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2월6일[이콘]성 니콜라오 주교♬Salve Festa-monastic chants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3-12-04 ㅣ No.1508

 

[이콘]성 니콜라이.러시아. 18세기. 31.5 x 26.5cm

 

희랍 정교회의 천명이 넘는 성자 성녀들 중 성 니콜라이는 러시아에서 가장 존경을 받았다.

그는 어린이들, 가난한 자들과 모든 여행자들, 결국에는 전체 러시아인의 수호성도(守護聖徒) 이었다.

그는 환자들을 치료하였고, 난파선의 승객들을 구출하였으며

사형선고를 받은 죄수들을 내리치려는 군병들의 칼을 빼앗았었다.

교회는 니콜라이를 이웃을 사랑하는 성열(聖列)에 드는 기독교인의 귀감으로 삼았다.

 

이 성화는 기적을 행한 성 니콜라이의 대주교 복장을 한 반신상인데 그는

이 세상의 심판자와 같은 자세를 취하고 있다.

그는 왼손에 복음서를 들고 있으며 오른손은 축복하며 올리고 있다.

그의 앙편에 있는 빛을 발하는 원속에는 그리스도와 성직자의 상징으로

오모포리온(Omophorion)을 하사하는 성모가 보인다.

(유럽 聖畵(ICON)集 에서)

 

 

축일;12월 6일

성 니콜라오 주교

St. NICHOLAS of Myra

San Nicola di Mira (di Bari) Vescovo

Also known as

Klaus; Mikulas; Nicholas of Bari; Nicolaas; Nicolas; Niklas; Santa Claus

Died:c.346 at Myra; relics believed to be at Bari, Italy

Canonized:Pre-Congregation

 

 

소아시아 리키아(Lycia)의 파타라(Patara)에서 태어난 성 니콜라우스(Nicolaus, 또는 니콜라오)는 집안이 매우 유복하였다. 그가 성덕과 신심 그리고 기적 등으로 유명하게 된 것은 미라의 주교 때였다고 한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 동안에는 그 역시 신앙 때문에 투옥되었으나 다행히 석방되었고, 아리우스(Arius) 이단을 단죄한 니케아 공의회(Council of Nicaea)에도 참석하였다.

 

그의 생애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지만, 그의 뛰어난 행적으로 인한 전설과 비공식 전기 등은 매우 아름답게 채색되어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는 파타라 출신인데 돈 많은 양친이 사망하면서부터 죄인들의 회개를 위하여 헌신함과 동시에 자신의 막대한 유산을 가난한 사람들과 자선활동을 위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의 행적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이야기는 어느 가난한 세 처녀에 관한 것이다. 그녀의 부친이 딸들의 지참금 문제에 얽혀 사랑스런 딸들을 매춘부로 넘겨야 할 곤경에 처했음을 알고, 니콜라우스는 세 번에 걸쳐 그 집에 금이 든 자루 세 개를 몰래 넣어 주었고, 마침내 이 세 자매는 정당하게 혼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이교 신전을 부수었으며, 지방 관리인 에우스타시우스(Eustasius)를 몰아세워서 무죄한 죄수 3명을 사형 직전에 직접 구출했는가 하면, 콘스탄틴 황제의 꿈에 나타나서 무죄한 정부관리 3명의 무죄 사실을 알려 그들이 석방되게 했다는 등 수많은 전설이 전해온다. 

 

그의 명성은 전 서방에 퍼져있으며, 1087년에는 그의 유해를 바리(Bari)로 이전하여 경당을 세우니 유럽 최대의 순례지가 되기도 하였다. 또 그는 리키아 연안의 뱃사람들을 극적으로 구출했던 사실 때문에 폭풍우에 갇힌 뱃사람들의 수호자로 공경을 받으며, 또 죄수들과 어린이들의 수호성인이다.

