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암사슴 혹은 숫사슴? - 시편 42,1-3 [팔레스트리나] [Sicut Cervus] [모테트] [Herbert Howells]

인쇄

. [218.55.90.*]

2014-07-07 ㅣ No.1558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질문 1: 시편 42,1-3은,  팔레스트리나(Palestrina)의 작곡으로 널리 알려진, "Sicut Cervus" 의 가사인데, 여기에 등장하는 사슴 Cervus암사슴인지요, 혹은 숫사슴인지요? 

 

1. 들어가면서

1-1. 우선적으로, 팔레스트리나(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1525-1594년)는 르네상스 시대로 분류되는 16세기 이탈리아의 가톨릭 교회 음악 작곡가로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는 다음의 출처들에 의하면, 바티칸 소재 성 베드로 대성당의 음악 감독이었으며, 그리고 교황님이 미사를 집전하는 시스티나 성당(Sistine Chapel)에 음악 작곡가로 당시의 교황 비오 4세에 의하여 임명되었다고 합니다. 

 

출처 1: http://en.wikipedia.org/wiki/Giovanni_Pierluigi_da_Palestrina

출처 2: http://www.nndb.com/people/580/000093301/

 

이 작곡가의 활동을 엿볼 수 있는 글들은 다음에 있습니다. 그리 바쁘지 않으신 분들께서는 또한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30.htm <----- 필독 권고

 

1-2. 그리고 성 요한 바오로 2세(St John Paul II) 교황님에 의한 시편 42에 대한 해설은 다음에 있습니다. 특히 질문 1서 언급되고 있는 팔레스트리나(Palestrina)의 무반주 다성음악 작품인 모테트 "Sicut Cervus" 를 언급하고 계십니다. 그런데 이 "Cervus"가 암사슴을, 혹은 숫사슴을 나타내는지에 대하여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습니다:

http://www.vatican.va/holy_father/john_paul_ii/audiences/2002/documents/hf_jp-ii_aud_20020116_en.html

 

1-3. 그리고 또한 성 요한 바오로 2세(St John Paul II) 교황님에 의한 시편 43에 대한 해설은 다음에 있습니다. 시편 42와 시편 43은, 동일한 후렴 가사를 가진,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노래의 가사라고 알려져 있기에, 또한 안내해 드립니다:

http://www.vatican.va/holy_father/john_paul_ii/audiences/2002/documents/hf_jp-ii_aud_20020206_en.html

 

2. [질문 1에 대한 답변 시작]

2-1. 시편 42,1 의 여러 영어본 번역문들은 다음에 있습니다. 라틴어로 Cervus 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가, 암사슴으로 번역된 경우가 이들 다수의 영어본 시편 42,2(1)에 없으며, "a deer(사슴)" 혹은 "a hart(다섯 살 이상인 붉은 숫사슴)", 이들 둘 중의 하나로 번역되고 있음에 주목합니다:

http://biblehub.com/psalms/42-1.htm

 

게시자 주 2-1: 따라서, 위의 제2-1항에서 확인한 바로부터는, 사슴을 나타내고자 번역 용어로 선택된 해당 영어 명사들로부터, 우리는 이 사슴이 암사슴인지 혹은 숫사슴인지 알 수 없다는 생각입니다.

 

2-2. 그러나 이와는 달리, "공동번역성서" 시편 42,1"새 번역 성경" 의 시편 42,2에서는 모두, 라틴어로 Cervus 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가, "암사슴"으로 번역되었음은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all&prindex=0&Keyword=암사슴

 

2-3. 그리고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중국어본 시편 42,2는 다음에 있는데, 이 절에서 라틴어로 Cervus 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가 또한 빈록(牝鹿, 암사슴)으로 번역되었습니다:

http://www.vatican.va/chinese/bibbia/antico-testamento/Salmi_1-50_zh-t.pdf

 

2-4. 다른 한편으로, 팔레스트리나(Palestrina)의 무반주 다성음악 작품인 모테트 "Sicut Cervus" 의 제목과 가사가 우리말로 번역될 때에도, "암사슴"으로 번역되었습니다. 이것은, 라틴어 가사로도 그리고 우리말 가사로도 이 노래를 필자가 그동안 활동해 온 합창단(무지카 사크라 합창단, 주: 올해는 이 합창단이 창단된지 만 30년 되는 해입니다)에서 자주 불러왔기 때문에 잘 알고 있습니다.

