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레마(rhema, rheme) 라는 용어를 가톨릭 교회측에서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성경공부] [교리학습]

인쇄

작성중입니다 [175.115.208.*]

2012-04-07 ㅣ No.1189


질문:

찬미 예수님!!

성경공부를 하다보니, 로고스(Logos)와 레마(Rhema)에 대해서 나오는데, 개신교에서 설명하는 글로서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아요.. 그러니 선배 교우님들께서 알기 쉽고 간단하게 알려주세요..

----------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1-1. "성경공부를 하다보니" 라고 말씀하셨는데, 혹시 어느 단체에서 성경공부를 하다 "레마(Rhema)"에 대하여 말하는 것을 들었는지요?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1-2. 이는 이 "레마(Rhema)"라는 가톨릭 교회측에서는 전통적으로 사용해 오지 않은 용어로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구글 검색 엔진으로 검색을 해 보면 누구나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예를 들어,

(i) 교황청 홈페이지(http://www.vatican.va),

(ii) 교황청 소속 성직자들을 위한 홈페이지(http://www.clerus.org),

(iii) 가톨릭 보편 교회의 교도권에서 수용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http://www.newadvent.org/summa), 

(iv) 영어 가톨릭 대사전(http://www.newadvent.org/cathen/index.html), 

(v) 영어 가톨릭 용어 사전(http://www.catholicreference.net

등의, 가톨릭 교회 측의 신뢰할 수 있는 홈페이지 제공 자료들에서 전혀 사용해 오지 않은 용어가 바로 "rhema", "rheme", 혹은 "rema" 라고 표기되는 그리스어 단어입니다. 심지어

(vi) 유다 백과사전(http://www.jewishencyclopedia.com)

에서도 전혀 설명이 주어져 있지 않는 용어가 바로 "rhema", "rheme", 혹은 "rema" 라고 표기되는 그리스어 단어입니다.

1-3. 다른 한편으로, 가톨릭 교회의 교리 지식이 부족한 경우에, 가톨릭 교회측에서는 전통적으로 사용해 오지 않은 용어인 "레마(Rhema)"를 먼저 내세우는 경우에, 자칫 "로고스(Logos)" 이신, 즉 "살아 계시는 하느님의 거룩한 말씀(the Word of God)"(히브리 2,14)이신, 성삼위의 제2위격이신 성자(즉, 하느님의 아드님, the Son of God)의 교의적 의미(dogmatic meaning)를 훼손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2. 위의 제1항에서 말씀드린 바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말씀을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2-1. 여기를 클릭하면, Wikipedia에 주어진 그리스어 Rhema 단어에 대한 간략한 요약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라는 성자(하느님의 아드님)의 강생 시기보다 3백년 이상 이전의 시기에, 플라톤(기원전 424-348년)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94-322년) 등의 그리스의 철학자들이 사용한 용어임을 언급하고 있으며, 그러나 여기에 주어진 설명만으로는 상당히 부족하다는 생각입니다.

2-2. 여기를 클릭하면, 위의 제1항-(vi)에서 말씀드린 유다 대사전에 주어진 "Merma(Memra, Dibbur, Logos)"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로고스(Logos)"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중에, 그리스도교로 개종을 하지 않았던, 알렉산드리아의 유다인 철학자 필로(필론, Philo, 기원전 20년경- 기원후 40년 이후)의 학설이 초기 그리스도교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다음과 같은 설명은 있으나, 그러나 "레마" 라는 그리스어 단어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습니다:

(발췌 시작)
The Logos.
 
It is difficult to say how far the rabbinical concept of the Memra, which is used now as a parallel to the divine Wisdom and again as a parallel to the Shekinah, had co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Greek term "Logos," which denotes both word and reason, and, perhaps owing to Egyptian mythological notions, assumed in the philosophical system of Heraclitos, of Plato, and of the Stoa the metaphysical meaning of world-constructive and world-permeating intelligence (see Reizenstein, "Zwei Religionsgeschichtliche Fragen," 1901, pp. 83-111; comp. Aall, "Der Logos," and the Logos literature given by Schürer, "Gesch." i. 3, 542-544). The Memra as a cosmic power furnished Philo the corner-stone upon which he built his peculiar semi-Jewish philosophy. Philo's "divine thought," "the image" and "first-born son" of God, "the archpriest," "intercessor," and "paraclete" of humanity, the "arch type of man" (see Philo), paved the way for the Christian conceptions of the Incarnation ("the Word become flesh") and the Trinity. The Word which "the unoriginated Father created in His own likeness as a manifestation of His own power" appears in the Gnostic system of Marcus (Irenæus, "Adversus Hæreses," i. 14). In the ancient Church liturgy, adopted from the Synagogue, it is especially interesting to notice how often the term "Logos," in the sense of "the Word by which God made the world, or made His Law or Himself known to man," was changed into "Christ" (see "Apostolic Constitutions," vii. 25-26, 34-38, et al.). Possibly on account of the Christian dogma, rabbinic theology, outside of the Targum literature, made little use of the term "Memra."
(이상, 발췌 끝).

2-3. 여기를 클릭하면, "로고스(Logos)"에 대한 학설(theory)이 처음으로 나타난 것은 그리스의 철학자인 헤라크리투스(Heraclitus, 기원전 535년경-475년경)에게서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의 제2-1항제2-2항에서 언급되고 있는 "로고스(Logos)"에 대한 가톨릭 측에서의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7월 15일]

3.
3-1.
다음은 히브리서 4,12에서 발췌 한 것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살아 있고 힘이 있으며 어떤 쌍날칼보다도 날카롭습니다. 그래서 사람 속을 꿰찔러 혼과 영을 가르고 관절과 골수를 갈라, 마음의 생각과 속셈을 가려냅니다."

여기서, 살아 있다는 "하느님의 말씀"은, "레마" 가 아니고, "로고스(Logos)" 입니다 다음의 자료를 정밀하게 들여다 보십시오:

참고 자료: http://biblelexicon.org/hebrews/4-12.htm

[이상, 내용 추가 끝].


작성 중입니다.

미국 개신교 오순절파의 한 분파의 Prosperity Theology 주장자가 "logos" 와 "rhema" 사이에 의미상의 큰 차이점이 있다고 주장하였다는 내용이 다음의 글 중에 있으며, 그러나 이 구분이 잘못이라는 오순절파 전체 모임의 선언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선언은 또한 이들 두 단어들이 상호 호환적으로 칠십인역 구약 성경 LXX 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Prosperity_theology

-----

다음의 사전의 정보을 잘 들여다 보기 바랍니다.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혹은
http://ch.catholic.or.kr/pundang/4/tdnt/rhema.htm
[The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ume 1]

미국의 개신교측 신자가 이들 두 단어들이 동의어임을 정밀하게 분석한 논문입니다:
http://annointing.files.wordpress.com/2013/01/rhema-vs-logos-
a-scholars-perspective.pdf


http://www.christian-witness.org/archives/cetf2005/rhema33.html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
http://www.vatican.va/holy_father/john_paul_ii/audiences/alpha/data/
aud19870603en.html


-----

"Rheemata" "Dr. Gordon Clark"

"Rheemata" "Kenneth Hagin"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080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