 

그리고 성탄절 때 어린이들에게 성 니콜라우스의 이름으로 선물을 주는 관습은 아주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 성 니콜라우스는 네덜란드에서는 '신터 클레스'(Sinter Claes), 영어권에서는 '산타 클로스'(Santa Claus)로 불려졌다. 그러나 주의할 사실은 산타 클로스의 모습은 그리스도인의 모습이 아니라, 독일의 신인 토르(Thor)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신은 겨울과 유울 로그(Yule Log, 성탄전야에 때는 큰 장작) 그리고 크랙커와 그나셜이라 부르는 염소들이 끄는 마차와 관련되는 토속적인 신인 것이다. 이것은 니콜라우스를 토착화시킨 형태라고 보는 것이다. 어쨌든 성 니콜라우스는 그리스, 시칠리아(Sicilia), 풀리아(Puglia), 로렌(Lorraine) 그리고 러시아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다.
(가톨릭홈에서)

 


미라의 성 니콜라오(N. Myrae, ?~345/352). 성인.

소아시아 뤼치아지방 미라의 주교. 이름은 동서 교회에 잘 알려져 있고 여러 가지 전설이 전해지고 있으나, 생애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전설에 의하면 로마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 때(303년) 투옥되고, 후에 석방되어 니체아 공의회에 출석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 공의회 출석자 명단 속에 그의 이름은 없고, 아타나시오(Athanasius)의 문헌에도 그 이름은 없다.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콘스탄티노플에 세운 교회 이름이 ‘성 프리스코스와 성 니콜라오의 교회’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그의 이름이 공식으로 기록된 최초의 것이다. 서유럽에서 그는 선원(船員)의 수호성인으로 되어 있고, 12월 6일에 어린이에게 선물을 나누어 주며 다니는 산타클로스 이야기와도 결부되고 있다. 축일은 12월 6일.
(가톨릭 대사전에서)

 

 

 

역사적으로 입증할 만한 ’확증’이 없다는 것은 성니콜라오가 보여 준 헌신처럼

대중들이 성인들을 받아들이는 데 필연적인 장애가 되지는 않는다.

동방 교회에서나 서방 교회에서나 니콜라오 성인을 공경하며,동정 성모 마리아 다음으로

그리스도인 예술가들이 많이 다루는 사람은 바로 니콜라오 성인이라 한다.

 

역사적인 사실로 알 수 있는 것은 니콜라오가 4세기에 소아시아 지방인

리치아의 도시 미라의 주교였다는 사실뿐이다.

그렇지만 다른 많은 성인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니콜라오와 하느님과의 관계를

그리스도인들이 지금까지 행하고 있는 그에 대한 공경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수세기에 걸쳐서 이루어지고 전해진 다채로운 이야기 속에 표현된 공경이다.

 

 

Story of St Nicholas-ANGELICO, Fra

1437.Tempera on wood, 34 x 60 cm.Pinacoteca, Vatican

 

아마도 니콜라오에 대해 가장 잘 알려진 이야기는, 결혼할 나이에 있는 세 딸에게

지참금을 준비할 수 없었던 어느 가난한 사람에게 그가 베푼 사랑일 것이다.

니콜라오는 세 딸이 창녀촌으로 끌려가야만 하는 처지를 보다 못해 세 차례에 걸쳐서

그 사람에게 창문으로 돈주머니를 몰래 던져주어 딸들이 모두 결혼할 수 있게 해주었다.

특히 이 같은 전설은 수세기에 걸쳐서 니콜라오 성인의 축일에 선물을 주는 관습으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성니콜라오의 이름이

언어의 변천 과정을 통해 산타클로스가 되었으며,

이것은 이 거룩한 주교가 보인 자비심의 표양을 더욱 널리 세상에 전파시켰다.

 

 

현대 역사는 성니콜라오에 대한 전설을 보다 면밀하게 관찰하려고 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의 전설적인 애덕이 가르치는 교훈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재물에 대한 우리의 자세를 검토해 볼 수도 있고

참으로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우리의 재물을 좀더 폭넓게 나눌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신도들의 선익을 각자의 환경을 따라 도모해 주려면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 환경 속에서의 그들의 필요를 이해하도록 노력할 것이며,

특히 사회 조사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해서 알아내야 할 것이다.

