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번역 용어들인 하느님의 아들들 과 하느님의 자녀들 의 성경 문맥상 차이점 외 [개념오류_하느님의아드님][성경용어_하느님의아드님][하느님의아들들] adopted 843_

인쇄

[122.128.45.*]

2011-01-15 ㅣ No.1000

 
 
질문:
 
하느님의 외아들이신 예수님이 오시기 훨씬 전에 즉 창세기에 하느님의 아들들에 관한 내용은 무엇입니까?
 
그들은 누구고 그들이 한 일은 무엇인지요.
 
--------------------
 
 
 
답변:
 
+ 찬미 예수님!
 
 
"하느님의 아들(sons of God)들"이라는 표현은, 구약 성경의 창세기뿐만이 아니라, 구약 성경의 여러 경전들에서 언급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표현인 "하느님의 자녀들(children of God)"라는 표현이 신약 성경의 본문 중에서만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두 용어들의 차이점에 대하여서도 이 글에서 비교/검토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 및 교황청 공인 영어 성경인 NAB(New American Bible)의 본문에 등장하는 이 표현에 대한 NAB 주석들입니다.
 
이 표현에 대한 NAB의 주석들을 한꺼번에 읽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아 이 글을 마련하였습니다:
 
창세기 6,2에 대한 주석:
 The sons of heaven: literally "the sons of the gods" or "the sons of God," i.e., the celestial beings of mythology.
 
(졸번역)
하늘의 아들들: 글자 그대로 "신들의 아들들" 혹은 "하느님의 아들들," 즉, 신화에 있어서의 천상의 존재들.
-----
 
욥기 1,6에 대한 주석:
Sons of God: angels. Satan: literally, "adversary."
 
(졸번역)
하느님의 아들들: 천사들. 사탄: 글자 그대로 "반대자."
-----
 
욥기 38,7에 대한 주석:
Sons of God: angels; cf Job 1:6.

(졸번역) 
하느님의 아들들: 천사들. 욥기 1,6을 참조하라.
-----
 
신명기 32,8에 대한 주석:
The sons of God: the angels; cf Job 1:6; 2:1; 38:7; Psalm 89:6-7. Here the various nations are portrayed as having their respective guardian angels. Cf Daniel 10:20-21; 12:1.
 
(졸번역)
하느님의 아들들: 천사들; 욥기 1,6; 2,1; 38,7; 시편 89,6-7을 참조하라. 여기서 다양한 민족들은 자신들 각자의 수호 천사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다니엘서 10,20-21; 12,1을 참조하라.
-----
 
시편 29,1에 대한 주석:
You heavenly beings: literally "sons of God," i.e., members of the heavenly court who served Israel's God in a variety of capacities.
 
(졸번역)
그대 천상의 존재들(번역자 주: 새 번역 성경에서는 "하느님의 아들들"로 번역하고 있음): 글자 그대로 "하느님의 아들들," 즉, 다양한 능력들로 이스라엘의 하느님을 도우는 천상 어전의 구성원들.
 
----------
 
 
(중간 결론 1) 이상 살펴 본 바로부터, 우리는 다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구약 성경 시대의 유다인들은
 
(i) 자신들은 하느님의 지배를 직접 받고 있고, 
(ii) 자신들 주변의 이방인들로 구성된 민족들은 "하느님의 아들"들, 즉 수호 천사들(sons of God)의 지배를 통하여, 또한 하느님의 지배를 간접적으로 받고 있다는 생각을 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한 편으로, 영적인 존재들인 천사들도 당연히 하느님의 피조물들 중의 한 종류이므로, 구약 시대의 유다인들은 "이방인들이 우상 숭배를 하고 있다"고 전통적으로 생각하였을 것임을 또한 알 수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월 20일]

여기를 클릭하면, <----- 또한 필독 권고

창세기 6,1-2에서 언급되고 있는 "하느님의 아들들""사람의 딸들"이 각각, 아담(Adam)의 세 번째 아들인, 셋(Seth)의 자손들 그리고, 아담의 첫 번째 아들이며 아담의 두 번째 아들인 아벨(Abel)을 살해하였던 그리하여 하느님의 저주를 받았던, 카인(Cain)의 딸들을 말하고 있다는 주석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
 
 
2.
 
