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다해-II_부록5] [필독] 하느님의 나라 -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 교리 교육 1988.04.27. 869_KH_JPII [하늘나라_요한바오로2세]

인쇄

1988.04.27. [116.122.103.*]

2010-01-10 ㅣ No.904

 

+ 찬미 예수 

 

아래의 번역문은 1992년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초판 발행이 있기 몇년 전인 1988년에 주신, "하느님의 나라", "하늘 나라", 그리고 "가톨릭 교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교리 교육 강론 말씀입니다.
 
이 글은 가톨릭 교회가 전통적으로, 마태오 복음서에서 언급되고 있는 "하늘 나라"가 사실은 "가톨릭 교회"라고 가르쳐 왔고 또 지금도 가르치고 있음을 국내의 가톨릭 교우님들께서 분명하게 이해하시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마련한 번역문들 중의 하나이오니, 지상에서 펼쳐지는 구원의 여정에 있어 핵심인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을 여태 모르고 계셨던 교우님들께서는,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아래의 글을 차분히 차근 차근 잘 읽어 보실 것을 강력하게 요청합니다.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 보면 생각보다도 많은 가톨릭 교우님들이 강생하신 성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 가르침에 대한 교도권의 전통적 해석에 대하여 모르고 계시는 듯하여, 개인적으로 상당히 우울합니다.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와 "천당(heaven, 하늘)"의 차이점에 대하여, 그리고 예수 재림의 날까지의 "가톨릭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바로 그 "하늘 나라(천국, kingdom of heaven)"임에 대하여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는 우리말로 번역된 자료들이 별로 없는 듯 하며, 심지어 굿뉴스 제공 가톨릭 대사전 및 용어 사전에도 잘못 언급하고 있기에, 누구나 손쉽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매우 고통스럽지만 부득불, 우선적으로, 이 가르침을 주시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강론말씀들 몇 개를, 향후 약 한 달 동안, 시리즈의 형식으로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릴 계획입니다.
 
다음의 번역문은,
지금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88년 4월 27일자 강론 말씀입니다.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전체 일반 알현 강론 말씀들 중에서 약 17개 정도이 하늘 나라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가르침들인데, 이번의 글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12개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올려드렸습니다. 주변의 분들에게 이 중요한 신앙적 진실/사실을 많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하시면 그동안 이 하늘 나라를 제대로 인식하기 위하여 제가 올려드린, 그리고 앞으로 제가 올려드릴, 글들을 손쉽게 읽으실 수 있겠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관한 졸글들의 전체 모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John_Paul_II4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주: 하늘 나라에 대한 직접적인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강론 말씀 모음]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question_and_answer <----- 접속한 후에 살펴보세요   

[주: 저의 졸글들을 모아두는,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인터넷 주소]

 

제가 올려드리는 글들을 읽어 보라고 권고하실 때에, 위의 주소들을 함께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The Kingdom of God

General Audience — April 27, 1988

 출처: The Kingdom of God


하느님의 나라

일반 알현 - 1988년 4월 27일
요한 바오로 2세

 

"This is the time of fulfillment.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Repent, and believe in the Gospel" (Mk 1:15). Jesus Christ was sent by the Father "to preach good news to the poor" (Lk 4:18). He was—and remains—the first messenger of the Father, the first evangelizer, as we said in last week's reflection, quoting the words of Paul VI in Evangelii Nuntiandi. Rather Jesus not only announced the Gospel, the Good News, but he himself is the Gospel (cf. EN 7).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마르코 복음서 1,15).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기 위하여”(루카 복음서 4,18) 성부에 의하여 파견되셨습니다. 우리가 지난주 묵상에서 ‘현대의 복음 선교(Evangelii Nuntiandi)’에 있는 바오로 6세 교황의 말씀들을 인용하면서 말하였듯이, 당신께서는 성부의 첫 전령인, 첫 복음 선포자이셨으며 그리고 그렇게 머무르고 계십니다. 오히려 예수님께서는 복음, 즉 좋은 소식을 선포하셨을 뿐만이 아니라, 또한 당신 자신이 바로 복음이십니다(EN 7을 참조하라).