연령이나 신분이나 국적의 차별 없이 원주민이나 외국인이나 나그네 할 것 없이

모든 사람들을 보살펴 주어야한다."

(’주교들의 교회 사목직에 관한 교령’ 6항)-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네델란드어로 ’산타 클로스’로 더 알려져 있는 성 니콜라오는

270년 소아시아의 리치아 지방 파타라에서 부호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부모가 일찍 세상을 떠나자 상속받은 많은 재산은 자선사업에 모두 바쳤다.

그후 사제가 되었고 밀라노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얼마후 디오글레시아노 황제의 박해가 시작되었다.

황제는 교회를 모두 불사르게 했으며 성직자는 물론 일반 신앙인까지도 모조리 사형에 처하도록 공포했다.

니콜라오 주교도 심한 고문을 당하고 콘스탄티노황제의 신앙자유가 선포될때까지 투옥되어 있었다.

 

아리우스 이단을 단죄했던 니체아 공의회에 참석했다는 사실 외에

그의 생애를 알 수 있는 자료는 매우 아름답게 채색되어 있는 그의 전기이다.

이것에 따르면 그는 돈 많은 양친과 사별하면서부터 죄인들의 회개를 위해 막대한 재산을

자선에 사용했는데, 가장 아름다운 이야기는 어느 가난한 세 처녀에 관한 것이다.

매춘부로 넘겨야할 입장에 있는 어느 아버지에게 그는 세 차례에 걸쳐 금이 든 자루 세개를

몰래 갖다둠으로써 세 자매를 구출하여 혼인시켰다고 한다.

이 외에도 그와 관련되는 전설들은 부지기수이다.

 

성인은 리치아 해안 주민들로부터는 뱃사람들의 수호자로 공경받으며,

또한 죄수와 어린이들의 수호성인으로 온 세상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다.

그리고 성탄절에 어린이들에게 성 니콜라오의 이름으로 선물을 주는 관습은 아주 오래된 것으로서

성인의 자선과 사랑을 기리는 뜻이 담긴 크리스마스의 아름다운 전통이 아닐 수 없다.

341년에 니콜라오 성인은 세상을 떠났지만 성인을 통해서 많은 가난한 사람들이

하느님의 기적으로 위로와 기쁨을 되찾았다.

(성바오로딸수도회홈에서)

 

 

[icon]Saint Nicolas entoure de scenes. 17c. (’ICONES DE TVER’에서)

 

리치아의 미라 지방(현재의 터키 지방) 주교였다.

4세기 중엽에 세상을 떠났다. 특히 10세기부터 전교회 안에서 공경받아 왔다.

 

 

성 아우구스띠노 주교의 [요한 복음 주혜]에서

(Tract. 123,5: CCL 36, 678-680)

 

사랑의 힘은 죽음의 괴로움을 극복합니다.

 

주님은 당신이 미리 알고 계신 것을 즉

베드로가 당신을 사랑하고 있는지를 한 번만이 아니고 두 번  세 번까지 물어 보십니다.

세 번 모두 베드로가 주님을 사랑한다고 대답하고 그때마다 주님은 당신의 양을 잘 돌보라고 분부하십니다.

 

세 번 주님을 부인한 베드로는 세 번 주님에 대한 사랑을 고백합니다.

이는 입이 공포의 노예가 되었던 것처럼 이제는 사랑의 노예가 되어 임박한 죽음이

현존하는 생명보다 더 말을 많이 하도록 유인한다는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해서 였습니다.

베드로가 주님을 부인하는 것은 공포의 표시가 된 것처럼 주님의 양 떼를 돌보는 것은

사랑의 봉사에 대한 표시가 됩니다.

