다니며 울어대지 않는가! 그리고는 열린 닭장 문 안으로 들어가 제 자리에 사뿐히 올라앉으니, 이 모든 일을 목격한 은인은 놀라워 소리치며 이웃을 불러 모았다. 이에 놀란 베르나르도는 소란을 피하기 위해 몰래 형제회로 급히 귀가했다. 이 놀라운 기적으로 인해 그 닭은 유명해졌고 주민들의 큰 구경거리가 되었다. 그 이후, '베르나르다 암탉'은 알을 많이 낳으며 아주 오래 살았다고 한다. 
 



영원을 향해 달려가고픈 조바심
성인은 36년간 카푸친 형제로 살아오면서, 회개를 위해 스스로 실천한 온갖 고생스러운 그 생활에 대해 한 치의 후회도 보이지 않고 1667년 1월 12일, 종부(병자)성사를 받은 다음 "어서 가자! 어서 가자!"라고 말하면서 코를레오네의 베르나르도 형제는 팔레르모 형제회에서 오후 2시 즈음에 선종했다. 그의 성덕으로 인해 베르나르도 형제의 장례식을 치를 때는 동네 사람들이 무리지어 몰려왔다. 선종한지 15일 후, 친한 친구이자 카푸친 동료였던 안토니오 형제에게 나타났는데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 한다. "천국! 천국! 천국! 아! 그 채찍질은 얼마나 복된 일인지! 밤 새워 기도하는 것은 얼마나 복되고 복된 일인지! 아! 보속행위와 자기희생은 얼마나 복된 일인지! 단식과 순종의 행위들은 얼마나 복된 일인지! 수도생활을 성실히 하는 것은 얼마나 크나큰 축복인지!"
 



마피아의 희생자와 임산부들의 천상 수호성인
101년 후에 클레멘스 13세 교황은 그에게 시복을 베풀었고, 2001년 코를레오네의 베르나르도 형제는 복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께로부터 시성을 받았다. 코를레오네의 성 베르나르도는 '마피아의 희생자 수호성인'이며, 살아있을 때 그의 기도로 인해 많은 임산부들이 아이를 무사히 낳았기에 수많은 임산부도 그를 고유의 천상 중재자요 수호성인으로 삼고 있다.

 

 

"수도생활은 정원과 같습니다. 그 정원에 한 종류의 나무만 있으면 아름답지도 곱지도 않습니다. 더 많은 종류가 있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수도생활은 서로 다른 수도자들이 있는데 그들 중에는 겸손에 뛰어난 이들이 있고, 애덕에 뛰어난 이들이 있으며, 순종에 있어서 뛰어난 이들도 있고, 참회에 있어서 뛰어난 이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생활의 엄격성이 당신 기대에 못 미치더라도 슬퍼하지는 말아야 합니다." - 코를레오네의 성 베르나르도
(카푸친작은형제회홈에서) 

 

 

카푸친 작은 형제회(ofmcap)의 뿌리는

   교회의 역사 안에서 그리스도를 가장 닮아 "제2의 그리스도" 라고 불리 우는 아씨시의 작고 가난한 성 프란치스코에게로 거슬러 올라 갑니다. 성 프란치스코는 예수님의 발자취를 철저하게 따랐으며 그의 형제적 사랑은 사람들 뿐만 아니라 모든 창조물에게까지 이르는 보편적인 것이었습니다. 1209년에 성 프란치스코는"작은 형제회" 또는 "더욱 작은 형제들"이라 불리 우는 수도회를 시작하였습니다. 

   "카푸친 작은 형제회"는 이"작은 형제회"안의 개혁 운동으로 시작 되었는데 1528년 7월 3일 교황 클레멘스7세의 대칙서’Religionis Zelus’에 이어, 1619년 교황 오?세에 의해"작은 형제회" 세 개의 가지- OFM,OFMConv,OFMCap-중의 하나로 인가되었습니다. 

   카푸친 형제들은 관상기도,고행,엄격한 가난,가난한 이들에 대한 봉사에 헌신하였으며 복음에 대한 열렬한 설교자들이었습니다. 형제들은 단순한 전례 성서에 기반을 둔 설교,가난하고 소박한 생활 양식때문에 보통 사람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게 되었습니다.

   카푸친이라는 이름도 긴 세모꼴 두건(capuce)이 달린 갈색 수도복을 입었던 형제들에게 대중들이 붙여준 카푸치니(capucini)라는 별명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오늘날에도 세계 곳곳에 11.000여명의 카푸친 형제들이 그 전통에 따라 성 프란치코의 복음적 이상을 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986년에 아일랜드 관구에서 온 4명의 형제들에의해 그 현존이 시작되었고 현재는 한국 형제들을 포함하여 8명의 종신서원형제,4명의 유기서원 형제들이’천사들의 성마리아 효창동 형제회’와 수련소인’성 펠릭스 가평 형제회’ 그리고 인천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는 형제들이 강화의 ’성요셉 형제회에서 형제적 삶을 살고 있습니다.

