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격, 위격 결합, 그리스도의 부활과 승천에 대하여, [성경공부_승천] [교리학습_승천] [교리학습_부활]

인쇄

. [175.115.219.*]

2012-05-24 ㅣ No.1205


게시자 주: 이 글은, 평소의 저의 글들에서처럼, 이 글의 게시자인 필자 개인의 개인적 견해/의견/주장을 말씀드리는 글이 아니라, 가톨릭 보편 교회가 전통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내용들을 담고 있는 대단히 신뢰할 수 있는 영문 자료들을 찾아, 여전히 그 벽이 높은 문화 장벽 혹은 언어 장벽 때문에, 오로지 국내의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그리고 내용 전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위하여, 필요시에는 게시자가 마련한 우리말로의 직역 번역문의 추가와 함께, 전달해 드리는 글입니다. 그리고 지금 말씀 드린 바는, 이 글 중에서 대단히 충실하게 제시되고 있는 출처/근거들을 확인하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이 글의 독자들께서,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신학적 특정 주제에 대하여, 자신 고유의 견해/의견/주장과 가톨릭 보편 교회의 가르침을 스스로 비교/검토하고 또 스스로 판단 할 수 있도록 제공해 드리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성 글이지, 이 글의 독자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마련된 글이 결코 아닙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


1. 들어가면서

이 글에서는 "그리스도의 승천(the Ascention of Christ)" 에 대하여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그리스도의 부활(the Resurrection of Christ)""그리스도의 승천"이 신학적 의미에 있어 어떻게 다른 개념들인지를 비교/검토하려면, 이들 두 개념들 각각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그런 다음에, 이들 두 신학적 개념들이 비교할(compare)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이들 두 개념들 사이의 차이점에 대하여 고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질문: 이들 두 개념들은 서로 비교할 수 있을까요?

게시자 주: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아래의 제5항에 주어져 있습니다.

2. 승천이란?

2-1.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용어집"에 주어진, "승천(昇天, Ascension)"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그리고 괄호 안의 번호는 관련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항들의 번호들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catechism/text/glossary.shtml#a

(발췌 시작)
ASCENSION: The entry of Jesus' humanity into divine glory in God's heavenly domain, forty days after his Resurrection (659, 665).


승천(ASCENSION):  당신의 부활 이후 40일에, 하느님의 천상 영역(God's heavenly domain)에 있는 신성적 영광(divine glory) 안쪽으로 예수님의 인성(Jesus' humanity)의 들어감을 말합니다 (CCC 659, 665).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승천(昇天, Ascension)"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에 대한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1985
(발췌 시작)
ASCENSION

승천

Christ's going up to heaven forty days after his resurrection from the dead. All the creeds affirm the fact, and the Church teaches that he ascended into heaven in body and soul (Denzinger 801). He ascended into heaven by his own power, as God in divine power and as man in the power of his transfigured soul, which moves his transfigured body, as it will. In regard to the human nature of Christ, one can also say, with the Scriptures, that it was taken up or elevated into heaven by God (Mark 16:19; Luke 24:51; Acts 1:9, 11).

그리스도께서, 죽은 이들로부터 당신의 부활(resurrection) 이후 40일에, 하늘(heaven)(*)로 올라가심을 말합니다. 신경(creeds)들 모두는 이 사실을 확언하며, 그리고 교회는 당신께서 몸과 영혼으로 하늘로 오르셨다고 가르칩니다 (Denzinger 801). 당신께서는, 신성적 힘(divine power) 안에 계신 하느님으로서 그리고, 당신의 변모되신 영혼이 의도하듯이, 당신의 변모되신 몸을 이동시키는(moves), 당신의 변모되신 영혼의 힘 안에 있는 사람(man)으로서, 당신 고유의 힘에 의하여 하늘로 올라가셨습니다. 그리스도의 인성에 관련하여, 우리는, 성경 본문들과 함께, 이 인성이 하느님에 의하여 하늘로 올려졌다 혹은 들어 올려졌다고 또한 말할 수 있습니다(마르코 복음서 16,19; 루카 복음서 24,51; 사도행전 1,9.11).

-----
(*) 번역자 주:
(1) "부활(resurrection)"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아래의 제3-5항에 있는 글의 첫 문장에 주어져 있다.

(2) "하늘(heaven)""하늘 나라[the kingdom of heaven, 즉 하느님의 나라(kingdom of God)]"의 차이점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04.htm <----- 필독 권유
-----

Rationalism has denied the doctrine since the earliest times, e.g., Celsus in the second century. It tries to explain the Ascension as a borrowing from the Old Testament or from pagan mythology, but in doing so omits the basic differences.

합리주의(rationalism)는 가장 초기, 예를 들어, 2세기에 있어
첼소(Celsus) 이후로, 이 교리를 부정합니다. 이 주의는 예수님의 승천을 구약 성경으로부터 혹은 다신교 신화(pagan mythology)로부터의 한 개의 차용(a borrowing)으로서 설명하나, 그러나 그렇게 함에 있어 근본 차이점들을 빠뜨립니다(omits).


Doctrinally the Ascension means the final elevation of Christ's human nature into the condition of divine glory. It is the concluding work of redemption. According to the Church's common teaching, the souls of the just from the pre-Christian era went with the Savior into the glory of heaven. Christ's Ascension is the archetype and pledge of our own ascension into heaven. (Etym. Latin ascensio, an ascending, ascent.)

교리적으로 예수님의 승천은 신성적 영광(divine glory)의 상태 안쪽으로 그리스도의 인성(human nature)의 최종적 들어 올려짐을 뜻합니다. 이 들어 올려짐은 속량(구속, redemption)에 대한 종결짓는 위업(work)입니다. 교회의 통상 교도권(common teaching)(*)에 따르면, 그리스도교 이전 시기로부터의 의로운 자들의 영혼(souls)들은 하늘의 영광 안쪽으로 구세주와 함께 들어갔습니다. 그리스도의 승천은 하늘(heaven) 안쪽으로 우리의 고유의 [영혼들의] 승천의 원형(archetype)이며 그리고 보증(pledge)입니다. [어원. Latin ascensio, an ascending, ascent.]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번역자 주: 가톨릭 보편 교회의 "교도권(Magisterium)"에 대한 안내의 글인 다음의 글을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24.htm
-----

2-3.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승천(昇天, Ascension)"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에 대한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1767a.htm
(발췌 시작)
Ascension

승천(昇天)

See also The Feast of the Ascension.

승천 축일을 또한 보라.


The elevation of Christ into heaven by His own power in presence of His disciples the fortieth day after His Resurrection. It is narrated in Mark 16:19, Luke 24:51, and in the first chapter of the Acts of the Apostles.

당신의 부활 이후 40번째 날에 당신의 제자들의 현존에서 당신 고유의 힘에 의하여 하늘(heaven) 안쪽으로 그리스도의 들어올려짐(elevation)을 말합니다. 이것은 마르코 복음서 16,19, 루카 복음서 24,51, 그리고 사도행전의 첫 번째 장에 이야기 되어져 있습니다.


Although the place of the Ascension is not distinctly stated, it would appear from the Acts that it was Mount Olivet. Since after the Ascension the disciples are described as returning to Jerusalem from the mount that is called Olivet, which is near Jerusalem, within a Sabbath day's journey. Tradition has consecrated this site as the Mount of Ascension and Christian piety has memorialized the event by erecting over the site a basilica. St. Helena built the first memorial, which was destroyed by the Persians in 614, rebuilt in the eighth century, to be destroyed again, but rebuilt a second time by the crusaders. This the Moslems also destroyed, leaving only the octagonal structure which encloses the stone said to bear the imprint of the feet of Christ, that is now used as an oratory.