 

그리스도의 양들이 아니고 자기 양들인 것처럼 그리스도의 양들을 돌보는 사람은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고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되풀이 되는 이 그리스도의 말씀은

사도가 "자기 자신의 이익만을 구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것을 구하지 않는다."고 탄식하며

말하는 그런 사람들에 대한 경고의 말씀입니다.

 

"너는 나를 사랑하는냐? 내 양들을 잘 돌보아라." 이 말씀은 다음과 같은 뜻이 아니겠습니까?

"만일 네가 나를 사랑한다면 네 자신을 생각하지 말고 내 양들을 돌보는 일을 생각하여라.

네 양들인 듯 돌보지 말고 내 양들인 듯 돌보아라.

그들 안에서 네 자신의 영광이 아니라 나의 영광을, 네 권리가 아니라 나의 권리를,

네 자신의 이익이 아니라 나의 이익을 구하라.

이 위험한 시대에 속하는 사람들의 무리에 들지 말라. 그들은 자기 자신만을 사랑하고

이 나쁜 근원에서 나오는 모든 것을 사랑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양들을 돌보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양으로 돌보지 말고

그리스도의 양으로 돌보기 위해서 자기 자신을 사랑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스도의 양들을 돌보는 이들이 가장 피해야 할 죄는 예수 그리스도의 것을 찾지 않고

자신의 이익을 구하여 그리스도께서 당신 피를 흘리신 그 양들을

자기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이용하는 일입니다.

 

그리스도의 양들을 돌보는 사람 안에서 그리스도의 사랑은 강렬한 영신적 열성을 길러.

그 열성이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살기 위해서 당해야 하는 피하고 싶은 죽음에 대한

자연적인 두려움을 극복해야 합니다.

죽음의 괴로움이 아무리크다 할지라도, 우리의 생명이시지만

우리를 위해 죽음을 당하고자 하셨던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의 힘으로 극복해야 합니다.

 

죽음에 아무리 괴로움이 없다면 순교자들의 영광은 그렇게 대단한 것이 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당신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신 선한 목자께서 당신 양들 가운데서

당신을 위해 목숨을 바친 많은 순교자들을 내셨다면,

당신 양들을 돌보도록 즉 그들을 가르치고 인도하도록 주님이 맡겨주신 목자들은

얼마나 더 진리를 위해 죽기까지 싸우고 피를 흘리기까지 죄와 투쟁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리스도께서 우리 앞에 보여주신 당신 수난의 모범을 보고 많은 양들이

그분을 본받았다면 목자들은 더욱더 그래야 하지 않겠습니까?

목자 자신들도 한 목자 아래 그리고 한 무리 안에 있는 양들이 아니겠습니까?

주님은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시고자 몸소 양이 되시어 모든 사람을 위해

고난당하심으로써 모든 이를 당신의 양으로 만드셨습니다.

(가톨릭홈에서)

 

*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축일:8월28일.게시판1336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가톨릭 나라의 어린이들에게 가장 인기를 끄는 성인이라면 너나 할 것 없이

성 니콜라오 주교를 생각할 것이다.

흔히 말하는 산타클로스 할아버지가 곧 이분을 말함인데,

우리 나라나 선교국에서는 크리스마스날 선물을 가져온다고 전래되고 있지만,

실지 독일이나 기타 가톨릭 나라에서는 그 축일인 12월 6일에

친족 중의 한 명이 성 니콜라오로 분장하여 착한 아이에게는 상을 주고,

나쁜 아이에게는 훈계를 주는 습관이 있다. 실제로 니콜라오 성인은

아이들의 보호자일 뿐 아니라 신앙을 옹호한 유명한 주교였다.

 

그는 270년 소아시아의 파타레에서 부호의 아들로 태어났다.

신분에 맞게 일반 학문은 물론 종교에 관해서도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

양친을 모두 일찍이 여의어 많은 재산을 상속받았는데 그 재산을 모두 자선 사럽에 사용했다.