In the whole of his mission, by means of all that he did and taught, and finally by his cross and resurrection, he "reveals man to man" (GS 22), and opens up to him the perspectives of that happiness to which God has called and destined him from the beginning. The message of the beatitudes sums up the program of life proposed to those who would follow the divine call. It is the synthesis of the whole Gospel ethos linked to the mystery of redemption.

 

당신의 임무 전체에 있어, 당신께서 행하셨으며 그리고 가르치셨던 모든 것들에 의하여(by means of), 그리고 최종적으로 당신의 십자가 수난과 부활로써, 당신께서는 “사람 대 사람으로 드러내시며”(GS 22), 그리고, 한 처음부터 거기로 하느님께서 사람을 부르셨으며 그리고 예정하셨던, 바로 그 행복에 대한 전망(perspective)들을 사람에게 개방하십니다. 참 행복들로 이루어진 이 메시지는, 하느님의 이 부르심을 따르고자 하는 자들에게 제안되는, 생명에 대한 프로그램을 요약합니다. 이것은 (당신의) 속량 신비(the mystery of redemption)로 연결 되어 있는 복음 정신 전체의 종합입니다.

Christ's mission consists above all in the revelation of the Good News (Gospel) addressed to humanity. It is aimed at the human person and in this sense it can be called "anthropocentric"; but at the same time it is deeply rooted in the truth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announcement of his kingdom which is at hand: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believe in the Good News" (Mk 1:15).

 

그리스도의 임무는 무엇보다도 인류에게 직접 전달되고 있는(addressed to) 이 좋은 소식(복음)을 드러냄에 있습니다. 이것은 인간의 인격(human person)을 위하여서이며 그리고 이러한 의미로 이것은 “인간 중심적(anthropocentric)”이라고 불릴 수 있으나, 그러나 동시에 이것은, 가까이 와 있는 당신의 나라에 대한 선포에, 하느님의 나라에 대한 진리에, 깊숙이 뿌리박혀 있습니다: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 ... 복음을 믿어라”(마르코 복음서 1,15).

 

This then is "the Gospel of the kingdom." Its reference to humanity, which can be seen in the entire mission of Christ, is rooted in a "theocentric" dimension which is accordingly called the kingdom of God. Jesus announced the Gospel of this kingdom, and at the same time he made present the kingdom of God in the whole unfolding of his mission. By it, the kingdom is born and develops already in time, as a seed inserted in human history and of the world. This realization of the kingdom comes about by means of the Gospel word and the whole earthly life of the Son of Man which was crowned in the paschal mystery with the cross and resurrection. With his "obedience unto death" (Phil 2:8), Jesus began a new phase of the economy of salvation, whose process will end when God will be "all in all" (1 Cor 15:28). Therefore the kingdom of God has truly begun to be realized in the history of humanity and of the world, even though in the earthly course of human life one continually meets and comes up against another fundamental term of the historical dialectic, namely, the "disobedience of the first Adam," who subjected himself to the "ruler of the world" (cf. Rom 5:19; Jn 14:30).

 