*성 프란치스코의 카푸친 작은 형제회 카페에서*


  

새 성인 5명 탄생, 교황, 첫 레바논인 레베카 성녀에 "중동 평화 위해 기도 해주길 빌어"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6월 10일 성 베드로 광장에서 거행된 시성식을 집전하고 있다. 교황은 이날 시성식에서 5명의 새로운 성인을 탄생시켰다.

[바티칸=외신종합]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레바논의 첫 번째 본토 성인의 탄생을 포함해 모두 5명의 새로운 성인을 탄생시키고, 최근 격화되고 있는 중동 지역의 분쟁이 하루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6월 10일 시성식에서 권고했다.이날 시성식은 레바논에서 온 1만여명의 순례자들을 포함해 모두 3만명의 순례자들로 들어찬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거행됐다.
이날 시성된 레바논 성인 레베카 피에레타 아라예스(1832~1914)는 단지 하나의 신앙의 모범일 뿐만 아니라 메시지로 평가되고 있다. 레베카 성녀는 다른 레바논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폭력과 강제 추방, 육체적 고통 등을 혹심하게 겪었다.시성식에서 교황은 레베카 성녀의 삶을 통해 모든 레바논의 가톨릭 신자들이 강력한 희망의 메시지를 발견하기를 요청했다.레베카 성녀는 시력을 잃고 30여년 동안 혹독한 고통을 겪었으며 마침내 전신 마비의 고통을 견뎌야 했다.교황은 성녀를 기념하면서 『레베카 성녀가 고통받는 이들, 특히 중동 지역의 국민들을 위해 기도해주길 빈다』고 말했다.교황은 이어 강론에서 『성녀의 전구를 통해 우리는 주님께 온 마음을 다해 평화를 회복하기 위해 인내심을 가질 수 있도록 기도하고 하루속히 화해와 조화의 날이 도래하기를 기도하자』고 말했다.

이날 함께 시성된 새 성인에는 에이즈 환자의 수호자로 알려져 있는 루이지 스크로소피 신부(1804~1884)도 포함돼 있다. 또 카푸친회 소속의 시칠리안 베르나르도 다 코를레오네(1605~1667)와 이탈리아의 사제로서 흠없는 동정성모회의 창설자인 아고스티노 로셀리 신부(1818~1902), 그리고 예수의 성심 수녀회 창설자인 이탈리아의 테레사 에우스토키오 베르테리(1801~1852) 등이 있다.

한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이날 시성식으로써 재위 기간 동안 총 451명의 성인을 탄생시켰다.
[가톨릭신문, 2001년 6월 17일]
 

 

 

*카푸친작은형제회 성인들 Capuchin Franciscans:

비테르보의 성 크리스피노(축일:5월21일(19일),게시판1773번.1891번)
단순성과 기쁨.칸탈리체의 성 펠릭스 (1587년.축일:5월18일.게시판1770번.1166번)
만디츠의 성 레오폴드 사제(축일:5월12일,게시판1759번,1890번)
라코니의 성 이냐시오 수도자(축일:5월11일.게시판1757번)
신앙을 수호하다 순교한 식마린겐의 성 피델리스 사제(축일:4월24일.게시판1727번,1119번)
빠르잠의 성 곤라도 수도자(축일:4월21일.게시판1722번)
성 요셉 레오네사(축일:2월4일.게시판1601번)
꼬를레오네의 성베르나르도 수도자(축일:1월12일(19일),게시판1564번)
아크리의 복자 안젤로(축일:10월30일.게시판1444번)
성 세라피노(축일:10월12일.게시판1417번,691번)
캄포로쏘의 성 프란치스코 마리아(축일:9월20일(25일)게시판1384번)
오상의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축일:9월23일.게시판1379번)
복자 오피다의 베르나르도(축일:8월26일(23일)게시판1334번)
복자 아가탄젤로와 카시아노 동료순교자(축일:8월7일.게시판1305번)
브린디시의 성 라우렌시오 사제 학자(축일:7월21일.게시판1283번)

니코시아의 성펠릭스 수도자(축일:6월2일.게시판1794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카푸친작은형제회 성인축일표

1월5일(3월24일)[복자/사제] Didacus José of Cádiz 카디즈의 복자 디다코 요셉  

1월12일[성인/수도자] Bernard of Corleone  콜레오네의 성 베르나르도

2월4일[성인/사제] Joseph of Leonessa 레오나세의 성 요셉

2월8일[복자/수도자] Leopold of Alpandeire 알판데이레의 복자 레오폴도

4월21일[성인/수도자] Conrad of Parzham  파르잠의 성 콘라도    

4월24일[성인/사제순교자] Fidelis of Sigmaringen 식마링겐의 성 피델리스   

4월30일[복자/사제] Benedict of Urbino  우르비노의 복자 베네딕토  

5월8일[복자/수도자] Jeremiah of Valacchia  왈라키아의 복자 예레미야

5월11일[성인/수도자] Ignatius of Làconi  라코니의 성 이냐시오

5월12일[성인/사제] Leopold of Herceg Novi  헤르첵 노비의 성 레오폴드  

5월18일[성인/수도자] Felix of Cantalice  칸탈리체의 성 펠릭스 

5월19일(5월21일)[성인/수도자] Crispin of Viterbo 비테르보의 성 크리스피노

5월27일[복자/수도자] Joseph Tous i Soler (Joseph of Igualada) 요셉 두스 이 솔레르

                     (이괄라다의 복자 요셉)

6월2일(5월31일)[성인/수도자] Felix of Nicosia  니코시아의 성 펠릭스

6월8일[복자/수도자] Nicholas of Gèsturi  제스투리의 복자 니콜라오  

6월12일[복녀/동정] Florida Cevoli  복녀 폴로리다 체볼리

6월16일[복자들/사제순교자,동료들] Anicetus of Preußisch-Friedland and Companions.

