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양동성당 게시판

◆ 가족기도모임자료(2월) ◆

인쇄

윤성호 [austin] 쪽지 캡슐

2001-02-16 ㅣ No.5250

가족기도모임자료(I) 2월

- 매월 4째주는 가정주일 -

<1월 가족 기도모임 자료입니다. 좋은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가 정  성 시 간

( 2월 4째주 중 적당한 날 )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 아멘

 

1. 시작성가 : 가톨릭 성가 210 (나의 생명 드리니)

 

2. 기 도 :

† 사랑의 근원이신 하느님 아버지, 저희 가정과 늘 함께 하여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특별히 오늘 주의 봉헌 축일을 맞아 저희 가정 또한 주님께 온전히 봉헌하고자 하오니 주님의 자비하심과 사랑으로 받아주소서. 또한 저희 가정이 생명의 복음을 전하고 참된 사랑을 증거하는 당신의 작은 교회가 되도록 도와주소서, 수많은 어린 생명들을 낙태로부터 지켜주시고 모든 가정이 당신 사랑으로 평화를 누리게 하여 주소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비나이다.

◎ 아멘

 

3. 복음낭독 : 루가 2, 22~40 또는 2, 22~32.

 

4. 말씀묵상

 

5. 나눔자리 (실천사항) :

 * 조상들에 대한 좋은 추억 나누기

 * 우리 가정 주위의 복지 시설 방문하기

 

6. 성 가 : 가톨릭 성가 25 (사랑의 하느님)

 

7. 가정교리 : 생명과 가정’에 관한 문제를 온 가족이 함께 풀어본다.

 

8. 마침기도 :

주님, 오늘 모든 생명을 존경하도록 저희를 도우소서, 제가 만나는 모든 사람 안에서 당신의 창조물의 아름다움을 보도록 저희를 도우소서. 특히, 힘없고 병들고 약하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무시당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이게 하소서, 그들이 당신께 특별히 귀중하다는 것을 제가 기억하도록 도우소서, 그들이 필요로 할 때 당신의 사랑이 저를 통해서 그들에게 도달하도록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비나이다.

◎ 아멘

† 전능하신 천주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저희 가정과 친지 및 이웃 가정에 강복하시어 길이 머물게 하여 주소서.

◎ 아멘

 

9. 마침성가 : 가톨릭 성가 46 (사랑의 송가)

 

 

 

 

■ 가정 교리 ■

(제 포도밭 나무가지, 세대주 성명: )

 

다음 문제를 잘 읽으시고 가족이 함께 풀어 보셔요.

1. 인간의 기본권 중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권리는 무엇일까요? (   )

    ① 투표권 ② 생명권 ③ 인격권 ④ 건강권

 

2. ’임신하는 순간부터 자연사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겠다’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의과 대학생들이 의료 행위 일선에 나서기 전에 하게 되는 선서는 무엇일까요? (   )

    ① 소크라테스 선서 ② 아리스토텔레스 선서

    ③ 히폴리투스 선서 ④ 히포크라테스 선서

 

3. 1968년 7월 25일 교황 바오로 6세께서 반포하신 올바른 산아 조절에 관한 회칙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   )

    ① 인간 생명 ② 생명의 선물 ③ 백주년 ④ 어머니와 교사

 

4. 교회법 제 1398조는 낙태에 적극 가담한 사람 (낙태하러 간 산모, 낙태를 강요한 남편이나 시부모, 의사, 간호사 등) 모두에게 어떤 처벌을 내릴까요?

    ① 자동 처벌의 파문 제재 ② 참회 고행 ③ 속죄벌 ④ 금지 제재

 

5. 1973년 제정된 모자보건법의 시행령 제 15조 ① 항에 나와 있는 인공임신중절 허용기간은 임신한 날로부터 몇 주 이내일까요? [{엄마 아빠, 나 여기 있어요}: 정의평화 위원회 자료집 p.5 참조]

(                                           )

 

6. 태아는 임신 후 몇 주 경에 손가락과 발가락이 다 형성될까요? (   )

    ① 10주 ② 20주 ③ 25주 ④ 30주

 

7. 단식재와 금육재에 대한 설명입니다.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 (   )

   ① 단식재는 사순절 동안 재의 수요일과 성 금요일에 낮 한 끼만 충분히 식사를 하고, 아침은 금식하고 저녁은 요기 정도 하는 것이다.

