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월6일 삼왕.동방박사(가스파르,멜키오르,발타사르)♬동방의 별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6-01-05 ㅣ No.1919

 

The Adoration of the Magi-CORREGGIO

1516-18년. Oil on canvas, 84 x 108cm. Pinacoteca di Brera, Milan

 

축일:1월 6일

삼왕.동방박사 축일

발타살 St.Balthassar

멜키올 St.Melchior

가스팔 St.Caspar

 

 

삼왕 三王  Magi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된 최초의 이방인(마태 2:1-12 참조).

이상한 별에 인도되어 동방에서 베들레헴으로 예수 아기께 드릴 황금과 유향·몰약을 가지고 왔다.

이들은 신약에서 현인(賢人)으로 언급된다.

테르툴리아노(Tertullianus)는 이들이 그리스도교 전통에 나타난 최초의 왕일 것이라 했고

6세기부터 이 사실은 시편 72 (71):10을 근거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오리제네스(Origenes)는 처음으로 세 가지 선물로 미루어 세 사람이라 했으며 이것이 일반적인 전통이 되었다.

6세기에 삼왕의 이름은 가스파르(Gaspar), 멜키오르(Melchior), 발타사르(Balthasar)로 언급되었다.

 

중세에는 성인(聖人)으로 공경되었고 밀라노인들이 유해를 모시기를 요청하여

콘스탄티노플에서 유해가 옮겨 왔다.

1162년 프레드릭 바르바로사(Frederick Barbarossa)가 독일로 옮겨왔고

현재 퀼른(K ln) 대성당에 안치되어 있다.

삼왕에 대한 공경은 일찍부터 미술 작품 제작에 인기 있는 소개가 되어 왔는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은 2세기 프리실리아(Priscillia)바실리카의 속에 있다.

(가톨릭대사전에서)

 

 

The Adoration of the Magi-Rembrandt

캔버스위의 종이 유화. 레닌그라드. 에르미틴쥬미술관

 

예수 아기를 예배하기 위하여 동방에서 온 현인 3사람에 관한 기록이 마태 2:1~2에 언급되어 있다.

그들은 헤로데로부터 아기 나실 곳이 어디냐는 질문을 받고,

유다 베들레헴이라고 대답하고,

별을 따라 가서 아기를 찾아 "경배하고",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드렸다."

꿈에 헤로데에게로 돌아 가지 말라는 지시를 받고 다른 길로 자기 나라로 돌아갔다.

 

고대의 전승에 의하면, 이들은 현인(Magi)들로서,

발타살, 가스팔 그리고 멜키올이라 한다.

현대 학자들은 그들이 바빌로니아나 아라비아에서 온 점성가들로 믿고 있다.

 

동방 박사들이 바친 예물들은 바로 태어나신 아기 예수가

장차 어떤 분이 되실 것인지를 상징적으로 함축하고 있습니다.

성전(聖傳)은 우리에게 세 동방박사의 이름을 전해주고 그들의 모습을 들려줍니다.

 

 

황금을 가져온 박사의 이름은 멜키오르입니다.

그는 백발이 성성하고 긴 구레나룻을 지닌 멋쟁이 할아버지랍니다.

유향을 가져온 가스파르 박사는 수려한 용모의 청년이고,

마지막으로 몰약을 가지고 온 발타사르 박사는

늠름한 풍채를 지니고 둥근 터번을 머리에 두른 중년의 남자랍니다.

 

먼저 멜키오르가 가져온 황금이 상징하는 것은

아기 예수께서 이 세상의 왕으로서 오신다는 것입니다.

아기 예수는 세상을 다스리는 참된 임금으로서 오셨음을 상징합니다.

당시 황금은 가장 귀한 보물로 왕에게 드리는 예물이었습니다. 예수께서는 분명 왕으로 오셨습니다.

그러나, 권력으로서 세상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다스리는 임금이신 것입니다.

 

가스파르가 가져온 유향은 사제를 위한 예물입니다.

성전에서 제물을 바칠 때 사제는 유향을 사용했었지요.

예수께서는 당신 자신을 희생 제물로 바치시는 대사제로서 세상에 오신 것입니다.

사제의 역할은 무엇보다 인간을 하느님과 만나게 해 주는 것입니다.

사제라는 말의 라틴어 pontifex는 원래 다리를 놓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하느님과 인간 사이에 다리를 놓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 바로 사제입니다. 그것이 장차 예수께서 하실 일입니다.

아니, 하느님이 인간이 되신 수야말?하느님과 인간을 하나로 잇는 다리 그 자체이십니다.

예수를 통해서 우리는 하느님께로 나아갑니다.

 

발타사르가 가져온 몰약은 죽음을 앞둔 사람들을 위한 예물입니다.

