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1월29일 복자 디오니시오와 레뎀토 순교자♬Salve Regina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3-11-28 ㅣ No.1497

 

The Virgin of Carmel-MORETTO da Brescia.

c.1522.Oil on canvas,271x298 cm.Gallerie dell’Accademia, Venice

 

가르멜산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축일:7월16일

Beata Vergine Maria del Monte Carmelo

Our Lady of Mount Carmel

 

 

축일:11월29일

복자 디오니시오와 레뎀토 순교자

Bl. Denis and Redemptus

BEATO DIONISIO DE LA NATIVIDAD

Bl. Dionysius(DENIS)of the Nativity

Beato Dionigi (Dionisio) della Nativita (Pietro Berthelot) Martire

1600 at Honfleur, France as Pierre Berthelot -

tortured to death on 29 November 1638 on the Malay archipelago

 

 

복자 레뎀토 순교자

Bl. REDEMPTORUS of the Cross

Beato Redento della Croce (Tommaso Rodriguez) Martire

in Portugual as Thomas Rodriguez da Cunha -

tortured to death in 1638 on the Malay archipelago

Beatified:1900 by Pope Leo XIII

 

 

노르만디의 흔플뢰에서 베르텔롯가 10남매 중의 맏이로 태어난 그는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영세받았다.

그가 19세 되던 해에 프랑스 선박 "에스페랑스"호를 타고 서인도로 갔다가 체포되어 화형에 처해졌다.

그러나 자바에서 도망하여 수년을 헤맨 끝에 고향으로 돌아와서, 다시 배를 타고 항해하였다.

 

1635년, 그는 고아에서 선족 갈멜회의 한 원장을 만났는데,

그는 그길로 이 회에 입회하여 디오니시오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가 서약한 후에 포르투칼계 부원장이 대사를 싣고 가는 배의 조타수로 일할 것을 요구하여

수마트라로 항해하였다.

이렇게 되자 갈멜회 당국자는 그를 사제로 서품시키고, 사목자의 일을 하게 하였다.

 

그는 평수사인 레뎀토와 함께 갔는데, 레뎀또의 세속명은 토마스 로드리게쓰 다 쿠나이다.

레뎀또는 갈멜회 입회 전에는 인도의 군인이었다.

그들이 목적지로 가기 전에 아친에 당도하였을 때

수마트라인들이 대사와 그 부하들을 체포하고 감옥에 넣었다.

이들은 거의 모두 학살당했는데,

특히 그리스도교 신앙을 끝까지 고집한 디오니시오는 코끼리에 의하여 짓밟혀 순교하였고,

레뎀토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살해되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가르멜 산(Mount Carmel)의 성모 마리아

Beata Vergine Maria del Monte Carmelo

Our Lady of Mount Carmel

 

 

7월 16일은 "가르멜산의 성모님" 축일이고 이 날은 가르멜 수도회의 가장 큰 대축일이다.

이 날을 축일로 서방 교회가 거행하기 시작한 것은 1926년이며,

가르멜산의 성모 공경, 가르멜회의 영성 그리고 스카플라의 하사 등을 기념한다.

 

가르멜 산에서 엘리야는 오랜 가뭄 끝에 간절히 기다리는 비를 위해 일곱 번이나 기도하니,

마침내 바다에서 손바닥만한 구름이 한 장 떠올라, 이윽고 비가 쏟아졌다(1열왕 18:41-46).

 

축복의 비를 몰고 온 이 작은 구름 속에서 우리는 구세주 그리스도의 어머니이신 마리아의 상징을 알아본다.

5세기에 이미, 예루살렘의 크리스뽀는 동정 마리아를 "성인들의 영혼을 적셔주는 비구름"으로 언급하였다.

그 후 12세기부터, 가르멜 산은 마리아를 특별히 공경하는 장소가 되었다.

1220년경에 쓰여진 순례자를 위한 책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가르멜산 위에는 가르멜의 형제들이라 부르는 라틴계 은수자들의 집들이 있다.

또 그곳에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 봉헌한 소성당도 있다."