   ② 단식재는 만 21세부터 60세까지 지킬 의무가 있다.

   ③ 금육재는 재의 수요일과 사순절 동안 매 금요일마다 지킬 의무가 있다.

   ④ 금육재는 만 13세부터 죽을 때까지 지켜야 한다.

 

8. 성주간은 언제부터 언제까지의 기간을 말하나요?

    (                                                               )

 

9. 1980년에 열린 세계 주교 대의원 회의는 사랑을 출발점으로 하고 그것을 변함 없는 참고점으로 삼으면서 가정의 네가지 일반적인 임무를 강조했습니다. 이 네 가지 임무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가정공동체} 17항 참조] ( )

    ① 생명에의 봉사 ② 사회 발전에의 참여

    ③ 교회의 생활과 사명에의 참여 ④ 가족만의 이익 추구

 

10. 다음 ( ) 안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   )이란 광범한 평신도 사도직 형태 중에서 가장 현시대에 적합한 새롭고 탁월한 사도직 형태로서 부부가 다른 부부를 위해서 사도가 되고 인도자가 되는 부부 상호간의 봉사를 말한다. [{인간생명} 26항 참조]

 

 

■ 토막 교리 상식 ■

 

재의 수요일: 재의 수요일은 사순절이 시작되는 날이다. 옛사람들은 동식물을 태우거나 또는 화장(火葬)한 다음에 남은 재에 깊은 신비적 의미를 부여했다. 따라서 재는 죽음과 슬픔, 속죄 등을 나타내는 종교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구약에서도 재와 먼지는 죽음, 재앙, 슬픔, 불행, 속죄 등을 상징하고 있다. 사실 불에 탄 암소의 재는 죄를 씻는 정화의 상징이었다(민수 10,9). 초대교회는 유다 및 고대의 이러한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아 왔다. 재의 수요일에 사제는 신자들 머리 위에 재를 뿌리면서 회개를 강조하며 인생의 무상함을 상기시킨다. 한낱 먼지로 사라져갈 우리들임을 깊이 깨닫게 하고 보다 올바른 삶을 살도록 재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례 의식은 1091년 이탈리아 베네벤또(Benevento)지역 회의에서 결정되었으며 이보다 한 세기 앞서 영국 등지에 널리 번져 있었다.

 

사순시기(四旬時期): 예수님의 부활을 준비하기 위한 40일간을 말하며 재의 수요일부터 부활 전 토요일까지이다. 이 시기동안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고 각자가 지은 죄를 통회하며 보속하는 내적인 회개와 신앙 쇄신을 위한 시기이다.

 

사순절과 신앙생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광야에서 마귀의 유혹에도 불구하고 40일 동안 엄재를 하신 것을 본받아서, 자신을 봉사하고 희생하여 또한 지난날의 잘못에 대한 보속으로서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가르쳐주신 말씀을 우리는 실천으로 옮겨야만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타의가 아니라 자의로서 자신을 극기하는 정신을 가져야 한다.

 

십자가의 길(聖路神功): 십자가의 길을 빌라도 관저에서 갈바리아산 십자가 세워진 곳까지 대개 1317보의 거리이다. 이 길을 교회 초기부터 열심한 교우들은 걸으면서 주님의 수난을 아파했던 것이다. 그러나 거리가 먼 타지방 교우들은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그리스도께서 우리 구원을 위해 수난하신 사실 중에서 중요한 것 14가지의 모습을 만들어 성당 양 벽에 표시해 놓은 것이다. 성로신공(聖路神功)이란 바로 이 앞을 하나 하나 지나면서 예수 수난의 고통이 어떠하셨는가를 묵상하며 수난에 결부된 내 죄를 아파하며 드리는 기도로서 특히 사순절 동안 많이 할 것을 권장한다.

 

 

<1월의 문제 정답>

1. ①  2. ②  3. ④  4. ③  5. ③  6. ③  7. ④  8. ③  9. 부모

 

첨부파일: EU01-02.HWP(27K)

73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