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짝연중2토1독> 사울의 죽음에 대하여 [성경공부_사울]

인쇄

[175.126.101.*]

2012-09-10 ㅣ No.1255


질문:

사무엘상 31장 4절에는 사울왕이 스스로 자결한 것으로 나오는데,

사무엘하 1장 10절에서는 아말렉 사람이 사울왕을 죽인 것으로 나오네요.

어덯게 이해해야 되는지 궁굼합니다.

--------------------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많이 부족한 죄인이 들여다 본, 사울의 죽음을 언급하는 신뢰할 수 있는 거의 대부분의 자료들(여기에는 영어 가톨릭 대사전과 영어본 성경 주석서도 포함됨)에 의하면, 1사무엘 31,4에 기록되어 있듯이, "사울은 자결/자살하였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사무엘 제1장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또한, 잘 읽어보면, 여기에 간접적으로 동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2-1. 우선적으로, 1사무엘 제31장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제1독서로 발췌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으며, 그리고 2사무엘 1,10도 또한 제1독서의 일부분으로서 발췌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으나, 그러나 짝수해 연중 제2주간 토요일 제1독서(2사무엘 1,1-4.11-12.19.23-27)에서 2사무엘 1,10을 건너뛰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짝수해 연중 제2주간 토요일 제1독서(2사무엘 1,1-4.11-12.19.23-27)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영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 제1독서에서 일부 중간의 몇 개의 절들을 건너 뛴 이유는, 이어지는 제2-3항에 발췌한, 2사무엘 제1장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즉, "그 밖의 부분은 후대의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2-3. 다음은, 2사무엘 제1장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우리는 1장의 내용이 오래된 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분별해 낼 수 있다. 그 이야기는 3,28-39와도 비교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내용을 전한다. 다윗이 싸움터에서 살아 돌아온 자에게서 어떻게 사울과 요나탄의 사망 소식을 듣게 되는지(1-4절), 그들의 애도일을 어떻게 보냈는지(11-12절), 어떻게 애가를 지어 그들의 죽음을 애도하였는지를(17-27절) 알려 준다. 그 밖의 부분은 후대의 것이다. 저자는 사울의 죽음과 관련하여 다윗이 보여 준 행동을 정확하게 알리려는 데에 큰 관심을 보이는 듯하다. 저자의 의도는 사울이 죽게 된 세부 상황을 더욱 장황하게 묘사한 5-10절의 내용에서 잘 드러난다. 이 대목의 내용은 1사무 31,3-5와 다르다. 사울은 궁수들에 쫓기는 것이 아니라 병거와 기병들에게 쫓기고(6절), 무기병 대신 아말렉 젊은이가 등장하여 사울의 말에 따라 그를 죽인다. 그런데 이자는 다윗의 원수를 죽인 사실을 과시하려는 듯이 보이고, 실제로 사울에게서 왕정의 표지인 왕관과 팔찌를 벗겨 다윗에게 가져온다(10절). 저자는 이런 아말렉 사람을 징벌함으로써 사울에 대한 다윗의 충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1사무 24,1 각주 참조), 주님의 기름부음받은이는 신성불가침의 존재임을 상기시킨다(1사무 24,7.11; 26,9.11.23).
(이상, 발췌 끝).

3.
3-1.
사울의 죽음과 관련하여 제대로 이해를 하려면, 적어도 1사무엘 제28장부터 들여다 보아야 합니다. 특히, 1사무엘 28,15-20을 꼭 읽도록 하십시오.

3-2. 다음은 1사무엘 제31장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31,1의 서두는(13,5 각주와 16장의 첫째 각주 참조) 31장의 이야기를 29,11에 잇는 구실을 한다. 31장의 이야기에서 사울의 죽음은 아무런 동정심이나 감정 없이 처리된다. 아비멜렉의 죽음과(판관 9,54 참조) 비교되는 사울의 죽음은(4절) 임금으로서 영예로운 죽음이 아니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이 주석 또한, 성경 본문 1사무엘 31,4에 기록된 사울의 죽음을, 아무런 이견 제시 없이, 그대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4.
이 항에서는, "사울의 죽음"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영어 자료들을 나열하도록 하겠습니다.

