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교황 프란치스코: 예루살렘 순례 중 위층 방 미사 강론 전문 2014.05.26

인쇄

. [218.55.90.*]

2014-05-28 ㅣ No.1550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찬미 예수님!

 

다음은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최근 사흘 동안의 예루살렘 순례 중에 마지막 날인 2014년 5월 26일 예루살렘 시온 산쪽에 위치한 위층 방(the Upper Room, 다락방)에서 거행되었던 미사 중의 교황님의 강론 말씀 전문입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에 있어 이 위층 방에서 예수님, 당신의 사도들 께서 어떠한 일들을 하셨는지를 상기시키는 내용입니다: 

 

출처: http://w2.vatican.va/content/francesco/en/homilies/2014/documents/
papa-francesco_20140526_terra-santa-omelia-jerusalem.html

 

(발췌 시작)

PILGRIMAGE TO THE HOLY LAND ON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MEETING BETWEEN POPE PAUL VI AND PATRIARCH ATHENAGORAS IN JERUSALEM

(24-26 MAY 2014)

HOLY MASS WITH THE ORDINARIES OF THE HOLY LAND
AND THE PAPAL ENTOURAGE

성지 보통 사람들 및 교황 측근자와 함께 하는 거룩한 미사

 

HOMILY OF POPE FRANCIS

교황 프란치스코의 강론

 

The Upper Room (Jerusalem)
Monday, 26 May 2014

Video

 

It is a great gift that the Lord has given us by bringing us together here in the Upper Room for the celebration of the Eucharist. I greet you with fraternal joy and I wish to express my affection to the Oriental Catholic Patriarchs who have taken part in my pilgrimage during these days. I want to thank them for their significant presence, particularly dear to me and I assure them of a special place in my heart and in my prayers. Here, where Jesus shared the Last Supper with the apostles; where, after his resurrection, he appeared in their midst; where the Holy Spirit descended with power upon Mary and the disciples, here the Church was born, and she was born to go forth. From here she set out, with the broken bread in her hands, the wounds of Christ before her eyes, and the Spirit of love in her heart.

 

주님께서 성찬례 경축을 위하여 여기 이 위층 방 안에 우리를 함께 불러모으심으로써 우리에게 이미 마련해 주셨던 것은 한 개의 커다란 선물입니다. 저는 여러분들을 형제의 기쁨(fraternal joy)과 함께 환영하며 그리고 저는 요즈음에 저의 순례에 참여해 주셨던 동방 가톨릭 총대주교님들께 저의 애착(affection)을 표현하기를 원합니다. 저는, 특히 저에게 소중한 그분들의 의미 있는 참석에 대하여 감사들 드리고자 하며 그리고 제 심장(heart) 안에 그리고 저의 기도들 안에 있는 한 특별한 자리에 대하여 저는 그분들께 확신합니다. 여기는, 예수님께서 사도들과 함께 최후의 만찬을 함께 하셨던 장소이며, 그리고, 당신의 부활 후, 그분께서는 그들 가운데에 나타나셨던 장소이고, 그리고 성령께서 힘과 함께 마리아와 제자들에게 강림하셨던 장소이며, 여기서 교회가 태어나게 되었고, 그리고 교회는 앞으로 나아가도록(go forth) 태어났습니다. 여기로부터 교회는, 교회의 손들 안에 있는 쪼개어진 빵, 교회의 눈들 앞에 그리스도의 상처들, 그리고 교회의 심장 안에 있는 사랑의 거룩한 영과 함께, 시작하였습니다(set out).

 

In the Upper Room, the risen Jesus, sent by the Father, bestowed upon the apostles his own Spirit and with his power he sent them forth to renew the face of the earth (cf. Ps 104:30).

 

이 위층 방에서, 성부에 의하여 파견되신 부활하신 예수님께서는 사도들 위에 자신 고유의 거룩한 영을 수여하셨으며 그리고 당신 고유의 힘(power)과 함께 당신께서는 이 땅의 얼굴을 다시 새롭게 하기 위하여(시편 104,30 참조)(*) 그들을 내보내셨습니다.

 

-----

(*) 번역자 주: 시편 104,30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성령 강림 대축일 화답송(시편 104,1+24.29-30.31+34)에서 미사 성제 중에 듣게 된다.

-----

 

To go forth, to set out, does not mean to forget. The Church, in her going forth, preserves the memory of what took place here; the Spirit, the Paraclete, reminds her of every word and every action, and reveals their true meaning.