        (Florian of Zdzary, Henry of Zachorzow, Fidelis of Łodz, Symphorian of Warsaw) 프로이시쉬-프리드란트의 복자 아니체토와 동료 순교자들(폴란드의 나치 박해 순교자들)

6월26일[복자/주교] Andrea Giacinto Longhin  캄포다세고의 복자 안드레아  

6월26일[복자/수도자] James of Ghazir  가지르의 복자 야고보

7월10일[성녀/동정] Veronica Giuliani 성녀 베로니카 줄리아니 

7월21일[성인/사제학자] Lawrence of Brindisi 브린디시의 성 라우렌시오

7월27일[복녀/동정] Mary Magdalena Martinengo  복녀 마리아 막달레나 마르티넨고  

7월28일(7월25일)[복자/순교자] Maria Teresa Kowalska  복녀 마리아 테레사 코발스카

                     (폴란드의 나치 박해 순교자)

8월7일[복자들/사제순교자] Agathangelus of Verdôme & Cassian of Nantes

                          베르돔의 복자 아가탄젤로와 낭트의 복자 카시아노  

8월13일[복자/사제] Mark of Aviano 아비아노의 복자 마르코   

8월18일[복자/사제순교자,동료들] John Louis Loir, Protase Bourdon and Sebastian  François.복자 존 루이 르와 로슈포르의 사제 순교자들 (로슈포르의 사제 순교자들)

8월23일[복자/수도자] Bernard of Offida  오피다의 복자 베르나르드

9월2일[복자/사제순교자] Apollinaris of Posat 포삿의 복자 아폴리나리스(프랑스혁명 순교자)  

9월19일[성인/수도자] Francis Mary of Camporosso  깜보로쏘의 성 프란치스코 마리아 

9월22일[성인/사제] Ignatius of Santhià 산티아의 성 이냐시오   

9월23일[성인/사제] Pio of Pietrelcina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9월26일[복자/사제,동료들]비나레사의 복자 아우레리오와 동료 순교자들(발렌시아 순교자). Aurelio of Vinalesa, presbyter, and companions (Ambrose of Benaguacil, Pedro of Benisa, Joachim of Albocácer, Modesto of Albocácer, Germaine of Carcagente, Bonaventure of Puzol, Santiago of Rafelbuñol, Henry of Almazora, Fidel of Puzol, Berard of Lugar Nuevo de Fenollet, Pacifico of Valencia)

9월28일(3월3일)[복자/사제] Innocenzo of Berzo  베르조의 복자 인노첸시오     

10월12일[성인/수도자] Seraphin of Montegranaro  몬테그라나로의 성 세라피노

10월13일[복자/사제] Honorat of Biala  뱌와의 복자 호노라토

10월25일[복녀/순교자들]마리아  예수 마시아 페라굿, 마리아 베로니카 마시아 페라굿, 마리아 펠리치타 마시아 페라굿, 이사벨라 칼두츠 로비라, 마리아 밀라그로스 오르텔레스 히메노(발렌시아의 순교자들) Maria Jesus Masiá Ferragut, Maria Veronica Masiá Ferragut, Maria Felicity Masiá Ferragut, Maria Teresa Ferragut Roig (Mother of the three Capuchin Poor Clares), Isabel Calduch Rovira, Milagros Ortells Gimeno.

10월31일(10월30일)[복자/사제]Angelo of Acri  아크리의 복자 안젤로   

11월12일(9월28일)[복자/동정] Mary Angela Astorch  복녀 마리아 안젤라 아스토르츠 
 (카푸친작은형제회홈에서)

 

 

♬2.Genuit Puerpera Regem-베네딕도수도원

 

 

 

 

 

 

 

 

 

 

 

 

 

 

 

 

 

 

 

 

 

 

 

 

 

 

 

 

 

 

 

 

 

 

 

 

 

 

 

 

 

 

 

 

 

 

 

CANONIZATION OF 5 BLESSEDS
HOMILY OF JOHN PAUL II

Feast of the Blessed Trinity
10 June 2001

1. "Blessed be God the Father and his only-begotten Son and the Holy Spirit: for great is his love for us" (Entrance Antiphon).

The entire liturgy is focused on the Trinitarian mystery, source of life for every believer, but especially today, on the feast of the Blessed Trinity.

"Glory to the Father, glory to the Son, glory to the Holy Spirit": every time we proclaim these words, the synthesis of our faith, we adore the only true God in three Persons. With amazement we contemplate the mystery that completely surrounds us. Mystery of love, mystery of ineffable holiness.

