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에 성공하는 공부방법 2

인쇄

박미숙 [park mi] 쪽지 캡슐

1999-07-01 ㅣ No.334

 

 

 

우리 친구들 시험잘보셨나요?  요즈음 많이 힘들지요? 자! 힘 내시고......!!!

오늘도 시험을 치른 학교,또 다음주일부터 시험보는 학교도 있겠지요?

7월 10일에 세례받을 친구들은  부담이 더하겠지만 이번주 마지막 교리에 꼭 나오길 바래요.

지난주(6월24일,322번)에이어 오늘 2번째 글 올려드리니 많은 도움되시길...(박 데레사수녀)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즐거운 공부

시험에 성공하는 공부방법 2

실제 시험을 볼 때는 어떻게 해야 좋을까?

어떤 학생들은 시험이 끝나면 즉시 답을 맞추어 그 결과에 따라 기분이 좋아지거나 나빠져 다음 시간에 볼 시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곤 한다. 쉬는 시간에는 다음 시간에 치를 과목의 핵심 내용과 잊어버리기 쉬운 내용을 다시한번 훑어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시험지를 받으면 문제를 쭉 훑어보고 객관식,주관식 문항수를 고려해서 문제푸는 시간과 검토시간 15분 정도를 배정하자. 시간이 부족해서 아는 문제도 못푸는 최악의 경우를 방지해야 한다. 그리고 시간조절을 위해서 쉬운 문제부터 도전하라.

문제를 풀때는 '틀린 것은,맞는것은'등과 같은 지시사항에 줄을 치며 읽어 문제가 묻고 있는 내용을 정확히 이해 해야 한다. 답을 속단하지 말고 문제와 제시된 답을 끝까지 읽어야 함정에 빠지지 않는다.

문제를 푼 다음에는 문제지와 답안지의 번호가 일치하는지와 풀지 못한 문제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한다.문제 유형중 객관식 문제를 풀 때에는

 

첫째, 문제를 읽고 정답을 예상해본 뒤에 예시 중에서 답을 찾는다.

 

둘째, 1번이 정답이라고 판단되더라도 5번 예시까지 모든 문항을 읽어본다. 1번이 맞다고 생각 되더라도 그보다 더 정확한 답이 뒷문항에 나올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답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틀린답을 하나씩 제거하고 남은 답중에서 정답을 선택한다.

질문과 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답이나 한정하는말(가장,모두,전혀등)이 있는 문항은 정답일 가능성이 적다. 주관식 문제에서는 무엇보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문제가 어떤 뜻이며 출제자가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생각하라.

답을 문장으로 써야 할 경우,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생각나는 대로 다 떠올린뒤 이를 일관성 있게 요약.정리해서 논리적인 문장으로 쓴다. 단답형 문제일 경우, 정답이 잘 떠오르지 않을때 빈칸으로 남겨두는 것보다 정확한 답이 아니더라도 떠오르는 답을 쓰면 적은 점수라도 받을수 있다.

<한국청년의 전화 즐거운 공부방법 연구팀>



54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