질문: 그런데, 구약 성경 시대의 유다인들에 의하여, 예를 들어, 이방인들의 수호천사들로 생각되었던, 이 구약 성경의 용어인 "하느님의 아들들(sons of God)"이라는 표현이 신약 성경의 본문 중에서도 사용되고 있을까요?
 
답변: 전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다음의 검색 결과들을 클릭해 보시면, "하느님의 아들들(sons of God)" 이라는 표현은 NAB의 신약 성경 본문 및 새 번역 성경의 본문 중에서, 대신에, "하느님의 자녀들(children of God)" 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1. NAB의 구약 성경 및 신약 성경 본문 중에 "the sons of God" 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구절들은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이 표현이 NAB 신약 성경의 본문 중에는 사용되지 않고, 오로지 구약 성경의 일부 본문 중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2. 새 번역 성경의 구약 성경 본문 중에서 "하느님의 아들들" 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구절들은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이 표현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구절은 새 번역 성경의 신약 성경 본문 중에 전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2-3. 새 번역 성경의 신약 성경 본문 중에서 "하느님의 아들들" 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구절들은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이 표현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구절은 새 번역 성경의 본문 중에 전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검색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강생하신 성자이신, 하느님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또한 나타내는 "하느님의 아드님(the Son of God, 성자)"이라는 표현은 당연히 신약 성경의 본문 중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내용 추가일자: 2011년 1월 25일] 
 
 
여기를 클릭하시면, 구약 성경의 본문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하느님의 아들들(the sons of God)"과 신약 성경 본문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하느님의 아드님(the Son of God)"의 차이점에 대하여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441-445항들에 주어져 있는 설명들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
번역 오류 한 개(내용 추가일자: 2011년 2월 7일):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441항
에서,
 
"반드시 예수님이 인간보다 우월한 존재시라는 것을 뜻하는 것만은 아니다"
 
라는 표현을, 
 
"반드시 가 인간보다 더 나은 것을 뜻하지 않는다"
 
로 교체하여 읽어 주실 것을 꼭 부탁드립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441항 및 제442항의 문맥을 잘 살펴보면 즉시 파악할 수 있는데,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놓쳐 버린, 명백한 번역 오류이기 때문입니다.
 
대명사 "he"에 해당하는 표현을 글자 그대로 "그"로 번역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그" 라는 대명사가 누구를 지칭하는지를 스스로 파악하도록 하였더라면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것인데,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왜 이 대명사 "he"에 해당하는 표현을, 번역자가 굳이 "예수님"이라고 자의적으로, 그것도 "잘못" 해석을 하여서는, 우리말로의 번역시에 글자 그대로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을 하여 "그" 라는 대명사로 번역을 하는 대신에, "예수님"이라는 단어로, 잘못된,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을 하였는지에 대하여, 도저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이 지적에 대한 더 자세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상, 번역 오류에 대한 지적 끝).
 
-----
 
그러나 이보다 훨씬 더 본질적인 문제는, 이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441-445항들에 주어진 설명만으로는, "하느님의 아드님(the Son of God)"의 정체성(identity)을 약 2000년전 당시의 지중해 문화적 환경 속에서 살았던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분명하게 철학적으로 인식하였는지를 알 수가 없다는 것인데, 이것은 다음의 참고에 있는 성자(the Son of God, 하느님의 아드님)정의(definition)에 주어져 있으니, 또한 필독을 하실 것을 권유합니다.
 