4-1.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641.html

(발췌 시작)
Ver. 4. Bearer. The Rabbins say he was Doeg. They were not yet come to a close engagement. --- Mock at me, as was then customary. See Josue viii. 29., and Judges i. 7. He might recollect the treatment of Samson. (Calmet) --- Fear. "To spill the royal blood's a direful thing." (Homer)

Ver. 5. With him. Thus to avoid a little shame and temporal punishment, they rushed into those which are inconceivably geat and eternal. (Haydock) --- The Jews in vain attempt to excuse Saul, as they deem suicide in such cases lawful, though in others they deprive those of burial, who have been guilty of it. (Josephus, Antiquities vi. 14.) --- This author applauds the behaviour of Saul; and indeed, his courage called forth the praises of David. But even the pagans have deemed those no better than cowards, who have killed themselves to avoid misery.

Rebus in adversis facile est contemnere mortem:

Fortiter ille facit, qui miser esse potest. (Martial)

The civil laws deny suicides the rites of burial, as they are also guilty of a crime against the state, which they deprive of their labours. They unjustly abandon what God has only committed to their care. Saul seems to have been afraid of receiving any insult himself, rather than to have been desirous of preventing the blasphemies of the infidels against God, as the Jews pretend. He gave no signs of repentance, and the spirit of God pronounces his condemnation. So Saul died for his iniquities, because he transgressed; (Calmet; Hebrew and Septuagint, in his iniquities, by which he prevaricated. Tirinus)...and moreover consulted also a witch, and trusted not in the Lord: therefore he slew him, 1 Paralipomenon x. 13, 14. Saul prefigured those, who having yielded to temptations, persist and die in their evil ways. (St. Gregory) (Worthington)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643.html

(발췌 시작)
Ver. 10. I killed him. This story of the young Amalecite was not true, as may easily be proved by comparing it with the last chapter of the foregoing book. (Challoner) --- Fall. This he says, apprehending that David would perhaps disapprove of what he had done. --- Diadem, or ribband, which was tied round his head, as a badge of his dignity. Hebrew, "the crown." But it was not of metal, though such were already common, Exodus xxviii. 36., and 1 Paralipomenon xx. 2. Some pretend that Doeg gave these insignia to this son, that he might ingratiate himself with the future king. But they were upon Saul, so that the enemy could easily distinguish him. --- Bracelet. The Hebrews took a great many from the Madianites, Numbers xxxi. 50. Such presents were made by the Romans to soldiers who had performed some feats of valour. (Pliny, [Natural History?] xxxiii. 2.) (Livy i. 10.)
(이상 발췌 끝).

4-2. 영어 가톨릭 대사전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13486d.htm

(발췌 시작)
The narrative goes on to relate how on the occasion of a new invasion by the Philistines, Saul being now forsaken by Yahweh and still seeking superhuman guidance, has recourse to a witch living at Endor. Through her mediation the spirit of Samuel, who in the meantime had passed to his reward, is recalled. The departed prophet reproaches Saul for his infidelity and announces his impending fate at the hands of the Philistines (1 Samuel 28). The fulfilment of this dire prediction is related in the final chapter of the First Book of Kings. Saul and his forces are overwhelmed by the Philistines; the valiant Jonathan and his brothers are slain in the battle, and the king, fearing lest he fall into the hands of the uncircumcised, begs his armour bearer to take his life. The latter, fearing to lay hands on the Lord's anointed, refuses, and Saul being in desperate straits ends his life by falling on his own sword. His head was cut off by the victorious Philistines and sent as a trophy to the various towns of their country, while his body and those of his sons were hung on the walls of Bethsan, but the inhabitants of Jabes Galaad hearing of these things came in the night, and removing the bodies carried them to their own town and burnt them there burying their ashes in the neighbouring woods (1 Samuel 31).
(이상, 발췌 끝).

4-3. Modern Catholic Dictionary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302

(발췌 시작)

SAUL

The son of Kish; he ruled Israel as its first king for twenty years about the year 1000 B.C. He was a tall, handsome, impressive man in appearance (I Samuel 9:2-3), but his complex personality brought him trouble. When the people of Israel begged Samuel, their highly respected prophet and judge, to get them a king in order to protect their security, Samuel consulted Yahweh, who recommended Saul (I Samuel 8-10). At first he proved very successful because of his military achievements (I Samuel 11:14-15), but he did not show respect or obedience to Yahweh, and Samuel, who had gained the kingship for him, became disenchanted. Instead, he encouraged the advancement of Saul's son-in-law, David, and even secretly anointed him as the future king (I Samuel 13:8-15). Saul became insanely jealous of David and several times tried to have him killed. Ironically, both Saul's daughter, Michal, who was married to David (I Samuel 19:11-12), and Jonathan, his son, sided with the young man against their father and did everything possible to protect David from the maddened king (I Samuel 19:1-7). Finally, in a fierce battle between the Israelites and the Philistines, all three of Saul's sons were killed. Badly wounded, the king killed himself (I Samuel 31:1-6). This cleared the way for David to become King of Israel for the next forty years. 