 

앞으로 나아가는 것, 출발하는 것은 잊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교회는, 자신의 앞으로 나아감에 있어, 여기서 일어났던 바에 대한 기억(memory)을 보존하고 있으며, 그리고 보호자(the Paraclete)이신 거룩한 영(the Sprit)께서는 모든 말씀, 모든 행동에 대하여 교회에게 상기시키시며, 그리고 그들의 참된 의미를 드러내십니다.

 

The Upper Room speaks to us of service, of Jesus giving the disciples an example by washing their feet. Washing one another’s feet signifies welcoming, accepting, loving and serving one another. It means serving the poor, the sick and the outcast, those whom I find difficult, those who annoy me.

 

이 위층 방은 봉사(service)에 대하여,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그들의 발들을 씻기심으로써 한 모범(an example)을 보여주시는 것에 대하여 우리에게 말합니다. 서로의 발들을 씻는 행위는 서로을 환영하는 행위, 받아들이는 행위, 서로를 사랑하는 행위(loving) 그리고 돌보는 행위(serving)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내가 어려움을 발견하는 자들, 나를 성가시게 구는 자들인, 가난한 이들, 병자들 그리고 버림받은 자들을 돌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 Upper Room reminds us, through the Eucharist, of sacrifice. In every Eucharistic celebration Jesus offers himself for us to the Father, so that we too can be united with him, offering to God our lives, our work, our joys and our sorrows… offering everything as a spiritual sacrifice.

 

이 위층 방은, 성체성사를 통하여, 희생(sacrifice)에 대하여 우리에게 상기시킵니다. 모든 성찬례 경축에 있어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위하여 당신 자신을 성부께 봉헌하시는데, 그리하여 그 결과 우리 또한, 하느님께 우리의 삶들, 우리의 일, 우리의 기쁨들과 우리의 슬픔들을 봉헌함으로써, 그분과 결합될(united) 수 있습니다.

 

The Upper Room also reminds us of friendship. “No longer do I call you servants – Jesus said to the Twelve – but I have called you friends” (Jn 15:15). The Lord makes us his friends, he reveals God’s will to us and he gives us his very self. This is the most beautiful part of being a Christian and, especially, of being a priest: becoming a friend of the Lord Jesus, and discovering in our hearts that he is our friend.

 

이 위층 방은 우의(友誼, friendship)에 대하여 우리에게 또한 상기시킵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열두 명들에게 "나는 너희를 더 이상 종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 나는 너희를 친구라고 불렀다 " (요한 15,15)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주님께서는 우리를 당신의 친구들로 삼으시고, 당신께서는 하느님의 뜻을 우리에게 드러내셨으며 그리고 단신께서는 우리에게 당신의 바로 자신을 내어주셨습니다. 이것은, 주님이신 예수님의 한 명의 친구가 됨으로써, 그리하여 당신께서 우리의 친구이심을 우리의 심장들 안에서 발견함으로써, 한 명의 그리스도인임에 있어서의 그리고, 특별히, 한 명의 사제임에 있어서의 가장 아름다운 부분입니다.

 

-----
(*) 번역자 주: 바로 이 요한 복음서 15,15를 인용하면서, "애덕(charity)" 이 우의(友誼, friendship)이라고 가르치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23 charity(애덕) 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65.htm

-----

 

The Upper Room reminds us of the Teacher’s farewell and his promise to return to his friends: “When I go… I will come again and will take you to myself, that where I am you may be also” (Jn 14:3). Jesus does not leave us, nor does he ever abandon us; he precedes us to the house of the Father, where he desires to bring us as well.

 

이 위층 방은 거룩한 스승님의 작별인사(farewell)와 당신의 친구들에게 돌아오실 것이라는 당신의 약속(promise)에 대하여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상기시킵니다: "내가 가서 ... 다시 와서 너희를 데려다가 내가 있는 곳에 너희도 같이 있게 하겠다." (요한 14,3).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떠나신 것도 아니고, 당신께서 우리를 포기하신 것도 전혀 아니며, 당신께서는, 거기로 우리를 또한 데려가기를 당신께서 욕망하시는, 성부의 집(the house of the Father) 쪽으로(to) 우리를 앞장서십니다(precedes).

 

The Upper Room, however, also reminds us of pettiness, of curiosity – “Who is the traitor?” – and of betrayal. We ourselves, and not just others, can reawaken those attitudes whenever we look at our brother or sister with contempt, whenever we judge them, whenever by our sins we betray Jesus.