비록 이 승천의 장소가 구분되게 서술되어 있지 않으나, 사도행전으로부터 그 장소가 올리브 동산(Mount Olivet)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이 승천 이후에 제자들이, 안식일 날의 단거리의 이동(journey) 이내에 있는, 예루살렘 근처에 있는, 올리브로 볼리는 산으로부터 예루살렘으로 되돌아 왔다고 서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전승은 바로 이 장소를 승천의 산(the Mount of Ascension)으로 이미 축성하였으며 그리고 그리스도 사람들의 공경은 이 장소 위에 한 개의 바실리카를 세움으로써 이 사건을 기념해 왔습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어머니인] 성녀 헬레나(St. Helena, 330년경에 죽음)는 첫 번째 기념관을 건축하였는데, 이것은 614년에 페르시아 군대(the Perisians)에 의하여 파괴되었으며, 8세기에 재건되었으나, 다시 파괴되었으며, 그러나 십자군 전사(the crusaders)들에 의하여 두 번째로 재건되었습니다. 이것을 무슬림(the Moslems)들이 다시 파괴하였는데, 그 결과로 오로지 그리스도의 발자국들을 담고 있다고 말해지는 바위를 둘러싸고 있는 정 팔각형의 구조물만 남아 있는데, 바로 이것이 요즈음 한 개의 경당(an oratory, 경당)으로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Not only is the fact of the Ascension related in the passages of Scripture cited above, but it is also elsewhere predicted and spoken of as an established fact. Thus, in John 6:62, Christ asks the Jews: "If then you shall see the son of Man ascend up where He was before?" and 20:17, He says to Mary Magdalen: "Do not touch Me, for I am not yet ascended to My Father, but go to My brethren, and say to them: I ascend to My Father and to your Father, to My God and to your God." Again, in Ephesians 4:8-10, and in Timothy 3:16, the Ascension of Christ is spoken of as an accepted fact.

위에서 인용된 성경 본문의 구절들에 이 승천에 대한 사실이 관련되어 있을뿐만이 아니라, 또한 이것은 한 개의 확립된 사실(an established fact)로서 [성경 본문의] 다른 곳에서 예견되고 있으며 그리고 말해지고 있습니다. 지금 말한 것처럼(thus), 요한 복음서 6,62에서, 그리스도께서는 유다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하셨습니다: "사람의 아들이 전에 있던 곳으로 올라가는 것을 보게 되면 어떻게 하겠느냐?" 그리고 요한 복음서 20,17에서, 당신께서는 마리아 막달레아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내가 아직 아버지께로 올라가지 않았으니 나를 더 이상 붙들지 마라. 내 형제들에게 가서, '나는 내 아버지이시며 너희의 아버지이신 분, 내 하느님이시며 너희의 하느님이신 분께 올라간다' 하고 전하여라." 게다가 또(again), 에페소서 4,8-10에서, 그리고 티모테오 3,16에서, 그리스도의 승천은 한 개의 받아들여진 사실로서 말해지고 있습니다. 

 

The language used by the Evangelists to describe the Ascension must be interpreted according to usage. To say that He was taken up or that He ascended,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they locate heaven directly above the earth; no more than the words "sitteth on the right hand of God" mean that this is His actual posture. In disappearing from their view "He was raised up and a cloud received Him out of their sight" (Acts 1:9), and entering into glory He dwells with the Father in the honour and power denoted by the scripture phrase.

이 승천을 서술하기 위하여 복음사가들에 의하여 사용된 언어는 어법(usage)에 따라 해석되어져야만 합니다. 당신께서 올려졌다고 말하는 것 혹은 당신께서 승천하셨다고 말하는 것은, 그들이 하늘을 이 땅 바로 위에 두는(locate) 것을 반드시 뜻하는 것은 아니며, 그리하여 단지 "하느님의 오른편에 앉으신다"는 표현은 바로 이것이 당신의 현실태적 자세(actual posture)임을 뜻하는 데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들의 시야로부터 사라지시면서 "예수님께서는 하늘로 오르셨는데, 구름에 감싸여 그들의 시야에서 사라지셨습니다." (사도행전 1,9), 그리고 영광 안쪽으로 들어가심으로써 당신께서는 이 성경 본문 구절에 의하여 나태내어지는 영예(honour)와 힘(power) 안에 성부와 함께 머무르십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아직까지 비록 "예수님의 부활"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는 않았으나,, 그러나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후에 40일째 되는 날에 승천하셨다고 마르코 복음서 16,19, 루카 복음서 24,51, 그리고 사도행전의 첫 번째 장 기록되어 있으므로, 예수님의 부활과 예수님의 승천은 절대로, 결코 동일한 개념/사건이 아닙니다.

3. 부활이란?

3-1.
 다음은 St. Joseph 판 NAB(New American Bible)의 부록인 Bible Dictionary(성경 사전)에 주어진 resurrection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발췌 시작)
RESURRECTION. The Bible does not have this unique and specific term. It uses the verbs to awake, to raise up, to cure, or the intransitive verts, to get up, to appear, to show (one's self) sometimes as an act showing the power of God, sometimes as a manifestation of the victory of life over death. In the Old Testament, the idea is made known little by little at first in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people (Ez 37,1.4) then for the Servant of Yahweh (Is 53) but always in a very limited fashion (Pss 16,10ff; 49,16; 73,26; 17,15). In the New Testament, this idea takes on an elemental importance through the resurrection of Jesus, which became the fundamental historical fact, the principal witness of his divinity (1 Cor 15,4.12). The Resurrection is also the divine judgment which has ordered the defeat of death and pledges salvation and resurrection to all the faithful (Rom 4,25; Col 2,12ff; Eph 2,1-7). This resurrection in grace is the prelude to the final and glorious resurrection (1 Cor 15,20ff; 1 Thes 4,14ff).

부활(RESURRECTION). 성경은 이 독특한(unique) 그리고 구체적인 용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성경은, 때로는 하느님의 힘을 나타내 보이는 어떤 행위(an act)로서, 때로는 죽음에 대한 생명의 승리의 명시(manifestation)로서, 깨우다(to awake), 일으키다(to raise up), 치료하다(to cure) 등의 동사들을 사용하거나 혹은 일어나다(to get up), 나타나다(to appear), (자기 자신을) 보이다[to show (one's self)] 등의 자동사들을 사용합니다. 구약 성경에 있어, 이 관념(idea)은, 처음에는 전체 백성의 관점에서 (에제키엘 37,1.4) 그런 다음에는 주님의 종(Servant of Yahweh)을 위하여 (이사야 53) 그러나 항상 매우 제한적인 방식으로 (시편 16,10 및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 49,16; 73,26; 17,15), 조금씩 조금씩 알려지게 됩니다. 신약 성경에 있어, 이 관념은, 근본적 역사적 사실이 되었던, 당신의 신성(divinity)에 대한 주된 증거(witness)인 (1코린토 15,4.12), 예수님의 부활(the resurrection of Jesus)(*)을 통하여 요소적 중요성(an elemental importance)을 드러냅니다(takes on). 이 부활은 또한, 죽음의 패배를 이미 명하셨던 그리고 모든 열심 신자들에게 구원(salvation)과 부활(resurrection)을 보증하시는 (로마 4,25; 콜로새 2,12 및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 에페소 2,1-7), 신성적 판결(the divine judgment)입니다. 은총 안에 있는 바로 이 부활은 최후의 그리고 영광스러운 부활에 대한 서문입니다 (1코린토 15,20 및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 1테살로니카 4,14 및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

-----
(*) 번역자 주: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부활(resurrection)"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아래의 제3-5항에 있는 글의 첫 문장에 주어져 있다.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2.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용어집"에 주어진, "그리스도의 부활(Resurrection)"이라는 용어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그리고 괄호 안의 번호는 관련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항들의 번호들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catechism/text/glossary.shtml#r

(발췌 시작)

RESURRECTION OF CHRIST: The bodily rising of Jesus from the dead on the third day after his death on the cross and burial in the tomb. The resurrection of Christ is the crowning truth of our faith in Christ (638).


그리스도의 부활: 십자가 위에서 당신의 죽음과 무덤에 묻힘 후에 세 번째 날에 죽은 이들로부터 예수님의 몸의 일어나심(bodily rising of Jesus)을 말합니다. 그리스도의 부활은 그리스도에 대한 우리의 믿음 중의 최고의 진리입니다 (CCC 638).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그리스도의 부활(Resurrection of Jesus Christ)"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에 대한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079

(발췌 시작)
RESURRECTION OF CHRIST

그리스도의 부활

The rising from the dead of Christ on the third day after his death and burial. Christ's Resurrection is a basic truth of Christianity, which is expressed in all the Creeds and in all rules of faith of the ancient Church. He rose through his own power. The source of his Resurrection was the hypostatic union. The principal cause was the Word of God, together with the Father and the Holy Spirit; the intrumental cause was the parts of Christ's humanity, soul, and body, which were hypostatically united with the God-head. The Scripute asserts (Acts 2:24; Galatians 1:1) that Christ was raised by God or by the Father, these state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his humanity. All forms of rationalism in ancient and modern times--deciet hypothesis, apparent death hypothesis, vision hypothesis, symbolism hypothesis--deny Christ's Resurrection. Yet nothing is more central in the fiath as attested by Peter's sermon on Pentecost and as defended ever since by the Church's most solemn teaching authority.