많은 일화가 전해져 오지만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세 명의 딸과 함께 살고 있는 어느 아버지가 집안이 가난해 한 명도 출가시킬 수 없음을 항상 걱정하고 있었다.

그는 여러 가지로 궁리한 끝에 마귀의 유혹으로 딸들을 모두 악마의 소굴로 팔아 버리려는 생각을 했었다.

 

이 소식을 들은 니콜라오는 매우 놀라며 그 가련한 딸들을 돕고자 했으나 원래가 겸손한 성격의 그인지라

낮에는 못하고 밤중에 남 몰래 한 명의 딸이 출가하기에 넉넉한 돈을 그 집 담 너머로 던져 놓고 돌아왔다.

그리고 그 다음 밤도 또 다음 밤도 그렇게 하여 세 명의 딸이 출가할 만한 돈을 준 것이다.

 

거듭되는 이러한 은덕의 주인을 모르는 딸들의 아버지는 사흘 때되는 밤에는 자지않고 지켜

그 사람이 바로 니콜라오임을 알게 되었다.

니쿨라오는 발각되자 몹시 당황하며 비밀로 해둘 것을 부탁했다.

그러나 세상에는 비밀이 없는 법! 어느새 그 자신의 미담이 널리 온 세상에 퍼지게 되어 오늘에 이른다.

 

 

그가 훌륭한 준비로 사제가 된지 얼마 안 되어서의 일이다. 미라의 대주교가 서거하고

그 후임을 이어갈 적당한 사제가 없어 주교들이 열심히 기도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하늘에서 이런 소리가 들려왔다.

"내일 아침 제일 먼저 성당에 들어오는 니콜라오라는 사람이야말로 하느님의 눈에 다장 적당한 인물이다"

그때 마침 니콜라오는 미라에 머물러 있었는데, 이튿날 아침 성당에 조배하러 갔다가

제일 처음 들어간 사람이 되었고,

주교들이 이름을 물어 그가 대답하자 곧바로 주교로 축성되었다.

어리둥절한 그는 처음에는 극구 사양했으나 하느님의 뜻에 따르는 의미에게

기쁘게 승낙하여 그 책임을 맡았다.

 

 

디오클레시아노 황제 시절, 황제는 교회를 전부 불태울 것과 주교, 사제는 물론

평신도까지 모조리 죽이라는 엄명을 공포했다.

그러나 중심지와 떨어진 지방에서는 그곳 지방관리의 재량에 의해 약간의 관대한 처분이 있었던 곳도 있었다.

 

니콜라오 역시 체포되어 끝까지 신앙을 져버리지 않아 심한 고문을 당하고 투옥되었고

그는 그 상태로 콘스탄티노 황제가 가톨릭의 신앙 자유를 선포할 때까지 있었다.

그는 마침내 석방되어 교회 부흥, 특히 신자들의 쇄신과 이교도들의 개종에 전력을 기울였으며

그 당시 한창 번성하고 있던 아리우스파에 대항해 싸웠고 니케아 공의회에도 참석했다.

 

니콜라오는 열렬한 신앙과 아울러 박애 사업에도 뜻이 깊었다.

그의 교구는 가난해 식량까지도 먼 곳에서 구입할 형편이어서 교구 내의 가난한 사람들은

궁핍에 쪼들려 끼니를 거를 때가 많았다.

그러나 이때마다 하느님의 충실한 종 니콜라오는 놀라운 기적으로 그들을 몇 번이나 구했다.

 

어느 해의 일이다. 식량을 가득 실은 수 척의 배가 푹풍에 밀려 미라 해안에 표착(漂着)되었다.

그때 미라 시민은 기아에 허덕이는 때였으므로 니콜라오는

각 선장에게 백 톤씩의 밀을 기증해 줄것을 간청했다.

주교의 정성어린 간청에 못 이겨 선장들은 이를 승낙해 식량을 분배해 주었다.

