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2월4일[이콘]성녀 바르바라 동정 순교자♬Dawn-monastic chants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3-12-02 ㅣ No.1506

 

[icon]ST. BARBARA. Christian Coptic Orthodox Church of Egypt

 

 

 

축일:12월 4일

성녀 바르바라 동정 순교자

ST. BARBARA

St. Barbara of Nicomedia

Santa Barbara Martire

beheaded by her father c.235 at Nicomedia

during the persecution of Maximinus of Thrace;

relics at Burano, Italy, and Kiev, Russia

 

 

 

[icon] ST. BARBARA.15c.(’ICONES DE TVER’에서)

 

중세 시대에 가장 인기있던 성인들 중의 한 분은 동정, 순교자였던 바르바라임에는 추후도 의심하지 않는다.

유력한 어느 전승에 의하면, 그녀는 디오스쿠루스의 딸로서 뛰어난 미모를 지녔는데, 그의 부친은 수많은 청혼자들의 기를 꺾기 위하여 그녀를 탑 속에 가두었다고 한다.

어느날 부친은 그녀가 크리스챤이 된 것을 발견하자, 그녀를 죽이려고 덤벼들었으나, 아버지의 분노를 피하여 기적적으로 도망치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곧 다시 붙잡힌 그녀가 이번에는 재판관 앞에 끌려가서 고문을 당하였다.

이러한 벌로도 만족하지 못한 그의 부친은 그녀를 산으로 끌고가서 죽이라고 하였기 때문에,그녀는 끝내 죽임을 당하였다.

그녀의 순교자는 안티오키아,헬리오폴리스, 니코메디아 그리고 로마 등, 서로 엇갈린다. 바르바라는 건축가와 건축업자의 수호성인이다.(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로마 박해 3백년간의 많고 많은 순교자 중 성녀 바르바라 같은 분은 가장 저명한 분이다.

아버지는 니코메디아 태생으로 그리스도교를 반대하는 사람이었으나,

딸 바르바라를 진정 사랑했으며 그같이 영특하고 아름다운 딸을 가졌음을 다시없는 자랑으로 여겼다.

그래서 그 딸이 좋지 못한 사람과 가까이함을 극히 우려했고,

더욱이 가톨릭 신자와도 교제하지 못하도록 견고한 탑을 마련하고 훌륭한 거실을 그안에 차려 거처하게 했다.

 

하느님께서는 바르바라를 가련히 여기셨음인지,

그녀는 아버지가 믿는 교를 여러모로 살펴보는 중에 우상교의 공허함을 깨닫게 되었고, 진리와 참신을 알고 싶은 열망을 품게 되었다.

아버지가 여행으로 오랫동안 부재중인 틈을 타서 바르바라는 하느님의 배려하심으로 가톨릭신자를 사귀게 되어 그에게서 교리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그리고 교리를 공부해 세례를 받은 후부터는 흐뭇한 기쁨을 느꼈고 마음의 평화를 얻었다.

여행에서 돌아온 아버지는 딸의 일변한 태도를 알아차리고 부재중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물어보았다.

 

 

바르바라는 그리스도교를 믿게 된 후부터 말할 수 없는 만족과 기쁨을 누린다는 것을 솔직히 고백했다.

뜻하지 않은 이말에 그는 얼쩔 줄 모르게 화가나, 그톨고 사랑하던 딸을 마구 매질하여 갖은 고통을 주었다.

그리고는 빈사상태에 바진 바르바라를 결박해 끌고 법정에 나가 아버지 자신이 딸을 고소했던 것이다.

 

어린 처녀의 몸에 난 그 같은 참혹한 상처를 보고 법관도 눈살을 찌푸리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는 부드러운 말로 바르바라에게 배교살 것을 강요했다.

바르바라는 한마디로 거절했다. 그러자 법관도 소리를 높여 죽인다고 위협했다.

바르바라는 죽음이 두려워 신앙을 버릴 만큼 의지가 나약한 인간은 아니었다.

명을 거부한 바르바라를 괘씸하게 여긴 법관은 무서운 고문을 가했다.

갈퀴 같은 것으로 온몸을 찢게하고 마침내는 횃불로 양쪽 배를 태워 기절케 한 다음 감옥에 처넣었다.

 

 

그 날 밤의 일이다. 탈혼 중에 예수께서 나타나시어 여러 가지로 위로를 해 주시는데, 기이하게도 온몸의 상처가 말끔히 없어졌다.

이튿날 바르바라를 다시 법정에 호출한 법관은 이 기적을 목격하고 아연실색했으나 다시금 마음을 가다듬고 전날보다 더 심한 고문을 하며 그녀를 괴롭혔다.

온갖 고문을 더 해도 바르바라의 마음은 조금도 움직이지 않았다.