"Holy, holy, holy, Lord God of sabbaoth" we will sing in a little while, entering into the heart of the Eucharistic prayer. The Father created everything with his wisdom and loving providence; the Son redeemed us with his death and resurrection; the Holy Spirit sanctifies with the fullness of his gifts of grace and mercy.

We can correctly define today's solemnity as the feast of holiness. It is a perfect day for the ceremony of the canonization of the five blesseds: Luigi Scrosoppi, Agostino Roscelli, Bernardo da Corleone, Teresa Eustochio Verzeri, Rafqua Pietra Choboq Ar-Rayès.

2. "Justified ... by faith, we are in peace with God by means of our Lord Jesus Christ" (Rom 5,1).

For the apostle Paul, as we have heard in the second reading, holiness is a gift which the Father communicates to us through Jesus Christ. Faith in him is the principle of sanctification. By faith man enters the order of grace; by faith he hopes to take part in the glory of God. This hope is not a vain illusion, but the sure fruit of an ascetic path through many trials, that are faced with patience and proven virtue.

This was the experience of St Luigi Scrosoppi, during a life entirely spent for the love of Christ and his neighbour, especially, the weaker and the defenceless.

"Charity, charity": this exclamation burst from his heart at the moment of leaving the world for heaven. He exercised charity in an exemplary way, above all, in the service of abandoned orphan girls, involving a group of teachers, with whom he was able to start the Congregation of the "Sisters of Divine Providence".

Charity was the secret of his long and untiring apostolate, nourished by a constant contact with Christ, contemplated and imitated in the humility and poverty of his birth at Bethlehem, in the simplicity of his life of hard work at Nazareth, in the complete immolation on Calvary, and in the astonishing silence of the Eucharist. Consequently, the Church holds him up to priests and to the faithful as a model of a deep and effective union of communion with God and the service of his neighbour. In other words, he is a model of a life lived in intense communion with the Holy Trinity.

3. "Great is his love for us". The love of God for men is revealed with special emphasis in the life of St Agostino Roscelli, whom we contemplate today in the splendour of holiness. His existence, entirely permeated by deep faith, can be considered a gift offered for the glory of God and the good of souls. Faith made him ever obedient to the Church and her teachings, in docile adherence to the Pope and to his own bishop. From faith he knew how to draw comfort in bleak times, in bitter difficulties and in painful events. Faith was the solid rock to which he held on tightly in order to avoid yielding to discouragement.

He felt the duty to communicate the same faith to others, above all, to those whom he approached in the ministry of confession. He became a master of the spiritual life, especially for the congregation of sisters founded by him. The sisters always found him serene even in the the most trying situations. St Agostino Roscelli exhorts us always to trust in God, immersing ourselves in the mystery of his love.

4. "Glory to the Father, to the Son, and to the Holy Spirit".

The evangelical witness of St Bernard of Corleone, elevated to the honour of the altars today, observed within the mystery of the Trinity gains a particular effectiveness. All wondered and asked how a simple lay brother could disccourse so well about the mystery of the Trinity. In fact, his life was entirely directed toward God, by a constant ascetical exertion joined with prayer and penance. Those who knew him agreed in testifying that "he was always at prayer", "never ceased to pray", "prayed constantly" (Summ., 35). From such an uninterrupted conversation with God, which found in the Eucharist its ongoing impulse, he drew the lifeblood for his courageous apostolate, responding to the social challenges of the time, with all their tensions and disquiet.

Even today the world needs saints like Brother Bernard immersed in God and for that very reason able to hand on God's truth and love. The humble example of the Capuchin saint offers an encouragement never to tire of prayer, since prayer and listening to God are the soul of authentic holiness.

St Teresa Eustochio Verzeri: faith in providence and abandonment to direction of Spirit

5. "The Spirit of truth will lead you into all truth" (Communion antiphon). Teresa Eustochio Verzeri, whom today we contemplate in the glory of God, in her brief but intense life knew how to be led with docility by the Holy Spirit. God revealed himself to her as a mysterious presence before whom we must bow with profound humility. Her joy was to be considered under constant divine protection, feeling herself in the hands of the heavenly Father, whom she learned to trust in forever.

Abandoning herself to the action of the Spirit, Teresa lived the particular mystical experience of the "absence of God". Only an unshakable faith kept her from losing her confidence in the provident and merciful Father, who put her to the test: "It is right, she wrote, that the spouse after having followed the bridegroom in all the pain that marked his life, should share in the most terrible" (Book of Duties, III, 130).

This was the teaching that St Teresa left to her Institute of the "Daughters of the Sacred Heart of Jesus" founded by her. This is the teaching that she left us all. In the midst of contradictions and inner and exterior sufferings one must keep alive faith in God Father, Son and Holy Spirit.

6. By canonizing Blessed Rafqa Choboq Ar-Rayès, the Church sheds a very particular light on the mystery of love given and received for the glory of God and the salvation of the world. This nun of the Lebanese Maronite Order desired to love and to give her life for her people. In the sufferings which never left her for 29 years of her life, St Rafqa always showed a passionate and generous love for the salvation of her brothers, drawing from her union with Christ, who died on the cross, the force to accept voluntarily and to love suffering, the authentic way of holiness.