당신의 죽음과 묻힘 후에 세 번째 날에 죽은 이들로부터 그리스도의 일어나심(the rising of Christ)을 말합니다. 그리스도의 부활은, 신경(Creeds)들 모두에 있어 그리고 고대 교회의 신앙 규율(rules of faith)들 모두에 있어 표현되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근본 진리입니다. 당신께서는 당신 고유의 힘을 통하여 일어나셨습니다. 당신의 부활의 원천(source)은 위격 결합(hypostatic union)이었습니다. 주된 원인은, 성부 및 성령과 함께 계시는, 하느님의 거룩한 말씀(the Word of God)이었으며, 그리고 도구적 원인(the instrumental cause)은, 신성(神性, God-head)와 위격적으로 결합되어 있었던, 그리스도의 인성(humanity), 영혼(soul), 그리고 몸으로 구성된 부분(parts)들이었습니다. 성경 본문 (사도행전 2,24; 갈라티아 1,1)은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에 의하여 혹은 성부에 의하여 일어나게 되셨다고 확언하고 있는데, 이들 문장들은 당신의 인성에 대하여 언급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사기 가정(deciet hypothesis), 외견상의 죽음 가정(apparent death hypothesis), 환시 가정(vision hypothesis), 상징 가정(simbolism hypothesis) 등의 고대와 현대의 시기에 있어 합리주의의 표현 형식(forms of rationalism)들 모두는 그리스도의 부활을 부정합니다. 그러나 오순절(Pentecost, 성령강림일)에서 베드로(Peter)의 설교에 의하여 증언되듯이 그리고 그 이후로 지금까지 교회의 가장 장엄한 가르치는 권위에 의하여 지켜지고 있듯이 어떠한 것도 믿음에 있어 더 중심적이지(central) 못합니다.


The body of the risen Christ was in a state of glory, as is evident from circumstances of the appearances recorded in the Gospels and Acts, and from Christ's supremacy over the limitations of space and time. The risen Christ retained the wounds in his transfigured body as tokens of his triumph over death (John 20:27).

일어나신 그리스도(the risen Christ)의 몸은, 복음서들 및 사도행전에 기록된 그 나타나심(the appearances)들의 상황들로부터 그리고 시공간의 제약을 능가하는 그리스도의 우월(supremacy)로부터 분명하듯이, 영광(glory)의 지위에 계셨습니다. 일어나신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변모되신 몸에 있는 상처들을 죽음에 대한 당신의 승리의 표시(tokens)들로서 계속 유지하셨습니다.


Theologically the Resurrection, unlike the death of Christ, is not the meritorious cause of human redemption. It is the victorious completion of redemption. It belongs to the perfection of redemption and is therefore associated in the Scriptures with Christ's death on the Cross as one complete whole. It is the model and, in the person of the risen Christ, the channel of grace for our spiritual redemption from sin and for our bodily resurrection on the Last Day.

신학적으로 그리스도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과는 달리, 인간의 속량(구속)(human redemption)의 공로있는 원인(meritorious cause)이 아닙니다. 이 부활은 속량(구속)의, 승리를 거둔(victorious), 완료(completion)였습니다. 이 부활은 속량(구속)의 완미(perfection)(*)에 속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성경 본문에 있어 한 개의 완전한 전체로서(as one complete whole) 십자가 위에서 그리스도의 죽음과 관련지어집니다. 이 부활은 귀감(model)이며 그리고, 일어나신 그리스도의 인격(person) 안에서, 죄로부터 우리의 영적 속량(구속)(spiritual redemption)을 위한 그리고 최후의 날에 우리의 몸의 부활(bodily resurrection)을 위한 은총의 전달 경로(the channel of grace)입니다.


-----
(*) 번역자 주: "완미(perfection)"이라는 용어의 의미에 대한 글은 다음의 주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4.htm <----- 필독 권유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3-3: [당부/권고의 말씀] 약간 수고스럽더라도, 강생하신 말씀(성자)이신 예수님이 성자(말씀)와 동일한, 성삼위 중의, 제2위격의 하느님이심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관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 뿐만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차근 차근 잘 기술하고 있는, 본 게시자 주 3-3 전부, 즉, 제(1항)부터 제(12항)까지, 여러 번 정독하실 것을 강력하게 권고드립니다. 사족입니다만,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아는 한, 이러한 내용을, 바로 아래에 제시된 바처럼, 논리적으로 잘 기술하는 우리말로 작성된 자료는 여태까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hypostasis"(위격)에 대한 설명이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h/h192.htm 

(발췌 시작)

HYPOSTASIS

 

An individual, complete substance existing entirely in itself; an incommunicable substance. The term used by the Church to identify the persons in the Trinity and the union of two natures in one divine person in Christ. A person is a hypostasis endowed with reason. Moreover, hypostasis and nature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hypostasis is the bearer of the nature and the ultimate subject of all being and acting, while the nature is that through which the hypostasis exists and acts. (Etym. Latin hypostasis, basis; single substance; rational single substance, person; Greek hypostasis, support, foundation, substance, sediment.)


위격(hypostasis)


그 자체로(in itself) 전체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개별적이고, 완전한 본체 한 개를 말하며, 그리고 나누어줄 수 없는(incommunicable) 본체 한 개를 말합니다. 이 용어는 성삼위 안에 있는 격(persons)들 및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의 신격(one divine person) 안에 두 본성들의 결합을 식별하기 위하여 교회에 의하여 사용되었습니다. 한 격(a person)은 이성(reason)이 부여된 한 위격(a hypostasis)을 말합니다.(*) 더구나, 위격(hypostasis)과 본성(nature)은, 위격이 본성 그리고 모든 있음(being) 및 행함(acting)의 궁극적 주체(subject)를 품은 자(the bearer)이라는, 이와는 달리(while) 본성은 바로 그것을 통하여 위격이 존재하고 그리고 활동하는 바로 그것이라는, 그러한 방식으로, 서로에게 관계되어 있습니다. [어원. Latin hypostasis, 근거(basis); 단일한 본체(single substance); 이성적 단일한 본체인, 격(rational single substance, person); Greek hypostasis, 지지( support), 기초(foundation), 본체(substance), 침전물(sediment).]


-----
(*) 번역자 주: (1) 우선적으로, "격(person, persona, 페르소나)"에는 "신격"(divine person), 그리고 피조물들 중에서 "천사격"(angelic person), "인격"(human person) 등이 있음을 항상 기억하도록 하라. 


[내용 추가 일자: 2022년 1월 4일]

(2) 이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바로 아래에 발췌된 바에 제시된 성 보에시오/보에티우스(St. Boethius, 477-524년)의 정의(definition)의 덜 엄밀한 부분을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4-1274년)가 보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 위에 제시된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바로 이 동일한 용어의, 더 이해하기 쉬운, 일반론적 형이상학 정의(deinition)로부터, 교의 신학적으로 더 엄밀한 추상화(abstraction) 과정을 거쳐, 도출되었다는 생각이다:

 

출처 1: https://maritain.nd.edu/jmc/etext/gm11.htm HYPOSTASIS, defined 280. a substance 281.