 

 

끝내는 참수형의 선고가 내려졌다. 자기 딸을 손수 법정에 끌고 나간 무자비한 아버지는 그 고문 현장에 참석해 법관을 충동할 뿐 아니라,

사형이 선고되자 자신이 형리의 손에서 도끼를 빼앗아 딸의 목을 쳐서 떨어뜨렸으니 참으로 짐승만도 못한 자의 천인 공로할 소행이라 아니할 수 없다..

 

그렇듯 악독한 짓에 어찌 하늘이 무심하였으랴! 처형이 채 끝나기도 전에 하늘이 어두워지고 마른 번개가 번쩍이는 순간

땅이 무너지는듯한 천둥소리와 더불어 그 아버지는 벼락에 맞아 즉사했다. 이것은 240년에 있었던 사실이다.

바르바라는 죽기까지 신앙을 굳게 지켜 나갔기 때문에 임종자의 주보 성인으로 존경을 받는다.

또 그 용감한 견인지덕 때문에 군인의 주보도 된다.(대구대교구홈에서)

 

  성녀 바바라(Barbara)와 그녀의 생애.   중앙러시아. 1700년 경. 69 x 61cm

 

이 대형(大形)의 성화는 광부들의 수호성녀(守護聖女)였던 성녀 바바라의 일생을 소재로 하는 열두 장면의 그림들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의 가장 큰 화면 안에는 귀족 복장을 하고 금관을 쓴 반신상의 동정녀가 남자에 가까운 얼굴로 심사숙고하는 모습이 보인다.

 

묘사된 각 장면들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윗줄 : 탑(塔) 속에 살고 있는 바바라, 그녀의 아버지 디오스코로스(Dioskoros)가 그녀의 미모 때문에 그녀를 덫 속에 가두게 하였다.

-바바라가 기독교로 개종, -그녀가 아버지에게 이 사실을 고백하자, 그는 그녀를 비난하면서 때리려고 함 :

바위가 저절로 열리게 되어 그녀는 도망을 감. -한 목자가 바바라를 밀고

둘째줄 : 바바라가 재판관 마르키아노스(Markianos)에게 끌려옴. -바바라가 인질로 잡힘.

세째줄 : 천사가 감옥 속와 바바라를 치료 : 밖에서는 율리아나(Juliana)가 이 사건을 목도하고 기독교인으로 개종. -바바라를 횃불로 지짐.

네째줄 : 율리아나가 재판관을 탄핵하자 그녀는 고문을 당함. -다음에 오는 두 화면 역시 고문 장면. -율리아나와 바바라는 그녀의 생부(生父)로부터 목베임을 당함.

 

 

♬Dawn-monastic chants-christdesert(Benedict)

 

 

St Barbara-GHIRLANDAIO, Domenico

c. 1471, Fresco.Parish Church of Sant’Andrea, Cercina

 

 

 

 

 

 

 

 

 

 

 

 

 

 

 

 

 

 

 

 

 

 

 

 

 

 

 

 

 

 

 

 

 

 

 

 

 

BARBARA

 

Memorial

4 December; removed from revised Roman calendar and cultus suppressed in 1969

Profile

Beautiful maiden imprisoned in a high tower by her father Dioscorus for disobedience. While there, she was tutored by philosphers, orators and poets. From them she learned to think, and decided that polytheism was nonsense. With the help of Origen and Valentinian, she converted to Christianity.

 

Her father denounced her to the local authorities for her faith, and they ordered him to kill her. She escaped, but he caught her, drug her home by her hair, tortured her, and killed her. He was immediately struck by lightning, or according to some sources, fire from heaven.

 

Her imprisonment led to her association with towers, then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m, then to their military uses. The lightning that avenged her murder led to asking her protection against fire and lightning, and her patronage of firefighters, etc. Her association with things military and with death that falls from the sky led to her patronage of all things related to artillery, and her image graced powder magazines and arsenals for years. One of the Fourteen Holy Helpers.

 

While there were undoubtedly beautiful converts named Barbara, this saint is legend, and her cultus developed when pious fiction was mistaken for history.

Died

beheaded by her father c.235 at Nicomedia during the persecution of Maximinus of Thrace; relics at Burano, Italy, and Kiev, Russia

Name Meaning

stranger

Patronage

against death by artillery, against explosions, against fire, against impenitence, against lightning, against mine collapse, against storms, ammunition magazines, ammunition workers, architects, armourers, artillery, artillerymen, boatmen, bomb technicians, brass workers, brewers, builders, carpenters, construction workers, dying people, explosives workers, fire, fire prevention, firefighters, fireworks, fireworks manufacturers, fortifications, founders, geologists, gravediggers, gunners, hatmakers, hatters, lightning, mariners, martyrs, masons, mathematicians, military engineers, milliners, miners, ordnance workers, prisoners, safety from storms, sailors, saltpetre workers, smelters, stone masons, stonecutters, storms, sudden death, Syria, tilers, warehouses, watermen

Representation

cannon; chalice; palm of martyrdom; princess in a tower with either the palm of martyrdom or chalice of happy death; tower; woman holding a tower or feather; woman trampling a Saracen

 

 .................