사울(Saul)

키쉬(Kish)의 아들이며, 그리고 그는 기원전 1000년 경에 약 20년동안 첫 번째 임금으로서 이스라엘을 통치하였습니다. 그는 모습에 있어, 키가 크고, 잘생겼으고, 인상적인 사람이었으나(1사무엘 9,2-3), 그러나 그의 복잡한 개성(complex personality)은 그에게 문제(trouble)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이스라엘의 백성이, 자신들의 안전을 보장받기 위하여, 자신들이 한 명의 임금을 세우는 것을 자신들의 대단히 존결받는 예언자이며 판관인 사무엘(Samuel)에게 간청하였을 때에, 사무엘은 하느님(Yahweh)과 상의하였는데, 하느님께서는 사울(Saul)을 추전하셨습니다(1사무엘 8-10). 처음에 그는, 그의 군사적 성취들 때문에, 매우 성공적임을 증명하였으나(1사무엘 11,14-15), 그러나 그는 하느님께 대한 존경 혹은 순종을 보이지 않았으며, 그리하여 그를 위한 왕권(kingship)을 이미 획득하게 해 주었던 사무엘은 환멸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의 대체자로서(instead), 그는 사울의 사위인 다윗(David)의 진출을 격려하고, 그리고 심지어 아무도 모르게 그를 미래의 임금으로 기름부었습니다(1사무엘 13,8-15). 사울은 다윗에 대하여 제정신이 아니게 시기하게 되었으며 그리하여 여러 번 그를 살해하고자 하였습니다. 예상밖의 반대로(ironically), 다윗에게 혼인하게 되었던 사울의 딸인 미칼(Michal), 그리고 그의 아들인 요나탄(Jonathan) 둘 다는 자신들의 아버지에 반대하여 이 젊은이측에 섰으며 그리고 다윗을 이 미쳐버린 임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가능한 모든 일을 다하였습니다(1사무엘 19,1-7). 끝으로, 이스라엘의 자손들과 필리스티아 사람들 사이의 치열한 전투에서, 사울의 아들들 셋 모두 살해되었습니다. 심하게 상처를 입어, 이 임금은 자살하였습니다(1사무엘 31,1-6). 이것은 다윗이 이어지는 사십 년 동안 이스라엘의 임금(King of Israel)이 되도록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4-4. The Bible as History, p. 184, 2nd Revised Ed., Werner Kelley, Barnes & Noble Books

(발췌 시작)
"By a fountain which is in Jezreel" (1 Sam. 29,1) - the spring of Harod at the foot of the mountains of Gilboa - king Saul and his army ventured to meet the Philistines on the plain. The result was fatal. At the very first attack the army was scatterd, the retreating troops were pursued and struck down. Saul himself commited suicide, after his own sons had been killed.
(이상, 발췌 끝).

4-5. Who's Who in the Bible, pp. 330-331, Two Volumes in One, Joan Comay, Barnes & Noble Publishing

(발췌 시작)
     The Israelite forces were diasterosly defeated on Mount Gilboa and put to flight. Saul's three sons, Jonathan, Abinadab and Melchishua were among the slain. The king himself was wounded by the Philistiane archers and begged his armour-bearer to kill him rather than let him fall into the hands of the enemy. The armour-bearer was afraid to do so and Saul 'took his own sword, and fell upon it' (1 Sam. 31:4). The armour-bearer dis likewise and died with his master.
     Next day the Philistines found Saul's body on the battlefield. [다음날 필리스티아인들은 전장터에서 사울의 사체를 발견하였습니다]. They cut off his head, hung his corpse and those of his sons on the wall of Beth-shan city, and exhibited his armour as a trophy in their main temple. (이하 생략). 
(이상, 발췌 끝).

4-6. 유다 백과 사전

출처: http://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3224-saul

(발췌 시작)
Death of Saul.
 
