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시님족이란? - 이사야 49,12 [성경공부] [교리용어_사추덕] [방위]

인쇄

[58.232.2.*]

2012-03-23 ㅣ No.1182


질문:

오늘 제1독서 이사야서 49장 ..12 보라, 이들이 먼 곳에서 온다. 보라, 이들이 북녘과 서녘에서 오며 또 시님족의 땅에서 온다. ....에서

인터넷을 뒤져보니 이 성경말씀은 흩어진 유대인들의 고토귀환에 대한 예언(개신교파측) 이다라며 설명이 나오면서 시님족은 중국을 가리키며.......라며 아리송한 내용이 나옵니다.

본문에 대한 우리 가톨릭의 설명은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시님족에 대한 설명도...

----------

답글:

+ 찬미 예수님

     이 글은 Part APart B 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Part A에서는 이사야서 49,12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명인 "시님" 이 지리학적으로 어느 지역에 대한 지명인지를 다루고 있으며, 그리고 Part B 에서는, 이사야서 49,12에 대하여, 가톨릭측의 몇 개의 중요한 성경들의 및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 주석들을 연대순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이사야서 49,12에 대한 가톨릭측의 주석들이 최근에 어떻게 그 내용에 있어 더욱 더 충실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art A

1. [시님족은 중국을 가리키며] <----- 이것은 상당히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1-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오늘, 즉 나해 사순 제4주간 수요일 제1독서(이사야 49,8-15) 및 복음 말씀(요한 6,17-30)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lent_4_wed.htm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나해-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의 인터넷 각주로 제공되고 있는 이 해설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주어져 있습니다:

“Syene” or “Sinim”, that is, natives of Syene, a city in the extreme south of Egypt, symbolizes the south in general.

(졸번역) "시엔(Syene, 시에네)" 혹은 "시님(Sinim)", 즉, 이집트의 최남단에 있는 도시인 시엔(시에네)의 원주민들은, 일반적으로 남쪽을 상징한다.

1-2. 그리고 또한 가해-I,II, 나해-I,II, 다해-I,II 총 6권이 한 질을 이루는 이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시리즈의 인터넷 각주로 주어지고 있는 다음의 지도를 살펴보십시오. 테베[Thebes, 즉 지금의 룩소르(Luxor)] 아래에 Syene 라는 지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map/Ancient_Nubia2.htm

따라서, 위의 한줄답변들에서 인용하고 있는 나바르 성경 주석서는 고대 유다인들의 우주관에 따라, 이사야 49,12에서, 시온(즉,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하여, 동, 북, 서, 남 방향, 즉 동쪽에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사방(즉, 온 세상)을 언급하고 있다고 해설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2. 다른 한편으로, 이사야 49,12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이, 특정 지명의 번역 표현들을 언급하면서도, 이 특정 지역이, 지리학적으로, 지도상의 어느 지역임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이 이상하다 싶어 조금 더 살펴보았더니, 다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1. 다음은 이사야서 49,12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시님시엔 지방으로서 그리스인들은 엘레판틴으로, 아랍인들은 아수완으로 부른 곳이라 추측된다. 여기에 일부 이스라엘 사람들이 정착했었다.
(이상, 발췌 끝).

2-2. 그러나 이사야 49,12 에 대한 "주석 성경"의 이 주석은 프랑스어 공동번역 성경(TOB)의 주석을 그대로 직역 번역한 것이 아닙니다.

이사야서 49,12 에 대한 TOB의 프랑스어 본문 및 주석이 다음의 주소에 있으니, 직접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TOB 이사야서 49,12 본문에서는 "시님" 대신에 "Assouan(아수완)"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http://bibliotheque.editionsducerf.fr/par%20page/120/flash/p0887.swf

Litt. Syène, d'après Qumrân et comme en Ez 29,10; 30,6. (Texte massorétique : Sinim, non identifié.) Une colonie israélite en Haute-Egypte est attestée par Jr 44,1 ; ce sera la patrie des mss d'Eléphantine.

(영어 졸번역)
Litt. Syène, according to Qumran and as in Ez 29,10; 30,6. (Masoretic text: Sinim, not identified.) An Israelite colony in High-Egypt is confirmed by Jr 44,1; it will be the homeland of the manuscripts of Eléphantine.

(우리말 졸번역)
글자 그대로, 꿈란(Qumran)에 따라 그리고 에제키엘서 29,10; 30,6 에서 처럼, 시에네(Syene, 시엔)를 말한다 [마소라 사본: 식별되지 않는, 시님(Sinim)]. 상(上)(남부) 이집트에 있어 이스라엘의 식민지는 예레미야서 44,1 에 의하여 확인되며, 그리고 이 지역은 엘레판틴 [파피루스] 문헌들의 고향일 것이다.