참고: 지혜서 2,18 등의 한 두 군데를 제외하고는 구약 성경의 본문 중에서 언급이 되지 않으나 ,그러나 신약 성경의 본문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하느님의 아드님(the son of God)", 즉 "성자"의 정의(definition)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졸글을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43.htm <----- 필독을 권유합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
 
 
2-4. NAB의 구약 성경 및 신약 성경 본문 중에 "children of God(하느님의 자녀들)" 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구절들은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그리고 NAB의 구약 성경 및 신약 성경 본문 중에 "children of the LORD(주님의 자녀들)"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구절은 신명기 14,1 뿐임은 여기를 클릭하면 직접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NAB의 구약 성경 및 신약 성경 본문 중에 "God's children(하느님의 자녀들)"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구절들은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모두 신약 성경의 구절들에서 있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 "childred of God(하느님의 자녀들)"이라는 번역 용어를 NAB 신약 성경 중에서 사용하고 있는 데에 대하여서는 NAB 신약 성경의 입문에서 발췌한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he translation of the Greek word adelphos, particularly in the plural form adelphoi, poses an especially delicate problem. While the term literally means brothers or other male blood relatives, even in profane Greek the plural can designate two persons, one of either sex, who were born of the same parents. It was adopted by the early Christians to designate, in a figurative sense, the members of the Christian community, who were conscious of a new familial relationship to one another by reason of their adoption as children of God. They are consequently addressed as adelphoi. This has traditionally been rendered into English by brothers or, more archaically, brethren. There has never been any doubt that this designation includes all the members of the Christian community, both male and female. Given the absence in English of a corresponding term that explicitly includes both sexes, this translation retains the usage of brothers, with the inclusive meaning that has been traditionally attached to it in this biblical context. Since the New Testament is the product of a particular time and culture, the views expressed in it and the language in which they are expressed reflect a particular cultural conditioning, which sometimes makes them quite different from contemporary ideas and concerns. Discriminatory language should be eliminated insofar as possible whenever it is unfaithful to the meaning of the New Testament, but the text should not be altered in order to adjust it to contemporary concerns. This translation does not introduce any changes, expansions, additions to, or subtractions from the text of scripture. It further retains the traditional biblical ways of speaking about God and about Christ, including the use of masculine nouns and pronouns.

(졸번역)
그리스어 단어인, 특히 그 복수형인 adelphoi에 있는, adelphos의 번역은 특별히 미묘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이 용어는 글자 그대로 형제(brothers) 혹은 남성의 다른 혈연들을 뜻하는 반면에, 심지어 세속의 그리스어에 있어 이 복수는, 동일한 부모들로부터 태어났던, 양성 중의 하나인, 두 사람들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단어는 초기 그리스도인들에 의하여, 비유적인 의미로, 하느님의 자녀(the children of God)로서 자신들의 입양(adoption)이라는 이유에 의한 서로에 대한 새로운 가족적 관계를 의식하고 있었던,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구성원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채택되었습니다. 그 결과로 그들은 adelphoi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 단어는 전통적으로 형제(brothers)들 혹은, 더 옛 말투로(archaically), 형제(brethren)들로 영어로 번역이 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호칭이, 남성과 여성 둘 다인,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구성원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의아하게 여겼던 적은 전혀 없습니다. 영어에 있어, 둘 다의 성들을 명백하게 포함하는, 대응하는 용어의 결여를 감안할 때에, 이러한 번역은, 성경의 문맥 안에서 이 단어에 전통적으로 결부되어 왔던 포괄적 의미와 함께, 형제(brothers)들의 사용을 유지합니다. 신약 성경은 특별한 시기와 문화의 산물이기에, 이 단어로 표현되었던 관점들과 그 안에서 그들이 표현되었던 언어는, 때로는 그들이 동시대의 개념들 및 관심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별한 문화적 조건 형성(conditioning)을 반영합니다. 차별적 언어는, 그것이 신약 성경의 의미에 충실하지 않을 때에는 언제든지 가능한 정도에까지, 제거되어야만 하나, 그러나 본문을 동시대의 관심들에 적응하기 위하여 본문은 결코 교체되지 말아야 합니다. 이러한 번역은 성경의 본문으로부터 어떠한 변화들, 확대들, 추가들, 혹은 제거들을 도입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번역은 더구나, 남성 명사들과 대명사들의 사용을 포함하여, 하느님에 관하여 그리고 그리스도에 관하여 말하는 전통적인 성경의 방식들을 유지합니다.   
 