Saul returns to his court; and the Philistines become still more aggressive. David's friendliness perhaps encourages them to strike a still harder blow at Israelitish power. To prevent Saul from enlisting the northern tribes they despatch a great army to Aphek in the valley of Jezreel. Saul musters all his forces, but before engaging the enemy, he, in desperation for some prophecy of the outcome, consults a witch of En-dor. With downcast heart at her reply, he returns to the scene of conflict. Broken in spirit, the Israelites are routed, pursued, and slain. Saul falls on his own sword on Mt. Gilboa; and the Philistines are victors.

Saul was beheaded; his body, with those of his sons, was fastened to the wall of Beth-shan, and his armor was hung up in the house of Ashtaroth. When the inhabitants of Jabesh-gilead, the scene of Saul's first victory, heard of the deed of the Philistines, they sent valiant men who marched all night, took the bodies from Beth-shan, brought them to Jabesh, burned them there, buried the ashes, and fasted seven days.

Saul's reign of, possibly, twenty years was a failure, except that he succeeded in part in unifying Israel and in bringing to the front so valiant and capable a man as David.
(이상, 발췌 끝).

4-7. BET(H)-SHEAN 벳 산 (1사무엘 31,10) 유적지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IRON AGE IB (UPPER VI)

With the construction of Upper VI emerges a new material culture typical to the 11th century B.C.E. and lacking the Egyptian component. The plan of the settlement represents a significant departure from that of the Egyptian garrison. Important buildings from this time include the twin temples, identified by the University Museum archaeologists with "the House of Ashtaroth" (I Sam. 31:10) and "the House of Dagon" (I Chron. 10:10). Both temples produced numerous cylindrical and house-like cult stands decorated with snakes and birds. The excavators assigned these two buildings to Level V, but they probably belong to Upper VI.

According to the biblical accounts of Saul's death the Philistines killed Saul and his three sons in a battle at the foot of Mt. Gilboa. They cut off his head and placed it in the temple of Dagon, stripped off his armor and placed it in the "temple of their gods" (Chronicles) or in the "temple of Ashtaroth" (Samuel). Then they fastened his body and those of his sons to the city walls of Beth-Shean (I Sam. 31:10–12; I Chron. 10:9–10), or as I Samuel 21:12 reports, hung them in the public square. Following the original excavators, most commentators have assumed that the two temples were in Beth-Shean, but this is unclear from the text. They could just as easily have been in Philistia. No significant Philistine presence has ever been identified at Beth-Shean, although we can assume on the basis of the biblical narrative that they exercised some sort of political control over the region as the self-declared successors of the Egyptians.
(이상, 발췌 끝).

4-8. Mt. Gilboa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Mount_Gilboa

(발췌 시작)
In the Bible, King Saul, Israel’s first monarch, led a charge against the Philistines at Mount Gilboa. The battle ends with the king falling on his own sword and Jonathan being killed in battle. David, who returns to the site after the battle, curses the mountain: “Ye mountains of Gilboa, let there be no dew nor rain upon you, neither fields of choice fruits; for there the shield of the mighty was vilely cast away, the shield of Saul, not anointed with oil” (II Samuel 1:21)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위의 제4-7항의 자료는 필리스티아인들에 의하여 살해되었다고 하며, 그러나 나머지 자료들 모두는, 아말렉 사람에 의한 2사무엘 1,10에서의 언급 없이"사울이 자결/자살하였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다수의 성서 주석자들, 성서 신학 전문가들, 그리고 성서 고고학 전문가들의 "동일한 견해"를 존중하고 또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5.
지금까지, 사울의 죽음이 자결/자살이었음에 대하여 함께 살펴 보았습니다. 이 항에서는, 비극적인 그의 죽음의 전후 문맥을 상당히 넓혀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울은 필리스티아인들과의 전투 중에 사망하였는데, 사실 가나안 땅을 차지하기 위하여 들어갔던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들은 바로 이 필리스티아인들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하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음은 주로 그동안의 필자의 기억에 의존하여 말씀드리지만, 예를 들어,

5-1. 이스라엘 열두 지파들의 군대는 청동기 무기들을 가지고 있었고 필리스티아인들은 철제 무기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리고 당연히 철제 무기(iron weapons)들이 청동제 무기(copper and bronze weapons)들보다 우세하니,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들이 판관을 중심으로 하여 필리스티아인들을 무찌르는 것이 현실적으로 상당히 힘들었을 것입니다 [1사무엘 13,19-22 참조(클릭하십시오)].

