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강론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22/09/15 목요일

인쇄

심흥보 [peters1] 쪽지 캡슐

2022-08-27 ㅣ No.5144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22/09/15 목요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은 예수님의 십자가 길을 함께하신 성모님의 고통을 기억하는 날입니다. 자식의 아픔은 어머니에게 더 크게 다가오는 법입니다. 시메온은 성모님의 고통을 이렇게 예언하였습니다. “이 아기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사람을 쓰러지게도 하고 일어나게도 하며, 또 반대를 받는 표징이 되도록 정해졌습니다. 그리하여 당신의 영혼이 칼에 꿰찔리는 가운데,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루카 2,34-35) 성모님의 고통을 묵상하고 기억하는 신심은 오래전부터 널리 퍼져 있었으며, 1688년 인노첸시오 11세 교황이 이 기념일을 정했습니다. 1908년 비오 10세 교황은 이 기념일을 성 십자가 현양 축일다음 날인 915일로 옮겨 예수님의 십자가 고통과 연계하여 기억하게 하였습니다.

 

언젠가 본 드라마의 한 장면에서 어머니가 아들 회사에 방문했는데 그 친구가 자기 자식을 욕하는 소리를 듣고는, "우리 아들이 그럴리가 없다.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너에게 그런 소리를 들을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를 던지고 아들을 데리고 나오는 장면을 보았습니다. 어쩌면 이 모습이 우리 어머니들의 모습이 아닌가 싶습니다. '모든 것을 다 잘했다.' '무슨 일을 해도 된다.'라는 것은 아니지만, '네가 세상에서 어떤 평가를 듣든 간에 넌 내 아들이고, 잘했던 잘못했던 내 아들이다.'라며 언제 어디서는 받아 주시는 분 그분이 우리 부모님이고 부모님께 그런 사랑을 심어주신 하느님의 무한하신 사랑을 기억합니다. 주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세상에 나올 때 부모님에게 그런 역할과 존재를 심어주시고 맡기셨나 봅니다.

 

특별히 개인적으로 마리아는 자신의 아들이 십자가에서 죽어가는 모습을 보면서, '굳이 내 아들이 안 해도 되는데.' '하필 내 자식이 이런 꼴을 당해야 하는지.' 훗날 세상 사람들은 무슨 말로 위로를 하고, 어떻게 존경하고 섬길지는 모르지만, 오늘 내 자식이 아무런 죄도 없이 다른 사람들의 죄악을 대신 짊어지고 죽어가는 모습을 바라보며 애통해합니다. 주 하느님께서는 이런 마리아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걸어주고 위로해 주시려고 주 예수님께서 가장 사랑하는 제자 요한을 새로운 아들로 정해주십니다. 그 아들이 바로 우리 그리스도교회입니다. 우리는 늘 어머니께 투정과 온갖 욕망으로 매달리지만, 정작 주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어머니를 위로하도록 선택하셨습니다.

 

어머니께서는 어미로서 우리를 위해 늘 주님께 대신 간구해 주십니다. 그런 어머니 마리아를 모셨으니, 우리 역시 누군가의 어머니가 되어 주고, 동시에 어머니의 자녀로서 진실하고 신실하게 주님의 복음을 살아가며 어머니를 위로합시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9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