 

봉건 시대의 사고 방식에 따르면, 마리아께 성당을 봉헌한다는 의미는

성전 봉사에 자신을 바칠 뿐만 아니라 서원으로써 인준 받은 인격적인 봉헌을 통하여

 마리아께 자신을 완전히 내맡기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 가르멜회의 은수자들은 성모 마리아를 우리 회의 수호자로 모시고,

우리 수도회의 공식 명칭을 "가르멜산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형제회"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이 명칭은 가르멜 회원들에 대한 마리아의 보호만을 뜻하지 않고,

동정녀께 대한 우리의 봉헌이 진실함을 말해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르멜산은 마리아의 산이다.

이곳에서 가르멜의 은수자들은 복되신 동정녀의 영적 발자취를 따르고,

동정녀께 대한 신심을 고백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17세기에는 가르멜산의 성모 경당이 가르멜 대수도원과 함께 건립되었다.

 

가르멜 회에 있어서 마리아는 항상 관상의 어머니요 모델로서 함께 걸어가신다.

즉 마리아 어머니는 성령 안에서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부께 가는 자녀들과 함께 걸으시는 분이다.

가르멜의 신심 작가 아르놀드 보스띠오(+1499)는 이렇게 말한다:

"낮도 밤도, 여행이나 공부도, 대화나 일도, 기쁨이나 여가 또한 마리아를 본받지 않고서는

아무 것도 행하지 말아야 한다.

모든 기억 중에서도 마리아가 첫 자리에 있어야 한다.... 그리하면 그대는 매일같이 더 위대하고,

더 내면적이며 더욱 강하고, 더 빛나며 더욱 순결해질 것이다.

왜냐하면 마리아께서 하느님의 길을 가르쳐 주시기 때문이다"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보호하심에서).

 

또 다른 위대한 가르멜 영성 작가는 성 아우구스띠노의 미카엘(+1684)이다.

그는 "마리아적인 생활과 마리아를 닮은 생활"의 저자인데,

마리아와의 친밀한 일치 생활이 곧 하느님을 위한 삶의 "새로운 길"임을 밝히고자 이 책을 썼다고 한다.

그는 어떤 특별한 환시를 본 것이 아니라,

마리아의 중재와 영적 모성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새로운 길"을 제시했던 것이다.

 

마리아께 붙여지는 호칭 가운데, 어머니와 자매 그리고 수호자는 가르멜회의 카리스마에 속하며,

"가르멜회는 온전히 마리아회"임을 확인해  준다.

가르멜 회원들에게 내려지는 동정녀의 특별한 은총은

1400년경에 기록된 요한 그로씨의 "푸른 숲"이란 책 속에 기록되어 있는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번은 성 요한 시몬 스톡크가

당신의 성명을 증거하는 형제들에게 어떤 특전을 허락해 달라며 영화로운 동정녀이시고 천주의 모친이시며,

가르멜의 수호자인 어머니께 간청하였다.

그 후 어느 날, 요한이  열심히 기도를 바치고 있는데,

영화로우신 동정녀이시며 천주의 모친이신 마리아께서 천사들의 무리를 이끌고 발현하셨다.

이때 마리아 어머니는 가르멜회의 스카풀라를 당신 손에 들고 계셨는데, 다음과 같은 말씀을 요한에게 하셨다:

 

"내가 너와 가르멜의 모든 자녀들에게 주는 특전이 여기 있다.

이 옷을 입는 사람은 누구나 구원받을 것이다..."

이 말씀은, 단지 가르멜회의 수도복을 입는 것이 아니라,

끝까지 항구 하는 사람은 영원한 구원을 얻게 되리라는 말씀일 것이다.

 

그러므로 스카풀라를 입는 것만으로는 특별한 은혜가 내릴 수 없다.

영원한 생명은 하느님의 말씀을 마리아처럼 듣고 실행하며

마음속에 간직하는 가르멜의 이상을 살 때 가능하다는 말씀이다.

그러므로 신자들은 이 스카풀라에 대한 신심을 갖는 것이 옳은 일이긴 하나,

그 실행이 영생을 가져다준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주술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복음서에 있는 마리아의 삶을 그대로 본받으려는 열망으로

스카풀라를 입어야 한다.

(가르멜수도회홈에서)

 

가르멜 산(Mount Carmel)의 성모 마리아 축일:7월16일.인창동성당게시판1275번.