-----
번역자 주: "des mss d'Eléphantine" 는, 다음의 참고 자료들에 근거하여, "the manuscripts of Eléphantine" 라고 영어로 번역하였고, 그리고 "엘레판틴 [파피루스] 문헌들" 로 번역하였다:

참고 자료 1: 소장 중인 Harper Collins Roberts French-English, English-French Dictionary에 의하면, 영어권에서 manuscript 를 약자로 ms 로 나타내기도 함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2: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프랑스어 문화권에서도 복수 단어인 manuscrits 의 약자를 mss 로 나타냄을 용례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참고 자료 3: http://en.wikipedia.org/wiki/Elephantine_papyri 

참고 자료 4: 다음은 예레미야서 44,26 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이다:

(발췌 시작)
12,16 참조. 이집트 땅으로 옮겨 와 살던 유다인들은 이쉬타르 또는 아낫이라고 불리던 "하늘 여왕" 의 숭배와 주님의 경신례를 결합시켰다. 팔레스티나에서 벌어지는 유사한 종교 의식에 대해서는 2,20 각주 참조. 약간 후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상(남부) 이집트 엘레판틴 섬에서 발견된 유다 문헌들로 이스라엘 백성이 두 여신 숭배와 주님의 경신례를 혼합시킨 사실을 증언해 준다.
(이상, 발췌 끝).

참고 자료 5: 예레미야서 44,26에 대한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의 주석은 다음에 있다:
http://bibliotheque.editionsducerf.fr/par%20page/120/flash/p1015.swf

참고 자료 6: 예레미야 44,1에 대한 프랑스어 공공 번역 성경(TOB)의 주석들은 다음에 있다:
http://bibliotheque.editionsducerf.fr/par%20page/120/flash/p1013.swf
-----

참고 사항 한 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의 집필에 참여한, 총 8 (설립자 협의회) + 4 (조언자들) + 10 (편집 위원회) + 112 (공저자들) = 134명의, 성경 학자들의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http://bibliotheque.editionsducerf.fr/par%20page/120/flash/p0009.swf
-----

2-3. 예를 들어, 이사야서 49,12 에 대한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 주석은 에제키엘서 29,10 및 30,6 을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으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주석 성경"의 에제키엘서 29,10 에서는, TOB의 주석과 동일하게,

"시에네"가 이집트 땅 가장 남쪽의 성읍을 가리킨다.

라고, 이사야서 49,12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에서 처럼, "추측된다" 가 아니라"가리킨다" 라고 확증적으로 주석하고 있는데, 이것은 에제키엘서 29,10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은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의 주석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에제키엘서 29,10에 대한 TOB 주석은 다음의 주소에 있으니, 위의 "주석 성경"의 주석과 직접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http://bibliotheque.editionsducerf.fr/par%20page/120/flash/p1091.swf

2-4. 이상 살펴본 바로부터 우리는 다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시님"의 지리학적 지도상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독자들이 비록 "주석 성경"에 주어진 유관 주석들을 성실하게 비교/검토하면서 자세히 읽는다고 하더라도, 예를 들어,

(i) 이사야서 49,12에 대한 TOB의 주석과는 달리, 이사야서 49,12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에는 관련된 성경 구절들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어, 그 결과 독자들이 에제키엘서 29,10을 참고할 수가 없습니다.

(ii) 그리고 "동일한 지명"에 대하여 성경 본문 중에서는 "시에네"로 번역하였고, 주석에서는 "시엔"으로 번역하여, 설사 국내의 독자들이 에제키엘서 29,10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을 읽더라도, 에제키엘서 29,10에서 언급되고 있는 "시에네" 가 이사야서 49,12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에서 언급되고 있는 "시엔" 과 동일한 지역에 대한 명칭인지를 알 수 없습니다.