몰약은 시신을 부패하지 않게 하는 물건이지요. 예수께서는 역설적으로 죽으시기 위해 태어나셨습니다.

바로 당신 자신의 생명을 바치심으로서 세상을 구원하시는 구원자로서 오신 것입니다.

 

아직 구유에 누워 계시는 아기 예수께 바쳐진 이 예물들은 장차 이분이 어떤 분이 될지를 예표합니다.

그분은 바로 우리의 임금이시며 대사제이시고 구세주이십니다.

오늘 주님 공현대축일을 지내며 우리도 임금이시며 대사제이시고 구세주이신 아기 예수께

우리의 마음을 드리며 가만히 무릎을 꿇고 경배 드립시다.

 

 

동방교회에서는 전통적으로 삼왕의 방문을 별도로 기념하지 않고 성탄과 동시에 기념한다.

 

즉 서방교회처럼 따로 공현 축일이 없고 1월6일에 성탄과 함께 지내고 있다.

그러나 일부 동방교회에서는 서방교회처럼 12월25일에 주 예수 그리스도의 성탄절을 지내고있으며

1월6일에는 신현(공현)축일이라 해서 주님의 세례를 기념한다.

 

*주님 공현 대축일:게시판837번,838번,1552번

*주님 세례 축일:게시판868번,1563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동방박사.타미에 수도원의 아기예수

 

 

 

♬가톨릭성가 100번 동방의 별

 

 

 

 

 

 

 

 

 

 

 

 

Epifania del Signore

6 gennaio - Solennità
 

Questa festa è la prima occasione in cui Dio si rivela all’umanità tramite il Figlio Gesù diviene visibile a tutti: Tale rivelazione fu prima rivolta ai pagani per mezzo dei Re Magi, i quali andarono a visitare il Bambino Gesù simbolo della chiamata alla salvezza delle popolazioni pagane. Successivamente le meraviglie del Signore si sono manifestate ai Giudei, poi ai discepoli a partire dal miracolo delle nozze di Cana.


 
D'origine orientale di questa solennità è nel suo stesso nome: "epifania", cioè rivelazione, manifestazione; i latini usavano la denominazione "festivitas declarationis" o "apparitio", col prevalente significato di rivelazione della divinità di Cristo al mondo pagano attraverso l'adorazione dei magi, ai Giudei col battesimo nelle acque del Giordano e ai discepoli col miracolo alle nozze di Cana. L'episodio dei magi, al di là di ogni possibile ricostruzione storica, possiamo considerarlo, come hanno fatto i Padri della Chiesa, il simbolo e la manifestazione della chiamata alla salvezza dei popoli pagani: i magi furono l'esplicita dichiarazione che il vangelo era da predicare a tutte le genti.
Per la Chiesa orientale ha grande rilievo il battesimo di Cristo, la "festa delle luci", come dice S. Gregorio Nazianzeno, anche come contrapposizione ad una festa pagana del "sol invictus". In realtà, sia in Oriente come in Occidente l'Epifania ha assunto il carattere di una solennità ideologica, trascendente singoli episodi storici: si celebra la manifestazione di Dio agli uomini nel suo Figlio, cioè la prima fase della redenzione. Cristo si manifesta ai pagani, ai Giudei, agli apostoli: tre momenti successivi della relazione tra Dio e l'uomo.
Al pagano è attraverso il mondo visibile che Dio parla: lo splendore del sole, l'armonia degli astri, la luce delle stelle nel firmamento sconfinato (nel cielo i magi hanno scoperto il segno divino) sono portatori di una certa presenza di Dio.
Partendo dalla natura, i pagani possono "compiere le opere della legge", poiché, come diceva S. Paolo agli abitanti di Listri, il "Dio vivente che ha fatto il cielo, la terra, il mare e tutte le cose che in essi si trovano... nelle generazioni passate ha lasciato che ogni popolo seguisse la sua strada; ma non ha cessato di dar prova di sé beneficando, concedendovi dal cielo piogge e stagioni ricche di frutti, fornendovi di cibo e riempiendo di letizia i vostri cuori" (At 14,15-17). Ora "in questi giorni, (Dio) ha parlato a noi per mezzo del Figlio, che ha costituito erede di tutte le cose e per mezzo del quale ha fatto anche il mondo " (Eb 1,2). I molti mediatori della manifestazione della divinità trovano il loro termine nella persona di Gesù di Nazaret, nel quale risplende la gloria di Dio. Perciò noi possiamo oggi esprimere "l'umile, trepidante, ma piena e gaudiosa professione della nostra fede, della nostra speranza, del nostro amore" (Paolo VI).


Autore: Piero Bargellini

 



212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