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필연성(necessity) - 영어 가톨릭 대사전 969_토미즘학습

인쇄

. [218.55.90.*]

2014-06-30 ㅣ No.1556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게시자 주: 이 글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 [제목: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의 필연성(necessity) 혹은 비필연성(非必然性)(contingency)] 에서 추가로 읽을 것을 권고하는 글이기도 합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54.htm

 

1. 들어가면서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necessity(필연성)" 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contingent" 라는 용어가 나타내는 개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전달해드립니다. 그리고 우리말 번역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10733a.htm

(발췌 시작)

Necessity

 

필연성

 

Necessity, in a general way, denotes a strict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beings, or the different elements of a being, or between a being and its existence. It is therefore a primary and fundamental notion, and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its various meanings and applications in philosophy and theology.

 

필연성(necessity)은, 어떤 일반적인 방식으로, 서로 다른 있음(有, beings)들, 혹은 한 있음(a being)의 서로 다른 요소들 사이에 있는, 혹은 한 있음(a being)과 그 존재(存在)(its existence) 사이에 있는, 어떤 엄밀한 관련(a strict connection)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한 개의 첫 번째의(primary) 그리고 근본적(fundamental) 개념(notion)이며, 그리하여 철학과 신학에 있어 그 다양한 의미들과 적용들을 한정하는(determine) 것은 중요합니다. 

 

-----

(*) 번역자 주:
(1) 여기서 "필연성(necessity)"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가 주어지고 있다.

 

(2) "존재(existence)""있음(有, being)"이나,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있음(有, being)""존재(存在, existence)"의 차이점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56.htm

-----

 

In Logic, the Schoolmen, studying the mutual relations of concepts which form the matter of our judgments, divided the judgments or propositions into judgments in necessary matter (in materia necessaria), and judgments in contingent matter (in materia contingenti). (Cf. S. Thom., I Perihermen, lect. xiii.) The judgments in necessary matter were known as propositiones per se; they are called by modern philosophers "analytic", "rational", "pure", or "a priori" judgments. The propositio per se is defined by the Schoolmen as one the predicate of which is either a constitutive element or a natural property of the subject. Such is the case with primary truths, metaphysical, and mathematical principles. (Cf. S. Thom., "in I Anal.", lect. x and xxxv; "de Anima", II, lect. xiv.) It is by ignoring the last part of this definition and arbitrarily restricting the concept of analytic judgments to those of which the predicate is a constitutive element of the subject, that Kant invented the false notion of synthetic-a priori judgments.

 

논리학(Logic)에 있어, 우리의 판단(judgments)들의 질료(matter)를 구성하는 개념(concepts)들에 대한 상호 관계들을 연구하는 스콜라 학자(the Schoolmen)들은 판단(judgments)들 혹은 명제(proposition)들을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필연적(必然的)인 질료(necessary matter)에 대한 판단들(in materia necessaria), 그리고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비필연적(非必然的)인(*) 질료(contingent matter)에 대한 판단들 (in materia contingenti) 로 나누었습니다. [Cf. 성 토마스 아퀴나스(S. Thom.), I Perihermen, lect. xiii.]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필연적(必然的)인 질료(necessary matter)에 대한 판단들은 propositiones per se 로서 알려졌으며, 그리고 그들은 현대 철학자들에 의하여 "해석적(analytic)", "이성적(rational)", "순수(pure)", "선험적(a priori)" 판단들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propositio per se 스콜라 학자들에 의하여 그것의 서술부(predicate)가 해당 주부(the subject)의 한 개의 구성 요소이거나 혹은 한 개의 본성적 성질(a natural property) 이들 둘 중의 하나인 판단(one)으로서 "정의"됩니다(is defined). 그러한 것은 첫 번째 진리들(primary truths), 형이상학적(metaphysical), 그리고 수학적(mathematical) 원리(principles)들에 있어서 그러합니다.  [Cf. S. Thom., "in I Anal.", lect. x and xxxv; "de Anima", II, lect. xiv.]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년)종합적 선험적 판단들(synthetic-a priori judgments)이라는 잘못된 개념(false notion)을 고안하였던 것은, 바로 이 "정의"(definition) 마지막 부분을 무시함으로써(by ignoring) 그리하여, 이 정의(definition)의 서술부가 해당 주부의 한 구성 요소인, 바로 이 부분(those)들에 대한 해석적 판단들이란 개념을 임의적으로 제한함으로써(by arbitrarily restricting), 입니다.(**)

 

-----

(*) 번역자 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비필연적(非必然的)(contingent)" 으로 번역이 된, "contingent"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54.htm

 