성 엘리아 예언자 축일:7월20일.인창동성당게시판1280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Salve Regina[Solemne]-Canto Gregoriano

 

 

 

 

 

 

 

 

 

 

 

 

 

 

 

 

 

 

 

 

 

 

 

 

 

 

 

 

 

 

 

 

 

 

 

 

 

 

 

Bl. Denis and Redemptus  

Denis of the Nativity, a priest, called in the world Pierre Berthelot, was born in Honfleur in France in 1600. He was a cartographer and naval commander for the kings of Portugal and France before he joined the Discalced Carmelites in Goa in 1635. It was also at Goa that the Portuguese lay brother, Thomas Rodriguez da Cunha, born in 1598, had made his profession in 1615, taking the name Redemptus of the Cross. They were sent to the island of Sumatra, where, in the town of Achen, they received the martyr’s crown on November 29, 1638.

 

 

DENIS of the Nativity

Also known as

Pierre Berthelot; Dionysius of the Nativity

Memorial

29 November

Profile

Sailor from age twelve. Pilot-in-chief, cartographer, and cosmographer to the king of Portugal, and to the French court. Still a member of the royal court when he became a Discalced Carmelite in 1635 at Goa, India. With Blessed Redemptorus of the Cross, he travelled as a missionary to the king of Achin. He and his party were ambushed and martyred by Muslims.

Born

1600 at Honfleur, France as Pierre Berthelot

Died

tortured to death on 29 November 1638 on the Malay archipelago

Beatified

1900 by Pope Leo XIII

Canonized

pending

 

REDEMPTORUS of the Cross

Also known as

Thomas Rodriguez da Cunha

Memorial

29 November

Profile

Military officer. Discalced Carmelite in 1615, taking the name Redemptorus of the Cross. With Blessed Denis of the Nativity, he travelled as a missionary to the king of Achin. He and his party were ambushed and martyred by Muslims.

Born

in Portugual as Thomas Rodriguez da Cunha

Died

tortured to death in 1638 on the Malay archipelago

Beatified

1900 by Pope Leo XIII

Canonized

pending

 

 

Beato Dionigi (Dionisio) della Nativita (Pietro Berthelot) Martire

29 novembre

Dionisio nacque a Honfleur in Francia il 12 dicembre 1600. Cosmografo e capitano di navi dei re di Francia e Portogallo, nel 1635 si fece Carmelitano Scalzo a Goa, dove nel 1615 aveva professato come "converso" anche Thomas Rodriguez de Cuhna (nato nel 1598), portoghese, assumendo il nome di Redento della Croce. Mandati nell’isola di Sumatra, in Indonesia, il 29 novembre 1638 coronarono col martirio, presso la citta di Achen, la loro fede in Cristo, testimoniata con fermezza fino alla fine. Furono beatificati da Leone XIII il 10 giugno 1900.

 

Etimologia: Dionigi = consacrato a Dioniso (e il dio Bacco)

Emblema: Palma

DIONIGI della nativita (Pietro Berthelot) e REDENTO DELLA CROCE (Tommaso Rodriguez), beati, martiri.

 

Pietro Berthelot nacque a Honfleur (Calvados, Francia) il 12 dicembre 1600 e giovanissimo si diede alla navigazione, viaggiando per la Spagna, l’Inghilterra, l’America. Nel 1619 si reco in India, dove, cosmografo e primo pilota dei re di Francia e di Portogallo, si distinse per valore e ingegno, come provano ancora le sue Tabulae maritimae) delineate con somma perizia, conservate al British Museum (Ms. Sloan 197). Nel 1635, trovandosi a Goa, dietro consiglio del direttore spirituale, il p. Filippo della S.ma Trinita, entrava tra i Carmelitani Scalzi, dove professava il 25 dicembre 1636 col nome di Dionigi della Nativita e riceveva il sacerdozio il 24 agosto 1638. Sia nel noviziato sia dopo la professione, secondo la testimonianza dello stesso p. Filippo, fu esempio di virtu a tutti i religiosi; venne elevato alla divina contemplazione e non raramente, durante l’orazione, apparve circondato da splendori celesti. Nel 1638, il vicere Pietro da Silva invio al sultano di Achen (Sumatra), l’ambasciatore Francesco de Souza de Castro che volle con se Dionigi come guida spirituale e come esperto del mare e della lingua malese. Questi prese come compagno Tommaso Rodriguez, che, nato verso il 1598 in Portogallo, era entrato come converso nello stesso Ordine, col nome di R. della Croce.