(iii) 다른 한편으로,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성경" 본문 검색에 의하면, "성경" 본문 중에서 "시엔"이라는 지명은 언급되고 있지 않으며, "시에네"라는 지명은 에제키엘서 29,10 과 30,6 에서 단 두 번 사용 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이것을 직접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사야서 49,12 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은, 관련된 성경 본문들에 대한 "주석 성경"의 다른 주석들과의 상호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지 못하기에, 대다수의 국내의 독자들에게 있어 상당히 미흡하다는 생각입니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 해결책으로서, 다음을 제안합니다:
 
3. (제안)

"주석 성경"의 주석들 중에서, TOB의 주석을 우리말로 직역 번역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할 수 없는 지금의 "주석 성경"의 주석 방식은, 독자들이 이들 경우들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장차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게시자 주: "주석 성경"의 주석에서 "히브리 성경 원문"이라는 표현은, 기원후 9세기경에 갈릴래아 호수의 서편에 위치한 티베리아스에서, 유다교측의 마소라 학파에 의하여, 유다교용으로 편집된, 소위 말하는 "마소라본" 구약 성경을 말합니다. "주석 성경"의 주석들을 읽을 때에 꼭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이, 글자 그대로의 의미로, "히브리 성경의 원본"이라는 주장은 분명한 "어폐"이기 때문입니다.   


Part B

     이 글은 Part APart B 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Part A에서는 이사야서 49,12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명인 "시님" 이 지리학적으로 어느 지역에 대한 지명인지를 다루고 있으며, 그리고 Part B 에서는, 이사야서 49,12에 대하여, 가톨릭측의 몇 개의 중요한 성경들의 및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 주석들을 연대순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이사야서 49,12에 대한 가톨릭측의 주석들이 최근에 어떻게 그 내용에 있어 더욱 더 충실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4. 우선, 가톨릭측 혹은 가톨릭 및 개신교 공동 번역의 영어 성경들,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 그리고 "새 번역 성경"에 있어, 이사야서 49,12 본문을 서로 비교/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들 본문들은 연대순으로 나열되었습니다.

4-0. Vulgata
12 Ecce isti de longe venient, et ecce illi ab aquilone et mari, et isti de terra australi.

4-1. Douay-Rheims Bible - 1589년
12 Behold, these shall come from afar, and behold these from the north and from the sea, and these from the south country(동쪽의 나라).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isa049.htm

게시자 주 4-1-1: 여기서 주목할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i) Douay-Rheims Bible은 당시의 가톨릭 교회의 성경인 라틴어본 Vulgata 성경을 영어로 번역한 것인데, 이 영어본 성경은 1611년에 개신교인 영국의 성공회측에서 소위 말하는 King James Version(KJV) 을 마련할 때에 많이 참고한 가톨릭측의 영어 성경입니다. 그리고

(ii) 위의 출처를 클릭하면, 바로 이 라틴어본 성경 이사야서 49,12를 읽을 수 있는데, 당시의 최고의 권위를 가진 성경 번역자였으며 지금보다도 훨씬 더 많은 현존하였던 자료들을 접할 수 있었던, 성 예로니모(St. Jerome, 340-420년)이 라틴어본 불가타 성경을 마련할 때에 이미 "동쪽의 땅(terra australi)"로 번역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iii) 따라서, 기원후 5세기 이후의 어느 시점에 와서, 여기서 말하는 "동쪽의 땅""중국"을 말한다는 주장이 비 가톨릭 측에서 처음으로 제기되었는지를 또한 고찰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아래의 제6항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4-1-1 끝).

4-2.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 1950년대 영어본 공동 번역 성경 (KJV를 현대 영어 어법에 맞도록 수정한 것임).
[12] Lo, these shall come from afar,
and lo, these from the north and from the west,
and these from the land of Syene."

4-3. NAB (New American Bible) - 1970년 초판 발행
12 See, these shall come from afar:
some from the north and the west,
others from the land of Syene.

4-4.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 - 1975년 초판 발행 (공동 번역 성경)
Les voici : de bien loin ils arrivent,
les uns du nord et de l'ouest,
les autres, de la terre d'Assouan.

출처: http://bibliotheque.editionsducerf.fr/par%20page/120/flash/p0887.swf

4-5. Nova Vulgata - 1979년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
12 Ecce isti de longe venient,
et ecce illi ab aquilone et mari,
et isti de terra Sinim ”.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bible/nova_vulgata/documents/nova-vulgata_vt_isaiae_lt.html#49

게시자 주 4-5-1: 이전의 라틴어 불가타 성경에서 "동쪽의 나라(terra australi)" 로 번역되었던 부분이 "시님의 땅(terra Sinim)" 으로 교체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6. 새 번역 성경
보라, 이들이 먼 곳에서 온다.
보라, 이들이 북녘과 서녘에서 오며
시님족의 땅에서 온다.

5. 그 다음으로, 이사야서 49,12에 대한 가톨릭 측의 주석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들 주석들은 연대순으로 나열되었습니다.