출처 2: https://maritain.nd.edu/jmc/etext/gm08.htm#p280 

출처 3: http://ch.catholic.or.kr/pundang/4/neo_Thomism/1890_General_Metaphysics_by_John_Rickaby.pdf

(출처2로부터 발췌 시작)

All things which can naturally have a separate existence are substances, and every existing substance in nature must be individual. When an individual substance is complete in itself, forming an entire nature, and remaining intrinsically independent, incommunicable, or sui juris, it is called a suppositum or hypostasis, because to it are attributed all the activities and passivities of the thing. The maxim is, Actiones sunt suppositorum -- "Actions belong to their respective supposita." Thus man is a suppositum, and to his suppositum are attributed the slightest movement of a finger, and the slightest pain of a tooth. The man moves and the man suffers. Hypostasis, therefore, though it has other senses in other connexions, is defined in the present connexion, as any single substance which is of itself something complete, is not part of another thing, and cannot be regarded as a part. This of course is said in reference to a physical, intrinsic whole; for extrinsically different supposita may be united to form a whole by way of aggregation. That precisely which makes a substance to be a hypostasis is frequently called its subsistentia. Furthermore, the hypostasis or suppositum, if intelligent, is called a person -- a word which meant the "mask" (prosôpon) that marked out in the stage-player the character he was sustaining. The mask told who the wearer was, sacrificing facial expression to ruder and more easily perceptible ends, and to the necessities of an enormous theatre, and of a highly idealized form of drama. Boethius defines a person as the individual substance of rational nature. It is a notable fact that all the words here are positive, with the disputable exception of "individual," which, however, may easily be regarded in a positive light.


한 개의 분리된 존재를 자연적으로 가질 수 있는 모든 사물들은 본체(substances)들이며, 그리고 자연에 존재하는 본체 각각은 개별적(individual)이어야 한다. 한 개의 개별적 본체가, 한 개의 전체 본성(nature)을 형성하고, 그리고 내인적으로(intrinsically) 독립적인 상태로 머물러 있으며, 나누어줄 수 없는(incommunicable), 혹은 sui juris인, 그 자체로 완전할(complete) 때에, 그것은 한 개의 suppositum 혹은  hypostasis(위격)라고 불리는데, 왜냐하면 해당 사물의 능동 활동(activities)들 및 수동 활동(passivities)들 모두가 바로 그것의 탓으로 돌려지기(are attributed to) 때문이다. 해당하는 격언은 Actiones sunt suppositorum -- "행동들은 그들 각각의 supposita에 속한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thus) 사람(man)은 한 개의 suppositum이며, 그리고 손가락 한 개의 가장 작은 움직임도, 잇빨 한 개의 가장 작은 고통도, 당사자의 suppositum 의 탓으로 돌려진다. 사람은 움직이고 그리하여 사람을 고통을 겪는다(suffers). 그러므로, 위격(hypostasis)은, 비록 이 단어가 다른 전후 관계(connexions)들 안에서 다른 어의(senses)들을 가지기는 하나, 현재의 전후 관계(connexion)에 있어, 다음과 같은 것으로서 정의된다(is defined): 그것만으로(of itself) 완전한(complete) 어떠한 사물(something)이고, 다른 사물(another thing)의 부분이 아니며, 그리고 한 부분으로서 간주될 수 없는, 임의의 단독의 본체(any single substance). 바로 이것은 당연히 한 개의 형이하적, 내인적 완전체(whole)에 관련하여 말해진 것인데, 왜냐하면 외인적으로(extrinsically) supposita는 집성(aggregation)의 방식으로 한 개의 완전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 개의 위격(hypostasis)이 되기 위하여 한 개의 본체(a substance)를 만드는 정확하게 바로 그것은 자주 그것의 subsistentia라고 불린다. 더구나, 위격(hypostatis) 혹은 suppositum이, 만약에 지능(知能)[즉, 지성(intellect)의 능력(power/faculty)]을 가지고 있다면(intelligent)[즉, 영재(靈才)를 가지고 있다면, 즉, 기억력(memory)과 이해력(understanding)을 가지고 있다면],(#) 한 개의 격(a person, persona, 페르소나)이라고 불리는데, 바로 이 한 개의 단어는, 무대 연기자(stage-player)에 있어 그가 유지하고 있는 등장 인물/역(character)을 눈에 띄게 하는 "가면"(mask, prosôpon)을 과거에 의미하였다. 이 가면(the mask)은, 더 거칠고 그리고 더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끝(ends)들에, 그리고 한 개의 거대한 공연장의, 그리고 연극(drama)의 한 개의 고도로 개념화된 형상(highly idealied form)의, 필수품(necessities)들에, 얼굴 표정을 희생함으로써, 그것을 착용하고 있는 자가 누구인지를 말하였다. 보에시오/보에티우스(Boethius, 477-524년)한 개의 격(a person)이성적 본성(rational nature)의 개별적 본체(indiviidual substance)로서 정의한다(defines). 여기서 단어들 모두가, "개별적"(individual)이라는 논의의 여지가 있는, 그러나(however), 어떤 긍정적인 빛 안에 있다고 쉽게 간주될 수도 있을, 예외와 함께, 긍적적임(positive)은 한 개의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
(#)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영재(靈才)"가,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지능(知能, intelligence)[즉, 지성(intellect)의 능력]을 말함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85.htm <----- 필독 권고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따라서, 일반적으로, 격(person, persona, 페르소나)위격(hypostasis)이고, 그리고 위격(hypostasis)은  본체(substance)이나, 그러나 그 역들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음에 주목하라.


(4) 다른 한편으로, (i) 성부는 조물주 하느님이시고, (ii) 거룩한 말씀, 즉, 성자요한 복음서 1,1에 의하여 하느님이시며, (iii) 성령은, 하느님이신 예수님(루카 복음서 1,43)의 가르침에 의하여[예를 들어, 마태오 복음서 28,19에 의하여], 또한 하느님이시기 때문에, 


특별히, 왜냐하면 피조물인 사람(man)이, 지능(知能)[즉, 지성(intellect)의 능력(power/faculty)]을 가지고 있는(intelligent)[즉, 영재(靈才)를 가지고 있는, 즉, 기억력(memory)과 이해력(understanding)을 가지고 있는, 한 개의 위격(hypostasis), 즉,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한 개의 격(a person)이기 때문에, 성부, 성자, 그리고 성령 각각은, 유비에 의하여(by analogy, 창세 1,26), 한 개의 격(a peson)이라는 한 개의 위격(a hypostasis)임에 반드시 주목하라.


(5) 그리고 이분들 각각의 격()이라는 위격(位格)(즉, 位格, person or hypostasis)은, 이분들 각각이 신약 성경 본문(예를 들어, 요한 복음서 1,1; 마태오 복음서 28,19)에 의하여 한분이신 하느님(God)을 말하므로, 신격(神格, divine person)이다.


(6) 사실, 성 토마스 아퀴나스"신학 대전" 등의 저술들 본문에는, 예를 들어, 다음의 파란 색칠들을 한 굵은 글자들을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one person or hyostasis", "the Divine person or hypostasis", 그리고 "a human person or hypostais"라는 표현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위의 제(2)항부터 제(5)항에 제시된 필자의 설명에 의하여, 이들 표현들 각각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표현들인 "하나의 격 혹은 위격", "신격 혹은 위격", 그리고 "한 개의 인격 혹은 위격" 로 번역되기 보다는, "하나의 격이라는 위격", "신격이라는 위격", 그리고 "한 개의 인격이라는 위격"으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person or hypostasis" "vel" site:isidore.co <----- 여기를 클릭하여 확인하라 

"the divine person or hypostasis" "vel" site:isidore.co <----- 여기를 클릭하여 확인하라

"a human person or hypostasis" "vel" site:isidore.co <----- 여기를 클릭하여 확인하라

[이상, 2022년 1월 4일자 내용 추가 끝]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7) 그리고 다음에 발췌된 바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hypostatic union"(위격 결합)에 대한 설명이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h/h192.htm 

(발췌 시작)

HYPOSTATIC UNION


The union of the human and divine natures in the one divine person of Christ. At the Council of Chalcedon (A.D. 451) the Church declared that the two natures of Christ are joined "in one person and one hypostasis" (Denzinger 302), where hypostasis means one substance. It was used to answer the Nestorian error of a merely accidental union of the two natures in Christ. The phrase "hypostatic union" was adopted a century later, at the fifth general council at Constantinople (A.D. 533). It is an adequate expression of Catholic doctrine about Jesus Christ that in him are two perfect natures, divine and human; that the divine person taken to himself, includes in his person a human nature; that the incarnate Son of God is an individual, complete substance; and that the union of the two natures is real (against Arius), no mere indwelling of God in a man (against Nestorius), with a rational soul (against Apollinaris), and the divinity remains unchanged (against Eutyches).


