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찾아내지 못하였던 것은 무엇? - 마태오 26,60 <가주님수난성지주일복음> [성경공부_죄목] [성경용어_거짓증인] [_거짓증언] [_거짓말] _lie

인쇄

[39.118.118.*]

2013-03-06 ㅣ No.1346


질문:

 마태오 복음서 26장 60절에 보면

 (거짓 증인들이 나섰지만 하나도 찾아 내지 못하였다.) 고 기술하였는데

여기서 ~~~~~~~ 나섰지만 (무엇을 ??? ) 찾아내지 못하였다는 것인지 ?

물론 예수님의 죄의 성질을 말하겠지만  문구상으로 빠진것 같아서 ~~~

--------------------

답변:

+ 찬미 예수님!

1.
우선적으로,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마태오 복음서 26,60가해 주님 수난 성지 주일의 복음 말씀(마태오 26,14-27,66)에 포함됩니다.

2.
다음은, 마태오 복음서 26,59-60 입니다:

(발췌 시작)
59  수석 사제들과 온 최고 의회는 예수님을 사형에 처하려고 그분에 대한 거짓 증언을 찾았다. 
60  거짓 증인들이 많이 나섰지만 하나도 찾아내지 못하였다.
(이상, 발췌 끝)

그러니까,

예수님을 사형에 처하려고 예수님에 대한 거짓 증언들을 찾았으며, 그리고 거짓 증인들이 많이 나섰지만 하나도 찾아내지 못하였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마태오 26,60에서 언급되고 있는 "찾아내지 못하였던 것"과 관련하여, 바로 앞 절인 마태오 26,59에서 언급되고 있는, "거짓 증언을 찾아내지 못하였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즉, "찾아 내지 못하였던 것"은 어떤 증언을 하는 자들이 아니라, 이들의 증언들이 예수님을 사형에 처하기에 율법적 근거로서 충분하지 못하였다는 이야기입니다.

2-1. "주석 성경"의 주석에는 주신 질문에 대한 답변이 없습니다.

2-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 복음 말씀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는데, 주신 질문에 대한 답변은 없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palm.htm

3.
3-1.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마태오 복음서 26,60에 있는 질문을 주신 그 부분에 대하여 NAB(New American Bible)는 다음과 같이 주석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matthew/matthew26.htm 

(발췌 시작)
[57-68] ... After many false witnesses bring charges against him that do not suffice for the death sentence (Matthew 26:60), two came forward who charge him with claiming to be able to destroy the temple . . . and within three days to rebuild it (Matthew 26:60-61).

[57-68] ... 다수의 거짓 증인들사형 선고를 내리기에 충분하지 않은 당신에 반하는 죄목(charges)들을 제시한 이후에(마태오 26,60), (이하 번역 생략)
(이상, 발췌 및 일부 우리말 번역 끝)

3-2. 마태오 복음서 26,60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현인 "거짓 증인(a false witness)" 에 대한 성 예로니모(St. Jerome)정의(definition)는 아래의 제4-2항에 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발췌 시작)
A false witness is one who takes what is said in a different sense from that in which it was said.

거짓 증인이란 그 의미에 있어 그것이 말해졌던 바로 그것과 다른 의미로 말해지는 바를 맹세하는 자를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alse witness(거짓 증인)", 즉, "허위의 진술을 하는 증인"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3516

(발췌 시작)
FALSE WITNESS

In its original context in the Decalogue (Exodus 20:16) the prohibition of speaking falsely about a person before a tribunal, whether as a witness for the defense or prosecution. When a witness was found to have lied, he was subjected to the same punishment allotted for the crime for which he falsely testified against another person. In time, already before the Christian era, this commandment was understood to forbid all telling of untruth.

거짓 증인(false witness)

십계명에 있는 그 애초의 문맥에 있어 (탈출 20,16) 어떤 법정(a tribunal) 앞에서, 한 명의 증인으로서 피고측 혹은 원고측을 위하든지 간에, 한 인격(a person)에 관하여 거짓으로 말하는 것을 금지함을 말합니다. 어떤 증인이 거짓말을 하였음이 발견되었을 때에, 그는 다른 인격에 반하여 그가 거짓으로 증언하였던 바로 그 범죄(crime)에 할당되었던 동일한 벌에 처하여졌습니다. 얼마간의 시간이 이미 지난 이후의 시기에(in time), 이미 그리스도교 시기보다 이전에, 이 계명이 허위(untruth)를 말하는 것 모두를 금지하는 것이라고 이해되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4.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alse(거짓의, 허위의)"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3514

(발췌 시작)
FALSE

The untrue in thought, word, or appearance. What is untrue in thought is logically false. The untrue in written or spoken word is a lie. And the misleading or deceptive in appearance is ontologically false, or false in being, and is the occasion of error in judgment.

