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아들 이라는 용어의 신학적 정의 외 [교리용어_아들} [성경용어_아들] 969_토미즘학습 [개념오류_하느님의아드님][하느님의아들들] adopted 843_ 하느님의 아들

인쇄

. [39.118.118.*]

2013-03-12 ㅣ No.1349


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on(아들)"의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559

(발췌 시작)
SON

Theologically, sonship is the derivation of one person from the substance of another person who communicates the same nature to the one he produces. There is consequently a Son within the Trinity, begotten by the Father. In an analogous sense, all angels and men are sons of God because they share in the divine attributes of knowledge and freedom, and all who are in the state of grace are adopted sons (or children) of God.

아들(son)

신학적으로, 아들됨(sonship)은, 자신이 산출하는 자에게 동일한 본성(the same nature)을 전달하는(communicates) 자인(*), 다른 격(格)(another person)(**)의 본체(substance)로부터 한 명의 격(格)(one person)의 도출(derivation)을 말합니다.
결과적으로, 성삼위 안쪽에는, 성부(the Father)에 의하여 낳아진(begotten), 한 분의 아드님(a Son)이 계십니다. 어떤 유비적(analogous)(***) 의미 안에서, 모든 천사들과 사람들은 하느님의 아들들인데 왜냐하면 그들은 지식과 자유라는 하느님의 속성들에 함께 하기 때문인데, 그리하여 은총의 지위에 있는 모든 자들은 하느님의 입양된(adopted) 아들들(혹은 자녀들)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번역자 주:
(1) 이러한 서술이 지니고 있는 신학적 의미의 성경적 근거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요한 복음서 5,18일 것이다:

(발췌 시작)
[새 번역 성경] ... 그분께서 안식일을 어기실 뿐만 아니라, 하느님을 당신 아버지라고 하시면서 당신 자신을 하느님과 대등하게 만드셨기 때문이다.

[NAB] ... because he not only broke the sabbath but he also called God his own father, making himself equal to God.
(이상, 발췌 끝).

(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594항은, 요한 복음서 5,16-18을 인용하면서, 이러한 서술이 지니고 있는 신학적 의미를 또한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사순 제4주간 수요일 복음 말씀(요한 5,17-30)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lent_4_wed.htm <----- 필독 권고

(**) 번역자 주:
(1) 여기서 "person"은, 지상의 피조물들인 사람들에게 적용될 때에 그러하듯이, "인격"으로 번역하는 대신에, 단순히 "격(格)"으로 번역되었는데, 바로 이 "격(格, person)"에는, 다음과 같이 세 종류들로 구분되는 "격(格)"들이 있기 때문을 고려하였다: 인격(human person), 천사격(angelic person), 그리고 신격(divine person).

(2) 그리고, 다음에 주어져 있는 "person"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을 또한 반드시 숙지하도록 하라.

(***) 번역자 주: "analogy(유비)"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87.htm <----- 필독 권고
-----

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on of God(하느님의 아드님)"의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561

(발췌 시작)
SON OF GOD

The Second Person of the Holy Trinity, who became man to suffer and die for the redemption of mankind. Christ is therefore the true, natural Son of God, as testified by the Father in the vision recorded at the baptism of Christ, "You are my Son, the Blessed" (Luke 3:22), and, as described by St. Paul, that "God spoke to our ancestors through the prophets; but in our own time, the last days, He has spoken to us through His Son, the Son that He has appointed to inherit everything and through whom He made everything there is" (Hebrews 1:1-2).

하느님의 아드님(성자, Son of God)

인류의 속량을 위하여 고통받고 그리고 죽고자 사람이 되셨던, 거룩한 성삼위의 두 번째 위격(the Second Person)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는, 그리스도의 세례에서 기록된 환시(vision)에서 성부(the Father)에 의하여,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 (루카 복음서 3,22) 이라고 증언되었듯이, 그리고, 성 바오로(St. Paul)(*)에 의하여 "하느님께서는 예전에는 예언자들을 통하여 ... 말씀하셨지만, 이 마지막 때에는 아드님을 통하여 우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아드님을 만물의 상속자로 삼으셨을 뿐만이 아니라, 그분을 통하여 온 세상을 만들기까지 하셨습니다" (히브리 1,1-2)라고 서술되어 있듯이, 하느님의, 참된, 본성적, 아드님이십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번역자 주: 비록 여기서 "히브리서"의 저자가 성 바오로라고 말해지고 있기는 하나,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된 바에 의하면, "히브리서의 저자"가 "성 바오로"일 수도 있고, "바르나바"일 수도 있고, 혹은 이들 둘 중의 한 사람이 아닌 다른 제3자일 수도 있어, 가톨릭 보편 교회가 "히브리서"의 저자가 실제로 누구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힌 적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있는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수석 편집자인 Antonio Feuntes 는 자신의 "히브리서 입문" 에서, "성 바오로는 히브리서의 간접적 저자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라고 언급하고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intro_Hebrews_AF.htm
-----

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ons of God(하느님의 아들들)"의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563

(발췌 시작)
SONS OF GOD

A title used in Scripture for the angels, the chosen people, the prophets, and, in the New Testament, all who believe in God and do his will.

하느님의 아들들 (sons of God)

성경 본문에서, 천사들, 선택된 백성, 예언자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그리고, 신약 성경에서, 하느님 쪽으로 믿고(believe in) 그리하여 당신의 의지(his will)를 행하는(do) 자들 모두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한 개의 칭호(a title)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엮 끝).

4.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2009년 6월 19일자, 이번 글의 나머지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

특히 "하느님의 아드님(성, the Son of God)" 라는 칭호에 있어, "아드님(Son)"의 의미를 그리스도교에서, 구약 성경 말씀들 그리고, 유다교측에서 거부하는, 신약 성경의 말씀들에 근거하여, 위의 제1항에 주어진 정의(definition)보다 훨씬 더 정밀하게 정의하고(define) 있음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43.htm <----- 필독 권유

게시자 주: 그리고,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이 글을 포함하여, "하느님의 아들들", "하느님의 아들", 그리고 "하느님의 아드님" 등의 칭호(titles)들에 대한 그동안의 졸글들 모두를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sons_of_God.htm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125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