이것은 그래서 “이 나라에 대한 복음”을 말합니다. 그리스도의 임무 전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인류에 대한 이것의 언급은, 결과적으로 하느님 나라로 불리는, 하나의 “하느님 중심적(theocentric)” 차원에 뿌리박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나라에 대한 복음을 선포하셨으며, 그리고 동시에 당신께서는 당신의 임무의 드러남 전체에 있어 하느님 나라를 현존하게 하셨습니다. 이 복음에 의하여, 이 나라는 태어나며 그리고, 인간의 역사 안에 그리고 이 세상의 역사 안에 끼워 넣어진(inserted) 한 개의 씨앗으로서, 시간 안에서 이미 발육하고 있습니다. 이 나라의 이러한 실현은 복음 말씀에 의하여 그리고, 당신의 십자가 수난 및 부활과 함께 파스카 신비 안에서 왕위에 앉혀졌던, 사람의 아들의 지상에서의 삶 전체에 의하여 이루어집니다(comes about). 당신의 “죽음에 이르기까지 순종”(필리피 2,8)과 함께, 예수님께서는 구원 경륜의 새 단계를 시작하셨는데, 이 경륜의 과정은 하느님께서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1코린토 15,28)일 때에 비로소 끝날 것입니다. 그러므로 비록 지상에서의 인간의 삶의 과정에서 사람이 지속적으로 역사적 대립(dialectic), 즉, 자기 자신을 “이 세상의 우두머리”에게 종속시켰던(로마 5,19; 요한 복음서 14,30을 참조하라) “첫 아담의 불순종”이라는 또 다른 타고난 한계(fundamental term)에 마주치며 그리고 이에 대항한다고 하더라도, 하느님의 나라는 인류의 역사 안에서 그리고 이 세상의 역사 안에서 실현되기 시작하였습니다.

Here we touch the central problem and, as it were, the critical point of the accomplishment of the mission of Christ, Son of God, in history. This is a question to which we shall have to return at a later stage of our catechesis. Whereas in Christ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and indeed present in a definitive way in the history of humanity and of the world, yet at the same time its fulfillment continues to belong to the future. This is why Jesus commanded us to pray to the Father: "Thy kingdom come" (Mt 6:10).

 

여기에서 우리는 중심 문제를 그리고, 말하자면, 역사에 있어 하느님의 아드님이신 그리스도의 임무의 성취에 대한 임계점(critical point)에 접합니다(touch). 이것은 우리의 교리 교육의 나중 단계(later stage)에 우리가 되돌아 올 한 개의 질문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와 있으며,” 그리고 실제로 인류의 역사 안에 그리고 이 세상의 역사 안에 결정적인 방식으로 현존하고 있는 반면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그 구현(fulfillment)은 계속하여 미래에 속합니다. 이것이 바로 예수님께서 우리로 하여금 성부께 “아버지의 나라가 오게 하시며”(마태오 복음서 6,10)라고 기도하라고 명령하신 이유입니다.

We must bear this question in mind while considering Christ's Gospel as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of God. This was the guiding theme of the announcement of Jesus, who especially in his numerous parables spoke of God's kingdom. Particularly significant is the parable which compares the kingdom of God to a seed, which the sower plants in the earth cultivated by him (cf. Mt 13:3-9). The seed is destined "to produce fruit" by its interior power, undoubtedly, but the fruit depends also on the ground in which the seed is planted (cf. Mt 13:19-23).

 

우리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이 하느님 나라에 대한 “좋은 소식”으로 생각하는 동안에, 이 질문을 마음에 간직하고 있어야만 합니다. 이것은, 특히 당신의 수많은 비유들에서 하느님 나라에 대하여 말씀하셨던, 예수님의 선포의 지표가 되는 주제(guiding point)였습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하느님의 나라를 한 개의 씨앗에 비교하는 비유인데, 씨 뿌리는 사람은 자신에 의하여 경작된 흙에 이 씨앗을 뿌립니다(마태오 복음서 13,3-9를 참조하라). 이 씨앗은, 의심할 여지없이, 그 내면적 힘에 의하여 “열매를 산출하도록” 예정되어 있으나, 그러나 그 열매는 또한 이 씨앗이 뿌려지는 땅(the ground)에 달려 있습니다(마태오 복음서 13,19-23을 참조하라).