그런데 출항 후 그 수량을 살펴본즉, 신기하게도 줄어들었을 식량이 이전과 같았으므로

기적임을 안 선원들은 감탄을 금하지 못했다 한다.

 

니콜라오는 남의 허물을 뒤집어쓰고 사형을 받게 된 억울하고도

가련하기 짝이 없는 3명의 청년을 구해 준 일도 있고,

억울한 죄목을 쓰고 사람들의 비난, 공격을 받으며 처형될 뻔한 수명의 고관을

하느님의 힘으로 기적적으로 구출해 준 일도 있으며,

더욱이 선원들의 위험에 기적을 행하여 그들을 구해 준 이른 여러번 있었다.

그가 지금도 가톨릭 신자인 선원들의 수호 성인으로 되어 있는 이유는 이러한 기적에 기인해서이다.

 

그는 341년에 세상을 떠났다.

살아있을 때에 많은 기적으로 불쌍한 사람을 도와 준 그는 사후에도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으며 하느님께서도 그의 전구로 수많은 기적을 행하셨다.

1087년 그의 유해를 이탈리아의 바리에 이송했다.

그 후 그 묘지에서 여러 기적이 일어났으며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순례한다.

(대구대교구홈에서)

 

 

 

[이콘]성 니콜라이 (Nikolaus)모스크바 화파.18세기.53 x 43cm

 

희랍 정교회의 천명이 넘는 성자들 중에서 성 니콜라이는 러시아에서 가장 존경을 받았다.

그는 어린아이들, 가난한 자들, 여행자들, 전체 러시아인들의 수호성도(守護聖徒)이다.

이것은 그가 환자들을 치료한 사실. 난파선의 승객들을 구출한 사실과 죽음을 선고받은 죄인들을

내리칠려는 군병들로부터 칼을 빼앗은 사실이 암시한다.

교회는 니콜라이를 이웃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받들어 성자들의 열(列)에 끼워 넣었다.

이 성화(Icon)에서는 주교복을 입고 최후의 심판자이신 그리스도와 같은 자세를 한 니콜라이를 볼 수 있다.

오른쪽 메달안에는 성직자의 상징으로 마포리온(Maphorion)을 하사하는 마리아가,

오른쪽에는 닫혀진 복음서를 들고 있는 그리스도가 묘사되어 있다.

성 니콜라이는 왼손에 복음서를 들고 있으며 오른손으로는 축복을 내리고 있다.

 

그림의 왼쪽 가장자리에는 성 티모페오스(Thimopheus)와 그 아래에 성 이오나(lone)를 그려 넣었다.

그림의 오른쪽 가장자리에는 윗부분에 모스크바 근교의 유명한

삼위일체 수도원 (현재:Zagorsk)을 창설한 성 세르기오스(Sergios)를,

그 아래에 에집트의 성녀 마리아를 묘사하였다

 

 

♬Salve Festa-monastic chants-christdesert(Benedict)

 

update 2006.12.5.

 

 

 

 

 

 

 

 

 

 

 

 

 

 

 

 

 

 

 

 

 

 

 

 

 

Description of Nicholas
This Saint lived during the reign of Saint Constantine the Great, and reposed in 330, As a young man, he desired to espouse the solitary life. He made a pilgrimage to the holy city Jerusalem, where he found a place to withdraw to devote himself to prayer. It was made known to him, however, that this was not the will of God for him, but that he should return to his homeland to be a cause of salvation for many. He returned to Myra, and was ordained bishop. He became known for his abundant mercy, providing for the poor and needy, and delivering those who had been unjustly accused. No less was he known for his zeal for the truth. He was present at the First Ecumenical Council of the 318 Fathers at Nicaea in 325; upon hearing the blasphemies that Arius brazenly uttered against the Son of God, Saint Nicholas struck him on the face. Since the canons of the Church forbid the clergy to strike any man at all, his fellow bishops were in perplexity what disciplinary action was to be taken against this hierarch whom all revered. In the night our Lord Jesus Christ and our Lady Theotokos appeared to certain of the bishops, informing them that no action was to be taken against him, since he had acted not out of passion, but extreme love and piety. The Dismissal Hymn for holy hierarchs, The truth of things hath revealed thee to thy flock ... was written originally for Saint Nicholas. He is the patron of all travellers, and of sea-farers in particular; he is one of the best known and best loved Saints of all time.