I due lasciarono con la legazione Goa il 25 settembre 1638, e, dopo fortunosa navigazione, il 25 ottobre giunsero ad Achen, dove, acco]ti con segni di simulata letizia, tosto vennero fatti prigionieri. Dionigi, col fratello converso, piu degli altri fu tormentato e tentato perche lasciasse la fede cattolica e passasse alla musulmana. In carcere si privava del necessario per carita verso gli altri che sosteneva con la parola, l’aiuto e l’esempio. Dopo la condanna a morte, Redento mori tra i primi, mentre Dionigi sostenne il martirio per ultimo, per suo desiderio, al fine di poter confortare gli altri: fu ucciso con un colpo di spada, che gli divise in due il capo, il 29 novembre 1638. Beatificati da Leone XIII il 10 giugno 1900, la loro festa e celebrata nell’Ordine dei Carmelitani Scalzi il 29 novembre.

Autore: Valentino di S. Maria

 

 

 

 

Beato Redento della Croce (Tommaso Rodriguez) Martire

29 novembre

Dionisio (Dionigi), nel 1635 si fece Carmelitano Scalzo a Goa, dove nel 1615 aveva professato come "converso" anche Thomas Rodriguez de Cuhna (nato nel 1598), portoghese, assumendo il nome di Redento della Croce. Mandati nell’isola di Sumatra, in Indonesia, il 29 novembre 1638 coronarono col martirio, presso la citta di Achen, la loro fede in Cristo, testimoniata con fermezza fino alla fine. Furono beatificati da Leone XIII il 10 giugno 1900.

 

Emblema: Palma  

DIONIGI della nativita (Pietro Berthelot) e REDENTO DELLA CROCE (Tommaso Rodriguez), beati, martiri.

 

Pietro Berthelot nacque a Honfleur (Calvados, Francia) il 12 dicembre 1600 e giovanissimo si diede alla navigazione, viaggiando per la Spagna, l’Inghilterra, l’America. Nel 1619 si reco in India, dove, cosmografo e primo pilota dei re di Francia e di Portogallo, si distinse per valore e ingegno, come provano ancora le sue Tabulae maritimae) delineate con somma perizia, conservate al British Museum (Ms. Sloan 197). Nel 1635, trovandosi a Goa, dietro consiglio del direttore spirituale, il p. Filippo della S.ma Trinita, entrava tra i Carmelitani Scalzi, dove professava il 25 dicembre 1636 col nome di Dionigi della Nativita e riceveva il sacerdozio il 24 agosto 1638. Sia nel noviziato sia dopo la professione, secondo la testimonianza dello stesso p. Filippo, fu esempio di virtu a tutti i religiosi; venne elevato alla divina contemplazione e non raramente, durante l’orazione, apparve circondato da splendori celesti. Nel 1638, il vicere Pietro da Silva invio al sultano di Achen (Sumatra), l’ambasciatore Francesco de Souza de Castro che volle con se Dionigi come guida spirituale e come esperto del mare e della lingua malese. Questi prese come compagno Tommaso Rodriguez, che, nato verso il 1598 in Portogallo, era entrato come converso nello stesso Ordine, col nome di R. della Croce.

I due lasciarono con la legazione Goa il 25 settembre 1638, e, dopo fortunosa navigazione, il 25 ottobre giunsero ad Achen, dove, acco]ti con segni di simulata letizia, tosto vennero fatti prigionieri. Dionigi, col fratello converso, piu degli altri fu tormentato e tentato perche lasciasse la fede cattolica e passasse alla musulmana. In carcere si privava del necessario per carita verso gli altri che sosteneva con la parola, l’aiuto e l’esempio. Dopo la condanna a morte, Redento mori tra i primi, mentre Dionigi sostenne il martirio per ultimo, per suo desiderio, al fine di poter confortare gli altri: fu ucciso con un colpo di spada, che gli divise in due il capo, il 29 novembre 1638. Beatificati da Leone XIII il 10 giugno 1900, la loro festa e celebrata nell’Ordine dei Carmelitani Scalzi il 29 novembre.

Autore: Valentino di S. Maria

 

 



251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