(중간 결론 2) 
위의 제2-4항으로부터, 우리는 이 표현, 즉 "childred of God(하느님의 자녀들)" 이라는 표현이 NAB 신약 성경의 본문 중에서는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구약 성경의 본문 중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이유가, 그리스도교의 세례에 의하여 "입양된(adopted) 하느님의 자녀들" 이라는 의미를 뜻하는 표현이기 때문임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구별은 다음의 새 번역 성경의 본문들에서도 그런대로 잘 반영되고 있음을 다음의 이어지는 검색 결과들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5. 새 번역 성경의 구약 성경 본문 중에서 "하느님의 자녀들" 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구절들은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단, 다음의 절들에서, NAB에서와는 달리, "하느님의 자녀들"이라는 표현을 사용 중임을 알 수 있습니: 신명기 14,1; 지혜서 12,7; 18,13; 호세아서 2,1.
 
다음은 이들 구절들에 대한 비교/검토입니다:
 
(NAB 신명기 14,1)
"You are children of the LORD, your God. You shall not gash yourselves nor shave the hair above your foreheads for the dead.
 
(새 번역 성경 신명기 14,1)
 “너희는 주 너희 하느님의 자녀들이다. 너희는 죽은 이를 위하여 제 몸에 상처를 내거나 앞머리를 밀어서는 안 된다.
-----
 
(NAB 지혜서 12,7)
that the land that is dearest of all to you might receive a worthy colony of God's children.
 
(새 번역 성경 지혜서 12,7)
모든 땅 가운데에서 당신께 가장 값진 이 땅이 하느님의 자녀들인 훌륭한 이주민을 받게 하셨습니다.
-----
 
(NAB 지혜서 18,13)
For though they disbelieved at every turn on account of sorceries, at the destruction of the first-born they acknowledged that the people was God's son.(*)
 
-----
(*) People(백성): the Hebrews(히브리인들).
-----
 
(새 번역 성경 지혜서 18,13)
저들은 요술에 마음을 빼앗겨 아무것도 믿지 않았지만 자기들의 맏아들들이 죽은 것을 보고 그 백성이 하느님의 자녀들임을 인정하였습니다.  
 
----- 
 
(NAB 호세아서 2,1-3) 없음
 
-----
참고: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호세아 1,7의 NAB 주석에 주여져 있으니 참고하라:
 
The terrible punishments announced by the prophets were so fully realized that later generations made a point of recalling the same prophets' messages of consolation also, even though it meant taking these from another context. Thus, an editor placed the words of (2:1-3) Hosea 3:5 after the repudiation of Israel in Hosea 1:9; here the more natural order has been restored. The present verse is another example of the same thing. In addition, it may be the work of a later hand, dating from a time when the prophecies of Hosea were circulated in the south,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northern kingdom that he had prophesied. The second part of the verse emphasizes the power of the Lord, who needs no human agents to fulfill his will. It may refer to the deliverance of Jerusalem from the siege of Sennacherib (2 Kings 19:35-37).
 
-----
 
(새 번역 성경 호세아서 2,1)
이스라엘 자손들의 수가 바다의 모래처럼 불어나 헤아릴 수도 셀 수도 없으리라. 그들에게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다.” 하던 그곳에서 “너희는 살아 계신 하느님의 자녀들이다.” 하리라.