위격 결합(hypostatic union)


그리스도의 하나의 신격(one divine person) 안에 인성과 신성의 결합을 말합니다. 칼케톤 공의회(기원후 451년)에서 교회는 그리스도의 두 본성들이 "하나의 격(person) 그리고 하나의 위격(hypostasis) 안에서" 결합된다라고 선언하였는데(덴징거 302항), 여기서 hypostatis는 하나의 본체(one substance)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두 본성들의 어떤 단지 부수적인(accidental) 결합(union)이라는 네스토리우스의 오류(Nestorian error)에 답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습니다. "위격 결합"(hypostatic union)이라는 표현은 한 세기 이후에, 콘스탄티노플에서 개최된 제5차 일반 공의회(기원후 533년)에서 채택되었습니다. 이 용어는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다음과 같은, 가톨릭 교리의 적절한 표현 한 개 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 신성(divine nature) 및 인성(human nature)이라는 두 개의 완미한 본성(perfect natures)들이 존재함, 그리고 그분 자체 쪽으로 취해진(taken) 신격(the divine person)이 한 인성(a human nature)을 당신의 격(person) 안에서 포함함, 그리고 강생하신(incarnate) 하느님의 아드님(즉, 성자)이 한 개별적이고 완전한 본체(substance)임, 그리고 [아리우스(Arius)에 반하여] 두 본성들의 결합은 실제이고(real), [네스토리우스(Nestorius)에 반하여] 한 사람 안에 하느님의 단순한 거주하심이 아님, [아폴리나리스(Apollinaris)에 반하여] 한 이성적 영혼을 가짐, 그리고 [에우티게스(Eutyches)에 반하여] 신성이 변화되지 않고 남아있음.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8) 그리고 다음에 발췌된 바는, 영어 "가톨릭대사전"에 주어진 "hypostatic union"(위격 결합)에 대한 설명이다:


출처: https://www.newadvent.org/cathen/07610b.htm 

(발췌 시작)

Hypostatic Union

 

A theological term used with reference to the Incarnation to express the revealed truth that in Christ one person subsists in two natures, the Divine and the human. Hypostasis means, literally, that which lies beneath as basis or foundation. Hence it came to be used by the Greek philosophers to denote reality as distinguished from appearances (Aristotle, "Mund.", IV, 21). It occurs also in St. Paul's Epistles (2 Corinthians 9:4; 11:17; Hebrews 1:3-3:14), but not in the sense of person. Previous to the Council of Nicæa (325) hypostasis was synonymous with ousia, and even St. Augustine (On the Holy Trinity V.8) avers that he sees no difference between them. The distinction in fact was brought about gradually in the course of the controversies to which the Christological heresies gave rise, and was definitively established by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which declared that in Christ the two natures, each retaining its own properties, are united in one subsistence and one person (eis en prosopon kai mian hypostasin) (Denzinger, ed. Bannwart, 148). They are not joined in a moral or accidental union (Nestorius), nor commingled (Eutyches), and nevertheless they are substantially united. For further explanation and bibliography see: INCARNATION; JESUS CHRIST; MONOPHYSITISM; NATURE; PERSON.

 

위격 결합(hypostatic union)


그리스도 안에 하나의 격(one person)이 두 본성(two natures)들, 신성(the Divine)과 인성(the human), 안에 존속하고 있다(subsists in)계시된 진리를 표현하기 위하여 육화(Incarnation)에 대한 언급과 함께 사용된 신학 용어입니다. 위격(hypostasis)은, 글자 그대로, 근거(basis) 혹은 기초(foundation)로서 아래에 놓여있는 바로 그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용어는 그리스 철학자들에 의하여 외관(appearances)으로부터 구분되는 것으로서 실체(reality)를 표기하기 위하여 사용됨에 이르렀던 것입니다(Aristotle, "Mund.", IV, 21). 이 용어는 성 바오로의 서간들 (2코린토 9,4; 11,17; 히브리 1,3-3,14)에서 또한 등장하나, 그러나 격(person)의 어의(sense) 안에서는 아닙니다. 니케아 공의회(325년) 이전에 위격(hypostasis)ousia와 동의어였으며, 그리고 심지어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도 (On the Holy Trinity V.8) 그가 이들 두 사이에 아무런 다른 점을 보지 못한다고 단언합니다(avers). 이들 사이의 구분은, 사실, 바로 그 쪽으로 그리스도론적 이단들이 일으켰던, 논쟁들의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일어나게 되었으며, 그리하여 칼케톤 공의회(451년)에 의하여 결정적으로 확립되었는데, 이 공의회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두 본성들이, 각자 그 고유한 성질(properties)들을 보유하면서, 하나의 본체(one substance) 및 하나의 격(one person) 안에 결합되어 있음(eis en prosopon kai mian hypostasin) (Denzinger, ed. Bannwart, 148)을 선언하였습니다. 그들은 어떤 윤리적(moral) 혹은 부수적(accidental) 결합(unity)으로 합쳐져 있는(are joined) 것[네스토리우스(Nestorius)]이 아니며, 또한 혼합되어 있는(commingled) 것[에우티케스(Eutyches)]이 아니고,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본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습니다(are substantially united). 그 이상의 설명과 인용 분헌을 위하여 다음을 보십시오: INCARNATION; JESUS CHRIST; MONOPHYSITISM; NATURE; PERSON.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22년 1월 6일]

(9) 다음은, 굿뉴스 서버 제공의 초판 우리말 "가톨릭대사전"에서 발췌한 바인데,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 순명하는 정통 가톨릭 신학(authentic Catholic theology)을 전공하기 위하여 이탈리아 로마로 유학을 가고자 하는, 청춘인 성직자들과 수도자들께 혹시라도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 싶어, 괄호들 안에, 대응하는 파란 색칠 혹은 빨간 색칠을 한 영어 단어들을,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6학년 6반)가, 병기하였다:


출처: 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2674 
(발췌 시작)
위격적결합


한자: 位格的結合
라틴어: unio hypostatica(*1)
영어: hypostatic union


성자(the Son of God)의 한 위격(one Person or hypostasis) 안에 천주성(divine nature)과 인성(human nature)이 결합한 사실. 이로 인하여 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God)인 동시에 인간(man)이 되었다. “그는 하느님으로서 영원으로부터 아버지에게서 출생하였으나(was begotten), 인간으로서 시간 안에 그의 어머니한테서 태어났다. 그는 완전한(완미한, perfect) 하느님이요, 영혼과 육신을 갖춘 완전한(완미한, perfect) 인간(man)이다. 하느님이요 인간(man)이시나 그는 둘이 아니고 하나의(one) 그리스도이다. 이는 그의 천주성(his divine nature)이 육신(flesh)으로 대체된 것이 아니라 그의 인성(his human nature)을 하느님이 취했기(assume) 때문이다. 그가 하나(one)인 것은 본성의 혼합 때문이 아니고 그가 하나의 위격(one Person)을 갖기 때문이다”(아타나시오 신경). 그리스도의 두 본성(two natures)에 관한 성서의 가르침은 이단에 대항하는 과정에서 신학적인 표현으로 발전하였다. 가현론(假顯論), 아리아니즘(Arianism)[<----- 주: 심각한 오류, 삭제 요망](*2), 아폴리나리아니즘(Apollinarianism)은 그리스도의 인성(human nature)의 실재(reality)를 부정하였고 아리아니즘(Arianism), 유리주의(唯理主義), 모데르니즘(Modernism, 근대주의)은(*3) 그의 천주성(divine nature)을 공격하였다. 네스토리아니즘(Nestorianism), 양자론(量子論), 단성론(單性論), 그리고 단의론(單意論)은 위격의 일치(hypostatic union, 위격(적) 결합)의 방식을 오해하였다.

