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북한관련

KBS와 MBC는 왜 패배할 수밖에 없는가?

인쇄

이용섭 [979aaa] 쪽지 캡슐

2008-08-11 ㅣ No.7142

KBS와 MBC는 왜 패배할 수밖에 없는가?
李明博 대통령을 정면대결로 불러낸 것은 두 방송의 선제공격이었다. 이제 그들의 유일한 援軍은 깽판세력이다.
趙甲濟   
 李明博 대통령이 오늘 정연주 KBS 사장 해임제청안에 서명했다. KBS 이사회가 후임을 추천하면 금명간 임명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KBS 정상화의 길이 열렸다. KBS 정상화란 정권의 시녀화가 아니라 공영방송의 의무와 책임을 다하는 것을 말한다. 좌파정권의 走狗(주구) 노릇을 하다가 언론인의 양식을 잃었던 일부 구성원들의 反개혁적 반발이 예상된다. 이들의 반발은 진실과 正義를 떠난 억지임으로 여론과 法의 지지를 받을 수 없다. 이들이 파업사태를 야기하더라도 국민들은 오히려 홀가분해 할 것이다. 거의 공해가 되다시피한 지금과 같은 수준의 KBS와 MBC의 보도, 논평 프로는 없어지는 것이 국민건강상 낫다.
 
 지난 10년간 좌파정권의 선동기관이 되었던 그 체질을 청산하지 못함으로써 여론과 새 권력의 지지를 동시에 잃은 KBS와 MBC는 변하든지 망하든지 兩者擇一 해야 한다. 두 방송이 고귀한 언론자유를 남용하고 私用하여 그동안 국가와 민족에 저지른 죄과는 엄중하다. 새 KBS 사장은 공영방송의 의무와 책임을 짓밟는 데 앞장섰던 직원들을 문책해야 할 것이다. 사장이 바뀌었으니 모두가 심기일전하여 새 출발하자는 식의 두리뭉실한 방법으로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 예컨대 아래 미디어포커스 프로를 만든 제작진은 국민의 재산인 공중파를 멋대로 私用한 경우에 해당함으로 엄중 처벌해야 마땅하다.
 
 KBS와 MBC는 2002년 봄 노무현 당시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의결에 즈음하여 기록적인 편파방송을 하여 그를 구했다. 2008년 봄 두 방송은 李明博 정부에 대하여 기록적인 선동방송을 하여 그를 코너로 몰았다. 民主정부를 타도하기로 결심한 것이 아니라면 도저히 할 수 없는 편파 과장 보도, 不法폭력시위 응원, 경찰 비방을 지속적으로 했다. 그래도 李明博 정부는 넘어가지 않았다. KBS와 MBC는 소요사태를 야기한 데 대해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 이렇게 하고도 무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 한국사회의 저력을 오판한 것이다.
 
 李明博 정부는 KBS와 MBC가 좌경화되었음에도 대결할 생각이 없었던 것 같다. 정부가 바뀌면 가장 먼저 하게 되어 있는 방송 장악을 시도한 흔적도 없다. 이념대결을 피하려 했던 李明博 대통령에 싸움을 걸어 반격을 초대한 것은 KBS와 MBC이다. 이는 그들의 誤算이었다. 정권이 사실에 기초하여 공권력을 행사하면 무섭다. 지금 李明博 정부는 그렇게 하고 있다. 많은 국민들은 왜 이 정부가 선동방송에 대하여 그토록 무력하냐고 꾸짖는다. 언론탄압이란 저들의 비명은 국민들의 분노 속에 파묻혀버리고 메아리가 없다. 정치적으로 失權한 민주당과 좌파세력이 자신들을 구해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너무나 순진한 현실진단이다. 援軍은 오지 않을 것이다.
 
 대한민국의 깽판세력을 援軍으로 여기는 두 방송이 공영방송의 소유구조를 갖고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정치적, 사회적 압력은 결국 두 방송을 해체수준으로 개혁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KBS와 MBC는 결과적으로 李明博 정부를 구했다. 두 방송은 좌익과의 대결을 피하려고 했던 李 대통령에게 좌익의 본질을 가르쳐주었다. 자연스럽게 李 대통령은 두 방송 개혁을 승부처로 삼게 되었다. 이 싸움은 이명박 정부가 이길 수밖에 없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 결전에서 이긴다면, 그리하여 두 방송이 정상화된다면 한국의 친북좌익세력은 그 힘이 50% 정도 약해질 것이다.
 
 KBS와 MBC, 그리고 좌파는 개혁저항세력이다. 개혁저항세력의 선전사령탑이 무너진다면 李 대통령의 개혁 드라이브도 재점화될 수 있을 것이다. 대처 영국 수상이 1984-1985년 탄광노조와 대결하여 이김으로써 노조의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약화되어, 그 뒤의 개혁(공기업 민영화 등)이 가능했던 것과 같은 이치이다.
 
