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2월18일[수도원]성 위느발드 아빠스♬Cherubic-monastic chants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3-12-18 ㅣ No.1527

 

축일:12월 18일

성 위느발드

St.Winebald

St. Winebald of Heidenheim

San Wunibald di Heidenheim (Vunibaldo) Abate

Wessex (Gran Bretagna), 701

- Heidenheim (Germania), 18 dicembre 761

 

              

 

                                  몬데 카시노 대수도원

 

웨스트 색손의 성 리차드는 자신의 두 아들인 성 윌리발드와 위느발드와 함께 로마 순례를 떠났을 때,

위느발드는 병 때문에 로마에 그대로 남아 있으면서, 7년 동안 공부한 후,

잠시 고향에 들린 후, 다시 로마로 가서 수도자가 되었다.

 

이때 그는 게르만 선교단의 책임자인 성 보니파시오를 따라 투린지아로 갔으며,

거기서 사제가 된 후부터 바바리아 지방의 선교를 담당하였다.

그후 그는 뷔르텐베르그의 하이덴하임으로 가서 수도원을 세우고 수도자가 된 것이다.

그는 베네딕또회의 규칙을 채택했고,

만년에는 몬떼 까시노에서 선종하기를 바랐으나 병으로 인하여 뜻을 이루지 못한 것이다.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 축일:6월5일.게시판1800번

*성녀 발부르가 축일:2월25일,게시판1633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성 베네딕토 아빠스

축일:7월11일.게시판1267번.

 

베네딕토는 자기의 생활을 지금까지의 은둔 생활에서 공동 생활로 바꿔가기 시작했다.

그는 수사들에게 일치,형제애,계속되는 전례 생활을 통한 은혜등을 주기 위해

하나의 ’대수도원’에 여러단체의 수사들을 모으기로 했다.

마침내 그는 3개의 좁은 계곡이 내려다보이는 곳에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수도원 중의 하나가 된

몬테 카시노 수도원을 세우고 수도 규칙을 썼다.

 

점차로 발전된 규칙은 전례를 통한 기도 생활,공부,육체 노동 그리고

한 사람의 대수도원장 아래서 공동 생활을 할 것을 명시했다.

베네딕토의 금욕주의는 절제로,자선행위는 인근 시골 주민들에 대한 관심으로 항상 드러났다.

 

중세 서구의 모든 수도원 제도는 점차로 성베네딕토의 규칙을 따르게 되어

그를 ’서방 수도 생활의 스승’이라 부르게 되었다.

오늘날 베네딕토 수도회는 베네딕토회 본원을 비롯하여 시토 수도회등 열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교회는 베네딕토회의 풍부하고 적절한 예절로 구성된 실제적인 전례에서뿐 아니라,

수많은 회원들의 학문적인 연구를 통해서, 또한 그들의 미사 봉헌을 통해서 축복을 받고 있다.

전례는 때때로 기타,기구,라틴 음악이나 바흐의 성음악 등으로 봉헌되어 보는 이들을 어리둥절하게 한다.

우리는 교회내에 전통적인 전례 관습을 적용시키고 이를 보존케 한 사람들에게 감사해야만 한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베네딕도 성인의 십자가

CSPB = CRUX SANCTI PATRIS BENEDICTI"

(사부 성베네딕도의 십자가)

 

베네딕도회

 

성 베네딕도의 수도 규칙을 따르는 남녀 수도회들(congregations)의 연합체(confederation)를 말한다.

그 종류로는 솔렘 연합회, 수비아꼬 연합회, 몬떼까시노 연합회,

오딜리아 연합회, 올리베따노 연합회, 까말돌리 연합회, 실베스트로 연합회, 발룸브로사 연합회 등이 있다.

* 시토회와 엄률시토회(트라피스트)는 베네딕도 수도규칙을 따르지만 베네딕도회에는 속하지 않는다.

 

 

성 베네딕도의 메달(The medal of St.Benedict)

성 베네딕도 탄생 1400, 1500주년을 기념하여 여러 수도원에서 다양한 모양의 메달이 만들어졌다.

이 메달은 1880년 몬떼까시노 수도원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베네딕도 패 앞면  

성인이 오른손에는 십자가를 그 아래 독배, 그리고 왼손에는 성규를 들고 있다.

성인의 좌우에는 "CRUX SANCTI PATRIS BENEDICTI" (사부 성 베네딕도의 십자가)가 새겨져 있다.

성인의 발 아래에는 "EX S M CASSINO MDCCCLXXX" (1880년 거룩한 까시노 산에서)라는 말이 새겨져 있다.

가장자리에 "Ejus in obitu nostro presentia muniamur" (우리 임종때에 성 베네딕도께서 함께 하시어 보호하소서)라고 되어 있다.

성인은 성체를 모시기 위하여 일어서서 기도하시면서 선종하셨다.

 

 

 

 

베네딕도 패 뒷면  

십자가 안에 수직으로 "CSSML = CRUX SACRA SIT MIHI LUX"

(거룩한 십자가가 나의 빛이 되소서)라는 기도가 새겨져 있고,

수평으로는 "NDSMD = NON DRACO SIT MIHI DUX"

(악마가 나의 인도자 되지 않게 하소서)라는 기도문이 새겨져 있다.

