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어떤 자가 악의를 가지고 있는 자일까요? [교리용어_악의] [성경용어_악의] 1263_

인쇄

[175.115.218.*]

2012-09-28 ㅣ No.1263


질문:

성경을 읽다 보면 "악의"라는 표현이 여러 번 사용되고 있는데,

"악의"의 의미는 무엇인지요?

그리고 어떤 자가 "악의"를 가지고 자인지요?

--------------------

답변:

+ 찬미 예수님

1.
1-1.
"새 번역 성경"의 본문에는 "악의" 라는 번역 용어가 구약 성경의 약 19개의 절들에서 사용 중이며, 그리고 신약 성경의 약 7개의 절들에서 사용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1: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탈출 21,4;
민수 35,20; 
신명 19,16;
에스테르 8,12(6);
1마카베오 7,25; 13,6;
2마카베오 6,29; 12,3;
잠언 26,26;
집회 3,24; 29,7;
에제키엘 25,6; 25,15; 36,5;
다니엘 3,8; 6,25; 13,43; 13,61;     

출처 2: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마태오 22,18;
마르코 7,22;
로마 1,29;
1코린토 5,8;
에페소 4,31;
콜로새 3,8;
1 베드로 2,1;

1-2. 예를 들어,  "새 번역 성경" 마태오 22,18에서 "악의"로 번역되고 있는 번역 용어는, NAB(New American Bible)의 마태오 22,18에서 "malice"로 번역되고 있습니다.

1-3.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다음의 정보에 의하면, NAB 본문 중에서 "malice", "malicious", 그리고 "maliciously" 라는 번역 용어들이 구약 성경의 본문에서 각각 17번, 7번, 2번씩 그리하여 총 26번, 그리고 신약 성경의 본문에서 각각 9번, 1번, 0번씩 그리하여 총 10번 사용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839/_FAE.HTM

30 malice 
신명 4,42; 19,4; 19,6;
1마카베오 5,4;
욥기 15,35;
시편 7,10; 17,3; 41,7; 73,8; 
잠언 26,26;
지혜 12,10; 16,14;
이사야 58,13; 59,4;
에제키엘 25,15;
요엘 4,13;
나훔 3,19;

마태오 22,18;
마르코 7,22;
로마 1,29;
1코린토 5,8;
에페소 4,31;
콜로새 3,8;
티토 3,2;
야고보 3,6;
1베드로 2,1
 
11 malicious
에스터 E,6;
시편 27,12; 35,11; 64,3; 119,150;
이사야 58,9;

사도행전 18,14;

 3 maliciously
탈출 21,14;
에제키엘 25,6;

2.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다음의 정보에 의하면,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서 "malice", "malicious", 그리고 "maliciously" 라는 번역 용어들이 각각 2번, 1번, 1번씩 그리하여 총4번 사용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FAE.HTM

2 malice  
1860; 2475;
  
1 malicious
2480;

1 maliciously
2481;

3.
3-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malice(악의)"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이고, 이어지는 나머지 문장들은 이 정의(definition)에 대한 추가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m/m036.htm
(발췌 시작)
MALICE

The evil of a conscious and deliberate transgression of the law of God. It is a contempt of the divine Author of the law, and an implicit denial of reverence toward God, who, as Creator, has a right to demand obedience of his creatures. It is the basic evil of sin.

악의(惡意, MALICE)

하느님의 법에 대한 어떤 의식적 및 고의적 침범이라는 [윤리적] 악(the [moral] evil of a conscious and deliberate transgression)을 말합니다.
[윤리적] 악은 이 법의 신성적 입안자(the divine Author)에 대한 어떤 경멸(a contempt)이며, 그리고, 창조주로서, 당신의 피조물들의 순명을 요구하는 권한을 가지고 계신 하느님을 향하는 공경(reverence)에 대한 어떤 비명시적 부인(an implicit denial)입니다. [윤리적] 악에 기인하는 근본적인 악(the basic evil of sin)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그러나 위의 정의는, "어떤 자가 악의를 가지고 있는 자인지요?" 라는 질문에 대하여서 아무런 언급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IIae q78 "죄의 원인으로서 악의" 그 충분 조건 한 개가 제시되어 있는데, 이어지는 글은 이 질문에 대한 바로 이 답변의 전달을 위하여 마련되었습니다.

아래의 제3-2항으로 이동하기 전에, 내용 이해의 수월성을 위하여 다음의 게시자 주들을 읽으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게시자 주 1:

여기를 클릭하면,

신학적 용어인 악(evil)정의(definition)에 대한 글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신학적 용어인 죄(sin)정의(definition)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3: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및 그 입문서인 "신학대전여행"에 주어진, "악덕과 죄" 제목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4: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및 그 입문서인 "신학대전여행"에 주어진, "죄의 원인" 제목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려,

"죄의 원인은 의지(the will)이다"

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3-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유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및 그 입문서인 "신학대전여행"에 주어진, "죄의 원인으로서 악의" 제목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특히,

"습관을 통하여 범하게 되는 죄는 악의(malice)가 있다"

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대단히 유익한 내용이므로 필독을 권고드립니다.

3-3. 이상 고찰한 바로부터, 우리는 다음의 결론을 내립니다:

(이 글의 결론)
3-3-1. "신앙의 유산"에 근거한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의 전통적 가르침에 전혀 있지도 않은 하느님께 반하는 생각과, 말과, 행동을 습관을 통하여 행하는 자는 악의(malice)를 가지고 있다.

3-3-2. 악의(malice)없는 자는 "신앙의 유산"에 근거한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의 전통적 가르침에 전혀 있지도 않은 하느님께 반하는 생각과, 말과, 행동을 습관을 통하여 행하지 않는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40시간 (자료 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1,117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