 한때 거짓에 항복하는 모습까지 보였던 李明博 정부는 반격의 好機를 잡았다. 이 반격의 성공여부는 주도세력의 사실무장, 이념무장의 여부에 달려 있다. 사실과 신념에 기초하여, 公益을 위하여, 당당하게 공권력을 행사하면 개혁저항세력을 쉽게 무너뜨릴 수 있을 것이다. 진실, 正義, 자유는 한덩어리이다.
 
 
 ************************************************************
 
 
 
 
 
 
 
 李 대통령, `정연주 사장' 해임제청안 서명
 
 조선닷컴
 
 
 이명박 대통령이 11일 정연주 KBS 사장 해임제청안에 서명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李 대통령께서 오늘 오전에 KBS 해임제청안을 받아들여서 정 사장에 대한 해임안에 서명했다"고 말했다.
 
 
 
 李 대변인은 이어 "KBS 이사회가 적격 인물을 추천하면 대통령이 지명하는 순서가 될 것"이라며 "사태가 길어지는 것도 좋지 않은만큼 이달 중으로 후임을 결정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이번일을 계기로 KBS가 심기일전해 방만한 경영상태를 해소하고 공영성을 회복, 국민의 방송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입력 : 2008.08.11 09:35 / 수정 : 2008.08.11 09:45
 
 ********************************************************************-
 
 
 미디어포커스는 정(鄭)사장 사유물인가
 
 
 
 20여분 동안 일방적 변명·주장만 방송
 
 KBS이사회의 '해임 사유'는 언급 안해
 
 
 염강수 기자 ksyoum@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근 5년 동안 조선·동아·중앙일보 등 메이저 신문 흠집내기에 골몰하던 KBS 매체 비평 프로그램 '미디어포커스'가 이번엔 노골적인 '정연주 사장 지키기'에 나섰다. 미디어포커스가 국민의 재산인 전파를 한 개인을 위한 일방적인 홍보 수단으로 악용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미디어포커스는 정 사장이 취임한 2003년에 '개혁 프로그램'이라는 명분으로 만든 프로그램이다.
 
 지난 9일 밤 방영된 미디어포커스는 전체 방송시간의 절반 이상인 20여분 동안 KBS 이사회가 지난 8일 정 사장 해임을 제청한 사유는 제대로 언급하지 않은 채 '해임제청은 부당하다'는 정 사장의 입장 위주로 보도했다.
 
 미디어포커스는 이날 방송 초반부에 이사회의 해임제청안 의결 직후 정 사장이 내놓은 성명 내용을 성우의 목소리로 방송했고, 감사원 특별감사 결과에 대해 정 사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자기 주장을 펴며 반박하는 장면을 세 번에 걸쳐 상세하게 소개했다.
 
 그러나 방송법에 'KBS 경영에 관한 최고의결기관'으로 명시돼 있는 KBS 이사회가 정 사장에 대한 해임제청 의결 사유로 꼽은 ▲탄핵방송·송두율 특집 다큐멘터리 등 편파방송 ▲개인 이익을 위한 권한 남용 ▲기강해이에 따른 방송 사고 등은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한 KBS 간부는 "줄곧 조·중·동을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기사만 쓰다 정 사장이 물러날 처지에 몰리자 9일에는 정 사장만 옹호하는 내용만 보도했다"면서 "미디어포커스는 정 사장의 입장이 곧 뉴스 판단의 기준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KBS 이사회는 8일 해임제청안을 의결하면서 "2개월 가까이 국가 1급 보안시설인 KBS 시설 일부가 촛불 시위대에 점거되고 이들에게 일부 사원이 편의를 제공한 것은 KBS 사규 위반이며, 이는 국가 1급 보안시설 보호의무 방기 사례"라고 지적했지만 이 역시 미디어포커스에서는 일절 언급되지 않았다. 이날 미디어포커스는 이사회장 주변 경찰 투입과 관련, "경찰력 투입은 계엄령과 같은 비상사태가 벌어졌을 때나 경영진이 직접 요청한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비난했다. 미디어포커스의 이런 주장은 국가 1급 보안시설인 KBS에 공권력이 들어오면 안 되고, 불법 시위대는 들어와도 된다고 강변한 셈이다.
 
 안동근 한양대 신방과 교수는 "공영방송의 미디어비평 프로그램은 자신에게 가장 엄격해야 한다"며 "이사회의 '해임사유'는 배척하고 정 사장의 변명과 주장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는 것은 균형감각을 잃은 보도 행태"라고 말했다.
 
 
[ 2008-08-11, 11:09 ] 조회수 : 1467


30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