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증오(憎惡, hatred)의 정의(definition) [교리용어_증오] [성경용어_증오] 969_토미즘학습

인쇄

. [39.118.118.*]

2013-03-12 ㅣ No.1350


+ 찬미 예수님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hatred(증오)"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3870

(발췌 시작)
HATRED

증오(hatred)

A voluntary act by which someone or something is regarded with bitter aversion. On the first level hatred is directed against either God or some rational being; on the second level it is directed against some quality in another but without hatred of the individual personality.

그것에 의하여 다른 사람 혹은 다른 사물이 격렬한 반감/싫음(bitter aversion)과 함께 대하게 되는, 어떤 자발적인 행위를 말합니다. 그 첫 단계에서 증오는 하느님 혹은 어떤 이성적 있음(rational being) 이들 둘 중의 하나에 반하여 향하게 되고, 그리고 두 번째 단계에서 증오는 다른 이에게 있는 어떤 정성/질(quality)에 반하여, 그러나 해당 개인의 인격성(personality)에 대한 증오 없이, 향하게 됩니다. 

Personal hatred of God may take the form of disgust, when a person detests God because he punishes sinners. It is a grave sin because it is contrary to the justice of God. Another form is the hatred of enmity, when a person actually wished evil to God. Such hatred is of its nature diabolical, and is the most grievous of all sins, since it approximates the enmity that the devils have against God.
 
하느님에 대한 인격적 증오(personal hatred)는, 한 인격(a person)이, 하느님께서 죄인들을 벌하시기에. 하느님을 몹시 싫어할 때에, 역겨움/질색(disgust)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오는 한 개의 중대한 죄인데 왜냐하면 그것이 하느님의 의로움/정의(justice)에 상반하기 때문입니다. 또다른 형식은, 한 인격이 하느님을 향하여 현실태적으로(actually) 악(evil)을 바랐을(wished) 때인, 적의(enmity)라는 증오입니다. 그러한 증오는, 그 본성에 있어, 악마에 기인하며(diabolical), 그리하여 그것은 모든 죄들 중에서 가장 중대한 죄인데, 이는 이 증오가 마귀(devils)들이 하느님에 반하여 가지는 적의에 접근하기(approximates) 때문입니다.

Personal hatred of a human being is the direct opposite of the virtue of love. Where love inspires a person to wish well to another, hatred arouses the desire to do harm or have harm befall the one hated, not as a source of possible good, but precisely as evil. The gravity of such sins of personal hatred depends on how serious the harm wished or intended, and on how deliberately the malicious desires are harbored.

한 인간(a human being)에 대한 인격적 증오(personal hatred)사랑(love)이라는 덕(virtue)[즉, 애덕(그리스도인의 사랑, charity, caritas, agape, Christian love)]에 직접적으로 반합니다.(*) 사랑(love)이 한 인격에게 다른 이가 선량하게 되는 것을 바라도록(to wish well) 고무하는(inspires) 반면에, 증오(hatred)는, 가능한 선(possible good)의 어떤 원천으로서가 아니라, 정확하게(precisely) 악(evil)으로서, 증오하게 된 당사자를 해치고자 혹은 증오하게 된 당사자에게 위해(危害, harm)가 들이닥치게 하고자 하는 욕망(desire)을 야기시킵니다. 인격적 증오(personal hatred)라는 그러한 죄들의 중대성은, 바라게 된 혹은 의도하게 된 해당 위해(危害)가 얼마나 심각한지에, 그리하여 악의에 찬 욕망들이 얼마나 고의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에 마음 속에 품어졌는지(are harbored)에, 달려있습니다.

-----
(*) 번역자 주:
(1) 예를 들어, "인격들의 존엄성(the dignity of persons)"에 대하여 가르치고 있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33항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c1933.htm

(2) 지금 이 글에서 주어지고 있는 "증오(personal hatred)"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 주어진 설명을 바탕으로 하여, "너"와 "나"의 구분에 의한 더 구체적인 용례를 제시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53.htm
-----

Hatred or a quality in someone may be either sinful or not. If the hatred is directed only toward some evil quality that a person has, but does not touch that person, it is not sinful. It becomes sinful only if the hatred extends to the person who has some admittedly evil trait or sinful habit. Moreover, it becomes specially sinful when the hatred is directed at some virtue that a person possesses, even when the enmity does not extend to the individual personally.

어떤 자(someone)에게 있어 증오(hatred) 혹은 한 정성/질(a quality)은 죄가 있거나(sinful) 혹은 죄가 있지 않거나 둘 중의 하나입니다. 만약에 해당 증오가 한 인격(a person)이 가지고 있는 어떤 악한 정성/질(some evil quality)을 오로지 향하고 있는 것이지, 바로 그 인격을 건드리지 않는다면, 그러한 증오는 죄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증오는 오로지, 해당 증오가 스스로 인정하는 바와 같이(admittedly) 악의 특성(trait) 혹은 죄가 있는 습관(sinful habit)을 가진, 해당 인격을 향하여 뻗칠(extends to) 때에만(only if), 죄가 있게 되는 것이 가능합니다. 더구나, 증오는 특히(specially), 비록 해당 적의(the enmity)가 인격적으로 해당 개인을 향하여 뻗치지 않을 때라고 하더라도, 해당 증오가 한 인격이 소유하고 있는 어떤 덕(some virtue)을 향하고 있을 때에, 죄가 있게 됩니다.

-----
(*) 번역자 주: 예를 들어,  "인격의 존엄성"에 대하여 가르치고 있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33항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c1933.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hatred"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을 요약한 것으로 보인다:
http://www.newadvent.org/cathen/07149b.htm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107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