(**) 번역자 주: 예를 들어,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년)의 저술인 "순수 이성 비판(Critique of Pure Reason)"이 과거에 교황청 유관부서에 의하여, 소위 말하는, "금서목록"에 포함되었던 이유를 언급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혹시 이 방향으로 관심이 있을 경우에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의 "Critique of Pure Reason(순수 이성 비판)" 란의 "B. Judement(판단)" 를 읽도록 하라:

http://www.newadvent.org/cathen/08603a.htm

-----

 

Considered under its metaphysical aspect, being in its relation to existence is divided into necessary and contingent. A necessary being is one of which the existence is included in and identical with its very essence. The different beings which we observe in our daily experience are subject to beginning, to change, to perfection, and to destruction; existence is not essential to them and they have not in themselves the reason of their existence; they are contingent. Their existence comes to them from an external efficient cause. It is from the real existence of contingent beings that we arrive at the notion and prove the existence of a necessary being-one that produces them but is not produced, one whose existence is its own essence and nature, that is at the same time eternal, all-perfect, infinite, viz., God (see CONTINGENCY). And so in relation to existence, God alone is absolutely necessary, all others are contingent.

 

그것의 형이상학적 양상 아래에서 고찰될 때에, 존재(存在, existence)에 대한 그 관계에 있어 있음(有, being)은, (i)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필연적(必然的)인(necessary) 있음(有) 그리고, (ii)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비필연적(非必然的)인(contingent) 있음(有)으로 나누어집니다. 한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필연적(必然的)인(necessary) 있음(有)(a necessary being)그것의 존재(existence)가 그것의 바로 그 본질(essence)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리하여 그것의 바로 그 본과 동일시되는 있음(being)을 말합니다. 우리가 우리의 일상의 경험에서 관찰하는 [관찰 대상들의 색깔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있음(different beings)들은 시작함(beginning)에, 변화(change)에, 완미(perfection)에, 그리고 파괴(destruction)에 종속하며(subject to), 그리하여 존재(existence)는 그들에게 본질적이지 않으며 그리고 그들은 그들 자체 안에 그들의 존재에 대한 이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리하여,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그들은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비필연적(非必然的)(contingent) 입니다.(*) 그들의 존재(existence)는 어떤 외부의 결과를 산출하는 원인[동력인, 動力因, 동인(動因), 작인(作因), an efficient cause]으로부터 그들에게 옵니다.(**) 우리가 한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필연적인(必然的) 있음(being)의 존재(存在, existence)라는 개념(notion)에 도달하고 그리고 우리가 이러한 있음의 존재를 -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비필연적인(非必然的) 있음(contingent beings)들을 산출하나 그러나 산출되지 않는 존재(existence), 그 존재가 자신 고유의 존재 및 본성(nature)이며, 동시에 영원한(eternal), 전적으로 완미한(all-perfect), 무한한(infinite) 있음(one), 즉(viz.), 하느님(God)의 존재(存在, existence)를 - 증명하는 것은, 바로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비필연적인(非必然的)(contingent) 있음((contingent beings)들현실태적 존재(存在)(real existence, 실존)로부터입니다. 따라서(and so) 존재(existence)에 대한 그 관계에 있어, 하느님만이 홀로 절대적으로 필연적(必然的)이고(absolutely necessary), 다른 사물들 모두는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비필연적(非必然的)(contingent) 입니다.

 

-----

(*) 번역자 주: 바로 이 문장이, 이 글 중에서 주어지고 있는 "contingent being"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인데, 다음의 글 중에서 주어지고 있는 "contingent being"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와 동일하다(the same):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54.htm

 

(**) 번역자 주: "어떤 외부의 결과를 산출하는 원인[동력인, 動力因, 동인(動因), 작인(作因)" 으로 번역된 "an efficient cause"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 [제목: 연기(緣起)와 因緣(인연)의 정의(definitions)들 외]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63.htm

-----

 

When we consider the divers beings, not from the point of view of existence, but in relation to their constitution and activity, necessity may be classified as metaphysical, physical, and moral.

 

우리가 여러 가지의 있음(beings)들에 대하여, 존재(存在, existence)의 관점으로부터가 아니라, 그들의 구성 및 활동(constitution and activity)에 대한 관계 안에서, 고찰할 때에, 필연성(necessity)은 다음과 같이 형이상학적(metaphysical), 형이하학적(physical), 그리고 윤리적(moral) 으로 분류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may):

 

-. Metaphysical necessity implies that a thing is what it is, viz., it has the elements essential to its specific nature. It is a metaphysical necessity for God to be infinite, man rational, an animal a living being. Metaphysical necessity is absolute.