On another occasion Jesus compared the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heaven," according to Matthew) to a grain of mustard seed. This "is the least of all seeds," but when it has grown it becomes a leafy tree, and the birds of the air find refuge on its branches (cf. Mt 13:31-32). Again, he compared the growth of the kingdom of God to "leaven" which ferments the dough so that it becomes bread for human food (cf. Mt. 13:33). However, Jesus devoted another parable to the growth of the kingdom of God in this world. It is that of the good seed and the darnel weed, scattered by the enemy on the field sown with good seed (cf. Mt 13:24-30). Thus in the field of the world the good and the bad, symbolized by the good seed and the darnel, grow together "until the harvest time," that is, until the day of divine judgment. This is a further significant allusion to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 of human history. In any event Jesus gives us to understand that the growth of the seed which is the "word of God," is conditioned by its reception in the field of human hearts. On this depends whether it bears fruit and "yields a hundred or sixty or thirtyfold" (Mt 13:23), according to the dispositions and reactions of those who receive it.

 

다른 경우에서 예수님께서는 하느님 나라(마태오에 따르면 “하늘 나라”)를 겨자씨 한 알에 비교하셨습니다. 이 씨앗은 “모든 씨앗들 중에서 가장 작으나” 그러나 이것이 자란 후에는 잎이 많은 나무가 되어, 그리하여 하늘의 새들이 그 가지들에 은신처를 발견합니다(마태오 복음서 13,31-32). 또 다시, 당신께서는 이 하느님 나라의 성장을 “누룩”에 비교하셨는데, 누룩은 빵 반죽을 발효시켜 그 결과 이 빵 반죽은 사람의 음식을 위한 빵이 됩니다(마태오 복음서 13,33을 참조하라).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또 다른 비유를 이 세상에서 하느님 나라의 성장에 제공하셨습니다(devoted). 그것은 바로 좋은 씨앗과 그리고, 좋은 씨앗으로 씨 뿌려진 밭에 원수에 의하여 뿌려진, 독보리(darnel) 씨앗에 대한 비유입니다(마태오 복음서 13,24-30을 참조하라). 따라서 이 세상이라는 밭에, 좋은 씨앗과 독보리에 의하여 상징되는, 좋은 사람들과 좋지 않은 사람들은 “추수할 때까지”, 즉 하느님의 심판의 날까지, 함께 자랍니다. 이 비유는 인간 역사의 종말론적 관점에 대한 한층 더 중요한 암시(allusion)입니다. 아무튼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하느님의 말씀”인 이 씨앗의 성장이 인간 본심들이라는 밭에서 그 받아들임에 따라 좌우됨을 이해하게 하십니다. 이 씨앗을 받아들인 자들의 성향(the dispositions)들과 반응(reactions)들에 따라, 이 씨앗이 열매를 맺어 “백배 혹은 예순 배 혹은 서른 배를 내느냐”(마태오 복음서 13,23) 혹은 그렇지 않으냐가 달려 있습니다.

In his announcement of the kingdom of God, Jesus informed us that it is not destined for one nation only, or merely for the "chosen people." Many will come "from the east and the west" and "recline with Abraham, Isaac and Jacob" (cf. Mt 8:11). Indeed, it is not a kingdom in the temporal and political sense. It is not "of this world" (cf. Jn 18:36), although it is found in the midst of "this world" and herein it must develop and grow. For this reason Jesus fled from the crowd that wished to make him king. ("Since Jesus knew that they were going to come and carry him off to make him king, he withdrew again to the mountain alone," Jn 6:15). On the eve of his passion, in the upper room, he prayed to his Father to grant his disciples to live according to that same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I do not ask that you take them out of the world, but that you keep them from the evil one. They do not belong to the world, any more than I belong to the world" (Jn 17:15-16). Again, according to Jesus' teaching and prayer, God's kingdom must grow in the hearts of the disciples "in this world"; however, it will be fulfilled in the world to come, "When the Son of Man will come in his glory...and all the nations will be assembled before him" (Mt 25:31-32). It is always in an eschatological perspective!