 

 

NICHOLAS of Myra

 

Also known as

Klaus; Mikulas; Nicholas of Bari; Nicolaas; Nicolas; Niklas; Santa Claus

Memorial

6 December

Profile

Priest. Abbot. Bishop of Myra, Lycia (modern Turkey). Generous to the poor, and special protector of the innocent and wronged. Many stories grew up around him prior to his becoming Santa Claus. Some examples:

 

 

Upon hearing that a local man had fallen on such hard times that he was planning to sell his daughters into prostitution, Nicholas went by night to the house and threw three bags of gold in through the window, saving the girls from an evil life. These three bags, gold generously given in time of trouble, became the three golden balls that indicate a pawn broker’s shop.

 

 

He raised to life three young boys who had been murdered and pickled in a barrel of brine to hide the crime. These stories led to his patronage of children in general, and of barrel-makers besides.

 

 

Induced some thieves to return their plunder. This explains his protection against theft and robbery, and his patronage of them - he’s not helping them steal, but to repent and change. In the past, thieves have been known as Saint Nicholas’ clerks or Knights of Saint Nicholas.

 

 

During a voyage to the Holy Lands, a fierce storm blew up, threatening the ship. He prayed over it, and the storm calmed - hence the patronage of sailors and those like dockworkers who work on the sea.

Died

c.346 at Myra; relics believed to be at Bari, Italy

Canonized

Pre-Congregation

Patronage

against imprisonment, against robberies, against robbers, apothecaries, bakers, Bari, Italy, barrel makers, boatmen, boot blacks, boys, brewers, brides, captives, children, coopers, dock workers, druggists, Duronia, Italy, fishermen, Fossalto, Italy, Greece, Greek Catholic Church in America, Greek Catholic Union, grooms, judges, lawsuits lost unjustly, longshoremen, Lorraine, maidens, mariners, merchants, murderers, newlyweds, old maids, parish clerks, paupers, pawnbrokers, perfumeries, perfumers, pharmacists, pilgrims, poor people, Portsmouth England, prisoners, Russia, sailors, scholars, schoolchildren, shoe shiners, Sicily, spinsters, students, thieves, travellers, unmarried girls, watermen

Representation

3 balls; anchor; ship; bishop with 3 children in a tub at his feet; 3 golden balls on a book; bishop calming a storm; 3 bags of gold; bishop holding 3 balls; bishop holding 3 bags of gold; bishop with 3 children

 

...................

 

San Nicola di Mira (di Bari) Vescovo

 

6 dicembre - Memoria Facoltativa

Patara, Asia Minore (attuale Turchia), ca. 250 - Mira, Asia Minore, ca. 326

 

Proveniva da una famiglia nobile. Fu eletto vescovo per le sue doti di pieta e di carita molto esplicite fin da bambino. Fu considerato santo anche da vivo. Durante la persecuzione di Diocleziano, pare sia stato imprigionato fino all’epoca dell’Editto di Costantino. Fu nominato patrono di Bari, e la basilica che porta il suo nome e tuttora meta di parecchi pellegrinaggi. San Nicola e il leggendario Santa Claus dei paesi anglosassoni, e il NiKolaus della Germania che a Natale porta i doni a bambini.