 

-. 형이상학적 필연성(metaphysical necessity)은 한 사물(a thing)이 그것이 무엇임(what it is)을, 즉, 한 사물이 자신의 구체적인 본성(specitic nature)에 본질적인 요소들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느님께서 무한하시고, 사람이 이성적이며(rational), 그리고 한 동물이 한 살아 있는 있음(a living being)인 것은 어떤 형이상학적 필연성입니다. 형이상학적 필연성은 절대적입니다(absolute).

 

-. Physical necessity exists in connection with the activity of the material beings which constitute the universe. While they are contingent as to their existence, contingent also as to their actual relations (for God could have created another order than the present one), they are, however, necessarily determined in their activity, both as to its exercises and its specific character. But this determination is dependent upon certain conditions, the presence of which is required, the absence of one or the other of them preventing altogether the exercise or normal exercise of this activity. The laws of nature should always be understood with that limitation: all conditions being realized. The laws of nature, therefore, being subject to physical necessity are neither absolutely necessary, as materialistic Mechanism asserts, nor merely contingent, as the partisans of the philosophy of contingency declare; but they are conditionally or hypothetically necessary. This hypothetical necessity is also called by some consequent necessity.

 

-. 형이하학적 필연성(physical necessity)은  우주를 구성하는 질료적 있음(material beings)들의 활동과 관련하여 존재합니다(exists). 그들의 존재에 관하여 그들이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비필연적인(非必然的)(contingent) 동안(while), 그들의 현실태적 관계들에 관하여서도 또한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비필연적(非必然的)(contingent) 인데 (이는 하느님께서, 현재의 질서와는 다른, 또 하나의 질서를 창조하셨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들의 활동 안에서, 그 존재들 및 그 구체적인 특성(specific character) 둘 다에 관하여, 필연적으로 결정됩니다(are determined). 그러나 바로 이 결정은, 그들의 현존(presence)이 요구되고, 그들 중의 한 개 혹은 다른 것의 부재(不在, absence)가 이러한 활동의 실행(exercise) 혹은 정규 실행(normal exercise)을 전적으로 막는, 특정한 조건들에 종속합니다(dependent upon). 자연의 법칙(the laws of nature)들은 다음과 같은 제한(limitation)과 함께 반드시 항상 이해되어야 합니다: 모든 조건들이 현실태화 됨(being realized). 그러므로 자연의 법칙들은, 형이하학적 필연성에 종속되기 때문에, 결코, 유물론적 기계주의(materialistic Mechanism)가 주장하듯이, 절대적으로 필연적이지도 않고, 또한,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의] 비필연성(非必然性) 철학(the philosophy of contingency)의 열렬한 지지자들이 선언하듯이, 단순히 [변성(變成)함에 있어 연(緣)이] 비필연적(非必然的)(contingent)이지도 않으나, 그러나 그들은 조건적으로(conditionally) 혹은 가정적으로(hypothetically) 필연적입니다. 바로 이러한 가정의 필연성은 또한 어떤 자들에 의하여 후건적(後件的)/후행적(後行的) 필연성(consequent necessity) 이라고 불립니다.

 

-. Moral necessity is necessity as applied to the activity of free beings. We know that men under certain circumstances, although they are free, will act in such and such a way. It is morally necessary that such a man in such circumstances act honestly; it is morally necessary that several historians, relating certain facts, should tell the truth concerning them. This moral necessity is the basis of moral certitude in historical and moral sciences. The term is also used with reference to freedom of the will to denote any undue physical or moral influence that might prevent the will from freely choosing to act or not act, to choose one thing in preference to another. The derivatives, necessitation and necessarianism, in their philosophical signification express the doctrine that the will in all its activity is invariably determined by physical or psychical antecedent conditions (see DETERMINISM; FREE WILL).

 

-. 윤리적 필연성(moral necessity)은 자유로운 있음(free beings)들의 활동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필연성을 말합니다. 우리는 사람들이 특정한 여건들 아래에서, 비록 그들이 자유롭기는 하나, 그렇고 그러한 어떤 방식으로 장차 행동할 것임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한 사람이 그러한 여건에서 정직하게 행동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필연적이며(morally necessary), 그리고 여러 역사학자들이, 특정한 사실들을 설명하면서, 그들에 관하여 진리를 마땅히 말하여야 함은 윤리적으로 필연적입니다. 바로 이러한 윤리적 필연성은 역사 및 윤리 과학에 있어 윤리적 확신(moral certitude)의 근본입니다. 이 용어는, 의지가, 다른 사물보다 선호하여 하나의 사물을 선택하고자, 행동하거나 혹은 행동하지 않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행위를 방해할 수도 있는 부당한 형이하학적 혹은 윤리적 영향을 나타내는, 의지의 자율성(freedom of the will)에 대한 언급과 함께 또한 사용됩니다. 파생어들인 필요화(necessitation)필요론/숙명론(necessarianism)은, 그들의 철학적  어의(語義, signification)에 있어, 의지가 그 활동 모두에 있어, 형이하학적 혹은 심리학적 선건적(先件) 조건(antecedent conditions)들에 의하여 불변적으로 결정된다는 주의(doctrine)를 표현합니다. (DETERMINISM; FREE WILL 을 보라).