거짓의/허위의(false)

생각(thought), 말(word), 혹은 겉모습(appearance)에 있어 참이 아닌(허위인) 것을 말합니다.
생각에 있어 참이 아닌 바는 논리적으로 거짓입니다(logically false). 서술된 말 혹은 구술된 말(written or spoken word)에 있어 참이 아닌 것은 한 개의 거짓말입니다. 그리고 겉모습에 있어 오도하는(misleading) 혹은 속이는(deceptive) 것은 존재론적으로 거짓이거나(ontologically false), 혹은 있음에 있어 거짓이며(false in being), 그리고 판단에 있어 오류의 경우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다른 한편으로,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고

"진리(truth)"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5. [거짓 증언(false testimony)의 정의(definition)]

"거짓 증언(a false testimony)" 이란, 위의 제3-2,3,4항들에서 학습한 정의들에 의하여(by definitions), 거짓 증인(즉, 허위의 진술을 하는 증인)이 증언하는 바를 말합니다.

3-4. (주신 질문에 대한 답변)

따라서 바로 이 NAB의 주석 덕택으로, 주신 질문에 대한 답변이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 사형 선고를 내리기에 충분한 어떤 죄목을 하나도 찾아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파란 색칠을 한 표현제60절에 추가하면, 제60절은 생략된 부분이 없는, 다음과 같은, 참(true)인, 한 개의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거짓 증인들이 많이 나섰지만 [그들은] 예수님께 사형 선고를 내리기에 충분한 어떤 죄목을 하나도 찾아내지 못하였다."

즉, "하나도 찾아내지 못하였다" 라는 표현 앞에 생략된 표현은, "[그들은] 예수님께 사형 선고를 내리기에 충분한 어떤 죄목을" 이라는 표현, 혹은 이 표현과 등가인 표현입니다.

4.
4-1.
다음은 "The Great Biblical Commentary of Cornelius a Lapide(1567-1637년)"에 주어진 마태오 복음서 26,60에 대한 주석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apologetics.info/scripture/newtestament/26matth.htm

(발췌 시작)
Ver. 60. But found none: yea, Though many false witnesses came, yet found they none. “The wicked men found no semblance of blame in him,” says Origen, “though they were many, astute, and ingenious, so pure and blameless was the life of Jesus.” For the evidence of these witnesses was either false or contradictory, or not to the point, so that He could not be proceeded against as worthy of death.

제60절. 거짓 증인들이 많이 나섰지만 하나도 찾아내지 못하였다. 오리게네스(Origen, 184/185-253/354년)는 "사악한 사람들은, 비록 그들이 다수였고, 교활하였고, 그리고 영리하였으나, 예수님의 삶이 너무도 순수하였고 그리고 흠이 없었기에, 당신에게서 과오(blame) 비슷한 어떠한 것도 찾지 못하였다" 라고 말합니다. 이는 이들 증인들의 증거들이 거짓이거나 혹은 모순적이거나, 혹은 적절하지 않았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당신께서는 죽음을 마땅히 받을 만할 정도로 고발될 수가 없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4-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 영어 가능한 분들의 필독 권고

혹은

여기를 클릭하면,

교황 우르바노 4세의 명령에 따라,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에 의하여 편집된, 소위 말하는, "The Golden Chain(Catena Aurea)"에 주어진 마태오 복음서 26,59-68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교부들과 주석자들의 주석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4-3. 지금까지 이번 글에서 살펴보았듯이, 성경의 특정 구절에 대한 가톨릭 교회측의 주석들은 교도권 덕택으로, 초기 교회 시절의 교부들의 주석들에까지 별다른 어려움 없이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신뢰할 수 있는 문헌들에 의하여 뒷받침되고 있는 특징과 함께,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는 주석들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에 성경의 특정 구절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교도권이 이미 수용한 전통적 해석들을 잘 찾아서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면,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면서까지 굳이, 논리적 오류일 경우가 많을 수 밖에 없는, 그리고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해석보다 그 내용의 영성적 깊이가 훨씬 떨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인, 개인적인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을 할 필요가 별로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6시간 (자료 찾기와 우리말 번역 포함).



1,07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