5-2. 필리스티아인들은 예루살렘 서쪽의 지중해 해변 지역에 살고 있었는데, 열두 지파들 중에 한 지파인 단(Dan) 지파는 필리스티아인들이 살고 있는 땅 근처를 애초에 자신들의 땅으로 할당받았으나, 그러나 바로 이 필리스티아인들과 다툼에서 밀려나, 결국에 갈릴래아 호수에서 멀리 떨어진 북쪽 지역으로 이주를 하였습니다["주석 성경", 여호수아기 19,47 각주 참조]

5-3. 다른 한편으로, 나지르인으로 알려진, 필리스티아인들의 지역 근처에 있던 단(Dan) 지파의 판관이었던, "삼손(Samson)"의 무용담도 바로 이 필리스티아인들을 무찌르는 내용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9월 15일]

여기를 클릭하면, "나지르인(Nazarite)"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여기를 클릭하여 가톨릭 교회 전례력에 있어 매년 12월 19일 제1독서(판관 13,2-7.24-25ㄱ)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어보면, 삼손에 대한 이야기 다음에 이스라엘의 후손들이 내부적 무정부 상태에 처하였고 타락하였으며 그리하여 하느님께 대단히 불충실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예(examples)들과 이들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판관기의 일부가 주일 제1독서로 발췌되고 있지 않기에 판관기에 어떤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지 파악하는 데에 약간의 도움을 드리기 위하여서도 추가한 내용입니다.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12월 19일 이외에, 판관기의 일부가 제1독서로 발췌되는 날들은 다음과 같으며, 그리고 이것뿐입니다. 아래의 파란색 글자들을 클릭하면 이들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홀수해 연중 제20주간 월(판관 2,11-19), 화(판관 6,11-24ㄱ), 수(판관 9,6-15), 목(11,29-39ㄱ).

[이상, 내용 추가 끝].

5-4. 이스라엘의 열두 판관들 중에서 마지막 판관이 바로 사무엘(Samuel)인데,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들은, 바로 이 필리스티아인들을 제대로 대처하여 무찌르기 위하여, 그동안 자신들이 유지해 왔던, 왕이 없었던, 느슨한 연방 국가 체제에다 드디어 왕(king)을 세우겠다고 하였고, 비록 판관인 사무엘이 현실적인 이유들을 내세우면서까지 반대하였으나, 하느님께서는 그들이 왕을 세우는 것을 허락하셨습니다. 그 결과 사울(Saul)이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의 첫 번째 왕으로 사무엘에 의하여 기름부음을 받았던 것입니다.

5-5.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왕으로 임명된 사울은 처음에는 잘 처신하였으나 하느님의 계명을 어기다가, 단지 사무엘의 눈에만 벗어났던 것이 아니라, 드디어 하느님의 눈에 벗어나, 결국에 당시에 나이 어린 목동이었던, 이사이(Jesse)의 막내 아들이었던, 다윗이 사무엘에 의하여, 사울 생전에 사울 이후의 왕으로서, 기름부음받게 됩니다.

5-6. 사울이 처음부터 다윗을 시기하였던(jealous) 것은 아니나, 다윗이 돌팔매질을 하여 필리스티아인 군대의 거인인 골리앗을 무찌른 이후에 다윗에 대한 이스라엘 자손들 사이에 있어서의 대중적 인기가 높아가자, 드디어 사울은 다윗을 시기하여 죽이려고 대단히 노력하였는데, 그러나 이와는 정반대로, 사울로부터 도망을 다녀야 하였던 신세인 다윗에게 오히려 사울을 죽일 기회가 두 번이나 주어졌으나, 그러나 다윗은 하느님의 기름부음받은 자인 사울을 자신이 결코 죽일 수 없다면서, 사울을 해치지 않습니다.

5-7.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면서, 사울은 점차적으로 몰락의 길로 접어들었던 것인데, 바로 이러한 하느님과의 관계에 있어 대단히 좋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였던, 1사무엘서 마지막 장에 기록된 필리스티아인들과의 전투에서, 자신의 세 아들들이 살해되고 또 자신은 크게 부상을 입어, 결국에, 할례를 받지 않은 자들 손에 죽느니 차라리 자결을 선택함으로써, 이스라엘의 왕으로서 마지막 남은 자신의 명예를 지키는 길을 택할 수 밖에 없게 되었던 것으로 생각합니다.