 

In theology the notion of necessity is sometimes applied with special meaning. Theologians divide necessity into absolute and moral. A thing is said to be absolutely necessary when without it a certain end cannot possibly be reached. Thus revel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for man to know the mysteries of faith, and grace to perform any supernatural act. Something is said to be morally necessary when a certain end could, absolutely speaking, be reached without it, but cannot actually and properly be reached without it, under existing conditions. Thus, we may say that, absolutely speaking, man as such is able to know all the truths of the natural order or to observe all the precepts of the natural law; but considering the concrete circumstances of human life in the present order, men as a whole cannot actually do so without revelation or grace. Revelation and grace are morally necessary to man to know sufficiently all the truths of the natural law (cf. Summa Theologica, I:1:1; "Contra Gentil.", I, iv).

 

신학(theology)에 있어 필연성이라는 개념은 때로는 특별한 의미와 함께 적용됩니다. 신학자들은 필연성을 절대적인(absolute) 그리고 윤리적인(moral)으로 나눕니다. 한 사물은 그것 없이 한 특정한 끝(a certain end)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 도저히 가능할 수 없을 때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해집니다. 따라서 계시(revelation)는 사람이 신앙의 오적(奧跡)/신비(mysteries of faith)들을 알기 위하여 절대적으로 필연적이고, 그리고 은총(grace)은 어느 초자연적 행위를 수행하기 위하여 절대적으로 필연적입니다. 어떠한 사물(something)은, 그것 없이, 절대적으로 말하여, 한 특정한 끝에 도달하게 될 수도 있으나, 그러나 존재하는 조건들 아래에서, 그것 없이, 현실태적으로 그리고 적절하게 도달하게 될 수 없을 때에, 윤리적으로 필연적이라고 말해집니다. 따라서, 우리는, 절대적으로 말하여, 그러한 자로서 사람(man as such)이 자연의 질서(the natural order)에 대한 진리들 모두를 알 수 있다거나 혹은 자연법(the natural law)의 규범(precepts)들 모두를 준수할 수 있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만, 그러나 현재의 질서 안에 있는 인간의 삶의 명확한(concrete) 여건들을 고려할 때에, 한 전체로서 사람은 계시 혹은 은총 없이 현실태적으로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계시은총은, 사람이 자연법의 진리들 모두를 충분하게 알기 위하여 윤리적으로 필연적입니다. [cf.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1:1; "Contra Gentil.", I, iv].

 

Again, in relation to the means necessary to salvation theologians divide necessity into necessity of means and necessity of precept. In the first case the means is so necessary to salvation that without it (absolute necessity) or its substitute (relative necessity), even if the omission is guiltless, the end cannot be reached. Thus faith and baptism of water are necessary by a necessity of means, the former absolutely, the latter relatively, for salvation. In the second case, necessity is based on a positive precept, commanding something the omission of which, unless culpable, does not absolutely prevent the reaching of the end.

 

게다가(again), 구원(salvation)에 필연적인 수단에 관련하여 신학자들은 필연성을 수단의 필연성(necessity of means)규범의 필연성(necessity of precept)으로 구분하며, 첫 번째 경우에 있어 수단은 구원에  너무도 필요하여 그리하여 그 결과 그것 (절대적 필연성)  혹은 그 대체물(substitute) (상대적 필연성) 없이, 심지어 태만(omission)이 죄가 없다(guiltless)고 하더라도, 그 끝에 도달하게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신앙(faith)과 물의 세례(baptism of water)는 수단의 한 필연성에 의하여 필연적인데, 구원을 위하여 전자는 절대적으로, 후자는 상대적으로 입니다. 두 번째 경우에 있어, 필연성은, 그것에 대한 태만이, 만약에 과실(culpable)이 없다면, 그 끝에 도달하는 것을 절대적으로 막지 않는, 어떠한 사물을 명령하는(commanding), 한 능동적 규범(a positive precept)에 근거하게 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8시간

 



1,207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