May St Rafqa watch over those who know suffering, particularly over the peoples of the Middle East who must face a destructive and sterile spiral of violence. Through her intercession, let us ask the Lord to open hearts to the patient quest for new ways to peace and so hasten the advent of reconciliation and harmony.

7. "O Lord our God, how great is your name through all the earth" (Ps 8,2.10).
 
Contemplating these outstanding examples of holiness, the psalmist's exclamation comes spontanously to mind.

The Lord does not stop giving to the Church and to the world wonderful examples of men and women who are reflections of the glory of the Trinity. Their witness incites us to raise our eyes to heaven and to seek without pause the kingdom of God and his justice.

May Mary the Queen of all saints, who first heard the call of the Most High, uphold us in our service of God and neighbor. And may you go with us saints Luigi Scrosoppi, Agostino Roscelli, Bernardo da Corleone, Teresa Eustocchio Verzeri, Rafqa Pietra Choboq Ar-Rayès, so that our lives like yours may give praise to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men
[출처 : 교황청 홈페이지]

 

 

BERNARDO DA CORLEONE (1605 - 1667)   
 
In the popular imagination, Bernard of Corleone is your typical marketplace troublemaker, similar to the swordsman Ludovico in Manzoni's novel. But this distorted image, spread by a certain kind of popular novel, is wide of the mark. Filippo Latino, as he was called before becoming a friar, was not like that at all.
 
Born at Corleone on February 6, 1605, his home was popularly known asAthe house of saints. "His father Leonardo, a skilled cobbler and leather craftsman, was so merciful to those in need that, with consummate charity, he would even bring them home to wash, clothe and feed them. His brothers and sister were also extremely virtuous. In this fertile ground the young Filippo soon learned the practice of charity and devotion to the Crucified and to Our Lady. As manager of the cobbler's shop he knew how to treat his workers well, and was not ashamed toAwander through the town in wintertime, begging alms for the poor prisoners."
 
His only fault, in the words of two witnesses at his beatification process, was that "he was quick to draw his sword at the slightest provocation. "This worried his parents, especially after Filippo wounded the hand of one particularly arrogant challenger. This incident, which happened in 1624 when Filippo was 19, was witnessed by many and caused an uproar. It cost the hired killer his arm, and Filippo, now nicknamed "the finest blade in Sicily, "was shaken to the core. He begged forgiveness from the wounded man, who later became his friend. And so his religious vocation matured, until on December 13, 1631, at the age of 27, in the novitiate at Caltanissetta, he was clothed in the habit of a Capuchin friar - the religious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the ordinary people - taking the name Bernard.
 
He lived a simple life, moving from one friary to another in the province: Bisacquino, Bivona, Castelvetrano, Burgio, Partinico, Agrigento, Chiusa, Caltabellotta, Polizzi and perhaps also Salemi and Monreal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give precise dates. We do know that he spent the last fifteen years of his life in Palermo, where he welcomed "Sister Death" on January 12, 1667. His assignment, almost exclusively, was that of cook or assistant cook, but he also cared for the sick and did a multitude of other tasks, being helpful to everyone, sharing the workload of his busy brothers and washing the clothes of the priests. Eventually he looked after all the friars' laundry. His remarkable spiritual stature is a tapestry of deeds and sayings, spiced with heroic, if not incredible, penances and mortifications.
 
The testimonies included in the process leading to his canonization relate the particular features of his personality. His was the gentle strength of his Sicilian homeland: "He always exhorted us to love God and do penance for our sins. " 'He was always engrossed in prayer... for him going to church was a sumptuous feast of prayer and union with God." Time, on those occasions, would disappear and he was often rapt in ecstasy. He liked to stay in church at night because - as he himself explained -  'it wasn't good to leave the Blessed Sacrament alone and he would keep him company until the other friars arrived."He found time to help the sacristan so that he could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tabernacle. Contrary to the custom of the time, he would receive communion daily. In the final years of his life his superiors, seeing him overwhelmed by constant penances, freed him from all other jobs except the service of the altar. His solidarity with his fellow men took on a social dimension. In Palermo, at times of natural disaster such as earthquakes and hurricanes, he would mediate in front of the tabernacle, struggling with God, like Moses: "Easy Lord, be gentle with us! I want this grace, Lord, I want it! "And the disaster ceased, the scourge was lifted. On his deathbed, after receiving the final blessing, he joyfully kept repeating: "Let's go, let's go, "and breathed his last. It was 2 p.m.on Wednesday, January 12, 1667. One fellow friar, Br. Antonino of Partanna, who had been particularly close to him, saw him in the spirit, radiant and repeating with joy beyond words: "Paradise! Paradise! Paradise! O, blessed are the disciplines, blissful the night-watches! Blessed the penances, the self-will sacrificed! O, the blessing of fasting, and acts of obedience! How great is the blessing of religious life well lived!"
[출처 : 교황청 홈페이지]



 

 


San Bernardo da Corleone Religioso
12 gennaio 
Corleone, Palermo, 16 febbraio 1605 - Palermo, 12 gennaio 1667

Membro della milizia cittadina e Terziario francescano si dedicò alle opere di misericordia a favore dei poveri, degli ammalati, e degli oppressi. In seguito chiese di essere ammesso tra i Minori Cappuccini, distinguendosi subito per l’impegno e il fervore religioso. Osservantissimo della vita regolare, si preoccupò unicamente di uniformarsi sempre più a Cristo crocifisso con una vita di fervida carità e austera penitenza. Fu beatificato da Clemente XII il 15 maggio 1768. È stato canonizzato da Papa Giovanni Paolo II, il 10 giugno 2001.