 

하느님 나라에 대한 당신의 선포에서,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이 나라가 단지 하나의 민족을 위하여, 즉 단순히 “선택된 백성”만을 위하여, 예정된 것이 아님을 알려주셨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동쪽과 서쪽에서 모여 와” 그리하여 “아브라함과 이사악과 야곱과 함께 자리 잡을 것입니다”(마태오 복음서 8,11을 참조하라). 실제로, 이 나라는 세상 풍조에 따르는 그리고 정치적인 의미에서의 어떤 나라가 아닙니다. 이 나라는, 비록 “이 세상” 가운데에 세워져 그리고 여기에서 발전하고 성장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 세상의” 것이 아닙니다(요한 복음서 18,36을 참조하라). 바로 이 이유 때문에 예수님께서는 당신을 임금으로 삼기를 원하였던 군중으로부터 몸을 피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이 와서 당신을 억지로 모셔다가 임금으로 삼으려 한다는 것을 아시고, 혼자서 다시 산으로 물러가셨다.”(요한 복음서 6,15)]. 당신의 수난 전날 밤에, 이층 방에서, 당신께서는 당신의 제자들이 하느님 나라에 대한 다음과 같은 꼭 같은 이해에 따라 살아가는 것을 당신의 성부께서 허락해 주실 것을 기도하셨습니다: “이들을 세상에서 데려가시라고 비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악에서 지켜주십사고 빕니다. 제가 세상에 속하지 않은 것처럼 이들도 세상에 속하지 않습니다”(요한 복음서 17,15-16). 또 다시, 예수님의 가르침과 기도에 따라, 하느님의 나라는 “이 세상 안에서” 제자들의 본심들 안에서 자라야만 합니다만, 그러나, “사람의 아들이 영광에 싸여 ... 그리고 모든 민족들이 사람의 아들 앞으로 모일”(마태오 복음서 25,31-32) 때인, 앞으로 올 세상 안에서 구현될 것입니다. 이 나라는 항상 종말론적 관점 안에 존재합니다!

We can complete the notion of the kingdom of God announced by Jesus by emphasizing that it is the kingdom of the Father to whom Jesus taught us to turn in prayer in order to obtain its coming, "Thy kingdom come" (Mt 6:10; Lk 11:2). The heavenly Father in his turn offers humanity (through Christ and in Christ) the pardon of their sins and salvation. Full of love he awaits their return, as the father in the parable awaits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cf. Lk 15:20-32), because God is truly "rich in mercy" (Eph 2:4).

 

우리는 예수님에 의하여 선포된 하느님 나라라는 개념을, 이 나라가, 그 도래를 획득하기 위하여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기도 중에 “당신의 나라가 오게 하시며”(마태오 복음서 6,10; 루카 복음서 11,2)라고 하면서 성부께 향할 것을 가르치셨던, 바로 그 성부의 나라임을 강조함으로써, 달성할(complete) 할 수 있습니다. 하늘에 계신 성부께서는 당연한 순서로(in his turn) 인류에게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들의 죄들에 대한 사면과 구원을 약속하십니다. 사랑으로 가득 찬 상태로 당신께서는, 비유에서 방탕한 아들의 돌아옴을 기다리고 있었던 아버지처럼(루카 복음서 15,20-32를 참조하라), 이들의 돌아옴을 기다리고 계시는데, 이는 하느님께서는 진실로 “자비가 풍성한”(에페소 2,4)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The whole gospel of conversion announced by Jesus from the beginning is situated in this light. "Repent, and believe in the Good News!" (Mk 1:15). Conversion to the Father, to the God who "is love" (1 Jn 4:16), is linked to the acceptance of love as a "new" commandment: love of God, "the greatest and the first commandment " (Mt 22:38), and love of neighbor, "like to the first" (Mt 22:39). Jesus said, "I give you a new commandment: love one another. As I have loved you, so you also should love one another" (Jn 13:34). Here we are at the heart of the "kingdom of God" in humanity and in history. In this way the whole law, that is, the ethical heritage of the old covenant, must be fulfilled, and must reach its divine-human fullness. Jesus himself said so in the Sermon on the Mount: "Do not think that I have come to abolish the law or the prophets. I have come not to abolish but to fulfill" (Mt 5:17).