 

-----
(*1) 게시자 주: (1) [번역 오류 한 개] 개정판 우리말 "가톨릭대사전"[즉, 총 12권이 한 질을 구성하는, "한국가톨릭대사전"]에 수록된 "네스토리우스주의"의 설명 중, 제1351쪽 및 제1352쪽, 두 군데에서, "unio hypostatica"(위격 결합)"본성적 일치론"으로 번역된 것은, 위의 제(1)항 - 제(6)항에서 함께 고찰한 바에 의하여, 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임을 알 수 있는데, 왜 이러한 납득불가의 오류가 발생하였는지와 관련하여, 참으로 유감스럽지 않을 수 없다.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개정판 우리말 "가톨릭대사전"[즉, 총 12권이 한 질을 구성하는, "한국가톨릭대사전"]"위격"이라는 용어는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으나, 그러나 "위격 결합"(hypostatic union)이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지 않음에 대한 지적의 글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333.htm <----- 또한 필독 권고


(*2) 게시자 주: 바로 이 삭제 요망과 관련하여,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단인 "아리아니즘", 즉, "아리우스 이단"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다. 필독을 권고드린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02.htm <----- 또한 필독 권고


(*3) 게시자 주: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바로 아래의 제(10)항에 안내된 한스 큉한 명의 근대주의자(a modernist)였음을 알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79.htm <----- 또한 필독 권고


[내용 추가 일자: 2022년 1월 10일]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19세기 초에 독일 개신교회 측에서 등장한 한 명의 근대주의자(a modernist)실라이에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 1768-1834)"경신/종교(religion)를, 개인적(personal)일뿐만이 아니라 사회적인(social), 어떤 느낌(a feeling)"으로서 정의하였음을 알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religion_as_feeling_2018.htm <----- 또한 필독 권고
[이상, 2022년 1월 10일자 내용 추가 끝]

-----
(이상, 발췌 끝)


(10)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 순명하지 않았던 20세기의 가톨릭 교회의 신부인 신학자들 중의 대표적 인물인, 교황청 신앙 교리성에 의하여 단죄를 받았던, 스위스인 한스 큉(1928-2021년, Hans Kung)에 대한 안내의 졸글들[주: 작성일자: 순서대로, 2006-12-01; 2007-07-13; 2009-10-01; 2009-10-06]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647.htm <----- 또한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59.htm <----- 또한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64.htm <----- 또한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69.htm <----- 또한 필독 권고


(11)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가톨릭 교회 신부인 신학자이면서도 "환생", 즉, "윤회"를 주장하였던, 독일인 칼 라너(1904-1984년)에 대한 안내의 졸글들[주: 작성일자: 순서대로, 2007-01-04; 2009-10-23; 2009-10-27]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650.htm <----- 또한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70.htm <----- 또한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25.htm <----- 또한 필독 권고


(12) 위의 제(10)항제(11)항을 말씀드린 이유는, 개정판 우리말 "가톨릭대사전"[즉, 총 12권이 한 질을 구성하는, "한국가톨릭대사전"]에 수록된 표제어들인 "네스토리우스주의" 및 "위격" 이들 둘 다의 본문들의 참고문헌들 대부분이 독일어로 저술되어, 아무리 빠르더라도, 1961년과 그 이후의 시기에 출판된, 따라서 위의 제(10)항제(11)항에서 안내한, 신학자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그러나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의 전통적 가르침과는 거리가 먼, 자료들일 수도 있다는 의구심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구심을 가지는 이유는, (*1) 게시자 주에서 구체적으로 지적한 납득불가의 문제점들 때문이다.

[이상, 2022년 1월 6일자 내용 추가 끝]

(이상, 게시자 주 3-3 끝)

3-4.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에 주어진, "죽은 이들의 부활(resurrection of the dead)"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여기서 괄호 안의 숫자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유관 항 번호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catechism/text/glossary.shtml#r
(발췌 시작)
RESURRECTION OF THE DEAD: The raising of the righteous, who will live forever with the risen Christ, on the last day. The eleventh article of the Christian creed states, "I 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means not only that the immortal soul will live on after death, but that even our "mortal bodies" (Rom 8:11) will come to life again (988).

죽은 이들의 부활(RESURRECTION OF THE DEAD): 마지막 날에, 일어나신 그리스도와 함께 영원히 살아갈, 의로운 자들의 일어나게 됨(raising)을 말합니다. 그리스도교 신경 [즉, 사도 신경]의 제11번째 조항은, "저는 육신의 부활을 믿나이다(I 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라고 서술합니다. 육신의 부활은 죽음 이후에 불멸의 영혼이 계속 살아감(live on)을 뜻할 뿐만이 아니라, 또한 심지어 우리의 "죽을 몸(mortal bodies)" (로마 8,11)도 다시 되살아남(come to life)을 뜻합니다 (CCC 988).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번역자 주: 바로 위의 "죽은 이들의 부활"에 대한 용어 설명에서, 여기서 말하는, "부활" 즉 "되살아남"이란, 아래의 제4항에서 분명하게 말씀드리고 있듯이,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몸처럼, 두 번 다시 죽지 않는, 변모된 자신의 몸으로 되살아남을 말한다.
-----

3-5.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Resurrection of Jesus Christ)"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에 대한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12789a.htm
(발췌 시작)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Resurrection is the rising again from the dead, the resumption of life. In this article, we shall treat only of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 General Resurrection of the Body will be covered in another article.) The fact of Christ's Resurrection, the theories opposed to this fact, its characteristics, and the reasons for its importance must be considered in distinct paragraphs.

부활(resurrection)은 죽은 이들로부터 다시 일어남(rising again)인 생명의 되찾음(resumption of life)을 말합니다.(*) 이 항(article)에서, 우리는 오로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만을 다루고자 합니다. [몸의 일반 부활(General Resurrection of the Body)은 다른 항에서 다루어질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부활이라는 사실, 이러한 사실에 반대하는 설들, 그 특징들, 그리고 그 중요성에 대한 이유는 별개의 단락들에서 고찰되어야만 합니다.

-----
(*) 번역자 주: 여기서 "부활(resurrection)" 이라는 용어의 자구적 의미 혹은 정의(definition)가 주어지고 있다.
-----


The fact of Christ's resurrection

The main sources which directly attest the fact of Christ's Resurrection are the Four Gospels and the Epistles of St. Paul. Easter morning is so rich in incident, and so crowded with interested persons, that its complete history presents a rather complicated tableau. It is not surprising, therefore, that the partial accounts contained in each of the Four Gospels appear at first sight hard to harmonize. But whatever exegetic view as to the visit to the sepulchre by the pious women and the appearance of the angels we may defend, we cannot deny the Evangelists' agreement as to the fact that the risen Christ appeared to one or more persons. According to St. Matthew, He appeared to the holy women, and again on a mountain in Galilee; according to St. Mark, He was seen by Mary Magdalen, by the two disciples at Emmaus, and the Eleven before his Ascension into heaven; according to St. Luke, He walked with the disciples to Emmaus, appeared to Peter and to the assembled disciples in Jerusalem; according to St. John, Jesus appeared to Mary Magdalen, to the ten Apostles on Easter Sunday, to the Eleven a week later, and to the seven disciples at the Sea of Tiberias. St. Paul (1 Corinthians 15:3-8) enumerates another series of apparitions of Jesus after His Resurrection; he was seen by Cephas, by the Eleven, by more than 500 brethren, many of whom were still alive at the time of the Apostle's writing, by James, by all the Apostles, and lastly by Paul himself.

Here is an outline of a possible harmony of the Evangelists' account concerning the principal events of Easter Sunday:


     • The holy women carrying the spices previously prepared start out for
       the sepulchre before dawn, and reach it after sunrise; they are
       anxious about the heavy stone, but know nothing of the official guard
       of the sepulchre (Matthew 28:1-3; Mark 16:1-3; Luke 24:1; John 20:1).
     • The angel frightened the guards by his brightness, put them to
       flight, rolled away the stone, and seated himself not upon (ep
       autou), but above (epano autou) the stone (Matthew 28:2-4). 
     • Mary Magdalen, Mary the Mother of James, and Salome approach the
       sepulchre, and see the stone rolled back, whereupon Mary Magdalen
       immediately returns to inform the Apostles (Mark 16:4; Luke 24:2; 
       John 20:1-2).
     • The other two holy women enter the sepulchre, find an angel seated in
       the vestibule, who shows them the empty sepulchre, announces the
       Resurrection, and commissions them to tell the disciples and Peter
       that they shall see Jesus in Galilee (Matthew 28:5-7; Mark 16:5-7).
     • A second group of holy women, consisting of Joanna and her 
       companions, arrive at the sepulchre, where they have probably agreed
       to meet the first group, enter the empty interior, and are admonished
       by two angels that Jesus has risen according to His prediction (Luke 
       24:10).
     • Not long after, Peter and John, who were notified by Mary Magdalen,
       arrive at the sepulchre and find the linen cloth in such a position 
       as to exclude the supposition that the body was stolen; for they lay
       simply flat on the ground, showing that the sacred body had vanished
       out of them without touching them. When John notices this he believes
       (John 20:3-10).
     • Mary Magdalen returns to the sepulchre, sees first two angels within,
       and then Jesus Himself (John 20:11-16; Mark 16:9).
     • The two groups of pious women, who probably met on their return to
       the city, are favored with the sight of Christ arisen, who 
       commissions them to tell His brethren that they will see him in
       Galilee (Matthew 28:8-10; Mark 16:8). 
     • The holy women relate their experiences to the Apostles, but find no
       belief (Mark 16:10-11; Luke 24:9-11).
     • Jesus appears to the disciples, at Emmaus, and they return to 
       Jerusalem; the Apostles appear to waver between doubt and belief
       (Mark 16:12-13; Luke 24:13-35).
     • Christ appears to Peter, and therefore Peter and John firmly believe 
       in the Resurrection (Luke 24:34; John 20:8).
     • After the return of the disciples from Emmaus, Jesus appears to all
       the Apostles excepting Thomas (Mark 16:14; Luke 24:36-43; John 20:19-
       25).

