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다해연중25주일복음> 루카 16,1-13에 대한 알렉산드리아의 성 클레멘트의 주석 [성경공부_불의]

인쇄

. [117.17.151.*]

2010-09-13 ㅣ No.959

 

<< 정당한 재물이라고 하더라도 언제부터 불의하게 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에 대하여 >>

 

+ 찬미 예수님


다음은, 다해 연중 제25주일 복음 말씀인 루카 복음서 16,1-13('약은 집사의 비유')에 대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Clement of Alexandria, 기원후 150년경-215년경)의 주석을 인용하고 있는, 교황 베네딕토 16세에 의한 2005년 11월 2일자 일반 알현 교리 교육 강론 말씀(제목: 시편 112)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vatican/hf_ben-xvi_aud_20051102_en.htm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8월 24일]
여기를 클릭하면

시간경(성무일도) 중에서 아침기도와 저녁기도의 시편들 및 찬가들 모두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 및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주석(영문)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4. In addition to the portrait of the faithful and charitable man, generous, merciful and just", Psalm 112[111] presents finally, in only one verse (cf. v. 10), the profile of the wicked man. This individual sees the success of the righteous person and is tortured with anger and jealousy. It is the torment of one who has an evil conscience, different from the generous man who has a "firm" and "steadfast heart" (vv. 7-8). 


4.
"너그럽고 자비로우며 의로운", 충실하고 관대한 사람의 묘사에 추가하여, 시편 112[111]은 최종적으로, 오직 한 절에서(제10절을 참조하라), 악한 자의 윤곽(profile)을 제시합니다. 이 개인은 의로운 자의 성공을 보며 그리고 분노질투로 몹시 괴롭힘을 받게 됩니다. 이것은,"확고하고(firm)" 그리고 " 꿋꿋한  심장(steadfast heart)"을 가진 관대한 자와는 다른, 악한 양심(evil conscience)을 가진 자의 고통(torment)입니다(제 7-8절).


We fix our gaze on the serene face of the faithful person who "open-handed, gives to the poor", and we listen to the words of Clement of Alexandria, the third-century Father of the Church who commented on an affirmation of the Lord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e parable of the unjust steward, the expression appears according to which we must do good with "unjust money". From there arises the question: are money and wealth unjust in themselves, or what does the Lord wish to say?


우리는 "관대한, 가난한 이들에게 베푸는", 충실한 자의 고요한 얼굴을  응시하며, 그리고 우리는, 이해하기 어려운 주님의 확언에 대하여 주석을 하였던 3세기의 교부인, 알렉산드리아의 성 클레멘트(St. Clement of Alexandria, 150-215년)의 표현들에 귀를 기울입니다. 
'약은 집사에 대한 비유'(*)에서, 이 표현이 나타나는데 이 표현에 따라 우리는 "불의한 돈(unjust money)"으로 선을 행하여야 합니다. 거기로부터 다음과 같은 질문이 일어납니다: 돈(money)과 부(富, wealth)는 그 자체로 불의한 것인가, 혹은 주님께서는 무엇을 우리에게 말씀하시기를 원하시는가?

-----
(*) 번역자 주: 이 글을 읽을 것을 또한 권고하고 있는 이 글의 본글, 즉, "약은 집사의 비유" 로 불리는 루카 복음서 16,1-13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64.htm <----- 필독 권유
-----

 

Clement of Alexandria explains this parable very well in his homily "What rich man can be saved?", and he states: Jesus "declares unjust by nature any possession one has for oneself as one's own good and does not make it available for those who need it; rather, he declares that from this injustice it is possible to accomplish a just and praiseworthy work, giving relief to one of those little ones who have an eternal dwelling-place near the Father (cf. Mt 10: 42; 18: 10)" (31, 6; Collana di Testi Patristici, CXLVIII, Rome, 1999, pp. 56-57).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는 자신의 강론 "What rich man can be saved?"에서 이 비유를 매우 잘 설명하는데, 그는 다음과 같이 서술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본질적으로 어떤 자가 자신 고유의 선/좋은 것으로서(as one's own good) 자신을 위하여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러나 그것을 필요로 하는 자들에게 접근 가능하도록(available) 하지 않는 모든 소유(possession)를 불의하다(unjust)고 선언하시며, 대신에 당신께서는, 성부 가까이에 영원한 거처를 가지고 있는 바로 이 작은 이들 중의 한 사람에게 구제(relief)를 제공함으로써, 바로 이 불의로부터  정의롭고 칭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을 성취할 가능성이 있음을 선언하십니다 (마태오 복음서 10,42; 18,10을 참조하라)"
[31, 6; Collana di Testi Patristici,  CXLVIII, Rome, 1999, pp. 56-57]. [Collection of Patristic Texts](*)


-----
(*) 번역자 주: 다음의 영어 번역본에서 XXXI을 또한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t/Clement_of_Alexandria-richman.htm
-----

Addressing the reader, Clement warns: "See in the first place that he has 
not ordered you to ask, nor wait to be asked, but you yourself search out 
those who are worth being listened to, insofar as they are disciples of the Saviour" (31, 7: ibid., p. 57). 


독자들에게 설교하면서, 클레멘트는 다음과 같이 주의를 줍니다:
"당신께서는 
그대에게 요청하라고 명령하지 않으셨으며, 또한 요청을 받고자 기다라고 명령하셨던 것도 아니고, 대신에, 그들이 구세주(Saviour)의 제자들인 한, 듣게 되는 것이 가치가 있는 자들을 그대 몸소 찾아 나설 것을 명령하셨음을 우선적으로 알도록 하십시오(see)"
[31, 7: ibid., p. 57].

Then, citing another biblical text, he comments: "Beautiful, therefore, is the saying of the Apostle: "God loves a cheerful giver' (II Cor 9: 7), who enjoys giving and does not sparingly sow, so as to reap in the same way; instead, he shares without ramifications and distinctions and sorrow: this is authentic of doing good" (31, 8: ibid.). 


그러고 나서, 성경의 다른 본문을 인용하면서, 그는 다음과 같이 주석합니다: 
"따라서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주는 이를 사랑하십니다'(2코린토 9,7) 라는 이 사도의 말은 아름다운데, 기쁘게 주는 이는 주는 것을 즐기나 그러나, 같은 방식으로 수확하기 위하여, 인색하게(sparingly) 씨를 뿌리지 않으며, 그 대신에(instead), 그는, 파생 결과(ramifications)들과 차별(distinctions)들 그리고 후회(sorrow)의 영역을 넘어서(without), 함께 합니다(shares): 이것이 바로 선을 행함에 있어 진정한 것입니다" [31, 8: ibid.].


----------

번역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2시간



1,144 5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