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카인의 계보와 셋의 계보에 대하여 - 창세기 제4,5장 [성경공부]

인쇄

[175.115.219.*]

2012-02-28 ㅣ No.1177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창세기 4,17-19에 있는 "카인의 자손들"와 창세기 제5장에 있는 "아담의 자손들"에 대하여 어떤 분이,

NAB 주석에,

주장 (1) "카인의 족보"는 "고도의 문명을 갖춘 정착생활"을 하던 고대인들에 대한 전승을 인용했을 거라고 하고,

주장 (2) 셋의 계보는 바빌로니아 유수 때 얻게 된 "홍수 이전의 조상들"에 대한 전승을 참조한 것 같다고 적혀 있군요


라고 하였는데, 특히 셋의 계보에 대한 주장 (2)와 같은 언급이 NAB 주석에 있다는 주장은 저로서도 처음 듣는 이야기이고 하여, 정말로 그런 주석들이 NAB에 주어져 있는지 찾아서 사실 여부를 확인해 보았더니, 다음과 같습니다:

1-1. 다음은 창세기 제4장 본문에 대한 NAB 주석들 전문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genesis/genesis4.htm

(발췌 시작)
1 [1] The Hebrew name qayin ("Cain") and the term qaniti ("I have produced") present another play on words.

2 [7] Demon lurking: in Hebrew, robes, literally "croucher," is used here, like the similar Akkadian term rabisu, to designate a certain kind of evil spirit.

3 [15] A mark: probably a tattoo. The use of tattooing for tribal marks has always been common among the nomads of the Near Eastern deserts.

4 [16] The land of Nod: not a definite geographic region. The term merely means "the land of nomads."

5 [17-22] In Genesis 4:12-16 Cain was presented as the archetype of nomadic peoples. The sacred author in this section follows another ancient tradition that makes Cain the prototype of sedentary peoples with higher material culture.

5. [17-22] 창세기 4,12-16에서 카인은 유목민들의 원형으로서 제시되었습니다. 성스러운 저자는 이 섹션에서 카인을, 더 높은 물질 문명을 가진, 정착민의 모범으로 삼는 또다른 고대 전통을 따릅니다.

6 [25-26] Has granted: Hebrew shat, a wordplay on the name shet ("Seth"). Enosh: in Hebrew, a synonym of adam ("man"). At the time . . . name: men began to call God by his personal name, Yahweh, rendered as "the LORD" in this version of the Bible. The ancient, so-called Yahwist source used here employs the name Yahweh long before the time of Moses. Another ancient source, the Elohist (from its use of the term Elohim, "God," instead of Yahweh, "Lord," for the pre-Mosaic period), makes Moses the first to use Yahweh as the proper name of Israel's God, previously known by other names as well; cf Exodus 3:13-15.
(이상, 발췌 끝)

(중간 결론 1)
위의 주장 (1)에서의 언급은, 위의 여섯 개의 NAB의 주석들 중에서 다섯 번째 주석에 대한 언급인 것 같으나, 그러나 위의 주장 (1)에 있어서의 번역 오류 때문에, 또한 완전하게 동일한 의미가 아닙니다. 그리고 위의 주장 (2)에서의 주장은 위의 여섯 개의 NAB 주석들 중에 없습니다.

1-2. 다음은 창세기 제5장 본문에 대한 NAB 주석들 전문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genesis/genesis5.htm

1 [1-32] Although this chapter, with its highly schematic form, belongs to the relatively late "Priestly document," it is based on very ancient traditions. Together with Genesis 11:10-26, its primary purpose is to bridge the genealogical gap between Adam and Abraham. Adam's line is traced through Seth, but several names in the series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certain names in Cain's line (Genesis 4:17-19). The long lifespans attributed to these ten antediluvian patriarchs have a symbolic rather than a historical value. Babylonian tradition also recorded ten kings with fantastically high ages who reigned successively before the flood(바빌론인들의 전통은 대홍수 이전에 연속하여 통치하였던 어마어마하게 높은 나이를 가진 열 명의 왕들을 또한 기록하였습니다).

2 [24] In place of the usual formula, Then he died, the change to Enoch walked with God clearly implies that he did not die, but like Elijah (2 Kings 2:11, 12) was taken alive to God's abode.

3 [29] There is a similarity in sound between the Hebrew word noah, "Noah," and the verbal phrase yenahamenu, "he will bring us relief"; this latter refers both to the curse put on the soil because of the fall of man (Genesis 3:17-19) and to Noah's success in agriculture, especially in raising grapes for wine (Genesis 9:20-21).

(중간 결론 2)
위의 주장 (2)에서와 같은 주장은, 창세기 제4장의 여섯 개의 주석들 그리고 창세기 제5장에 대한 세 개의 NAB 주석들 어디에도 없습니다.

1-3.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NAB 용어 색인에 의하면, 셋(Seth)이 언급되고 있는 NAB 주석들은, 창세기 4,26과 창세기 5,1의 주석들 단 두 개 뿐입니다. 실제로 여기를 클릭하여 직접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들 두 개의 주석들은 이미 위에 발췌되어 있으며, 위의 (2)와 같은 언급은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구글 검색을 해보아도 위의 (2)와 같은 설명은 NAB 주석들에서 발견되지 않습니다. 실제로 여기를 클릭하여 직접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최종 결론)
이상 구체적으로 확인한 바에 의하면, 특히 위의 주장 (2)에서의 주장은 그 출처가 NAB 주석들이 아닙니다.

그리고 위의 주장 (2)에서의 주장의 출처에 대하여서는 저도 아는 바가 없습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2시간 (자료 찾기 포함)
 



1,197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