 

Patronato:Bambini, Ragazzi e ragazze, Scolari, Farmacisti, Mercanti, Naviganti, Pescatori, Profumieri

 

Etimologia: Nicola = vincidore del popolo, dal greco

Emblema: Bastone pastorale, tre sacchetti di monete (tre palle d’oro)

 

La sua fama e universale, documentata da chiese e opere d’arte, da istituzioni e tradizioni legate al suo nome. Ma sulla sua vita le notizie certe sono pochissime. Nato probabilmente a Patara di Licia, in Asia Minore (attuale Turchia), e poi eletto vescovo di Mira, nella stessa Licia. E qui, dicono alcune leggende, compie un miracolo dopo l’altro. Come accade alle personalita forti, quasi ogni suo gesto e trasfigurato in prodigio: strappa miracolosamente tre ufficiali al supplizio; preserva Mira da una carestia, con altri portenti... Qui puo trattarsi di fatti autentici, abbelliti da scrittori entusiasti. Forse per gli ufficiali egli ha ottenuto la grazia dell’imperatore Costantino (al quale chiedera anche sgravi d’imposta per Mira); e contro la carestia puo aver organizzato rifornimenti tempestivi. Ma si racconta pure che abbia placato una tempesta in mare, e resuscitato tre giovani uccisi da un oste rapinatore... Un “Passionarium” del VI secolo dice che ha sofferto per la fede nelle ultime persecuzioni antecedenti Costantino, e che e intervenuto nel 325 al Concilio di Nicea.

Nicola muore il 6 dicembre di un anno incerto e il suo culto si diffonde dapprima in Asia Minore (25 chiese dedicate a lui a Costantinopoli nel VI secolo). Ci sono pellegrinaggi alla sua tomba, posta fuori dell’abitato di Mira. Moltissimi scritti in greco e in latino lo fanno via via conoscere nel mondo bizantino-slavo e in Occidente, cominciando da Roma e dal Sud d’Italia, soggetto a Bisanzio.

Ma oltre sette secoli dopo la sua morte, quando in Puglia e subentrato il dominio normanno, “Nicola di Mira” diventa “Nicola di Bari”. Sessantadue marinai baresi, sbarcati nell’Asia Minore gia soggetta ai Turchi, arrivano al sepolcro di Nicola e s’impadroniscono dei suoi resti, che il 9 maggio 1087 giungono a Bari accolti in trionfo: ora la citta ha un suo patrono. E forse ha impedito ad altri di arrivare alle reliquie. Dopo la collocazione provvisoria in una chiesa cittadina, il 29 settembre 1089 esse trovano sistemazione definitiva nella cripta, gia pronta, della basilica che si sta innalzando in suo onore. E’ il Papa in persona, Urbano II, a deporle sotto l’altare. Nel 1098 lo stesso Urbano II presiede nella basilica un concilio di vescovi, tra i quali alcuni “greci” dell’Italia settentrionale: c’e gia stato lo scisma d’Oriente.

Alla fine del XX secolo la basilica, affidata da Pio XII ai domenicani, e luogo d’incontro tra le Chiese d’Oriente e d’Occidente, e sede dell’Istituto di Teologia Ecumenica San Nicola. Nella cripta c’e anche una cappella orientale, dove i cristiani ancora “separati” dal 1054 possono celebrare la loro liturgia. Scrive Gerardo Cioffari, del Centro Studi San Nicola: "In tal modo la basilica si presenta... come una realta che vive il futuro ecumenico della Chiesa". Nicola di Mira e di Bari, un santo per tutti i millenni.

Nell’iconografia San Nicola e facilmente riconoscibile perche tiene in mano tre sacchetti (talvolta riassunti in uno solo) di monete d’oro, spesso resi piu visibili sotto forma di tre palle d’oro.

Racconta la leggenda che nella citta dove si trovava il vescovo Nicola, un padre, non avendo i soldi per costituire la dote alle sue tre figlie e farle cosi sposare convenientemente, avesse deciso di mandarle a prostituirsi. Nicola, venuto a conoscenza di questa idea, forni tre sacchietti di monete d’oro che costituirono quindi la dote delle fanciulle, salvandone la purezza.

 

 

 

 

 

 

 

 

 

 

 



860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