 

이 위층 방은, 그러나, "누구가  반역자이지?" 라는 마음이 좁음( pettiness)에 대하여, 호기심(curiosity)에 대하여 그리고 배반(betrayal)에 대하여 우리에게 상기시킵니다. 단지 다른 이들만이 아니라, 우리 자신들은, 우리가 우리의 형제 혹은 자매를 경멸과 함께 바라볼 때마다, 우리가 그들을 판단할 때마다, 우리의 죄들에 의하여 우리가 예수님을 배반할 때마다, 바로 이러한 태도들을 다시 자각시킬(reawaken) 수 있습니다.

 

The Upper Room reminds us of sharing, fraternity, harmony and peace among ourselves. How much love and goodness has flowed from the Upper Room! How much charity has gone forth from here, like a river from its source, beginning as a stream and then expanding and becoming a great torrent. All the saints drew from this source; and hence the great river of the Church’s holiness continues to flow: from the Heart of Christ, from the Eucharist and from the Holy Spirit.

 

이 위층 방은 우리 자신들 사이에서 함께 나눔(sharing), 형제애(fraternity), 조화(harmony) 그리고 평화(peace)(*) 대하여 우리에게 상기시킵니다. 얼마나 많은 사랑(love, 애덕)과 선함(goodness)이 이 윘층 방으로부터 이미 흘러나왔는지! 얼마나 많은 애덕(charity)이(**), 그 원천으로부터, 한 개의 개울(a stream)로서 시작하여 그러고 나서 넓어져 그리하여 한 개의 커타란 급류(a torrent)가 되는, 한 개의 강처럼, 여기로부터 이미 앞으로 나아갔는지! 모든 성도들은 바로 이 원천으로부터 초래하였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교회의 거룩함이라는 커다란 강은, 그리스도의 성심(the Heart of Christ)으로부터, 성체(the Eucharist)로부터 그리고 성령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을 계속합니다.

 

-----

(*) 번역자 주:

(1)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254-430년)에 의하여 정의(defined)된, 가톨릭 그리스도교에서 가르치는 "평화(peace)"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3항에 안내되어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02.htm

 

(2)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29 peace(평화) 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03.htm

 

(**) 번역자 주: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23 charity(애덕) 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65.htm

-----

 

Lastly, the Upper Room reminds us of the birth of the new family, Church, our holy Mother the hierarchical Church established by the risen Jesus; a family that has a Mother, the Virgin Mary. Christian families belong to this great family, and in it they find the light and strength to press on and be renewed, amid th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of life. All God’s children, of every people and language, are invited and called to be part of this great family, as brothers and sisters and sons and daughters of the one Father in heaven.

 

끝으로, 이 윘층 방은 부활하신 예수님에 의하여 제정된 교계 조직의 교회, 우리의 거룩한 어머니인 교회라는 새로운 가족(new family)의 탄생에 대하여 우리에게 상기시킵니다. 그리스도인 가족들은 바로 이러한 커다란 가족에 포함되며, 그리고 이 가족 안에서 그들은, 삶의 도전들과 어려움들 사이에서, 길을 재촉하기 위한(press on) 그리하여 다시 새롭게 되기 위한, 빛과 굳셈을 발견합니다. 모든 백성과 언어로 이루어진, 하느님의 자녀들 모두는, 형제들과 자매들로서 그리고 하늘에 계신 한 분이신 성부의 아들들과 딸들로서 바로 이 커다란 가족의 일부가 되도록 초대받고 그리고 부름을 받습니다.

 

These horizons are opened up by the Upper Room, the horizons of the Risen Lord and his Church.

 

부활하신 주님과 당신의 교회라는 시야(horizons)인, 바로 이 시야가 이 위층 방에 의하여 완전히 개방됩니다.

 

From here the Church goes forth, impelled by the life-giving breath of the Spirit. Gathered in prayer with the Mother of Jesus, the Church lives in constant expectation of a renewed outpouring of the Holy Spirit. Send forth your Spirit, Lord, and renew the face of the earth (cf. Ps 104:30)!

 

여기로부터 교회는, 거룩한 영의 생명을 주시는 숨(breath)에 의하여 추진을 받아, 앞으로 나아갑니다. 예수님의 모친과 함께 기도에 모여, 교회는 성령의 어떤 다시 새로워진 분출/다량의 주어짐(outpouring)에 대한 지속적인 기대 안에서 살아갑니다. 주님, 당신의 거룩한 영을 내보내소서, 그리하여 이 땅의 얼굴을 새롭게 하소서(시편 104,30 참조).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게시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3시간

 



1,108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