The harmony of the other apparitions of Christ after His Resurrection presents no special difficulties.

Briefly, therefore, the fact of Christ's Resurrection is attested by more than 500 eyewitnesses, whose experience, simplicity, and uprightness of life rendered them incapable of inventing such a fable, who lived at a time when any attempt to deceive could have been easily discovered, who had nothing in this life to gain, but everything to lose by their testimony, whose moral courage exhibited in their apostolic life can be explained only by their intimate conviction of the objective truth of their message. Again the fact of Christ's Resurrection is attested by the eloquent silence of the Synagogue which had done everything to prevent deception, which could have easily discovered deception, if there had been any, which opposed only sleeping witnesses to the testimony of the Apostles, which did not punish the alleged carelessness of the official guard, and which could not answer the testimony of the Apostles except by threatening them "that they speak no more in this name to any man" (Acts 4:17). Finally the thousands and millions, both Jews and Gentiles, who believed the testimony of the Apostles in spite of all the disadvantages following from such a belief, in short the origin of the Church, requires for its explanation the reality of Christ's Resurrection, for the rise of the Church without the Resurrection would have been a greater miracle than the Resurrection itself.


Opposing theories

By what means can the evidence for Christ's Resurrection by overthrown? Three theories of explanation have been advanced, though the first two have hardly any adherents in our day.


The Swoon theory

There is the theory of those who assert that Christ did not really die upon the cross, that His supposed death was only a temporary swoon, and that His Resurrection was simply a return to consciousness. This was advocated by Paulus ("Exegetisches Handbuch", 1842, II, p. 929) and in a modified form by Hase ("Gesch. Jesu", n. 112), but it does not agree with the data furnished by the Gospels. The scourging and the crown of thorns, the carrying of the cross and the crucifixion, the three hours on the cross and the piercing of the Sufferer's side cannot have brought on a mere swoon. His real death is attested by the centurion and the soldiers, by the friends of Jesus and by his most bitter enemies. His stay in a sealed sepulchre for thirty-six hours, in an atmosphere poisoned by the exhalations of a hundred pounds of spices, which would have of itself sufficed to cause death. Moreover, if Jesus had merely returned from a swoon, the feelings of Easter morning would have been those of sympathy rather than those of joy and triumph, the Apostles would have been roused to the duties of a sick chamber rather than to apostolic work, the life of the powerful wonderworker would have ended in ignoble solitude and inglorious obscurity, and His vaunted sinlessness would have changed into His silent approval of a lie as the foundation stone of His Church. No wonder that later critics of the Resurrection, like Strauss, have heaped contempt on the old theory of a swoon.


The Imposition theory

The disciples, it is said, stole the body of Jesus from the grave, and then proclaimed to men that their Lord had risen. This theory was anticipated by the Jews who "gave a great sum of money to the soldiers, saying: Say you, His disciples came by night, and stole him away when we were asleep" (Matthew 28:12 sq.). The same was urged by Celsus (Origen, Against Celsus II.56) with some difference of detail. But to assume that the Apostles with a burden of this kind upon their consciences could have preached a kingdom of truth and righteousness as the one great effort of their lives, and that for the sake of that kingdom they could have suffered even unto death, is to assume one of those moral impossibilities which may pass for a moment in the heat of controversy, but must be dismissed without delay in the hour of good reflection.


The Vision theory

This theory as generally understood by its advocates does not allow visions caused by a Divine intervention, but only such as are the product of human agencies. For if a Divine intervention be admitted, we may as well believe, as far as principles are concerned, that God raised Jesus from the dead. But where in the present instance are the human agencies which might cause these visions? The idea of a resurrection from the grave was familiar to the disciples from their Jewish faith; they had also vague intimations in the prophecies of the Old Testament; finally, Jesus Himself had always associated His Resurrection with the predictions of his death. On the other hand, the disciples' state of mind was one of great excitement; they treasured the memory of Christ with a fondness which made it almost impossible for them to believe that He was gone. In short, their whole mental condition was such as needed only the application of a spark to kindle the flame. The spark was applied by Mary Magdalen, and the flame at once spread with the rapidity and force of a conflagration. What she believed that she had seen, others immediately believed that they must see. Their expectations were fulfilled, and the conviction seized the members of the early Church that the Lord had really risen from the dead.


Such is the vision theory commonly defended by recent critics of the Resurrection. But however ingeniously it may be devised, it is quite impossible from an historical point of view.


     • It is incompatible with the state of mind of the Apostles; the theory
       presupposes faith and expectancy on the part of the Apostles, while 
       in point of fact the disciples' faith and expectancy followed their
       vision of the risen Christ.
     • It is in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Christ's manifestations; they
       ought to have been connected with heavenly glory, or they should have 
       continued the former intimate relations of Jesus with His disciples,
       while actually and consistently they presented quite a new phase that
       could not have been expected. 
     • It does not agree with the conditions of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after the first excitement of Easter Sunday, the disciples
       as a body are noted for their cool deliberation rather than the
       exalted enthusiasm of a community of visionaries.
     • It is incompatible with the length of time during which the
       apparitions lasted; visions such as the critics suppose have never
       been known to last long, while some of Christ's manifestations lasted 
       a considerable period.
     • It is not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the manifestations were made
       to numbers at the same instant.
     • It does not agree with the place where most of the manifestations
       were made: visionary appearances would have been expected in Galilee,
       while most apparitions of Jesus occurred in Judea.
     • It is in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the visions came to a sudden
       end on the day of Ascension.

Keim admits that enthusiasm, nervousness, and mental excitement on the part of the disciples do not supply a rational explanation of the facts as related in the Gospels. According to him, the visions were directly granted by God and the glorified Christ; they may even include a "corporeal appearance" for those who fear that without this they would lose all. But Keim's theory satisfies neither the Church, since it abandons all the proofs of a bodily Resurrection of Jesus, nor the enemies of the Church, since it admits many of the Church's dogmas; nor again is it consistent with itself, since it grants God's special intervention in proof of the Church's faith, though it starts with the denial of the bodily Resurrection of Jesus, which is one of the principal objects of that faith.


Modernist view

The Holy Office describes and condemns in the thirty-sixth and thirty-seventh propositions of the Decree "Lamentabili", the views advocated by a fourth class of opponents of the Resurrection. The former of these propositions reads: "The Resurrection of our Saviour is not properly a fact of the historical order, but a fact of the purely supernatural order neither proved nor provable, which Christian consciousness has little by little inferred from other facts." This statement agrees with, and is further explained by the words of Loisy ("Autour d'un petit livre", p. viii, 120-121, 169; "L'Evangile et l'Église", pp. 74-78; 120-121; 171). According to Loisy, firstly, the entrance into life immortal of one risen from the dead is not subject to observation; it is a supernatural, hyper-historical fact, not capable of historical proof. The proofs alleged for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re inadequate; the empty sepulchre is only an indirect argument, while the apparitions of the risen Christ are open to suspicion on a priori grounds, being sensible impressions of a supernatural reality; and they are doubtful evidence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on account of the discrepancies in the various Scriptural narratives and the mixed character of the detail connected with the apparitions. Secondly, if one prescinds from the faith of the Apostles, the testimony of the New Testament does not furnish a certain argument for the fact of the Resurrection. This faith of the Apostles is concerned not so much with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s with His immortal life; being based on the apparitions, which are unsatisfactory evidence from an historical point of view, its force is appreciated only by faith itself; being a development of the idea of an immortal Messias, it is an evolution of Christian consciousness, though it is at the same time a corrective of the scandal of the Cross. The Holy Office rejects this view of the Resurrection when it condemns the thirty-seventh proposition in the Decree "Lamentabili": "The faith in the Resurrection of Christ pointed at the beginning no so much to the fact of the Resurrection, as to the immortal life of Christ with God."