5-8. 다른 한편으로, 구약 성경의 경전들 중에는 분책이 된 것들이 여럿 있는데, 분책의 이유가 다음과 같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히브리어 글자에는 모음이 없는데, 이러한 히브리어로 기록된 구약 성경 본문을 모음을 나타내는 글자가 있는 그리스어로 번역을 하면(칠십인역 구약 성경) 번역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약50% 정도로 번역문들의 양이 늘어나, 두루마리 형태였던 한 개의 경전을 적당한 위치에서 둘, 혹은 여럿으로 나누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1사무엘 마지막 부분과 2사무엘 마지막 부분은 사실은 대단히 인접한 기록들이가, 이들 두 부분들에 기록된 내용들이 서로 충돌하도록 기록/편집될 수가 없었다는 생각입니다.

5-9. 자신의 세 아들을의 죽음 이후에 사울 자신도 큰 부상을 입게 되었는데, 그러나 1사무엘 31,8-10을 잘 읽어보면,

"그 이튿날 필리스티아인들이 와서 살해된 이들의 옷을 벗기다가, 사울과 그의 세 아들들이 길보아 산에 쓰러져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사울의 머리를 자르고 갑옷을 벗긴 다음, 필리스티아인들의 땅 곳곳으로 사람들을 보내어 저희 우상들의 신전과 백성에게 기쁜 소식을 알렸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그의 갑옷을 아스타롯 신전에 보관하고, 시체는 벳 산 성벽에 매달아 놓았다"

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필리스티아 군인들이 사울의 주변에 없는 상황에서, 그리고, 예를 들어, 어두운 밤 중에, 그가 자결하였고, 근처에서 이 현장 지켜보고 있던 아말렉 젊은이 한 명이, 특히 필리스티아 군인들이 알아차리기 전에, 밤중에 사울의 왕관과 팔찌를 노획하였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5-10. 이제 2사무엘 제1장 전문 그리고 위의 제2-3항에 발췌해 놓은 이 장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을 다시 읽도록 하십시오. 

2사무엘 1,1-16에서 그 아말렉 젊은이가, 인륜의 기본도 모르는, 대단히 멍청한 자로 등장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부터 짐작할 수 있습니다. 즉,

(i) 장인(丈人, father-in-law)을, 그리고
(ii) 둘도 없는 의형제 요나탄(Jonathan)의 친부(親父)를, 

당사자의 요청에 의하여 자기가 죽였다는 확인 불가능한 주장을 하면서, 자신의 행위에 대한 증거물로서, 장인의 왕관과 팔찌를 사위에게 제시하지를 않나, 그리고

(iii) 시기(jealousy) 때문에 심지어 자신을 해치려고 하였던 장인이었지만 그러나 "기름부음받는 자"였기에, 도망다니던 시절의 사위가 두 번씩이나 죽일 수 있었던 기회에서도 해치는 것을 결코 사양하였던 장인을, 의형제의 친부를,

당사자의 요청에 의하여 자기가 죽였다는 확인 불가능한 주장을 하면서, 물질적인 그 무엇을 사위로부터 보상받을 생각을 하였던지, 자신의 행위에 대한 증거물로서 장인의 왕관과 팔찌를 버젓히 사위에게 제시하였으니, 사위인 다윗이 그러한 자를 도저히 살려둘 수 없었다는 생각입니다.

이에 대하서는, 이어지는 2사무엘 1,17-27에 기록되어 있는, "애도의 노래"를 잘 읽어보도록 하십시오.

구약 성경에 기록된 바에 의하면,

이사이의 아들 다윗은

하느님께 순종하는

참으로 훌륭한 임금이었습니다.

6. 끝으로,

여기를 클릭한 후에,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해 그리스도 왕 대축일 제1독서(2사무엘 5,1-3)의 제1절에 대한 각주 453)을 읽으면, 더 포괄적인 문맥 안에서, 즉 "사울의 죽음" 이후에 (i) "유다 집안"의 임금으로 세워지고 또 (ii) "이스라엘 집안"의 임금으로 세워지는, 다윗을 중심으로 하는 이스라엘 자손들의 역사를 고찰할 수 있습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 시간: 약6시간 (자료 조사 포함)

 



1,078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