십자가의 네 모서리에는 "CSPB = CRUX SANCTI PATRIS BENEDICTI"

(사부 성베네딕도의 십자가)라고 되어있다.

십자가 위에는 "PAX"( 평화)라는 모든 베네딕도회의 모토가 새겨져 있다.

 

가장 오른쪽 위에서부터 아래로, 왼쪽 아래에서 위로 다음과 같은 글귀가 들어 있다.

"VRSNSMV : SMQLIVB = Vade Retro Satana Numquam Suade Mihi Vana :

Sunt Mala Quae Libas Ipse Venena Bibas."

(사탄아 물러가라. 헛된 생각을 하게 하지 말고 네가 마시는 것은 악이니 네 독이나 마셔라)

성 베네딕도의 "십자가 메달"은 빠스카의 삶을 살아가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강력하게 십자가의 구원적 가치를 표현하고 있다.

-코이노니아 제 9집. 한국 베네딕도수도회 연합. 1984년 겨울호.118쪽 참조-

 

(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홈에서 www.osb.or.kr)

 

 

 

 

"아빠스"란 무슨 뜻인가 ?

 

<아빠스>란 『베네딕도 규칙서』를 따르는 수도회들 즉 베네딕도회, 시토회, 트라피스트회 등과

아우구스띠노 엄률수도회 들 일부 특정 수도회에 속한 자치 수도원의 원장을 일컫는 명칭이다.

 

아빠스는 「아버지」「원로」「장로」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집트나 시리아 등 동방지역에서는 「영적 아버지」「영적스승」「사부」의 의미로

은둔 또는 독거 수도자들의 스승을 일컫는 데 사용되었다.

 

아빠스는 수도원의 최고 장상으로서 교회의 상급 장상(superior major)이기도 하다.

따라서 아빠스는 수도원과 관련된 일에 대해 결정권을 가지며, 재산 관리권,

입회자 청원자 수련자들을 받아들이는 권한도 가진다.  

 

선거에 의해 선출된 아빠스는 『한번 아빠스가 되면 영원한 아빠스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종신직이다.

즉 수도원장직에서 퇴임해도 아빠스의 명칭은 그대로 보유하는 것이다.

 새로 선출된 아빠스는 일반적으로 주일이나 축일에 지역주교에 의해 축복된다.

주교직과는 달리 아빠스직은 서품도 아니고, 성사도 아니며, 아빠스들 사이의 「성사적 연대성」도 없다.

 

 

 

 

♬Cherubic-monastic chants-christdesert(Benedict)

 

 

 

 

 

 

 

 

 

 

 

 

 

 

 

 

 

 

 

 

 

 

 

 

 

 

 

 

 

 

 

 

 

 

 

 

 

 

 

 

 

 

 

 

 

 

 

 

 

 

 

 

 

 

 

St. Winebald

Winebald + Benedictine abbot and missionary. The brother of Sts. Willibald and Walburga, he was born in Wessex, England, and went on a pilgrimage to Rome and the Holy Land with his brother and father. When their father died at Lucca, the brothers proceeded to Rome. Winebald remained in the Eternal City while his brother went on to the Holy Land. Winebald studied in Rome for seven years, went back to England, but then returned to Rome determined to enter the religious life. At the invitation of St. Boniface, he gathered together a group of English missionaries and went to Germany in 739. Winebald was ordained, labored in Thuringia and Bavaria, and then joined Wilibald in his missionary enterprise in Eichstatt, Frisia, Holland. With his brother, he founded the monastery of Heidenheim, Germany, where he served as abbot with his sister as abbess. He struggled against the local pagans and strove to make the monastery one of the leading ecclesiastical centers in Germany. Feast day: December 18.

 

 

 

 

WINEBALD

Also known as

Winnibald; Wunebald; Wynbald

Memorial

18 December

Profile

Son of Saint Richard the King. Brother of Saint Willibald and Saint Walburga. During a pilgrimage to the Holy Lands, he became ill and spent seven years in Rome recovering and studying before finally returning to England. Missionary to Germany with Saint Boniface. Founded a monastery at Heidenheim.

Born

at Wessex, England

Died

18 December 761 at Heidenheim, Germany

Canonized

Pre-Congregation

 

 

San Wunibald di Heidenheim (Vunibaldo) Abate

 

18 dicembre  

 

Wessex (Gran Bretagna), 701 - Heidenheim (Germania), 18 dicembre 761

 

Vunibaldo nacque nel 701 nel Wessex (Inghilterra) da una famiglia importante per la Chiesa: il fratello fu il grande vescovo di Eichstatt (Baviera) Villibaldo, lo zio Bonifacio, l’evangelizzatore della Germania, e la sorella Valburga, figura carismatica del ramo femminile del monastero di Heidenheim, fondato da Vunibaldo nella diocesi retta dal fratello. Fu importante centro culturale e missionario. Pellegrino a Roma e in Terra Santa, al ritorno entro con Villibaldo tra i benedettini di Montecassino. Nel 738 fu chiamato dallo zio in Germania e mandato ad evangelizzare Turingia e Baviera. Mori nel 761. E quando il fratello ne fece esumare le spoglie, nel 777, esse erano intatte. Protegge sposi e minatori. (Avv.)