Etimologia: Bernardo = ardito come orso, dal tedesco

Martirologio Romano: A Palermo, san Bernardo da Corleone, dell’Ordine dei Frati Minori Cappuccini, insigne per la mirabile carità e lo spirito di penitenza.

Forse esagerano un po’ i contemporanei a definirlo “la prima spada di Sicilia”, ma certo è che chiunque viene a duello con lui ne esce irrimediabilmente sconfitto. O anche peggio, come quel tal Vito Canino, che resta ferito ad un braccio e sarà permanentemente invalido. Non è, però, un attaccabrighe e un litigioso; semplicemente, un po’ troppo spesso viene presso dalla “caldizza”, cioè gli ribolle il sangue davanti a ingiustizie e soprusi e così mette mano un po’ troppo facilmente alla spada. Viene da un paese, Corleone, che per noi oggi è più famoso per l’ex primula rossa mafiosa ora assicurata alla giustizia che per aver dato i natali a lui nel 1605. La sua casa viene comunemente definita “casa di santi” per la bontà dei suoi fratelli e soprattutto per la carità di papà, calzolaio e bravo artigiano in pelletteria, che è abituato a portarsi a casa gli straccioni e i poveracci incontrati per strada, per ripulirli, rivestirli e sfamarli. L’unica “testa calda” è lui, giovanottone dalla costituzione forte ed imponente, che impara a fare il ciabattino nella bottega di papà fino al giorno famoso in cui ferisce quel tal Canino che lo aveva sfidato a duello. La vista del sangue e, soprattutto, il timore della vendetta e delle conseguenze di quel gesto, lo consigliano di cercare rifugio nel convento dei cappuccini, dove pian piano matura la sua vocazione religiosa. Ha appena 19 anni e i superiori fanno fare anticamera alla “prima spada di Sicilia”, tanto che solo a 27 anni può indossare il saio nel convento di Caltanissetta. I suoi bollenti spiriti si stemperano lentamente con l’esercizio continuo della preghiera, della penitenza e della meditazione, e alla fine viene fuori un uomo nuovo. Analfabeta e pertanto destinato ad essere un frate laico, svolge in convento i lavori più umili, in cucina e in lavanderia. Superiori e confratelli sembrano esercitarsi a farlo bersaglio di incomprensioni, malignità e umiliazioni attraverso le quali lui, adesso, passa imperturbato. Anche il demonio non lo lascia tranquillo, apparendogli sotto forma di animale e bastonandolo così rumorosamente da impaurire tutto il convento, ed egli lo tiene a bada soltanto con la preghiera, perchè, dice, “l’orazione è il flagello del demonio ed egli teme più l’orazione che i flagelli e i digiuni”. Anche se lui non fa economia né di questi né di quelli, sottoponendosi a penitenze che hanno dell’incredibile, soprattutto per un uomo della sua stazza e dall’appetito robusto, che si accontenta di qualche tozzo di pane duro ed a volte si priva anche di quello. Da stupirsi che, come dice la gente, attorno a questo frate fioriscano cose prodigiose che fanno gridare al miracolo? Consumato dalle penitenze e dalla fatica, trova il suo posto accanto al tabernacolo, dove prega in continuazione, e qui si ammala il giorno dell’Epifania del 1667. Muore il 12 gennaio, ad appena 62 anni e prima di seppellirlo devono cambiare per ben 9 volte la sua tonaca, perché tutte erano state fatte a pezzettini dai fedeli che volevano avere una reliquia. Beatificato nel 1768 e proclamato santo nel 2001, Bernardo da Corleone, dopo 400 anni, diventa oggi un simbolo per la sua città, che vuole riscattarsi dalla fama di coppole e padrini che fanno ormai parte dell’immaginario collettivo. Per questo hanno realizzato un musical per raccontare di quel giovane, che ad un certo punto della sua vita ha ripudiato le armi per scegliere la legalità. Più chiaro di così!