5-1.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년 판
Ver. 12.
South. Hebrew Sinim; (Haydock) China, (St. Jerome) or rather Sin, or Pelusium, and Sinai, in Egypt and Arabia. Septuagint, "Persians." (Calmet)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1269.html

(졸번역)
제12절. 남쪽. 히브리어 시님(Sinim); (Haydock) 중국(China), (St. Jerome) 혹은 대신에, 이집트와 아라비아(Arabia)에 있는, 신(Sin) 혹은 페루시움(Pelusium), 그리고 시나이(Sinai). 칠십인 역(Septuagint), "페르시아 사람들(Persians)."  (Calmet)

게시자 주 5-1-1: 위의 주석에서, 시님(Sinim)이 여러 지역의 지명으로 추측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심지어 "중국"까지 들먹여지고 있는데 이것은 상당히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그런데, 언뜻 보기에, 성 예로니모가 "중국"이라고 말하였다고 주석하고 있는 것 같은데, 그러나 위의 제4-0항제4-1항에서 살펴 본 바에 의하면,이러한 견해는 그리 설득력이 없는 것 같으며, 그리고 이러한 견해에 대하여서는 아직까지 다른 영어 자료들에서 전혀 확인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5-2. NAB (New American Bible) 주석 - 1970년 초판 발행
[12] Syene: now called Aswan, at the first cataract of the Nile in southern Egypt.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isaiah/isaiah49.htm

(졸번역)
[12] 시엔(Syene, 시에네): 지금은, 남부 이집트의 첫 번째 폭포에 위치해 있는, 아스원(Aswan)으로 불린다.

게시자 주 5-2-1: 위의 Haydock 가톨릭 성경 주석서에서 추측하였던 여러 지역들 중에서, NAB 주석은 이집트의 남부에 위치한 아스원(Aswan)을 말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5-3.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 - 1975년 초판 발행
Litt. Syène, d'après Qumrân et comme en Ez 29,10; 30,6. (Texte massorétique : Sinim, non identifié.) Une colonie israélite en Haute-Egypte est attestée par Jr 44,1 ; ce sera la patrie des mss d'Eléphantine.

출처: http://bibliotheque.editionsducerf.fr/par%20page/120/flash/p0887.swf

(영어 졸번역)
Litt. Syène, according to Qumran and as in Ez 29,10; 30,6. (Masoretic text: Sinim, not identified.) An Israelite colony in High-Egypt is confirmed by Jr 44,1; it will be the homeland of the manuscripts of Eléphantine.

(우리말 졸번역)
글자 그대로, 꿈란(Qumran)에 따라 그리고 에제키엘서 29,10; 30,6 에서 처럼, 시에네(Syene, 시엔)를 말한다 [마소라 사본: 식별되지 않는, 시님(Sinim)]. 상(上)(남부) 이집트에 있어 이스라엘의 식민지는 예레미야서 44,1 에 의하여 확인되며, 그리고 이 지역은 엘레판틴 [파피루스] 문헌들의 고향일 것이다.

-----
번역자 주: "des mss d'Eléphantine" 는, 다음의 참고 자료들에 근거하여, "the manuscripts of Eléphantine" 라고 영어로 번역하였고, 그리고 "엘레판틴 [파피루스] 문헌들" 로 번역하였다:

참고 자료 1: 소장 중인 Harper Collins Roberts French-English, English-French Dictionary에 의하면, 영어권에서 manuscript 를 약자로 ms 로 나타내기도 함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2: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프랑스어 문화권에서도 복수 단어인 manuscrits 의 약자를 mss 로 나타냄을 용례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참고 자료 3: http://en.wikipedia.org/wiki/Elephantine_papyri 

참고 자료 4: 다음은 예레미야서 44,26 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이다:

(발췌 시작)
12,16 참조. 이집트 땅으로 옮겨 와 살던 유다인들은 이쉬타르 또는 아낫이라고 불리던 "하늘 여왕" 의 숭배와 주님의 경신례를 결합시켰다. 팔레스티나에서 벌어지는 유사한 종교 의식에 대해서는 2,20 각주 참조. 약간 후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상(남부) 이집트 엘레판틴 섬에서 발견된 유다 문헌들로 이스라엘 백성이 두 여신 숭배와 주님의 경신례를 혼합시킨 사실을 증언해 준다.
(이상, 발췌 끝).

참고 자료 5: 예레미야서 44,26에 대한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의 주석은 다음에 있다:
http://bibliotheque.editionsducerf.fr/par%20page/120/flash/p1015.swf

참고 자료 6: 예레미야 44,1에 대한 프랑스어 공공 번역 성경(TOB)의 주석들은 다음에 있다:
http://bibliotheque.editionsducerf.fr/par%20page/120/flash/p1013.swf
-----

게시자 주 5-3-1: 위의 NAB 주석에다, 훨씬 더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명이 추가된 주석이 바로 이 TOB 주석임을 알 수 있습니다.