 

Patronato:Sposi, Minatori

 

San Wunibald chiamato anche Wynnebald, nacque nel 701 nel Wessex, in Gran Bretagna, da genitori anglosassoni, il padre secondo tardive tradizioni, era un re di nome Riccardo e la madre si chiamava Wunna.

Divenuto giovane, nell’estate del 721 insieme al padre ed al fratello Willibald, intraprese un pellegrinaggio a Roma, una vera impresa per quell’epoca, ma il padre arrivato a Lucca, mori durante il viaggio.

Wunibald per motivi di studio, rimase a Roma in un monastero fino al 739, mentre il fratello Willibald proseguiva nel 723 fino alla Terra Santa, meta finale di molti pellegrinaggi medioevali.

Nel 729-30 Wunibald ritorno brevemente in Gran Bretagna e qui convinse ai suoi ideali ascetici, un altro fratello, di cui non si sa il nome e insieme ripartirono per Roma. Nel 738 nella citta pontificia incontro s. Bonifacio Winfrid (680-755) suo parente, il grande monaco anglosassone, evangelizzatore della Germania; Wunibald attratto dall’ideale missionario di s. Bonifacio, lascio la vita contemplativa del monastero romano e nel 739 giunse come missionario in Turingia, regione della Germania, qui fu consacrato sacerdote dallo stesso Bonifacio, il quale gli affido la cura di sette chiese, stabilendo la sede a Sulzenbrucken a sud di Erfurt.

Qui ritrovo anche suo fratello Willibald il quale fu consacrato nel 742, vescovo di Eichstatt, da s. Bonifacio, che era diventato arcivescovo di Magonza. Chiamato dal duca Odilone, Wunibald nel 744 si reco in Baviera per diffondere il suo apostolato missionario, nella regione presso il fiume Vils nel Pfalz Superiore.

Dopo tre anni di intenso lavoro, nel 747 ritorno da Bonifacio, arcivescovo di Magonza, ma la sua permanenza in questa citta non fu lunga, egli contrariamente al fratello, era sempre attratto dalla vita monastica e dalla solitudine e cosi d’accordo con il fratello vescovo, acquisto in una zona isolata presso Eichstatt, un terreno e insieme ad alcuni compagni, nel 752 ne inizio la coltivazione e nello stesso tempo comincio ad erigere il monastero di Heidenheim.

Una volta completato il convento, ne divenne il primo abate, dedicandosi alle missioni ed al ripristino della fede cristiana nella popolazione, nel frattempo ricaduta nel paganesimo; fu ammirato ma anche odiato per il suo zelo e la sua austerita.

Gli ultimi anni della sua vita furono provati da grave malattia, nonostante cio egli fece ancora un faticoso viaggio a Wurzburg, per incontrare il vescovo locale e poi al monastero di Fulda, dove era la tomba di s. Bonifacio, morto nel 755; questi viaggi avevano lo scopo di mantenere in vita e sostenere il suo monastero.

Desiderava finire la sua vita a Montecassino, dove era gia atteso, presso la tomba del patriarca s. Benedetto, alla cui Regola aveva affidato il suo monastero, ma il fratello vescovo Willibald lo distolse a causa dell’impedimento delle sue gravi infermita. Wunibald mori pertanto a Heidenheim, il 18 dicembre 761, assistito dal fratello e li sepolto.

La sorella s. Valburga, monaca a Wimborne era stata trasferita ad Heidenheim come badessa delle monache, chiamata dal fratello Willibald, in questo cosiddetto doppio monastero, il cui ramo maschile era diretto da Wunibald, alla morte di questi, divenne badessa generale del doppio monastero; nel 776 Willibald fece costruire una chiesa piu grande e un anno dopo fece trasferire solennemente il corpo del fratello abate, nella nuova cripta, confermando in tal modo il culto che era iniziato subito dopo la morte.

La maggior parte delle sue reliquie risultano disperse dal tempo della Riforma Protestante (XVI sec.), alcune sono sparse in varie citta della Germania. La citta di Eichstatt annovera tra i suoi santi patroni, almeno dal 1075, i tre fratelli Willibald, Wunibald e Valburga; durante i secoli vi sono state varie cerimonie e traslazioni che hanno visto le reliquie dei tre fratelli, insieme esposte alla venerazione dei fedeli.

S. Wunibald ha un culto molto diffuso in Germania ed e patrono di tante localita, che non e possibile qui elencare; e stato anche soggetto molto rappresentato nell’arte; innumerevoli sono i bassorilievi, busti, pitture, reliquiari, sigilli, incisioni, statue che lo raffigurano, raramente da solo, e sempre in abiti da monaco, a volte con il pastorale di abate o con il libro della Regola e dal 1500 anche con una cazzuola in mano, simbolo della costruzione del monastero.

 

 

Autore: Antonio Borrelli

 



588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