Autore: Gianpiero Pettiti

--------------------------------------------------------------------------------

Leggendo di lui si pensa subito al personaggio creato dal Manzoni nei Promessi sposi: fra Cristoforo, che prima era l’arrogante spadaccino Ludovico, sempre pronto alla lite anche mortale. Bernardo di Corleone è invece un personaggio reale, battezzato alla nascita con i nomi di Filippo Latino, quinto figlio di un calzolaio che forse è anche conciatore di pelli. Una famiglia molto religiosa la sua, con un fratello sacerdote. E lui, invece, che perde i giorni e la testa a osservare le esercitazioni di scherma tra ufficiali e soldati del locale presidio spagnolo. Infine si scopre “una delle migliori lame”, come si dice nell’ambiente. Non è esattamente quello che vorrebbero i suoi; ma le ragioni a favore della spada – in quest’epoca – hanno pure qualche peso. Per dirla in breve, al buon spadaccino si porta rispetto, anche se è figlio di un calzolaio.
Poi arriva a sfidarlo il palermitano Vito Canino, temibilissimo con l’arma in mano. Semplice sfida per il primato o regolamento di qualche conto? La causa non è certa, ma l’effetto sì: nello scontro il palermitano si trova con un braccio in meno. Ed ecco Filippo in convento. Per sfuggire alla giustizia? La prima motivazione sarà pure stata questa, dopo un certo periodo di latitanza.
Ma nel 1631 lo troviamo nel noviziato cappuccino di Caltanissetta, dove a 26 anni indossa il saio con il nome di frate Bernardo. Sono passati sette anni dal duello sciagurato con don Vito Canino. Lui è un altro uomo, ma il cambiamento non è stato gratuito o facile. E nemmeno rapido. Ha chiesto tempo e sacrificio, e qui è venuto fuori per gradi l’uomo nuovo, con la mitezza e con le penitenze durissime. Ordinari rimedi sono poi la preghiera e il lavoro continuo, il servizio ai confratelli, specialmente se ammalati.
C’è un racconto bellissimo di questa sua generosità. Trovandosi con i frati di Bivona durante un’epidemia, si prodiga a curarli in ogni necessità, perché l’unico rimasto sano in comunità è lui. Ma poi viene colto anch’egli dal male: allora, prende da una chiesa una statuetta di san Francesco e se l’infila in una manica dicendo: "Adesso tu rimani lì dentro finché non mi fai guarire, perché possa aiutare i confratelli".
La sua opera di infermiere si estende anche agli animali, in un tempo in cui la morte di un mulo o di un bovino può significare rovina per una famiglia. Si fa a suo modo esortatore e predicatore con certi suoi mini-sermoni in rima, ancora ricordati, come: "Momentaneo è il patire / sempre eterno è il partire".
Frate Bernardo “parte” da questa vita all’età di 62 anni, accompagnato subito dalla fama di santità, che sarà suggellata con la sua beatificazione nel 1768 e la canonizzazione nel 2001.
Autore: Domenico Agasso

Fonte: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07-05-15

 

 

 


Saint Bernard of Corleone 
Also known as
Bernardo de Corleone
Filippo Latino
Philipi Latini


Memorial
12 January


Profile

Shoemaker by trade, and considered the greatest swordsman and duelist in Sicily in his day. After mortally wounding a man named Canino in a duel, he sought sanctuary from the law in the church of the Capuchin Friars Minor in Palermo. While hiding there, he had a true conversion, and became a Capuchin lay-brother in 1632, changing his name to Brother Bernardo.

Noted for his extreme austerity and self-imposed penances in an attempt to atone for his earlier life. Had the gift of healing animals by prayer.

Born
6 February 1605 at Corleone, Palermo, Sicily as Filippo Latino
Died
12 January 1667 at Palermo, Sicily
Venerated
2 February 1762 by Pope Clement XIII (decree of heroic virtues)
Beatified
15 May 1768 by Pope Clement XIII
Canonized
10 June 2001 by Pope John Paul II


Images
Gallery of images of Saint Bernard
 

Additional Information
Book of Saints, by the Monks of Ramsgate
For All The Saints, by Katherine Rabenstein
Hagiography Circle
Il Beato Bernardo da Corleone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by Matthew Bunson, Margaret Bunson, and Stephen Bunson


MLA Citation
“Saint Bernard of Corleone”. Saints.SQPN.com. 10 January 2010. Web. {today’s date}.

 

 


January 12
St. Bernard of Corleone
1605-1667
Bernard was born on the island of Sicily in the year 1605.  His father was a shoemaker and taught his son the ways of the trade.  But it was difficult for the lively youth to interest himself in this work.  Upon the death of his father, he immediately left the shop and, led by the love of adventure, he took up fencing.  It was not long before he became quite adept at wielding the sword.  His unusual corporal vigour qualified him to challenge any comer to a contest.

From then on he spent the greater part of his time in training and eagerly seized every opportunity to match swords with his hot tempered

 
 countrymen.

Although this manner of life led him far away from God, nevertheless many noble characteristics were perceptible in Bernard.  In taking up any quarrel he liked to defend old people and other helpless and defenceless persons against violence.  He frequently made devout visits to a crucifix that was highly honoured by the people, and provided that a lamp be kept burning before it.  Moreover, he cherished great devotion towards St. Francis.  God and St. Francis soon led him to realize what a disorderly course he was pursuing.

Bernard had been challenged to a sinful duel, in the course of which he wounded his opponent mortally.  In order to escape from his avengers, he sought refuge in flight.  In this extremity, as so frequently happens, grace knocked at his heart.  Bernard heeded the call.  He acknowledged his godless and dangerous conduct for what it was, bewailed it bitterly, and resolved upon a complete change of sentiments.