 

 

Santa Barbara Martire

 

4 dicembre

sec. III

 

Quando venne mandata a morte, fu il padre stesso a farle da carnefice; ma quando, colpita dalla spada paterna, la testa di Barbara si stacco e rotolo insanguinata, un fulmine improvviso si abbatte sull’uomo, incenerendolo all’istante.

Patronato:Architetti, Minatori, Moribondi, Fucili e polvere da sparo, Vigili del Fuoc

 

Etimologia: Barbara = straniera, dal greco

Emblema: Palma, Torre

 

Santa Barbara nacque a Nicomedia (oggi Ismit o Kocael in Turchia) nel 273 d.C..

La sua vita riservata, intenta allo studio, al lavoro e alla preghiera la defini come ragazza barbara, cioe non romana. Era una denominazione di disprezzo. E’ questo il nome a noi pervenuto da quello suo proprio.

Tra il 286-287 Santa Barbara si trasferi presso la villa rustica di Scandriglia poiche il padre Dioscoro, fanatico pagano, era un collaboratore dell’imperatore Massimiano Erculeo. Quest’ultimo gli aveva donato ricchi e vasti possedimenti in Sabina.

Dioscoro fece costruire una torre per difendere e proteggere Barbara durante le sue assenze. Il progetto originario prevedeva due finestre che diventarono tre (in riferimento alla Croce) secondo il desiderio della ragazza. Fu costruita anche una bellissima vasca a forma di Croce. Sia la finestra che la vasca non erano altro che i simboli del cristianesimo a cui la ragazza si era convertita.

La tradizione afferma che proprio nella vasca Barbara ricevette il battesimo per la visione di San Giovanni Battista.

La manifestazione di fede di Barbara provoco l’ira di Dioscoro; essa allora per sfuggire a quest’ultimo si nascose nel bosco dopo aver danneggiato gran parte degli dei pagani della sua villa. La tradizione popolare scandrigliese afferma che essa si rifugiava in una nicchia scavata all’interno di una roccia (dicitura indicata come riparo di Santa Barbara in localita “le scalelle”) e fu trovata per la delazione di un pastore li presente.

Dioscoro la consegno al prefetto Marciano con la denuncia di empieta verso gli dei e di adesione alla religione cristiana.

Durante il processo che inizio il 2 dicembre 290 Barbara difese il proprio credo ed esorto Dioscoro, il prefetto ed i presenti a ripudiare la religione pagana per abbracciare la Fede Cristiana: fu cosi torturata e graffiata mentre cantava le lodi al Signore. Il giorno dopo aumentarono i tormenti mentre la Santa sopportava ogni prova col fuoco. Il 4 dicembre letta la sentenza di morte Dioscoro prese la treccia dei capelli e vibro il colpo di spada per decapitarla.

Insieme a Santa Barbara subi il martirio la sua amica Santa Giuliana, questo avvenne nella zona campestre indicata nei codici antichi con una espressione generica “ad aram solis” o “in loco solis” (denominazione della zona costa del sole oggi denominata Santa Barbara). Il cielo si oscuro e un fulmine colpi Dioscoro.

La tradizione scandrigliese invoca la Santa contro i fulmini, il fuoco, la morte improvvisa, il pericolo ecc. La tradizione inoltre affermava che la treccia di Santa Barbara fosse visibile all’innocenza dei bambini alla sorgente omonima.

Il nobile Valenzano curo la sepoltura del corpo della Santa presso una fonte (sorgente di Santa Barbara) che divento una meta di pellegrinaggio per l’acqua miracolosa.

Quando l’imperatore Costantino nel 313 consenti di rendere un culto esterno ai martiri, i fedeli ornarono il sepolcro e di seguito vi costruirono un oratorio (che si ritiene del VI secolo). Nel secolo IX decadde dal suo primitivo splendore e nel secolo X si poteva considerare abbandonato a seguito dell’invasione saracena. Passata l’invasione attorno all’anno 1000 fu eretta una chiesa completamente rifatta che esiste ancora oggi.

Tra il 955 ed il 969 i reatini organizzarono una spedizione a Scandriglia (che oggi si trova in provincia di Rieti) e dopo varie ricerche trovarono il suo corpo. Fu sottratto ai ricercatori di corpi santi e portato al sicuro nella Cattedrale di Rieti dove ancora oggi riposa sotto l’altare maggiore.

Santa Barbara e la patrona di Scandriglia e di Rieti.

 

 

 

 

 

 



490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