 

그 처음부터 예수님에 의하여 선포되었던 회심(conversion)에 대한 전체 복음은 다음의 관점 안에 놓여 있습니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마르코 복음서 1,15). 성부에게로의 회심, “사랑이신” 하느님에게로의 회심(1 요한 복음서 4,16)은 다음과 같이 ‘새로운’ 계명으로서 사랑을 받아들임에 관련이 됩니다: “가장 크고 첫째가는 계명”인 하느님에 대한 사랑(마태오 복음서 22,38), 그리고 “첫째처럼” 이웃에 대한 사랑(마태오 복음서 22,39). 예수님께서는 “내가 너희에게 새 계명을 준다. 서로 사랑하여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여라.”(요한 복음서 13,34)고 말씀하셨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인류에 있어 그리고 역사에 있어 “하느님 나라”의 핵심에 와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율법, 즉 옛 계약의 윤리적 유산은 구현되어야 하며, 그리고 그 신인의 충만(divine-human fullness)에 도달하여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산상 설교에서 몸소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율법이나 예언서들을 폐지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마라. 폐지하러 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완성하러 왔다.”(마태오 복음서 5,17).

If anything, he frees the human person from the "letter of the Law," to introduce him into its spirit, since, as St. Paul says, "the letter brings death, but the Spirit gives life" (2 Cor 3:6). Fraternal love, as a reflection and participation of God's love, is therefore the animating principle of the New Law, which is as it were the constitutional basis of God's kingdom (cf. Summa Theol., I-II, q. 106, a 1; q. 107, aa. 1-2).

 

심지어 이와는 대조적으로, 당신께서는 인간의 인격(human person)을, 모세 율법의 정신 안으로 처음으로 이끌어 들이고자, ‘모세 율법의 문자’로부터 자유롭게 하시는데, 이는, 성 바오로가 말하듯이, “문자는 사람을 죽이고 성령은 사람을 살리기”(2코린토 3,6)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느님 사랑의 반사 및 하느님 사랑의 관여로서, 형제의 사랑(fraternal love)은 새 율법(the New Law)의 고무적인 원리인데, 이 원리는 말하자면 하느님 나라의 구조상의 기초(the constitutional basis)입니다 (cf. Summa Theol., I-II, q. 106,a 1; q. 107, aa. 1-2).

 

Among the parables in which Jesus used similes and allegories in his preaching on God's kingdom, there is one of a king "who prepared a wedding feast for his son" (Mt 22:2). The parable tells that many of those invited declined the invitation, finding various excuses and pretexts for their absence. The king then had his servants call in people from the streets to sit at his table. However, among those who came, not all showed themselves worthy of the invitation, because they were without the prescribed "wedding garment."

 