-----
 
 
2-6. 새 번역 성경의 신약 성경 본문 중에서 "하느님의 자녀들" 혹은 "하느님의 자녀"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구절들은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
 
 
3.
그러나 이와는 달리, NAB 초판이 1970년에 출판되기 이전에, 개신교측과 함께 King James Version을 개정하였던, 공동 번역 성경인 RSV(Revised Standard Version)에서는 위의 제2항에서 말씀드린 구분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습니다.
 
3-1. RSV의 구약 성경 및 신약 성경 본문 중에 "sons of God(하느님의 자녀들)" 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구절들은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3-2. 그리고 RSV의 구약 성경 및 신약 성경 본문 중에 "children of God(하느님의 자녀들)" 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구절들은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
 
 
4.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즉 제2항, 제3-1항 및 제3-2항에서 말씀드린 이유들 때문에,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어본 가톨릭 교회의 핵심 문헌들(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들 및 가톨릭 교회 교리서 포함)에서,
"children of God" 라는 표현과 "sons of God" 라는 표현이 둘 다가 사용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4-1.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어본 가톨릭 교회의 핵심 문헌들(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들 및 가톨릭 교회 교리서 포함)에서, "children of God" 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문헌들은  여기예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4-2.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어본 가톨릭 교회의 핵심 문헌들(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들 및 가톨릭 교회 교리서 포함)에서, "sons of God" 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문헌들은  여기예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4-3. 그리고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어본 가톨릭 교회의 핵심 문헌들(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들 및 가톨릭 교회 교리서 포함)에서, "children of God" 라는 표현 및 "sons of God" 라는 표현 둘 다가 동시에 사용되고 있는 문헌들은  여기예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중간 결론 3)
따라서, 교회의 핵심 문헌들을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 지금까지 말씀드린 점들을 유념하면서, 용어들을 번역할 때에, 새 번역 성경에 있어서의 사용 용례들을 존중하면서, 용어 번역을 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 때에 또한, 예를 들어,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의 본문 중에서 사용 중인 용어들의 개념들과 절대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번역 용어를 잘 선택하여야 할 것입니다.
 
(중간 결론 4)
리고, 학습시에 "하느님의 아들들(sons of God)" 혹은 "하느님의 자녀들(children of God)"이라는 번역 용어들을 교회의 문헌들의 본문들에서 접할 때에 당연히 위의 제1항에서 말씀드린 "천사들"로 이해하여야 하는지 혹은 위의 제2항에서 말씀드린 그리스도교의 세례에 의하여 "입양된 하느님의 자녀들"로 이해하여야 하는지를 전후의 문맥 안에서 잘 파악하여야 할 것입니다.
 
 
5.
영어본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경우에 있어, 성경 본문은 RSV를 택하고 있고, 성경 본문에 대한 해설들은 영어본 가톨릭 교회의 문헌들을 많이 인용하고 있으므로, (중간 결론 4)에서 말씀드린 것을 또한 유념하여야 할 것입니다.
 
5-1. 예를 들어, 영어본 나바르 성경 주석서에 있어 "sons of God(하느님의 아들들)" 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RSV 성경 본몬들 및 해설들 일부는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5-2. 예를 들어, 영어본 나바르 성경 주석서에 있어 "children of God(하느님의 자녀들)" 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RSV 성경 본문들 및 해설들 일부는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5-3. 예를 들어, 영어본 나바르 성경 주석서에 있어 "sons of God(하느님의 아들들)" 이라는 표현 및 "children of God(하느님의 자녀들)" 라는 표현 둘 다가 등장하는 RSV 성경 본문들 및 해설들 일부는 여기에 있습니다(클릭하십시오).
 
 
참고: [번역 오류]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새 번역 성경의 신명기 32,8에서 "sons of God(하느님의 아들들)" 에 해당하는 표현을 "이스라엘 자손들" 으로 잘못 번역한 것에 대한 저의 졸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7시간
 
 


1,15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