 

2-5. 그런데 이 글을 작성하게 된 동기가 어디에 있는가 하면, 영어본 시편 42,1-3을 가사로 하고 있는 다른 작곡가의 곡을 또한 올 해에 부르게 되었는데, 이 영어 가사 중에, "암사슴" 대신에, 특히 다섯살 이상된, 붉은 숫사슴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 "hart" 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hart"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것입니다: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hart

 

그리고 이 곡의 작곡가의 이름은 Herbert Howells 이고, 곡의 제목은 Oxford Anthems, Four Anthems, No.3 Like as the hart desireth the waterbrooks 인데, 다음의 출처 1에 의하면, 이 곡은 1941년 초에 작곡되었으며, 그리고 이 곡의 작곡가 Herbert Howells(1892-1983년) 는 개신교 신자인 영국 사람입니다:

 

출처 1: http://en.wikipedia.org/wiki/Herbert_Howells (생애 및 경력)

출처 2: http://www.bbc.co.uk/music/artists/17987101-f6c0-49e0-879e-fb3817fc8cbf (영국의 국영 방송국 BBC Radio 3 제공의  작곡가 Herbert Houwells에 대한 안내)

 

바로 위의 출처 2에 주어진 이 작곡가에 대한 podcast 제공의 음성 안내, 첫 번째에 의하면(시간대: 03:24-43), 그는, 런던에서 학생 신분이었던 시절에, 웨스트민스터 대성당에서 들었던 르네상스 시대의 무반주 다성음악들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이 곡의 가사로 사용되고 있는 시편 42,1-3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잠깐 확인한 바에 의하면, 1611년에 초판 발행된 King James Version의 시편 42,1-3도 아니고 그리고 그 이전에 발행된 Douay-Rheims Bible의 시편 42,1-3도 또한 아닙니다.

 

게시자 주 2-5: 여기까지 읽은 독자들이라면, 다음의 질문 2 혹은 질문 2와 등가의 질문을 하면서, 헷갈리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질문 2: 그렇다면, 바로 위의 중국어 및 우리말 두 지역 언어본들의 시편 42,1-3에서,  라틴어로 Cervus 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가, "암사슴"으로 번역된 것이 번역 오류일까요? 

 

질문 2에 대한 답변: 좀 더 자료들을 찾아보았더니. 번역 오류가 아님을 알 수 있었습니다.

 

바쁘지 않은 분들께서는, 이어지는 글들을 읽도록 하십시오.

 

3.

질문 2에 대한 답변은, 결국에, 다수의 영어본 성경들의 시편 42,1-3에서 라틴어로 Cervus 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를, 그냥 "사슴(a deer)" 으로 번역하거나 혹은 "암사슴(a hind)" 으로 번역하는 대신에, 특히 다섯살 이상된, 붉은 숫사슴을 나타내는 영어 단어인 "hart"로 번역된 것이 번역 오류임을 또한 말해 줄 것입니다. 

 

3-1. 다음의 자료는 히브리어 성경에서 사용 중인 히브리어 단어들의 어원을 설명하고 있는데, 예외적인 설명이, 괄호 안에서 시편 42,2를 구체적으로 밝히면서, 시편 42,2에서 사슴을 나타내는 히브리어 단어가 여성 명사(feminine noun)라는 설명이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문제는, 왜 그러한지에 대한 설명은 주어져 있지 않은 데에 있습니다:

 

출처: http://biblehub.com/hebrew/354.htm 

 

3-2. 그리고 다음에 주어진 시편 42,2에 대한 주석들에서도 또한 이 사슴이 암사슴이라는 지적이, 왜 그러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 주어져 있습니다:

 

출처: http://biblehub.com/commentaries/psalms/42-1.htm 

 

게시자 주 3-2: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들께서는, 이 히브리어 단어가 평소에는 숫사슴을 나타내는 단어인데, 어찌하여 시편 42,2에서만암사슴을 나타내는 명사라고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궁금하지 않으신지요?

 

3-3. 다음은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Wisdom, Poetry & Writings" 라는 제목의 저서의 제16쪽에 주어진 설명을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books.google.co.kr/books?id=kE2k36XAkv4C&pg=PA16&lpg=PA16&dq=%22female+deer%22+%22psalm+42%22&source=bl&ots=3y9qT3TzpK&sig=gmUgGTk_G-PYesWwase1nQ9-x8g&hl=ko&sa=X&ei=qF25U5f6MM6WkwXc44DoCA&ved=0CDsQ6AEwCA#v=onepage&q=%22female%20deer%22%20%22psalm%2042%22&f=false

(발췌 시작)

2.3. Deer, Gazelles etc.

[...]

     Another term for stag is 'ayyal. The fleeing leaders/princes of fallen Jerusalem are likened to stags that cannot find pasture in Lamentations 1:6, while the psalmist compares his desire for God to that of a deer panting for water in Psalm 42:1[2]. (This text is sometimes emended to refer to a female deer, as the opening phrase employs a feminine verb.) [...]