5-4.
나바르 성경 주석서 - 2000년 대희년 직전에 초판 발행
“from afar” probably means Mesopotamia and therefore the east; “the west”, literally, “the Sea”, often used with that meaning (cf. 24:14); “Syene” or “Sinim”, that is, natives of Syene, a city in the extreme south of Egypt, symbolizes the south in general.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lent_4_wed.htm

(졸번역) "먼 곳에서" 아마도 메소포타미아 그리하여 따라서 동쪽을 뜻할 것이며, 그리고 "서녘"은, 글자 그대로, "지중해(the Sea)"를 뜻할 것인데, 자주 바로 이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24,14를 참조하라), 그리고 "시엔(Syene, 시에네)" 혹은 "시님(Sinim)", 즉, 이집트의 최남단에 있는 도시인 시엔(시에네)의 원주민들은, 일반적으로 남쪽을 상징한다.

게시자 주 5-4-1: 이 나바르 성경 주석서는, 위의 제5-3항에 주어진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의 주석 위에다, 고대 유다인들의 우주관에 따라, 이사야 49,12에서, 시온(즉,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하여, 동, 북, 서, 남 방향, 즉 동쪽에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사방(즉, 온전히 그대로의 이 세상)을 언급함으로써, 가장 포괄적으로 혹은 설득력 있게, 해설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
참고 사항: 다음은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해-I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 연중 제16주일 3분 복음/교리 묵상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발췌 시작)

CCCC 379. 주된 인간에 대한 덕(대인덕, 對人德)들은 어떤 것들로 이루어져 있는지요?
CCC 1805, 1834

주된(principal, cardinal) 인간에 대한 덕들은 추덕(cardinal virtues, 樞德, 방위 덕)들이라고 불리는데, 이 덕들 아래에 모든 다른 덕들이 분류가 되며 이 추덕들은 고결한 삶의 경첩(hinges)들입니다. 추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추덕(四樞德, four cardinal virtues), 즉 현명[prudence, 지덕(智德)], 정의[justice, 의덕(義德)], 굳셈/용기[fortitude, 용덕(勇德)], 그리고 절제[temperance, 절덕(節德)](엮은이 번역).
 
주: 히브리 수비학에서 숫자 4는 온전히 그대로의 이 세상을 나타낸다. 예: 네 개의 방위(4 winds, 方位, 즉 동서남북)들, 네 개의 방위 기점(基點)(4 cardinal points of the compass)들, 그리고 네 개의 방위 덕(4 cardinal virtues)들, 즉 ‘네 개의’ 추덕(사추덕)들. 그러므로 사추덕은 곧 ‘이 세상의’ 주된 기본 덕들을 말한다.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a_ot_16_c1805.htm

(이상, 발췌 끝).
----------

이상, 이사야서 49,12에 대하여, 가톨릭측의 몇 개의 중요한 성경들의 및 프랑스어 공동 번역 성경(TOB) 주석들을 연대순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이사야서 49,12에 대한 가톨릭측의 주석들이 최근에 어떻게 그 내용에 있어 더욱 더 충실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5-5. "주석 성경" - 2010년 초판 발행
시님시엔 지방으로서 그리스인들은 엘레판틴으로, 아랍인들은 아수완으로 부른 곳이라 추측된다. 여기에 일부 이스라엘 사람들이 정착했었다.

게시자 주 5-5-1: 그러나 "주석 성경"에 주어진 주석은, 위의 제2항 및 제3항에서 이미 검토하였듯이, 적어도 세 가지의 이유로, 상당히 미흡하다는 생각입니다. 개선책으로서 제시한, 위의 제3항에 있는 제안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6. 끝으로, 그러면, 마소라본 히브리어 성경 이사야서 49,12에서 "시엔(시에네, Syene)" 대신에 사용되고 있는 명칭인 "시님(Sinim)""중국"을 말한다는 주장을 누구가 최초로 하였는지가 궁금한데, 

6-1. 여기를 클릭하면, 이 질문에 답을 해 주는 듯한 글 한 편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 의하면, 17세기에, 유다교측의 라삐였던 Manasseh ben Israel (1604-1657) 이 그렇게 언급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6-2.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유다 대사전에 실린 Manasseh ben Israel (1604-1657)의 생애에 대한 글에는 그러한 언급이 전혀 없습니다.

5-6-3. 이상 살펴 본 바에 의하면, 그러한 주장은 별로 설득력이 없는 것 같습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5시간 (자료 조사 포함).

 


1,143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