In order to atone for his sins, he begged for admission among the Capuchins as a lay brother, and on December 13, 1632, he was invested with the holy habit.  If in the past Bernard had yielded his bodily members to wayward purposes, he now used them as an atoning sacrifice unto salvation.  Seven times a day he scourged himself to the blood.  His sleep was limited to three hours on a narrow board, with a block of wood under his head.  He fasted for the most part on bread and water.  If anything delicious was placed before him, he would carry the food to his mouth so as to whet his appetite, and then lay it down without having tasted it.  In spite of his austere life, he still undertook the most unpleasant and annoying tasks as being his due.

Almighty God showed how agreeable to Him was the penitential life Bernard was leading; he favoured him with extraordinary graces, particularly with ardent devotion at prayer.  Bernard cherished special love for our Blessed Lady, and encouraged others to do the same.  Often our Lady appeared to him and placed the Divine Child in his arms.  Moreover, she gave him knowledge of the day of his death four months in advance.  He died at Palermo on January 12, 1667.

Attracted by the fame of his sanctity, there gathered for his burial so many people who raised their voices in praise of the deceased, that it was less a funeral cortege than a triumphal procession.  Numerous miracles occurring at his grave promoted the cause of his beatification by Pope Clement XIII in the year 1767. He was canonized by Pope John Paul II on June 10, 2001.

ON THE NECESSITY OF PENANCE
Consider the severe penance that Blessed Bernard practiced after his conversion.  He understood what the holy Fathers say and the Catholic Church teaches, that for such as have not preserved their baptismal innocence, there is no other way to salvation but the way of penance. Perhaps we have sinned more grievously than Bernard did.  In that event it behooves us to practice more rigorous penance, for according to the measure of our guilt should be the measure of our penance.  Or do you perhaps believe that you have no reason to perform any penance?  That would indeed be a sad delusion, for St. John writes: “If we say that we have no sin, we deceive ourselves and the truth is not in us (1 Jn 1:8).  This is the first requisite of penance, that we sincerely acknowledge our sinfulness before God and repent of our failures with our whole heart.  Do you have at least this kind of contrition?
Consider the words of our Lord: “Except you do penance, you shall all likewise perish” (Luke 13:5). In what way? By sudden death.  Our Lord spoke these words after it had been reported to Him that a number of persons had died a violent death.  There is a limit to God’s forbearance.  Has Bernard not heeded the call of grace, might he not have perished in his sins? Hence, heed the admonition: “Today, if you hear His voice, harden not your hearts” (Heb 3:8).  Should you not long ago have followed the call to do penance?
Consider that penance requires more than the acknowledgment of our sins and sorrow for the same.  The sinner must also produce the fruits of penance.  The precursor of Christ admonishes us: “Bring forth, therefore, fruits worthy of penance (Luke 3:8).  An offence against God requires satisfaction to be made.  If you cannot perform the rigorous penance Blessed Bernard performed, you can surely impose small sacrifices upon sensuality and the weakness of the flesh.  The time of Lent admonishes us of these practices.  Practice works of charity and piety in the spirit of penance in order to appease the divine justice, and cheerfully accept in the spirit of penance every cross and suffering that God allows to come your way.


PRAYER OF THE CHURCH
O God, who didst permit Blessed Bernard, Thy confessor, to distinguish himself by heroic charity and admirable penance, grant us, through his intercession, that we may love Thee with our whole heart and bring forth fruits worthy of penance.  Through Christ our Lord.  Amen.

 

 

 

 

 

 

BERNARD OF CORLEONE - CAPUCHIN

Bernard was born on 6th February, 1605 in the Sicilian town of Corleone. Corleone was a ferocious town that had succumbed to Spanish rule but not without a fierce fight.

 

Bernard had been well instructed in the Christian faith and practice by his devout parents. But being strong and bold, like his town, he became a soldier and the joined the army fighting the many wars at that time. While in the army he developed a fiery temper and was quick to challenge men to a duel. His life was not noted for its moral content and he had quite a reputation in the company.

 

One day in a duel his opponent fell. Bernard fled thinking that he had killed him. The Capuchins gave the fugitive soldier hospitality. Here he had a chance to think over his past life. God rewarded his prayer by letting him have a real sorrow for his past life and a desire to do penance. The brotherhood in the Capuchins attracted him and he was received as a novice.

 

True to his ideal, Bernard put aside his former life and moved by the Holy Spirit set about the Novitiate to make himself as meek as a lamb among his brothers. God showed him the value of penance. To reform himself the brother began by taking only a little water and food. He drank only water that was bitter or hot and his scant rest was taken on a board. His habit and cell were the poorest in the house. He worked long hours and the sick were his special care. He kept regular fasts and it is said that it is doubtful if he ever ate a full meal in his 37 years that he was in religious life. He frequently ate only bread and water. Never would he wear a new habit or allow new furnishings in his cell. As a consequence he suffered greatly from rheumatism.

 

In time Bernard became gentle and sweet with all at home and out. He had the highest regard for his brothers and his superiors, he only spoke to them on bended knee. Prayer and fasting were his consolation and the Lord rewarded him abundantly.

 

This holy brother became the pride and joy of all the friars. His virtue was a lesson to all. Poverty, simplicity, chastity, silence and love of recollection are lessons that Bernard gives us together with the value of penance. Bernard was beatified in 1768 and his feast is celebrated on January 19th.

 

 

 

 



296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