하느님 나라에 대한 당신의 설교에 있어 예수님께서 직유들과 풍유들을 사용하셨던 비유들 중에서,  “자기 아들의 혼인 잔치를 베푼”(마태오 복음서 22,2) 임금에 대한 비유가 하나 있습니다. 이 비유는 초대 받았던 자들의 다수가, 자신들이 참석하지 못함에 대한 다양한 핑계들 및 구실들을 찾아내어, 이 초대를 사양하였음을 이야기합니다. 그러자 그 임금은, 자신의 식탁에 앉게 하고자, 자신의 종들로 하여금 거리로부터 사람들을 불러 오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참석하였던 사람들 사이에서, 모두가 자신이 이 초대에 합당함을 보이지는 못하였는데, 이는 그들이 미리 정해진 ‘혼인 예복’을 입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This parable of the wedding feast, compared with that of the sower sowing the seed, leads us to the same conclusion: if not all the invited guests will take their place at the wedding feast, nor all the seeds produce a harvest, this depends on the dispositions with which one responds to the invitation or receives the seed of God's word in one's heart. It depends on the way we receive Christ who is the sower, and also the king's son and the bridegroom, as he frequently presented himself: "Can the wedding guests fast while the bridegroom is with them?" (Mk 2:19). He asked this on one occasion when questioned in reference to the austerity of John the Baptist. He himself supplied the answer: "As long as they have the bridegroom with them, they cannot fast" (Mk 2:19).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와 비교되는, 바로 이 혼인 잔치의 비유는 우리를 다음과 같은 꼭 같은 결론에 이르게 합니다: 초대받은 손님들 모두가 이 혼인 잔치에서 자신의 자리를 차지하지 못한다면, 그리고 또한 씨앗들 모두가 수확을 산출하지 못한다면, 이것은, 사람이 그것으로써 이 초대에 응답하는 혹은 자신의 본심에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들이는, 바로 그 성향(dispositions)들에 달려 있습니다. 이것은, 씨 뿌리는 사람인 그리스도를 우리가 받아들이는 방식, 그리고 또한, 당신께서 자주 “혼인 잔치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는 동안에 단식할 수야 없지 않으냐?”(마르코 2,19)라고 하시면서 당신 자신을 제시하셨듯이, 임금의 아들과 신랑을 받아들이는 방식에 달려 있습니다. 당신께서는 세례자 요한의 내핍 생활(austerity)에 관하여 질문을 받으셨던 시기에 한번(on one occasion when) 이것을 물어 보셨습니다(asked). 당신 몸소 다음과 같이 답변을 제공하셨습니다: “신랑이 함께 있는 동안에는 단식할 수 없다.”(마르코 복음서 2,19).

 

God's kingdom is therefore like a wedding feast, to which the heavenly Father invites all who are in communion of love and joy with his Son. All are called and invited to it, but each one is responsible for accepting or refusing the invitation, for his conformity or lack of conformity with the law regulating the feast.

 

그러므로 하느님의 나라는 혼인 잔치 같은데, 거기로 하늘에 계신 성부께서는 당신의 아드님과 사랑과 기쁨에 의한 하나 됨(communion, 통공)에 있는 모든 사람들을 초대하십니다. 모든 사람들은 거기로 불리어 초대 받습니다만, 그러나 각자는 이 초대를 받아들이거나 혹은 거부하는 데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며, 자신이 이 잔치를 규제하는 법을 따르거나 혹은 따르지 않는 데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This is the law of love. It derives from divine grace in those who welcome and observe it by living Christ's paschal mystery. It is a love which is realized in history, notwithstanding every refusal on the part of the invited, and notwithstanding their unworthiness. On the Christian there smiles the hope that love will triumph in all the "invited," precisely because the paschal measure of the bridegroom's love is the cross. Its eschatological perspective is opened in history by Christ's resurrection. Through him the Father "has delivered us from the power of darkness and transferred us to the kingdom of his beloved Son (cf. Col 1:13). If we yield to the call and attraction of the Father, in Christ we all have redemption and eternal life.

 

이것은 사랑의 율법(the law of love)입니다.  이 율법은,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를 실천함으로써 이 율법을 환영하고 준수하는 사람들에게 있는, 하느님의 은총으로부터 유래합니다. 이것은, 초대받은 자들 측의 온갖 거부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그들의 자격 없음에도 불구하고, 역사 안에서 실현되는 단 하나의 사랑(a love)입니다. 거기서 그리스도인들에게 희망(hope)은, 사랑이 ‘초대받은’ 자들 모두에게 승리를 거둘 것임을, 웃음으로써 나타내는데, 이는 이 신랑의 사랑에 대한 파스카 조치(paschal measure)가 바로 당신의 십자가 수난(the cross)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에 대한 종말론적 전망은 그리스도의 부활에 의하여 역사 안에서 열려 있습니다. 당신을 통하여 성부께서는 “우리를 어둠의 권세에서 구해 내시어 당신께서 사랑하시는 아드님의 나라로 옮겨 주셨습니다.”(cf. 콜로새 1,13). 우리가 성부의 이 부르심과 끌어당기심에 항복하면(yield to),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 모두는 속량(redemption)과 영원한 생명을 가집니다.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6시간

 



1,108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