Besides the authoritative rejection of the foregoing view, we may submit the following three considerations which render it untenable:


First, the contention that the Resurrection of Christ cannot be proved historically is not in accord with science. Science does not know enough about the limitations and the properties of a body raised from the dead to immortal life to warrant the assertion that such a body cannot be perceived by the senses; again in the case of Christ, the empty sepulchre with all its concrete circumstances cannot be explained except by a miraculous Divine intervention as supernatural in its character as the Resurrection of Jesus.


Secondly, history does not allow us to regard the belief in the Resurrection as the result of a gradual evolution in Christian consciousness. The apparitions were not a mere projection of the disciples' Messianic hope and expectation; their Messianic hope and expectations had to be revived by the apparitions. Again, the Apostles did not begin with preaching the immortal life of Christ with God, but they preached Christ's Resurrection from the very beginning, they insisted on it as a fundamental fact and they described even some of the details connected with this fact: Acts 2:24-31, 3:15-26, 4:10, 5:30, 10:39-40, 13:30-37, 17:31-32; Romans 1:4, 4:25, 6:4-9, 8:11-34, 10:7, 14:9; 1 Corinthians 15:4, 13 sqq.; etc.


Thirdly, the denial of the historical certainty of Christ's Resurrection involves several historical blunders: it questions the objective reality of the apparitions without any historical grounds for such a doubt; it denies the fact of the empty sepulchre in spite of solid historical evidence to the contrary; it questions even the fact of Christ's burial in Joseph's sepulchre, though this fact is based on the clear and simply unimpeachable testimony of history.


Character of Christ's resurrection

The Resurrection of Christ has much in common with the general resurrection; even the transformation of His body and of His bodily life is of the same kind as that which awaits the blessed in their resurrection. But the following peculiarities must be noted:


     • Christ's Resurrection is necessarily a glorious one; it implies not 
       merely the reunion of body and soul, but also the glorification of 
       the body. 
     • Christ's body was to know no corruption, but rose again soon after
       death, when sufficient time had elapsed to leave no doubt as to the
       reality of His death.
     • Christ was the first to rise unto life immortal; those raised before
       Him died again (Colossians 1:18; 1 Corinthians 15:20).
     • As the Divine power which raised Christ from the grave was His own
       power, He rose from the dead by His own power (John 2:19; 10:17-18). 
     • Since the Resurrection had been promised as the main proof of
       Christ's Divine mission, it has a greater dogmatic importance than
       any other fact. "If Christ be not risen again, then is our preaching
       vain, and your faith is also vain" (1 Corinthians 15:14).

Importance of the resurrection

Besides being the fundamental argument for our Christian belief, the Resurrection is import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 It shows the justice of God who exalted Christ to a life of glory, as
       Christ had humbled Himself unto death (Philippians 2:8-9). 
     • The Resurrection completed the mystery of our salvation and
       redemption; by His death Christ freed us from sin, and by His
       Resurrection He restored to us the most important privileges lost by 
       sin (Romans 4:25).
     • By His Resurrection we acknowledge Christ as the immortal God, the
       efficient and exemplary cause of our own resurrection (1 Corinthians
       15:21; Philippians 3:20-21), and as the model and the support of our 
       new life of grace (Romans 6:4-6 and 9-11).

(이상, 발췌 끝)

4.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믿고 있는 "육신의 부활"이란? 

4-1.
위의 제3-5항의 첫 번째 문장에서 살펴 보았듯이, "부활(resurrection)" 이란 "죽은 자가 생명을 되찾음, 즉 죽은 자가 죽은 자들로부터, 죽음 이전에 존재하고 있었던 곳으로, 다시 일어남"을 말합니다.

여기서 "죽음(death)"이란, 그 정의(definition)에 의하여, "영혼과 육체의 분리"를 말하므로, "부활"이란, "영혼과 육체가 분리되었던 자의 영혼과 육체가 다시 결합하여, 죽음 이전에 존재하고 있었던 곳으로 되살아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라자로의 소생(요한 복음서 11,38-44; 12,1-17)은 부활입니다.

4-2. 그러나 라자로의 부활은, 부활을 한 자가 두 번 다시 죽지 않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죽음을 맞이하는 부활이므로, 두 번 다시 죽지 않는, 예수님의 부활(the Resurrection of Jesus)과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그러므로, 제4-1항에서 말하는 "부활"은, 라자로의 경우에서 그러하듯이, 통상적으로 "소생(되살아 남)"으로 불립니다. 그리고 하느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를 소생시키셨기에, 또한 기적(miracle)으로 불립니다.

4-3. 그런데, 성경 본문 중에는 이렇게 소생한 라자로가 다시 죽었다는 기록이 없기에, "라자로가, 얼마 더 살다가, 다시 죽었는지 아니면 영원히 살아 있는지 어떻게 아느냐?"고 반문(?)을 할 수 있는데, 신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1) 원죄의 결과로 우리가 상실당한 바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또한

(2)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수난 공로로 인하여, 원죄의 결과로 상실당하였던 바들 중에서 회복된 것은 무엇이며 그리고 회복되지 못하고 여전히 상실당한 상태로 있는 것이  무엇인지 

(3) 그리고 여전히 상실당한 상태로 있는 것은 언제 회복되는 것인지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의 가르침을 학습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답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4-4. 그러므로, 예수 재림의 날에 발생할 것임을 우리가 믿음 안에서 희망하고 있는, 각자의 "육신의 부활"은, 나자로의 경우에서처럼, "다시 죽음을 맞이하여야 하는 육신으로의 소생"이 아니라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몸처럼 변모된, 두 번 다시 죽지 않는, 그리하여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영원히 살게 되는, "바로 그러한 육신으로의 부활"을 말합니다.

4-5. (번역 용어 한 개 제안)
그리고, 위의 제4-4항에서 말씀드린 바는 영어로 "general judgment"로 번역되고 있는데, 영어로 "general judgment"로 번역되는 표현을 우리말로 "공심판(公審判)"으로 지금까지 용어 번역해온 점을 고려하여,  영어로 "general resurrection of the dead"라고 번역되는 제4-4항에서 말씀드린 바로 그러한 부활을 우리말로 용어 번역을 하면 "죽은 이들의 공부활(公復活) , 즉 공적(公的) 부활" 혹은 이를 줄여서 "공부활(公復活)" 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 또한 필독 권유

이 글에 이어지는 글로서, "general resurrection of the dead(공부활)"에 대한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5. (이 글의 결론)

이상, 부활과 승천이라는 용어들의 의미를 서로 비교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이들 두 개념들의 그리스도교 신학적 의미들을 고찰하였으며, 그리하여 우리는 다음의 결론을, 연역적으로 추론(reasoning)하여,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5-1. 하늘(heaven, 천당, 천상 교회)로의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Ascension)은, 땅 위로의(on earth)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Incarnation)역 과정(reverse process)이다.

5-2. 땅 위로의(on earth)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Resurrection)은, 저승(hell)으로의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death)역 과정(reverse process)이다.

5-3. 그러므로, 이들 두 개념들은, [예를 들어, 성령에 의하여 기름부음 받음이라는 공통의 성질(common property)을 만족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세례와 우리의 세례와는 달리], 이들 두 개념들이 공통으로 만족하는 성질(property)이 없기에, 동일한 범주(category)에 속하는 개념들이 아니며, 그리하여 서로 비교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두 개념들 사이의 차이점을 논할 수 없다.

----------

차이점들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은

동일한 어떤 범주에 속하여 

서로 비교할 수 있는 대상/개념들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

----------
게시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3시간 (자료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1,075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