 

      (다섯 살 이하의) 숫사슴(stag)을 나타내는 또다른 용어는'ayyal  입니다. 함락된 예루살렘의 도망치는 지도자들/군주들은 애가 1,6에서 목초지를 찾을 수 없는 (다섯 살 이하의) 숫사슴(stags)들에 비유되며, 이에 반하여 시편 작가는 하느님에 대한 자신의 욕망(desire)을 시편 42,1[2]에서 물을 찾는 한 마리 사슴(a deer)의 그것에 비교합니다. (바로 이 본문은 때로는 한 마리 암사슴(a female deer)대한 언급으로 교정(校訂)되는데, 이는 시작 단락이 한 개의 여성 동사(a feminine verb)를 사용하였기 때문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4. 다행스럼게도, 바로 위의 발췌문에서의 지적은 또한 다음의 출처(NET Bible)시편 42,2"한 마리 사슴(a deer)"에 대한 주석에서 더 자세하게 지적되고 있습니다:

 

출처: http://classic.net.bible.org/bible.php?book=Psa&chapter=42#n2

(발췌 시작)

Since the accompanying verb is feminine in form, the noun(’ayyil, “male deer”) should be emended to(’ayyelet, “female deer”). Haplography of the letter tav has occurred; note that the following verb begins with tav.

 

동반하는 동사가 형식에 있어 여성이기 때문에, 명사(’ayyil, “숫사슴”)는(’ayyelet, “암사슴”)로 반드시 교정(校訂)되어야 합니다. 글자 tav 의 중자(重字) 탈락(haplography)이 이미 발생하였으며, 그리하여 뒤따르는 동사가 tav 와 함께 시작함을 주목하십시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5. 다음은 칠십인역 시편 42,2에서의 그리스어로 번역된 "사슴"도 또한 "암사슴"이라고 하는 설명을 읽을 수 있는데, 이는 위의 제3-4항에 주어진 설명을 더욱 더 공고히 한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bltnotjustasandwich.com/2013/08/26/doe-or-hart/

(발췌 시작)

doe or hart?

August 26, 2013

Another pesky Hebrew gender question. Here is the King James for the first verse of Psalm 42:

 

또다른 성가신 히브리어 단어의 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시편 42의 첫 절을 위한 King James 성경은 다음에 있습니다: 

 

          As the hart panteth after the water brooks,

          so panteth my soul after thee, O God.

 

A hart, as everybody knows, is a male deer. And the Hebrew word looks like a masculine word. Jerome translated it:

 

모두가 알고 있듯이, a hart 는 한 마리 숫사슴입니다. 그리고 해당 히브리어 단어는 한 개의 남성 단어처럼 보입니다. 예로니모(Jerome)은 이 단어를 다음과 같이 번역하였습니다:

 

          quemadmodum desiderat cervus ad fontes aquarum

          ita desiderat anima mea ad te Deus

 

          As the buck desires springs of water,

          so my soul desires you, O God.

 

He translated ‘ayel as cervus with a masculine ending. But Pagninus translated it cerva, with a feminine ending:

 

그는 ‘ayel 를 한 개의 남성 어미를 가진 cervus 로 번역하였습니다. 그러나 1518년에 파니노(Pagninus)는 이 단어를 다음과 같이, 한 개의 여성 어미를 가진 cerva 로 번역하였습니다:

 

          Quemadmodum cerva desiderat ad torrentes aquarum,

          Ita anima mea desiderat ad te deus.

 

          As the doe desires torrents of water,

          So my soul desires you, O God.

 

And here is the ambiguous Hebrew:

 

그리고 이 애매모호한 히브리어 단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I have to confess that I don’t really know how to transliterate this smoothly into Roman letters, but here are the first two and most relevant words - Ke eyal ta’arog. The word eyal is considered masculine but the verb agrees with the feminine. And so the Septuagint translates it into Greek with a feminine noun and the New English Translation of the Septuagint translates it into English with a feminine:

 

저는 제가 어떻게 바로 이 본문을 매끄럽게 로마 글자들로 음역(音譯)하여야 하는지 모름을 고백하여야 합니다만, 그러나 다음은 첫 두 개의 그리고 가장 관련이 있는 단어들 입니다:  Ke eyal ta’arog. eyal 이라는 단어는 남성형이라고 간주되나 그러나 해당 동사는 여성형과 일치합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칠십인 역(the Septuagint)은 이 단어 한 개의 여성 명사를 가진 그리스어 단어로 번역하며 그리고 칠십인 역의 New English Translation(새 영어 번역본)은 다음과 같이 이 단어를 한 개의 여성형을 가진 영어 단어로 번역합니다: 

 

          ον τροπον επιποθει η ελαφος επι τας πηγας των υδατων

          ουτως επιποθει η ψυχη μου προς σε ο θεος

 

          Just as the doe longs for the springs of water,

          so my soul longs for you, O God.

 

Here the Greek word elaphos, a Greek word of common gender, is preceded by the article in the feminine, indicating that it is a female deer. Here are the first two lines of the psalm in song.

 

여기서, 통성(common gender)의 한 개의 그리스어 단어인, 그리스어 단어 elaphos 는 여성형 상태에 있는 정관사에 의하여 선행되는데, 이것은 이 사슴이 한 마리의 암사임을 나타냅니다. 노래에 있어 이 시편의 첫 두 줄들은 다음에 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질문 1에 대한 답변 끝 & 질문 2에 대한 답변 끝] 

이상으로, 이번 글은 이 정도에서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7시간

 



1,159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